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532B1 - 건축용 거푸집 판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거푸집 판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532B1
KR960010532B1 KR1019930010217A KR930010217A KR960010532B1 KR 960010532 B1 KR960010532 B1 KR 960010532B1 KR 1019930010217 A KR1019930010217 A KR 1019930010217A KR 930010217 A KR930010217 A KR 930010217A KR 960010532 B1 KR960010532 B1 KR 96001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sin
formwork
waste pap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042A (ko
Inventor
조쌍길
Original Assignee
조쌍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쌍길 filed Critical 조쌍길
Priority to KR101993001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532B1/ko
Publication of KR95000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거푸집 판엘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의 사시도.
본 발명은 건축공사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위한 형틀 제작용 거푸집 판넬을 보다 염가로서 생산할 수 있으면서 이의 물리적 특성이 기후변화에 따른 수축률과 팽창률이 거의 없고 판면 강도가 강하며 건축 공사시에 전달되는 충격 강도와 파절강도에 대해서 양호한 견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합판재로 된 거푸집 판넬에 비해 월등한 상품 특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거푸집판넬은 주로 합판재가 대부분인 바 이는 목재 자원의 고갈에 따라 원가 코스트가 점점 높아지고 내구성면에서도 불리하며 특히 내습성이 약하여 수명이 매우 단가적인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거푸집 판넬을 종래 PP합성수지 단일재질로 구성한 것이 공지된바 있으나 이는 수지재료의 고가성과 내충격성, 내열성 열에 의한 수축팽창률의 변화도가 커서 이 역시 양호한 상품 특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에 착안하여 거푸집 판넬은 PE수지를 주재로 하고 여기에 적당량의 탄산칼슘, 폐지분물을 소량의 가성소다와 함께 혼합하여 염가소성에 따른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을 하므로서 거푸집으로서 요구되는 상품 특징인 내충격성, 내열성, 내구성 등 양호한 반면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률이 극미하게 되어 거푸집 제조시 주면에 환설하는 보강테에 의해 판면재의 휘임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 판넬은 주면에 금속대편으로 된 윤곽테 속에 판상체로 부착하게 되는바 기후변화나 기온변화에 따라 거푸집 판넬의 팽창률이 크면 상기 윤곽테 속에서 판넬이 원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판넬이 전체적으로 팽윤되어 평면판넬의 원형을 유지할 수 없어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원형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 판넬은 이와같은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률이 적어야만 바람직한 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바 종래의 단일 수지제로된 판넬의 경우는 이러한 팽창률 때문에 거푸집 판넬의 장기 내구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물성치에 부합되는 거푸집 판넬을 얻기 위하여 오랜 실험결과 최적의 조성 소재를 개발하게 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은 제1도와 같이 금속제로 된 윤곽테(B) 내부에 평판형 판넬(A)을 고정시켜 콘크리트 형틀 작업을 시행하는 것으로 그 주재료는 PE수지 재질을 주재로 하는 것으로 이 수지 원료는 재생원료 재료를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원료수지 및 첨가물은 다음과 같다.
1. 조성물
PE 수지-68부(중량비).
탄산칼슘(CalO3)-20부.
폐지분말-10부.
가성소다(NaOH)-2부.
상기 재료중 PE수지는 신재료 또는 재생수지중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탄산칼슘과 폐지분말은 분상물로서 특히 폐지 분말은 수분함류률이 거의 없는 양질의 건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의 입도률 100매쉬 범위의 것으로 적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온에서 균일하게 교반하여 이를 압출성형기 또는 사출성형기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판상체로서 성형한다.
성형 온도는 PE수지의 융점인 200℃ 전후에서도 가능하나 폐지 분말과 수지액의 혼합 융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230℃의 약간 상향 조절된 온도로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과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은 인조목재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갖게 되는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탄산칼슘이 수지에 융합되어 충전제(充錢制)의 역할을 하면서 내열성을 부여하고 폐지 분말은 섬유 조직의 교착(交着) 배열에 의해 조직 강도의 신장 효과, 판면강도의 강화 효과를 유지케 하여 PE 수지가 갖는 고유의 인성강도(靭性襁度)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으로 인식된다.
또한 가성소다는 PE 수지와 혼합되어 육안으로 거의 나타나지 않을 정도의 조밀한 미세 기공 형성을 일으키므로 판면 전체는 미세한 다공화 (이 다공화는 시각성 나타나지는 않으나 현미경 조직으로 다공화가 확인된다)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차후 제품 생성시 기후나 외기 온도변화에 대한 수축률, 팽창률, 이들의 생성된 기공들이 흡수, 완충하여 판면 전체를 기후나 온도 변화에 대한 팽창, 수축률이 거의 없는 내후성을 발휘한다.
그리고 이러한 조직의 다공화 현상은 판면 전체를 거푸집 판넬로서 요구되는 판상강도를 충분히 유지시키면서 한편으로는 조직의 물리적 응축성을 부여하여 가공성을 좋게 유도한다.
즉 본 발명은 인조 목재와 같이 톱질 가공이 용이하고 못이 잘들어 가므로 이는 거푸집 판넬 제작시 절단 리벳팅 등 가공성을 아주 좋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폐지 분말은 탄산칼슘과 같은 충전재의 역할도 일부 겸하게 되나 판상조직의 심재(芯材)가 되어 조직 강도를 높이고 경량성 효과를 부여하는데에도 역할하는 바 크다.
폐지 분말 소재는 섬유공업 분야에서 다량 산출하는 원단 제생물인 파사(破絲)류와 같은 섬유사를 대체 사용하면 더욱 더 유리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그 조성 성분이 간단하면서 특히 조성 성분률이 재생 수지 원료나 폐지를 주재로하므로 원가 코스트를 최소로 하면서 거푸집 판넬로서 요구되는 판넬성, 내후성, 내충격성, 가공성, 팽창률 감소 등 여러가지 유리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 것이어서 거푸집 판넬이 제조방법으로서는 매우 실효성이 높은 것이다.

