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373Y1 - 공구용 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 - Google Patents

공구용 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373Y1
KR960010373Y1 KR2019930011286U KR930011286U KR960010373Y1 KR 960010373 Y1 KR960010373 Y1 KR 960010373Y1 KR 2019930011286 U KR2019930011286 U KR 2019930011286U KR 930011286 U KR930011286 U KR 930011286U KR 960010373 Y1 KR960010373 Y1 KR 960010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icrocomputer
voltage
charg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309U (ko
Inventor
이규원
Original Assignee
엘지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filed Critical 엘지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1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373Y1/ko
Publication of KR950002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3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공구용 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
제1도는 종래 공구용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공구용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정류부 12 : 마이크로컴퓨터
13 : 전원공급 및 충전유무표시부 14 : 정전압부
15 : 배터리 이상유무 검출부 PC1, PC2 : 포토커플러
T1 : 트랜스포머
본 고안은 충전기에 적용되는 배터리의 이상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양단에 포토커플러를 설치하여 배터리 삽입유무 및 배터리 단선유무를 확인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배터리 써어멀단자의 동작유무를 확인하여 배터리의 불량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공구용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단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구용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단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여 배터리측으로 출력시키는 정류부(1)와, 배터리의 충전진행에 따라 저항(R2)(R3)을 통해 분압된 데이타값에 따라 충전완료 및 이상상태를 판별하는 마이크로컴퓨터(2)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의 제어출력에 따라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킴과 아울러 배터리의 충전유무를 표시하여 주는 전원공급 및 충전유무표시부(3)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의 입력전압을 6-10V정도를 5V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정전압부(4)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이 정류부(1)의 다아오드(D1)(D2)를 통하여 맥류로 바뀌고, 이 맥류로 바꿔 전압이 평활콘덴서(C1) 및 쵸크코일(L1)에 의하여 직류로 바뀌어 배터리플러스단자(Batt+, Batt-)와 써어멀단자(TH)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가 충전되기 시작한다.
이렇게 충전됨에 따라 저항(R2)(R3)에 의해 분압된 데이타값을 마이크로컴퓨터(2)가 그의 아날로그/디지탈단자(A/D)로 입력받아 디지탈값으로 변환시켜 인식한다.
이렇게 디지탈값을 인식한 마이크로컴퓨터(2)는 그 디지탈값으로 부터 배터리의 충전완료 또는 이상상태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에서 충전완료라고 판단하면 그의 출력단자(OUT1)를 통해 전원공급 및 충전유무표시부(3)의 포토커플커(PC1)로 신호를 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고, 정전압부(4)에 의해 전압이 제어된 정전압을 저항(R5)을 거쳐 입력받아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LED1)에 대해 전류를 단속하여 배터리의 충전유무를 표시한다.
그러나 종래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아날로그/디지탈입력단자로 입력되는 데이타값으로 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다가 -△V의 전압이 걸리면 회로를 차단하도록 되었으나 단락 및 단선된 불량배터리를 삽입한 경우에 대한 대책이 부족하다. 가령 단락배터리인 경우 차단이 가능하나 단선된 배터리와 써어멀단자가 작동중인 배터리와는 구별이 안되어 배터리불량인지 판별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선된 배터리와 써러멀동작중인 배터리를 판별하도록 하여 불량배터리를 완벽하게 선별하도록 한 공구용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를 창안한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공구용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도도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여 배터리측으로 출력시키는 정류부(11)와, 배터리의 충전진행에 따라 저항(R2)(R3)을 통해 분압된 데이타값에 따라 충전완료상태를 판별하는 마이크로컴퓨터(12)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의 제어출력에 따라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킴과 아울러 배터리의 충전유무를 표시하여 주는 전원공급 및 충전유무표시부(13)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의 입력전압을 6-10V 정도를 5V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정전압부(14)와, 배터리의 삽입 유무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로 전달하여 주는 배터리 이상유무 검출부(15)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플러그를 꽂으면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 유기된 교류입력전압은 정류부(11)의 다이오드(D1)(D2)에 의해 맥류로 변환되고 다시 평활콘덴서(C1) 및 쵸크코일(L1)에 의하여 직류로 바뀌어 배터리플러스단자(Batt+, Batt-)와 써어멀단자(TH)에 인가되어 충전된다.
이렇게하여 충전됨에 따라 저항(R2)(R3)에 의해 분압된 아날로그값은 마이크로컴퓨터(12)의 아날로그/디지탈단자(A/D)를 통해 디지탈값으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는 입력되는 디지탈값을 통해 배터리의 이상상태, 충전완료나 충전중인 신호를 체크한다.
만약 배터리가 정상상태일 경우 배터리 이상유무 검출부(15)의 트랜지스터(Q1) 베이스에 배터리전압이 인가됨게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이에따라 마이크로컴퓨터(12)의 입력단자(P1)로 저전위가 입력된다.
그리고 포토커플러(PC2)가 동작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의 입력단자(P2)로 고전위가 입력된다.
이렇게 마이크로컴퓨터(12)의 입력단자(P1)(P2)로 '저전위' '고전위'가 입력될 경우 정상동작으로 전원공급 및 충전유무표시부(13)의 포토커플러(PC1)와 표시램프(SED1)는 작동되지 않는다.
두번째로 숏트배터리가 삽입된 경우 트랜지스터(Q1)가 동작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의 입력단자(P1)로 저전위신호가 인가되고 포토커플러(PC2)가 동작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의 입력단자(P2)로 고전위가 신호가 각각 입력되어 정상이라고 판단되나 이때 저항(R2)(R3)을 통해 분압되어 아날로그/디지탈변환단자(A/D)로 입력되는 배터리전압이 4V이하인 경우 숏트배터리로 판단한다.
숏트배터리로 판단시 마이크로컴퓨터(12)는 그의 출력단자(OUT1)(OUT2)로 신호를 출력시켜 표시램프(LED1)를 작동시켜 배터리 이상상태를 나타내고, 포토커플러(PC1 )를 작동시켜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도록 한다.
세번째로 오픈 배터리인 경우 정류부(11)를 통한 직류전압이 배터리가 오픈됨에 따라 충전되지 않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오프되고 포토커플러(PC2)가 동작하지 않아 포토트랜지스터가 오프되므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의 입력단자(P1)(P2)에는 각각 고전위신호와 저전위신호가 인가된다.
또한 아날로그/디지탈변환 입력단자(A/D)에도 제로상태의 전압이 입력된다.
그러면, 마이크로컴퓨터(12)는 오픈배터리로 판단한다.
이때에도 숏트배터리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컴퓨터(12)의 출력단자(OUT1)(OUT2)가 작동하여 회로를 차단하며 표시램프(LED1)가 작동되어 배터리 이상상태를 표시하여 준다.

