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290B1 - Fuel ejecting pump - Google Patents

Fuel ejecting pu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290B1
KR960010290B1 KR1019940038135A KR19940038135A KR960010290B1 KR 960010290 B1 KR960010290 B1 KR 960010290B1 KR 1019940038135 A KR1019940038135 A KR 1019940038135A KR 19940038135 A KR19940038135 A KR 19940038135A KR 960010290 B1 KR960010290 B1 KR 96001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lead
auxiliary
main
fuel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19165A (en
Inventor
히로아끼 가또오
히데가쓰 야시로
쓰요시 고다마
Original Assignee
오오다 유다까
가부시기가이샤 잭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34917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89861A/en
Priority claimed from JP34918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4932B2/en
Priority claimed from JP534917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89862A/en
Application filed by 오오다 유다까, 가부시기가이샤 잭셀 filed Critical 오오다 유다까
Publication of KR950019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1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90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02M59/2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 F02M59/265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spill port of spill contour on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02M59/2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연료분사펌프Fuel injection pump

제 1 도는 종래의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1)에 있어서, 보조연소실로서 예비연소실(4)을 설치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combustion engine type diesel engine (1) in which a precombustion chamber (4) is provided as an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제 2 도는 종래의 보조연소식식의 디이젤엔진(8)에 있어서, 보조연소실로서 소용돌이 챔버(9)를 설치한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auxiliary combustion type diesel engine (8) in which a vortex chamber (9) is provided as an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제 3 도는 일반적인 연료분사펌프(5)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general fuel injection pump (5).

제 4 도는 일반적인 드로틀형의 연소분사노즐(6)의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throttle nozzle 6 of the general throttle type.

제 5 도는 동 노즐본체(26)의 선단의 분사구(37)부분의 확대 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injection hole 37 at the tip of the nozzle body 26. FIG.

제 6 도는 동 노즐리프트에 대한 분사구(37)의 개구면적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of the opening area of the injection port 37 with respect to the nozzle lift.

제 7 도는 제 1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40)의 종단면도.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fuel injection pump 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제 8 도는 동 주요부분 종단면도.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제 9 도는 동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9 is a lead exploded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제10도는 동 N-Q 특성도에서 나타낸 타이밍맵.10 is a timing map shown in the N-Q characteristic diagram.

제11도는 동 엔진회전수(N)에 대한 연료분사량(Q)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11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of fuel injection amount Q to engine speed N. FIG.

제12도는 동 분사량의 제어랙(13)을 고정하였을 경우의 엔진회전수(N)에 대한 연료분사량(Q)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FIG. 1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el injection amount Q and the engine speed N when the control rack 13 of the injection amount is fixed.

제13도는 제 1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50)에 있어서의 제 9 도와 같은 플런저(15)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1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diagram of a plunger 15 head as shown in FIG. 9 in the fuel injection pump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FIG.

제14도는 제 1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51)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14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development diagram of a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5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제15도는 제 1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52)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15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development diagram of a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5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FIG.

제16도는 제 1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56)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16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development view of a h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56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제17도는 제 1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58)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1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58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제18도는 제 1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59)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1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59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제19도는 제 1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60)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1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60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제20도는 제 1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62)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20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development diagram of a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62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제21도는 제 1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63)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21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63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제22도는 제 2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0)의 종단면도.2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fuel injection pump 7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23도는 동 주요부분 종단면도.2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제24도는 동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24 is a lead exploded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제25도는 동 N-G 특성도에서 나타낸 타이밍맵.25 is a timing map shown in the N-G characteristic diagram.

제26도는 제 2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1)에 있어서의 제24도와 같은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2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as in FIG. 24 in the fuel injection pump 7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FIG.

제27도는 제 2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2)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2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diagram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FIG.

제28도는 제 2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4)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2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diagram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FIG.

제29도는 제 2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5)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2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implified development diagram of a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30도는 제 2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6)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30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6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31도는 제 2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8)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3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8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FIG.

제32도는 제 2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9)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32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development view of a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9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FIG.

제33도는 제 2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80)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3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80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34도는 제 2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82)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34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development diagram of a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82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FIG.

제35도는 제 3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90)의 플런저배럴(14) 및 플런저(15) 부분의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FIG. 3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rincipal portions of the plunger barrel 14 and the plunger 15 of the fuel injection pump 9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FIG.

제36도는 동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36 is a lead exploded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제37도는 동 제36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3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mplified diagram of FIG. 36; FIG.

제38도는 제 3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90)에 있어서의 제37도와 같은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3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as in FIG. 37 in the fuel injection pump 9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FIG.

제39도는 제 3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92)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39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development diagram of a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9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FIG.

제40도는 제 3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94)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4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diagram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9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FIG.

제41도는 제 3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96)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FIG. 41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development diagram of a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96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2 : 실린더,1: diesel engine of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type 2: cylinder,

3 : 주연소실,4 : 예비연소실(보조연소실),3: main combustion chamber, 4: pre-combustion chamber (sub-combustion chamber),

5 : 연료분사펌프,6 :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5: fuel injection pump, 6: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7 : 피스톤,8 : 보조연소실의 디이젤엔진,7: piston, 8: diesel engine of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9 : 소용돌이 챔버(보조연소실),10 : 펌프하우징,9: vortex chamber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10: pump housing,

11 : 캠축,12 : 캠,11: camshaft, 12: cam,

13 : 분사량의 제어랙,14 : 플런저배럴,13: control rack of injection amount, 14: plunger barrel,

15 : 플런저,15A : 플런저(15)의 상단부,15: plunger, 15A: upper end of the plunger 15,

16 : 배출밸브,17 : 배출밸브 호울더,16: outlet valve, 17 outlet valve holder,

18 : 태핏 로울러,19 : 분사량의 제어슬리이브,18: tappet roller, 19: control sleeve of the injection amount,

20 : 연료저류실,21 : 연료압실,20: fuel storage chamber, 21: fuel pressure chamber,

22 : 흡입배출구멍,23 : 분가관,22: suction discharge hole, 23: branch pipe,

24 : 세로방향 연료통로,25 : 경사리이드,24: longitudinal fuel passage, 25: inclined lead,

26 : 노즐본체,27 : 부스러기막힘(chippacking),26: nozzle body, 27: chipping,

28 : 호울더본체,29 : 멈춤너트,28: holder body, 29: stop nut,

30 : 니니들밸브,30A : 니이들밸브(30)의 핀부,30: needle valve, 30A: pin portion of the needle valve (30),

30B : 니이들밸브(30)의 테이터부,31 : 압력핀,30B: data portion of the needle valve 30, 31: pressure pin,

32 : 압력스프링,33 : 조절끼움쇠,32: pressure spring, 33: adjustment shim,

34 : 바아필터,35 : 연료통로,34: bar filter, 35: fuel passage,

36 : 기름저류실,37 : 분사구멍,36: oil reservoir, 37: injection hole,

37A : 분사구(37)의 원주형 내벽부,37B : 분사구(37)의 시이트부,37A: circumferential inner wall portion of injection hole 37, 37B: sheet portion of injection hole 37,