Claims (1)

  1. 거푸집 판넬을 제조함에 있어서, 그 조성물을 PE 수지 68부, 탄산칼슘 20부, 폐지분말 10부에 적량의 가성소다를 혼합하여 이들을 230℃ 전후에서 사출 또는 압출성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 판넬의 제조방법.
KR1019930010217A 1993-06-04 1993-06-04 건축용 거푸집 판넬의 제조방법 KR96001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217A KR960010532B1 (ko) 1993-06-04 1993-06-04 건축용 거푸집 판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217A KR960010532B1 (ko) 1993-06-04 1993-06-04 건축용 거푸집 판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042A KR950001042A (ko) 1995-01-03
KR960010532B1 true KR960010532B1 (ko) 1996-08-02

Family

ID=1935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217A KR960010532B1 (ko) 1993-06-04 1993-06-04 건축용 거푸집 판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296A (ko) * 2001-03-03 2001-07-25 기덕연 평면 거푸집용 폴리에틸렌 패널
KR100465263B1 (ko) * 2002-01-04 2005-01-13 안승한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제조 방법 및 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KR100453717B1 (ko) * 2002-03-20 2004-10-20 윤순호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042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17841A (en) Bonded glass fiber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488762B1 (en) Composition of materials for use in cellular lightweight concrete and methods thereof
US5584895A (en) Process for preparing solidified material containing coal ash
RU2494869C2 (ru) Композитные изделия и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CN100392012C (zh) 一种木塑复合材料建筑模板及其制备方法与用途
KR100887460B1 (ko) 복합 건축 재료
US4781994A (en) Fiber-reinforced cement material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hardened product thereof
CN103172327A (zh) 增强水泥发泡板及其制备方法
KR20140037115A (ko) 가공된 시멘트 복합재 중의 3-모드 블렌딩된 섬유
EP1215181B1 (en) Fire door core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DE4402912A1 (de) Faserverstärkter und wärmedämmender Konstruktionsteil
KR960010532B1 (ko) 건축용 거푸집 판넬의 제조방법
KR100437272B1 (ko)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판재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패널
KR100263183B1 (ko) 건축용 복합패널의 제조방법
JP2648257B2 (ja) 繊維補強セメント板の製造方法
CN108128011A (zh) 一种无纺布纤维板的制备方法及其纤维板
EP0924175B1 (de) Bau-Formteile auf Basis von porösem Material
US5733671A (en) 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material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Stanaszek-Tomal Wood-polymer composites as an alternative to the natural environment
DE10060875B4 (de) Mineralischer Formkörper, Verfahren zur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KR100547946B1 (ko) 폐 피이티 재생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폐유리를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S6218511B2 (ko)
DE433323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keramischer Formkörper, insbesondere porosierter Leichthochlochziegel, und kermische Formkörper
DE202007016205U1 (de) Gemische zum Herstellen von Bauelementen
WO2023052238A1 (en) Cemen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