KR960010621Y1 - 항문세척기의 급수통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항문세척기의 급수통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621Y1
KR960010621Y1 KR2019940027735U KR19940027735U KR960010621Y1 KR 960010621 Y1 KR960010621 Y1 KR 960010621Y1 KR 2019940027735 U KR2019940027735 U KR 2019940027735U KR 19940027735 U KR19940027735 U KR 19940027735U KR 960010621 Y1 KR960010621 Y1 KR 960010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ter tank
bidet
cister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675U (ko
Inventor
김명상
Original Assignee
김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상 filed Critical 김명상
Priority to KR2019940027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621Y1/ko
Publication of KR960014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21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항문세척기의 급수통 지지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부분 발취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수통 2 : 고정대
3 : 단턱 4 : 구멍
5 : 지지대 6 : 변기
7 : 고정볼트
본 고안은 항문세척기의 급수통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특징은 급수통에 연설된 고정대 양측단을 하향 절곡시켜 단턱을 만들어 급수통을 변기에 고정된 지지대에 고정 할 때나 고정시켜 놓았을 경우 급수통이 지지대의 좌, 우측으로 흔들이지 않게 함으로서 급수통 고정작업을 쉽게 하면서 항문세척기 사용중에는 세척기의 부품 파손을 없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급수통에 연설된 고정대 저면부를 양측단을 절곡하지 않고 편편하게 한후 저면부에 펀칭 작업을 하여 블록부를 성형하고 지지대의 표면에는 조그만한 구멍을 천공시켜 고정대의 블록부가 지지대의 구멍에 살짝 결합시켜 놓고 고정볼트로 변기에 고정하는 관계로 급수통을 고정 시킬 때 금수통이 지지대 좌, 우측으로 흔들려 정확한 고정 작업하기가 까다로울 뿐 아니라, 금수통을 고정 시킨후 항문세척기 사용중에는 급수통이 흔들리면서 세척기의 부품이 파손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급수통(1)에 있어서, 고정대(2)의 양측단을 하향 절곡시켜 단턱(3)을 지지대(5) 두께 만큼 고정대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서 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급수통(1)을 변기(6)에 고정할 때 급수통이 고정대(2)를 변기(6)에 고정된 지지대(5)위에 올려 놓고 포개면 고정대의 단턱(3)에 의해 급수통(1)이 지지대의 좌, 우측으로 전혀 움직이지 않아 급수통 고정작업을 쉽게 할 수가 있는 이점을 얻을 수가 있고, 항문세척기 사용중에는 급수통이 요동되지 않아 세척기의 부품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어 항상 온전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 할 수가 있는 특징도 있는 등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항문세척기의 급수통(1) 고정대(2)의 양측단을 하향 절곡시켜 지지대(5)의 두께 만큼 단턱(13)을 고정대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세척기의 급수통 지지구조.
KR2019940027735U 1994-10-21 1994-10-21 항문세척기의 급수통 지지구조 KR960010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735U KR960010621Y1 (ko) 1994-10-21 1994-10-21 항문세척기의 급수통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735U KR960010621Y1 (ko) 1994-10-21 1994-10-21 항문세척기의 급수통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675U KR960014675U (ko) 1996-05-17
KR960010621Y1 true KR960010621Y1 (ko) 1996-12-20

Family

ID=1939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735U KR960010621Y1 (ko) 1994-10-21 1994-10-21 항문세척기의 급수통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6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675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9839A (ko) 차량 창유리의 세척장치
KR960010621Y1 (ko) 항문세척기의 급수통 지지구조
US4690343A (en) Paper roll holder with tension arm
KR910700017A (ko) 위생기를 벽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
JPS6115106Y2 (ko)
KR20000020210U (ko) 난간지주 고정구
JPH0136477Y2 (ko)
JPH0224145Y2 (ko)
JPH0547170U (ja) 軒樋支持具
KR880001654Y1 (ko) 상패 및 기념패의 지지 장치
KR830001148Y1 (ko) 피아노 다리 지지구
US2787432A (en) Toilet brush support
KR940007610Y1 (ko) 비닐하우스 지지구
KR200196558Y1 (ko) 석재 고정구
KR960000874Y1 (ko) 출입문의 상측용 힌지
JPS5840151Y2 (ja) トイレツト水洗用ロ−タンク
KR820002032Y1 (ko) 낚싯대 받침대
JPH0329574U (ko)
KR860007435A (ko) 양변기 조립체
KR920005981Y1 (ko) 변기 세정용 급수조
KR920006729Y1 (ko) 파이프 지지구
JPS5853109Y2 (ja) 自動車用傘立て
JP3957108B2 (ja) 金属建材の固定構造
KR910006111Y1 (ko) 동양식 변기의 절첩식 덮개
KR950005052Y1 (ko) 투영기(Over Head Projector)의 헤드봉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