38 : 탈출통로,40 :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38: escape passage, 40: fuel injection pump (1st invention),

41 : 메인포오트(연료흡입 배출구멍),41A :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 main port (fuel suction discharge hole), 41A: upper end of the main port (41),

42 : 서브포오프(연료흡입 배출구멍),42A : 서브포오트(42)의 상단부,42: subpooff (fuel suction discharge hole), 42A: upper end of the subport 42,

43 :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4 : 하부메인리이드,43: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4: lower main lead,

44A : 하부메인리이드(44)의 상단부,45 : 세로방향 서브연료통로,44A: upper end of the lower main lead 44, 45: longitudinal sub-fuel passage,

46 : 상부메인리이드,46A : 상부메인리이드(46)의 상단부,46: upper main lead, 46A: upper end of the upper main lead 46,

47 : 상부서브리이드,47A : 상부서브리이드(47)의 상단부,47: upper subbride, 47A: upper end of the upper subbride 47,

48 : 하부서브리이드,48A : 하부서브리이드(48)의 상단부,48: lower surbride, 48A: upper end of the lower surbride 48,

50 : 연료분사펌프,51 : 연료분사펌프,50: fuel injection pump, 51: fuel injection pump,

52 : 연료분사펌프,53 : 하부메인리이드,52: fuel injection pump, 53: lower main lead,

54 : 하부서브리이드,55 :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54: lower subbride, 55: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56 : 연료분사펌프,57 : 경사형의 상부서브리이드,56: fuel injection pump, 57: inclined upper surveid,

58 : 연료분사펌프,59 : 연료분사펌프,58: fuel injection pump, 59: fuel injection pump,

60 : 연료분사펌프,61 : 경사형의 상부서브리이드,60: fuel injection pump, 61: inclined upper surveid,

62 : 연료분사펌프,63 : 연료분사펌프,62: fuel injection pump, 63: fuel injection pump,

70 :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71 : 연료분사펌프,70: fuel injection pump (second invention), 71: fuel injection pump,

72 : 연료분사펌프,73 : 경사형의 상부서브리이드,72: fuel injection pump, 73: inclined upper surveid,

74 : 연료분사펌프,75 : 연료분사펌프,74: fuel injection pump, 75: fuel injection pump,

76 : 연료분사펌프,77 : 경사형의 상부메인리이드,76: fuel injection pump, 77: inclined upper main lead,

78 : 연료분사펌프,79 : 연료분사펌프,78: fuel injection pump, 79: fuel injection pump,

80 : 연료분사펌프,81 : 경사형의 상부서브리이드,80: fuel injection pump, 81: inclined upper surveid,

82 : 연료분사펌프,83 : 경사형의 상부메인리이드,82: fuel injection pump, 83: inclined upper main lead,

90 : 연료분사펌프(제 3 발명),91 : 연료분사펌프,90: fuel injection pump (third invention), 91: fuel injection pump,

92 : 연료분사펌프,93 : 상부서브리이드,92: fuel injection pump, 93: upper surveid,

94 : 연료분사펌프,95 : 상부메인리이드,94: fuel injection pump, 95: the upper main lead,

96 : 연료분사펌프,97 :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96: fuel injection pump, 97: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98 : 하부메인리이드,99 : 하부서브리이드,98: lower main lead, 99: lower sub lead,

L1 : 상부서브리이드(47)의 깊이 및 높이(저속에 대한 시동진각 단차)(프리플로우 스트로우크),L1: Depth and height of the upper subbride 47 (starting step for low speed) (preflow stroke),

L2 : 상부메인리이드(46)의 길이 및 높이(고속에 대한 시동진각 단차),L2: length and height of the upper main lead 46 (starting angle step for high speed),

L3 : 프리플로우 스트로우크 즉 진각단자(L1-L2)L3: Preflow Stroke, that is, acute terminal (L1-L2)

본 발명은 연료분사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의 흡입배출구멍으로서 메인포오트(main port) 및 보조구멍(sub port)를 플런저배럴에 형성한 연료분사펌프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특히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의 보조연소실에 면한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에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연소펌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injection pu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injection pump in which a main port and a sub port are formed in a plunger barrel as a suction discharge hole of fuel.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fuel combustion pump for feeding fuel into a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facing an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of a diesel engine of an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type.

일반적으로 연료분사펌프의 특성으로서 엔진의 고속회전시에 연료의 분사타이밍을 진행케하는 (진각시키는)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이러한 분사타이밍을 조정하는 타이머(자동진각장치)를 별도로 사용함이 없이 연료분사펌프 자체의 구조에 따라 타이밍 조정기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In general, it is desirable to advance (improve) the injection timing of the fuel during high-speed rotation of the engine as a characteristic of the fuel injection pump, and also to perform the fuel injection without using a timer (automatic advance device) to adjust the injection timing.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ump itself, there is one provided with a timing adjusting mechanism.

이러한 타이머 조정기구중에서 고속회전시에 있어서의 프리플루우효과, 즉 연료의 피이드호울(feed hole)(급속구멍)이 닫쳐지기 전에 동적효과(조절효과)에 의하여 연료가 입송되는 형상을 이용하여 진각특성을 얻도록 한 것이다.In this timer adjusting mechanism, the advance flow effect at the high speed rotation, i.e., the shape in which fuel is fed by the dynamic effect (adjustment effect) before the feed hole (rapid hole) of the fuel is closed, is advanced. To get the characteristics.

그러나, 프리플로우 효과에 따라 엔진의 고속회전시의 분사타이밍 특성이 양호하여도 이 프리플로우 효과에 따라 엔진의 시동시나 토오크점(저속, 고부하)의 분사타이밍이 늦어지게 되는 (지연하는) 등하여, 결과적으로 엔진의 가장 적합한 타이밍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injection timing characteristics at high speed rotation of the engine are satisfactory due to the preflow effect, the injection timing at the start of the engine and the torque point (low speed, high load) is delayed (delayed) due to the preflow effect. As a result, there is a drawback that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most suitable timing of the engine.

따라서, 고속회전시의 진각과 시동시의 직각의 양립이 요망되게 됨과 동시에 엔진의 부하상태(저부하, 고부하)에 따라서 진각특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연료분사펌프를 요망하기에 이르렀다.Therefore, both the advancement at high speed and the right angle at start-up are desired, and at the same time, a fuel injection pump capable of arbitrarily setting the advancement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engine load state (low load and high load) has been demanded.