Claims (2)

  1. (정정)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여 배터리측으로 출력시키는 정류부(11)와,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저항(R2)(R3)을 통해 분압된 데이타값에 따라 충전완료상태를 판별하는 마이크로컴퓨터(12)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의 제어출력에 따라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킴과 아울러 배터리의 충전유무를 표시하여 주는 전원공급 및 충전유무표시부(13)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2)의 입력전압을 6-10V 정도를 5V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정전압부(14)와, 배터리의 삽입 유무를 검출하여 장기 마이크로컴퓨터(12)로 전달하여 주는 배터리 이상유무 검출부(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 이상유무 검출부(15)는 배터리 삽입시 배터리전압을 감지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Q1)와 포토커플러(PC2)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
KR2019930011286U 1993-06-24 1993-06-24 공구용 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 KR960010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286U KR960010373Y1 (ko) 1993-06-24 1993-06-24 공구용 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286U KR960010373Y1 (ko) 1993-06-24 1993-06-24 공구용 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09U KR950002309U (ko) 1995-01-04
KR960010373Y1 true KR960010373Y1 (ko) 1996-12-10

Family

ID=1935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286U KR960010373Y1 (ko) 1993-06-24 1993-06-24 공구용 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3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555B1 (ko) 2021-12-28 2024-03-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파라미터에 기반한 배터리 이상발생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230112482A (ko) 2022-01-20 2023-07-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충전 프로파일에 기반한 배터리 이상발생 판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09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5073A (en) Battery pack sensor for an AC adapter
US4665323A (en) Electronically switchable power source
US49980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KR100341986B1 (ko) 배터리 충전장치 및 그 충전제어방법
US4618811A (en) Voltage regulator for charging generator
US477131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battery
US5663629A (en) Battery charger which detects the battery charging status
US4920307A (en) Electric power source used to charge a secondary power source
EP0542040B1 (en) Trip control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960010373Y1 (ko) 공구용 충전기의 배터리 이상유무 판별회로
US20030122506A1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US4853606A (en) Secondary battery quick charging circuit
KR100279268B1 (ko) 1차 배터리 충전기
JPH0130845Y2 (ko)
SU1065959A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р да аккумул торной батареи
KR910005111B1 (ko) 충전기용 과전류보호장치
KR100536583B1 (ko) 부하를 감지하는 전원 어댑터 및 이와 함께 사용하는데 적합한휴대용 전자 장치
JP2767010B2 (ja) 過電圧保護回路
JP3198731B2 (ja) 電源回路装置
JPH0130846Y2 (ko)
KR950009298B1 (ko) 밧데리의 충전모드 절환회로
KR100532293B1 (ko) 멀티플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충전제어방법
KR0110775Y1 (ko) 교류전원 언더전압 검출회로
JPS62107641A (ja) 充電制御回路
JP2527395B2 (ja) 充電器の電池温度検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