이러한 요청에 따르도록 흡입배출구멍으로서 메인포오트 및 보조구멍과, 메인포오트에 연통할 수 있는 상부메인리이드와 보조구멍으로 연통할 수 있는 상부 서브리이드 등을 형성하여 엔진의 고속회전시의 프리플로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동시의 진각도 가능하고, 엔진의 부하상태(저부하, 고부하) 및 회전수(저속, 고속)에 따라서 진각특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연료분사펌프가 제안되었다.According to the request, the main discharge port and the main port and the auxiliary hole, the upper main lead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ain port, and the upper sublead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hole are formed as the suction discharge holes. A fuel injection pump has been proposed that can exhibit a flow effect and can also advance at start-up, and can arbitrarily set the advanc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engine load state (low load, high load) and rotation speed (low speed, high speed).

그러나, 이러한 임의의 프리플로우 효과를 갖게 함에 따라 부하상태 및 회전수에 따라서 진각특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연료분사펌프에 대해서는 프리플루오 효과에 의한 연료분사의 개시시점의 제어를 할 뿐이다.However, for the fuel injection pump having such an arbitrary preflow effect, the advancing characteristics can be arbitrarily set according to the load state and the rotation speed, only the control of the start point of fuel injection by the prefluorine effect is performed.

또, 특히 이러한 연료분사펌프에서는 프리플로우 스트로우크만큼 캠리프가 높은, 즉 송유율이 높은 캠부분에서 연료를 압송하여 되기 때문에 연료분사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저속 고부하시의 최대 연료분사율을 저감할 수 없고, 스모우크(흑연) 및 분진(particulate)의 발생을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such a fuel injection pump tends to increase the fuel injection rate because the fuel is pumped from a cam portion having a cam cam that is as high as a preflow stroke, that is, having a high oil feed rate, and thus the maximum fuel injection rate at low speed and high loa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generation of smoke and graphite and particulates.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분사의 개시시기를 적당히 제어함에 따라 분사 특성을 개선하려하는 한편, 연료분사의 종료시기를 적당히 제어하기 위하여 흡입 배출구멍을 보다 큰 지름의 메인포오트로 하고, 보다 작은 지름의 보조구멍을 플런저배럴에 별도로 형성하여 연료부족의 개선, 부하의 고저에 따른 분사량의 제어 등, 분사특성을 개선하려하는 것이다.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rove the injection characteristics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start timing of the fuel injection, the suction discharge hole is made into a larger diameter main port to control the end timing of the fuel injection. Auxiliary holes of diameter are separately formed in the plunger barrel to improve the injection characteristics such as improvement of fuel shortage and control of inje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height of load.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5-101761호(특허 공고 소 60-8343호)에 의한 연료분사펌프에서는 1조의 메인포오트인 큰 지름의 배유구멍(8b) 및 1조의 보조구멍인 작은 지름의 배유구멍(8a)과, 제 1 플런저리이드(14b) 및 제 2 플런저리이드(14a)를 형성함과 동시에 큰 지름의 배유구멍(8b)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용 랜드(land)(15)를 플런저헤드에 설치하고, 이 제어용 랜로 프리플루오 효과를 발휘시켜 저부하시 측에서 작은 지름의 배유구멍(8a)으로부터 유출(spill)시켜 저속 저부하일 때의 연료분사량이 급격한 저하를 방지하려 한다.For example, in 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5-101761 (Patent Publication No. 60-8343), a large diameter drainage hole 8b, which is a set of main ports, and a small diameter drainage, which is a set of auxiliary holes, are used. Plunger head is provided with a control land (15) for forming openings (8a), first plunger leads (14b) and second plunger leads (14a) and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large diameter drainage holes (8b). In order to exert a pre-fluorine effect in this control lan, it spills out from the oil drain hole 8a of small diameter on the low load side, and prevents a rapid fall of the fuel injection quantity at low speed low load.

그러나, 메인포오트 및 보조구멍 모두 그 1조씩을 설치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저부하일때 측에서 작은 지름의 배유구멍(8a)에서 유출을 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고부하일때 측에서는 보조구멍으로부터의 유출을 할 수 없어 출력부족을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both the main port and the auxiliary holes need to be provided one by one, and at the low load side, the drain port 8a of small diameter is to be discharged from the sid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was no output.

또, 제어용 랜드 부착에 의하여 프리플로우 스트로우크량을 부하에 의하여 선택할 수 없음과 동시에 상부리이드를 형성하고 있기 않기 때문에 부하에 의한 연료분사개시의 제어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rt of fuel injection due to the load cannot be controlled because the amount of preflow stroke cannot be selected by the load and the upper lead is formed by the control land.

그런데, 종래로부터 디이젤엔진의 연소실에는 직접 분사형틀인 단실식(單室式)과 간접 분사형틀인 보조연소실식이 있으며, 전자를 대형차량 등에, 또 후자를 소형 일반용에 각기 이용되고 있다. 보조연소실식 디이젤엔진에서는 연료분사후 서서히 연소가 진행하기 때문에 연소음이 작고, 질소산화물 등의 발생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하 개략 설명한다.[0003] By the way, conventional combustion engines for diesel engines have a single chamber type, which is a direct injection mold, and an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which is an indirect injection mold. The former is used for a large vehicle and the latter for a small general purpose, respectively. In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diesel engine, since combustion proceeds gradually after fuel injection, the combustion noise is small, and generation of nitrogen oxides and the like can be suppressed low. It outlines below.

제 1 도에 나타낸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1)에서는 그 실린더(2)내의 주연소실(3)과 보조연소실로서의 예비연소실(4)을 구비하여 연료분사펌프(5)로부터의 압송유를 연료분사노즐(6)에서 예비연소실(4)로 우선 분사하고, 부분적으로 연소한 가스가 주연소실(3)로 분출하여 완전히 연소시켜 피스톤(7)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In the diesel engine 1 of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type shown in FIG. 1, the main combustion chamber 3 in the cylinder 2 and the preliminary combustion chamber 4 as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are provided to feed the pressurized oil from the fuel injection pump 5 to the fuel. The injection nozzle 6 is first injected into the precombustion chamber 4, and the partially combusted gas is ejected in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3, completely burned, and converted into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7.

또, 제 2 도에 나타낸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8)에서는 보조연소실로서 소용돌이 챔버(9)를 설치하였다.Moreover, in the diesel engine 8 of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type shown in FIG. 2, the vortex chamber 9 was provided as an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제 3 도는 연료분사펌프(5)의 종단면도로서, 이 연료분사펌프(5)는 펌프하우징(10)과, 디이젤엔진(1, 8) 등에 연결한 캠축(11)에 부착한 캠(12)과, 분사량의 제어랙(13)과, 플런저배럴(14)과, 플런저(15)와, 송출밸브(16)와, 송출밸브 호울더(17) 등을 구비하고 있다.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uel injection pump 5, which is a cam 12 attached to a pump housing 10 and a camshaft 11 connected to diesel engines 1, 8, and the like. And a control rack 13 for injection amount, a plunger barrel 14, a plunger 15, a delivery valve 16, a delivery valve holder 17 and the like.

캠(12)은 캠축(11)을 개재하여 디이젤엔진의 피스톤(7)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태핏로울러(18)을 개해하여 플런저(15)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킨다.The cam 12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piston 7 of the diesel engine via the camshaft 11 and opens the tappet roller 18 to reciprocate the plunger 15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어랙(13)은 조속기를 개재하여 가속기(함께 도면에 없음)에 이것을 연결하고 있어,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분사량의 제어슬리브(19)를 개재하여 플런저(15)를 그 축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각도 만큼 회전운동시킨다.The control rack 13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or (not shown in the drawing) via the governor, and moves the plunger 15 through the control sleeve 19 of the injection amount as it move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Rotate the shaft by a certain angle.

플런저배럴(14)은 펌프하우징(10)내에 고정하여 이것을 부착하고, 그 내부에 플런저(15)를 왕복운동, 또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수용함과 동시에 펌프하우징(10)의 사이에 연료저류실(20)을 송출밸브(16)의 사이에 연료압실(21)을 형성하고 있다.The plunger barrel 14 is fixed in the pump housing 10 so as to be attached thereto, and the plunger 15 is accommodated therein for reciprocating and rotating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fuel storage chamber is located between the pump housings 10. A fuel pressure chamber 21 is formed between the delivery valves 16.

플런저배럴(14)에는 연료의 흡입배출구멍(22)을 형성하고 있고, 플런저배럴(14)내에 왕복운동함에 따라 흡입배출구멍(22)을 개재하여 연료를 연료 저류실(20)에서 빨아넣고, 연료압실(21)에서 압축하여 송출밸브(16)를 열고, 분사관(23)을 개재하여 연료분사노즐(6)에 연료를 압송한다.The plunger barrel 14 is provided with a fuel intake discharge hole 22. The fuel is sucked from the fuel storage chamber 20 via the suction discharge hole 22 as the plunger barrel reciprocates. Compression is carried out in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the delivery valve 16 is opened, and fuel is conveyed to the fuel injection nozzle 6 via the injection pipe 23.

이 플런저(15)의 헤드의 원주면에는 연료압실(21)로 연통하는 세로방향연료통로(24)와, 이 세로방향 연료통로(24)에 연통하는 경사리이드(25) 등을 형성하고 있다.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a longitudinal fuel passage 24 communicating with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an inclined lead 25, etc. communicating with the longitudinal fuel passage 24 are formed.

이러한 구성의 연료분사펌프(5)에 있어서 플런저(15)의 하강에 따라 연료저유실(20)의 연료를 흡입배출구멍(22)에서 연료압실(21)내에 흡입한다.In the fuel injection pump 5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uel in the fuel storage chamber 20 is sucked into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through the suction discharge hole 22 as the plunger 15 descends.

플런저(15)의 상승에 따라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의하여 흡입배출구멍(22)이 폐쇄된 때로부터 연료의 압축을 개시하여 흡입배출구멍(22)이 경사리이드(25)와 맞물렸을때에 연료의 압송을 종료한다.As the plunger 15 is raised, fuel compression starts from the time when the suction discharge hole 22 is closed by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so that the suction discharge hole 22 is aligned with the inclined lead 25. Stop feeding of fuel when bite.

즉, 플런저(15)의 하사점에서 연료의 압송개시까지의 스트로우크가 프리스트로우크이며, 흡입배출구멍(22)의 폐쇄에서 개방까지의 스트로우크가 유효 스트로우크이다.That is, the stroke from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plunger 15 to the start of fuel feeding is a prestroke, and the stroke from the closing to the opening of the suction discharge hole 22 is an effective stroke.

제 4 도는 연료분사노즐(6)이 종단면도로서, 이 연료분사노즐(6)은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이며, 노즐본체(26)와, 부스러기 막힘(chip packing)(27)과, 호울더본체(28)와 멈춤너트(29)와, 니이들밸브(30)와 입력핀(31)과, 압력 스프링(32)과 조절끼움쇠(33)와 바아필터(34) 등을 구비하고 있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el injection nozzle 6, which is a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comprising a nozzle body 26, chip packing 27, and a holder. A main body 28, a stop nut 29, a needle valve 30, an input pin 31, a pressure spring 32, an adjustment fitting 33, a bar filter 34, and the like are provided.

노즐본체(26), 부스러기막힘(27) 및 호울더본체(28)에 걸쳐서 연료분사관(23)으로 연통하는 연료통로(35)와, 기름저류실(36)과, 분사구멍(37)과 탈출통로(38) 등을 형성하고 있다.A fuel passage 35 communicating with the fuel injection pipe 23 over the nozzle body 26, the debris clogging 27, and the holder body 28, the oil storage chamber 36, the injection hole 37, An escape passage 38 and the like are formed.

제 5 도는 노즐본체(26)의 선단의 분사구멍(37)의 확대 단면도이며, 분사구멍(37)은 이것을 드로틀형으로 하고 있고, 니이들밸브(30)의 선단에 핀부(30A)를 돌출시켜, 이 핀부(30A)를 분사구멍(37)의 원주형 상내벽부(37A)에 면하게 하고 있음과 동시에 니이들밸브(30)의 테이퍼부(30B)를 분사구멍(37)의 사이트부(37B)에 착석시키고 있다.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jection hole 37 at the tip of the nozzle body 26, and the injection hole 37 has a throttle shape, and projects the pin portion 30A at the tip of the needle valve 30. The pin portion 30A faces the circumferential upper inner wall portion 37A of the injection hole 37, and the tapered portion 30B of the needle valve 30 moves the site portion 37B of the injection hole 37. ) Is seated.

이러한 구성의 연료분사노즐(6)에 있어서는 연료분사펌프(5)에서 분사관(23)을 개재하여 압송된 연료는 연료통로(35)에서 기름저류실(36)로 저장되어 연료의 압력이 압력스프링(32)의 가압력(분사개시압력)을 초과하면 니이들밸브(30)가 상승하여 핀부분(30A)의 분사구멍(37)을 개구하여 예비연소실(4) 혹은 소용돌이 챔버(9)내에 연료를 안개현상으로 분출한다.In the fuel injection nozzle 6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uel pumped from the fuel injection pump 5 through the injection pipe 23 is stored in the oil storage chamber 36 in the fuel passage 35 to pressurize the pressure of the fuel. When the pressing force (injection start pressure) of the spring 32 is exceeded, the needle valve 30 is raised to open the injection hole 37 of the pin portion 30A, and the fuel in the pre-combustion chamber 4 or the vortex chamber 9 is opened. To the mist phenomenon.

제 6 도는 노즐리프트에 대한 분사구멍(37)의 개구면적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니이들밸브(30)의 리프트 개시에서 그 핀부분(30A)이 완전히 분사구멍(37)의 원주형상 내벽부(37A)를 빠져 나오기까지는 개구면적은 일정하고, 그 테이퍼부(30B)가 분사구멍(37)의 시이트부(37B)에서 완전히 이반하면 커다란 슬롭으로서 개구면적이 증가하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of the opening area of the injection hole 37 with respect to the nozzle lift. At the start of lift of the needle valve 30, the pin portion 30A is complete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inner wall of the injection hole 37 ( The opening area is constant until it exits 37A, and the taper portion 30B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opening area is increased as a large slope when the taper portion 30B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heet portion 37B of the injection hole 37.

따라서, 연료분사의 후반에서 니이들밸브(30)의 약간의 상승에 따라 개구면적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 리프트를 조정함에 따라 연료의 분사율을 제어하여 연기(검은 연기) 및 분진(particulate)의 발생을 제어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또한 연료분사의 전반에 있어서는 분사구멍(37)의 개구면적이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또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1) 혹은 (8)에서는 그 예비연소실(4) 혹은 소용돌이 챔버(9)에 있어서의 착화시의 공기량을 적기 때문에 완만하게 연소가 개시되어 연소음 및 질소산화물의 저감에 적응한다.Therefore, since the opening area changes greatly with the slight rise of the needle valve 30 in the second half of the fuel injection, the injection rate of the fuel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lift to remove smoke (black smoke) and dust (particulate). Since it is relatively easy to control the generation, and because the opening area of the injection hole 37 is substantially constant in the first half of fuel injection,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diesel engine 1 or 8 has a preliminary combustion chamber ( 4) Or, since the amount of air at the time of ignition in the vortex chamber 9 is small, combustion starts slowly and adapts to the reduction of combustion noise and nitrogen oxides.

따라서,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6)은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1, 8)에 적합하고, 기본적으로는 소형의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에 잘 이용된다.Therefore, the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6 is suitable for the diesel engines 1 and 8 of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type, and is basically used for the diesel engine of the small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type.

그러나, 한편 예비연소실(4) 혹은 소용돌이 챔버(9) 등의 보조연소실은 주연소실(3)에 비교하여 그 용적이 작기 때문에 연소에 기여하는 공기의 양에 제한이 있고, 특히 저속 고부하시에 있어서 연료분사율이 높은 경우에는 반대로 연기 및 분진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auxiliary combustion chambers such as the pre-combustion chamber 4 or the vortex chamber 9 have a smaller volume compared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3, and therefore have a limit on the amount of air contributing to combustion, especially at low speed and high load. On the contrary, when the fuel injection rate is high, there is a problem that smoke and dust are easily generated.

더욱이, 흡입배출구멍(22)을 보다 큰 지름의 메인포오트라 하고, 보다 작은 지름의 보조구멍을 플런저배럴(14)에 별도로 형성하여 연료 품질 하락의 개선, 부하의 고저에 따른 분사량의 제어 등, 분사특성을 개선하려 한다.Furthermore, the suction discharge hole 22 is formed as a main diameter of a larger diameter, and a smaller diameter auxiliary hole is formed separately in the plunger barrel 14 to improve fuel quality drop, control the inje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oad, and the like. To improve the injection characteristics.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6-27062호에 의한 연료분사장치에서는 메인 포오트인 배유구멍(61) 및 보조구멍인 연료분사 폐지용 소공(小孔)(63)과, 주리이드(51) 및 연료폐지용 리이드(52)를 형성함과 동시에 고부하일때 측에서 연료분사 폐지용 소공(63)으로부터 연료를 유출시켜 호올형틀의 연료분사노즐의 핀밸브(11)에 배압(背壓)으로서 이 유출압을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fuel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6-27062, an oil hole 61 as a main port and a small hole 63 for abolition of fuel injection as an auxiliary hole, a main lead 51, At the same time as the fuel closing lead 52 is formed, at the high load side, the fuel is discharged from the small hole 63 for abolition of the fuel injection and discharged as back pressure to the pin valve 11 of the fuel injection nozzle of the hose type. To guide the pressure.

그러나, 이 연료분사장치는 직접 분사형의 디이젤엔진에 사용되는 호울형의 연료분사노즐과의 조합을 전체로 하고 있어 소형으로 보조연소실식의 엔진에는 적용하고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is fuel injection device has a combination of a hollow fuel injection nozzle used in a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as a whole and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applied to an engine of a subcombustion type due to its compactness.

또,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6-54957호에 의한 연료분사펌프에서는 메인포오트인 큰 지름 배유구멍(8b) 및 보조구멍인 작은 지름의 배유구멍(8a)과, 큰 지름 배유구멍용 플런저리이드(15b) 및 작은 지름 배유구멍용 플런저리이드(15a) 등을 형성함과 동시에 가변의 흡입반려 배출밸브와 조합한 것으로 저부하시 측에서 작은 지름 배유구멍(8a)에서 유출시켜 저부하일때의 연료분사량을 유지한 다음 저속 고부하시 측에서 연료분사량을 저감시키려고 하고 있다.Further, in 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6-54957, the large diameter oil drain hole 8b which is the main port, the small diameter oil drain hole 8a which is the auxiliary hole, and the plunger lead for the large diameter oil drain hole ( 15b) and a small diameter drainage hole plunger lead 15a and the like, and in combination with a variable suction-rejection valve, are discharged from the small diameter drainage hole 8a at the low load side to discharge the fuel at low load. At the low speed and high load side, it is trying to reduce the fuel injection amount.

그러나, 가변흡입반려 배출밸브와의 조합이 전제이며, 저부하시 측에서 작은 지름 배유구멍(8a)에서 유출을 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부족을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 combination with a variable suction companion discharge valve is a premis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output is insufficient because it is going to flow out of the small diameter drain hole 8a at the side of the low load side.

또,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5-101761호(특허공고 소 60-8343호)에 의한 분사펌프에서는 1조의 메인포오트인 큰 지름의 배유구멍(8b) 및 1조의 보조구멍인 작은 지름의 배유구멍(8a)과, 제 1 플런저라이드(14b) 및 제 2 플런저리이드(14a)를 형성함과 동시에 큰 지름의 배유구멍(8b)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용 랜드(15)를 플런저 헤드에 설치하여 저부하시 측에서 작은 지름의 배유구멍(8a)에서 유출시켜 저속 저부하시에서의 연료분사량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하려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injection pump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5-101761 (Patent Publication No. 60-8343), a large diameter drainage hole 8b, which is a set of main ports, and a small diameter drainage hole, which is a set of auxiliary holes, 8a, the first plunger ride 14b and the second plunger lead 14a, and at the same time, a control land 15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large diameter drainage hole 8b is provided in the plunger head, At the time of loading, it flows out of the small diameter drain hole 8a, and tries to prevent the sudden drop of the fuel injection quantity at low speed and low load.

그러나, 메인포인트 및 보조구멍 모두 1조씩을 설치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저부하시 측에서 작은 지름이 배유구멍(8a)에서 유출을 하려 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부족을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both the main point and the auxiliary holes need to be provided one by one, and at the time of low lo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put is insufficient because a small diameter tries to flow out of the drain hole 8a.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여러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제 1 및 제 2 발명은 메인포오트 및 보조구멍과, 메인리이드 및 보조리이드 등을 형성함에 따라, 연료의 분사개시에 있어서의 프리플로우 효과의 기능 및 연료의 분사종료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출제어의 기능을 동시에 합쳐 갖음과 동시에 프리플로우 효과를 구비한 연료분사펌프의 재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연료분사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form a main port and an auxiliary hole, a main lead and an auxiliary lead, and the like, and thus the preflow effect at the start of fuel inje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injection pump capable of simultaneously combining the function of the fuel injection control at the end of the injection of the fuel and the fuel injection pump having the preflow effect.

또, 제 3 발명은 보조연소식의 디이젤엔진의 보조연소실에 면한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에 연료를 압송함에 있어서, 특히 저속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최대 연료분사율의 저감을 도모하여 연기 및 분진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료분사펌프를 제공함을 과제로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invention, the fuel is injected into a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facing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of the diesel engine of the auxiliary combustion type, and in particular, the reduction of the maximum fuel injection rate at low speed and high load is achieved. It is a problem to provide a fuel injection pump which can be reduced.

즉, 제 1 발명은 프리플로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메인포오트 및 보조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보조구멍에 대향하는 상부보조리이드와 하부보조리이드의 조합에 착안한 것으로 펌프하우징과, 이 펌프하우징에 부착함과 동시에 연료저류실에 연통하는 연료의 흡입배출구멍을 형성한 플런저배럴과, 이 플런저배럴 내에 왕복슬라이딩 할 수 있고, 또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배출구멍으로 연통할 수 있는 위치에 경사리이드를 형성한 플런저 등을 구비하여, 이 플런저와 플런저배럴 사이에 연료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플런저의 왕복슬라이딩에 의하여 연료저류실에서 이 연료압실내로 연료를 흡입하고, 연료분사노즐에 압송하는 연료분사펌프로서 상기 플런저배럴에 흡입배출구멍으로서 보다 큰 지름의 메인포오트 및 보다 작은 지름의 보조구멍을 이 보조구멍의 상단부가 메인포오트의 상단부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고, 플런저의 헤드에는 이 플런저의 회전운동에 따른 일정범위에 걸쳐서 이 보조구멍에 연통할 수 있는 상부보조리이드를 형성하며, 또한 메인포오트가 상기 플런저의 상단부에 의하여 폐쇄되어도 상기 보조구멍이 상부보조리이드에 연통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상기 플런저에는 이 플런저의 회전운동에 따른 일정범위에 걸쳐서, 또한 이 플런저의 상단부보다 하방위치에서 보조구멍으로 연통할 수 있는 하부보조리이드 및 메인포오트에 연통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를 경사리이드로서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연료분사펌프이다.That is, the first invention focuses on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auxiliary lead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facing the auxiliary hole while forming the main port and the auxiliary hole for achieving the preflow effect. A plunger barrel having a suction discharge hole for fuel communicating with the fuel storage chamber and a reciprocating sliding in the plunger barrel and being inserted for rotational movemen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discharge hole at the same time. A plunger having a sloping lead formed therein, and forming a fuel pressure chamber between the plunger and the plunger barrel, and injecting fuel into the fuel pressure chamber from the fuel storage chamber by reciprocating sliding of the plunger, A fuel injection pump, which is pumped to the fuel injection nozzle, has a larger diameter main port and beam as suction discharge holes in the plunger barrel. A small diameter auxiliary hol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hol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end of the main port, and the head of the plunger has an upper auxiliary lead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hole over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nger. And the auxiliary hole can communicate with the upper auxiliary guide even if the main port is closed by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and the plunger is also provided over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nger, It is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auxiliary lead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hole in the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main lead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ain port as inclined lead.

또, 제 2 발명은 프리플로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메인포오트 및 보조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메인 포인트에 대향하는 상부메인리이드와 하부메인리이드의 조합 및 보조구멍에 대향하는 상부보조리이드와 하부보조리이드의 조합에 착안한 것으로 펌프하우징과 이 펌프하우징에 부착함과 동시에 연료저류실로 연통하는 연료의 흡입배출구멍을 형성한 플런저배럴과, 이 플런저배럴 내에 왕복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또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배출구멍으로 연통할 수 있는 위치에 경사리이드를 형성한 플런저 등을 구비하고, 이 플런저와 플런저배럴 사이에 연료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플런저의 왕복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연료저류실에서 연료압실내로 연료를 빨아들여서 연료분사노즐에 압송하는 연료분사펌프로서 상기 플런저배럴에 흡입배출구멍으로서 보다 큰 지름의 메인포오트 및 보다 작은 지름의 보조구멍을, 이 보조구멍의 상단부가 메인포오트의 상단부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고, 플런저의 헤드에는 이 플런저의 회전운동에 따른 일정범위에 걸쳐서 이 보조구멍에 연통할 수 있는 상부보조리이드와, 메인포오트에 연통할 수 있는 상부메인리이드 등을 형성하고, 또한 플런저의 회전운동에 따른 일정범위속에서 메인포오트가 상부메인리이드의 상단부에 의하여 폐쇄되어도 보조구멍이 상부보조리이드에 연통할 수 있게 되도록 상부메인리이드 및 상부보조리이드를 형성하고 플런저에는 이 플런저의 회전운동에 따른 일정범위에 걸쳐서 또한 이 플런저의 상단부보다 하방위치에서 상기 보조구멍으로 연통할 수 있는 하부보조라이드 및 상기 메인포오트에 연통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를 경사리이드로서 형성하고, 또한 시동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회전운동위치에서는 상부메인리이드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플런저의 상단부에 의하여 상기 메인포오트를 폐쇄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부보조리이드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플런저의 상단부에 의하여 보조구멍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펌프이다.In addition, the second invention forms a main port and an auxiliary hole for achieving a preflow effect, and at the same time, a combination of an upper main lead and a lower main lead facing the main point and an upper auxiliary lead and a lower auxiliary opposing the auxiliary hole. Focus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leads, the plunger barrel which is attached to the pump housing and the pump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forms the intake discharge hole of the fuel communicating with the fuel storage chamber, and the reciprocating sliding in the plunger barrel for the reciprocating sliding And a plunger having an inclined lead formed at a posi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discharge hole at the same time as it is inserted therein, and forming a fuel pressure chamber between the plunger and the plunger barrel and simultaneously storing the fuel by reciprocating sliding of the plunger. A fuel injection pump that sucks fuel from the chamber into the fuel pressure chamber and pumps the fuel to the fuel injection nozzle. A larger diameter main port and a smaller diameter auxiliary hole are formed in the plunger barrel as the suction discharge hol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hol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port, and the head of the plunger rotates the plunger. The upper auxiliary lead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is auxiliary hole, and the upper main lead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main port, etc. are formed over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above, and the main port is formed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nger. An upper main lead and an upper auxiliary lead are formed so that the auxiliary hole can communicate with the upper auxiliary lead even when closed by the upper end of the upper main lead, and the plunger is formed over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nger, On the lower auxiliary ride and the main port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hole in the lower position The lower main lead is formed as an inclined lead, and the main port can be closed by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which does not form the upper main lead 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plunger at the time of starting.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hole can be closed by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which does not form the upper auxiliary lead.

더욱이, 제1 및 제2발명에 있어서, 특히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회전운동위치에 있어서는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의 이동에 따르지 않는 보조구멍이 하부보조리이드에 연통하여도 메인포오트가 하부메인리이드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저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회전운동위치에 있어서는 압송방향으로의 이 플런저의 이동에 따르지 않는 메인포오트가 하부메인리이드에 연통하여도 보조구멍이 하부보조리이드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especially at high loads, the main port is connected to the lower auxiliary lead even if the auxiliary hole communicates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which is not dependent on the movement of the plunger in the feeding direction. The auxiliary hole is connected to the lower auxiliary lead even if the main port communicates with the lower main lead while the main port does not follow the movement of the plunger in the feeding direction at the low-load plunger rotational position. You can prevent them from communicating.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의 예로서는 예컨대 하부메인리이드 및 하부보조리이드의 저부하시 측에서 고부하시 측으로 향하여 플런저의 하방으로 하강하는 경사에 대하여 하부메인리이드의 경사의 구배가 하부보조리이드의 경상의 구배보다 크게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the slope of the lower main lead is greater than the gradient of the lower auxiliary lead with respect to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from the lower load side to the higher load side. Can be considered.

또한, 제 3 발명은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송종료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일 및 특히 저속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최대 분사율을 저감함에 착안한 것으로 펌프하우징과 이 펌프하우징에 부착함과 동시에 연료저류실로 연통하는 연료의 흡입배출구멍을 형성한 플런저배럴과, 이 플런저배럴내에 왕복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또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배출구멍으로 연통할 수 있는 위치에 경사리이드를 형성한 플런저 등을 구비하여, 이 플런저와 플런저배럴 사이에 연료압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플런저의 왕복슬라이딩에 의하여 연료저류실에서 이 연료압실내로 연료를 흡입하고, 연료분사노즐에 압송하는 연료분사펌프로서 연료분사노즐로서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로 면한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이라함과 동시에 플런저배럴에 상기 흡입 배출구멍으로서 보다 큰 지름의 메인포오트 및 보다 작은 지름의 보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에는 플런저의 회전운동에 따른 소정범위에 걸쳐서 또한 플런저의 상단부보다 하방위치에서 상기 보조구멍으로 연통할 수 있는 하부보조리이드, 메인포오트에 연통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디이젤엔진의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회전운동위치에 있어서는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보조구멍이 하부보조리이드로 연통하여도 메인포오트가 하부메인리이드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디이젤엔진의 저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회전운동위치에 있어서는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메인 포오트가 하부메인리이드에 연통하여도 상기 보조구멍이 하부보조리이드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이다.In addition, the third invention focuses on controlling the timing of the end of the feeding of fuel in the fuel injection pump and reducing the maximum injection rate especially at low speed and high load, and is attached to the pump housing and the pump housing. A plunger barrel having a suction discharge ho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fuel storage chamber is inserted, and a sloping lead is inserted into the plunger barrel for reciprocating sliding and rotational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as the suction discharge ho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discharge hole. A fuel plunger provided between the plunger and the plunger barrel, and at the same time, the fuel is sucked into the fuel pressure chamber from the fuel storage chamber by the reciprocating sliding of the plunger and fed to the fuel injection nozzle. As a fuel injection nozzle as a injection pump, a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facing a diesel engine of an auxiliary combustion type Forming a larger diameter main port and a smaller diameter auxiliary hole as the suction discharge hole in the plunger barrel, wherein the plunger is located in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over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nger; A lower auxiliary guid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hole and a lower main lead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ain port are formed, and 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plunger at high load of the diesel engine, the plunger moves in the pressing direction. Therefore, even if the auxiliary hole communicates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the main por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lower main lead, and at the same time, the plunger moves in the feeding direction 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plunger when the diesel engine is loaded. Therefore, even if the main port communicates with the lower main lead, the auxiliary hole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cooking id is not in communication.

더욱이, 제 3 발명에 있어서,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회전운동위치에서 보조구멍이 하부보조리이드에 연통하여도 메인포오트가 하부메인리이드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저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회전운동위치에서 메인포오트가 하부메인리이드에 연통하여도 보조구멍이 하부보조리이드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의 예로서는 예컨대, 하부메인리이드 및 하부보조리이드의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하여 플런저의 하방으로 하강하는 경사에 대하여 하부메인리이드의 경사의 구비가 하부보조리이드의 경사에 구배보다 크게 함을 생각할 수 있다.Further, in the third invention, the main por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lower main lead even when the auxiliary hole communicates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plunger under high load, and at the same time, the plunger under low load. As an exampl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auxiliary hole from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even when the main port communicates with the lower main lead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lower main lead, the lower main side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are moved from the lower load side to the high load side. It is conceivabl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is larger than the gradient in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with respect to the inclination falling downward of the plunger.

혹은 플러저배럴에 있어서의 보조구멍 및 메인포오트의 형성위치로서 보조구멍을 메인포오트보다 하방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하부메인리이드 및 하부보조리이드의 경사의 구배를 부하에 따라서 축차변화시키는 등 적당한 선택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auxiliary hole may be disposed below the main port as a position for forming the auxiliary hole and the main port in the plunger barrel, and the slope of the lower main lead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may be gradu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load. You can also choose.

제1 및 제2발명에 의한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는 프리플로우 효과를 구비한 구성은 저속시에 프리플로우 스트로우크분의 연료를 보조구멍으로 부터 탈출케하여 보조구멍이 폐쇄되고 나서 압송하기 때문에, 즉 보조구멍과 보조리이드 등에 의한 연료의 유출(압송종료)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캠속도가 빠른 캠부분을 사용하므로 저속시에 연료분사율이 높아진다고 하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가 있으나, 연료분사의 종료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 및 하부보조리이드의 형성에 의하여 저속시에는 연료의 유출을 제어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부메인리이드 및 하부보조리이드의 서로의 경사상태를 선택함에 따라 연료분사의 종료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부하영역과, 특히 종료시기를 결정하지 않는 부하영역 등을 선택할 수도 있다.In the fuel injection pump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the configuration having the preflow effect causes the fuel for the preflow stroke to escape from the auxiliary hole at low speed so that the auxiliary hole is closed and then pressurized. There is a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at the fuel injection rate is increased at low speed because the cam portion with a high cam speed is used because the fuel is not leaked (push end) by the hole and the auxiliary lea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flow of fuel at low speed by forming the lower main lead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which can be determined. Therefore, this problem can be solved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main lead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can be selected. Load area to determine the end time of fuel injection, and especially the end time. You may select such a region of a load.

또한, 하부메인리이드 및 하부보조리이드의 서로의 경사상태를 선택함에 따라 보조구멍의 부분에서 유출하는 부하의 영역 및 보조구멍 유출 스트로우크(보조 구멍에서 유출중 메인포오트에서 유출하기 까지의 플런저의 스트로우크)를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lecting the inclined state of the lower main lead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the area of the load flowing out of the part of the auxiliary hole and the auxiliary hole outlet stroke (the plunger from the auxiliary hole to the discharge from the main port during discharge) Stroke) can be selected.

다시금 또, 제2발명에 있어서는 상부보조리이드와 함께 상부메인리이드를 형성하고, 시동시에 있어서는 이러한 것들을 형성하고 있지 않는 플런저의 상단부에서 메인포오트 및 보조포오트를 폐쇄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시동시의 진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invention, the upper main lead is formed together with the upper auxiliary lead, and at the start, the main port and the auxiliary port can be closed at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which does not form these. The true angle can be set arbitrarily.

제 3 발명에 의한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는 특히 디이젤엔진의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회전운동위치에서 보조구멍이 하부보조리이드에 연통하는 타이밍을 메인포오트가 하부메인리이드에 연통하는 타이밍보다 빨리함에 따라, 즉 고부하시에 있어서 메인포오트가 먼저 보조구멍으로 부터 연료를 유출시키도록 하였으므로 고속시에는 보조구멍의 동적효과(수축효과)에 의하여 이 보조구멍으로 부터의 연료의 유출량은 적어서 통상의 압송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속시에는 이 보조구멍으로 부터 연료의 유출이 실행되어서 저속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최대분사율이 저감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을 사용하는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에 있어서의 저속 고부하시의 연기(흑연) 및 분진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ing at which the auxiliary hole communicates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is made earlier than the timing at which the main port communicates with the lower main lead at the rotary motion position of the plunger, especially at the high load of the diesel engine. Therefore, at high loads, the main port first discharges the fuel from the auxiliary hole. At high speeds, the flow rate of the fuel from the auxiliary hole is small due to the dynamic effect (shrinkage effect) of the auxiliary hole.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fuel can be secured and the fuel is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hole at low speed, the maximum injection rate can be reduced at low speed and high load. Therefore, in particular, a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is used. It is possible to reduce smoke (graphite) and dust at low speed and high load in diesel engine of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type. do.

[실시예]EXAMPLE

다음에 제 1 발명을 제 7 도~제21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를 제 7 도~제12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Next, 1st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7-FIG. First, 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제 7 도는 연료분사펌프(40)의 종단면도, 제 8 도는 주요부분 종단면도로서 연료분사펌프(40)는, 제 3 도에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연료분사펌프(5)와 기본적구조는 같으나, 플런저배럴(14)에 형성하는 흡입배출구멍(22)의 부분 및 플런저(15)의 헤드에 형성하는 경사리이드(25) 등의 부분의 구조가 상이하고 있다.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el injection pump 40, FIG.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the fuel injection pump 40 has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e conventional fuel injection pump 5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The structure of the part of the suction discharge hole 22 formed in the plunger barrel 14, and the part of the inclination lead 25 formed in the head of the plunger 15 differs.

따라서, 다음의 설명에서는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조의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parts of different structures will be described.

먼저 플런저배럴(14)에 연료의 흡입배출구멍으로서 보다 큰 지름의 메인포오트(41)와, 보다 작은 지름의 보조구멍(42) 등을 형성하고 있다.First, a larger diameter main port 41, a smaller diameter auxiliary hole 42, and the like are formed in the plunger barrel 14 as a fuel intake discharge hole.

제 8 도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A)와 보조구멍(42)의 상단부(42A)는 동일높이 및 동일 수평위치에 있으며, 또한 원주방향에서 180도의 간격을 벌리고 이것을 형성하고 있다.As enlarged in FIG. 8, the upper end portion 41A of the main port 41 and the upper end portion 42A of the auxiliary hole 42 are at the same height and the same horizontal position, and are spaced 180 degrees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is is forming.

더욱이,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A)와 보조구멍(42)의 상단부(42A)와의 위치관계로서는 필요에 따라서 보조구멍(42)의 상단부(42A)가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A)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Further, as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41A of the main port 41 and the upper end portion 42A of the auxiliary hole 42, the upper end portion 42A of the auxiliary hole 42 is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port 41 as necessary. You may form so that it may be located below 41A.

플런저(15)는 플런저배럴(14)내에서 왕복운동함에 따라 연료를 연료저류실(20)에서 흡입하여 연료압실(21)에서 압축하고, 송출밸브(16)을 벌리고, 분사관(23)(제 7 도)을 개재하여 연료분사노즐에 연료를 압송한다.As the plunger 15 reciprocates in the plunger barrel 14, the fuel is sucked from the fuel storage chamber 20, compressed in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the delivery valve 16 is opened, and the injection pipe 23 ( The fuel is conveyed to the fuel injection nozzle via FIG. 7).

더욱이, 상기한 연료분사노즐로서는 예비연소실(4)(제 1 도) 혹은 소용돌이 챔버(9)(제 2 도) 등의 보조연소실을 구비한 디이젤엔진(1, 8)에 사용되고 있다. 이른바 간접분사형의 보조연소실식 디이젤엔진에 가장 적합한 드로트형의 연료분사노즐(6)(제 4 도)을 채용하면 이 보조연소실(4, 9)의 부분적인 연료연소중 서서히 연소가 진행하기 때문에 연소음이 작고, 질소산화물 등의 발생을 낮게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료분사노즐(6)의 니이들밸브(30)의 약간의 리프트에 의하여 노즐의 개구면적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 리이프를 조정함에 따라 연료의 분사율을 제어하여 연기 및 분진의 발생을 제어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Furthermore, as the fuel injection nozzles described above, they are used in diesel engines 1 and 8 provided with auxiliary combustion chambers such as precombustion chamber 4 (FIG. 1) or vortex chamber 9 (FIG. 2). When the fuel injection nozzle 6 (FIG. 4) of the draw type most suitable for the so-called indirect injection type secondary combustion diesel engine is adopted, combustion gradually proceeds during partial fuel combustion of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s 4 and 9. The noise is small, the generation of nitrogen oxides and the like can be suppressed to a low level, and the opening area of the nozzle is largely changed by slight lift of the needle valve 30 of the fuel injection nozzle 6, so the adjustment of this relief is performed. As a result, it is relatively easy to control the injection rate of fuel to control the generation of smoke and dust.

제 9 도는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이며,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을 파선(시동시) 및 실선(저부하시 및 고부하시)으로 나타내어 서로 사이의 상대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9 is a lead exploded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and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are indicated by broken lines (at start-up) and solid lines (at low and high loads), and are located in relation to each other. Indicates.

제 8 도 및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플런저(15)의 헤드의 원주면에는 연료압실(21)로 연통하는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와,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로 연통하는 경사형의 하부메인리이드(44)와, 연료압실(21)로 연통하는 세로방향 보조연료통로(45)와, 연료압실(21)로 연통하는 상부보조리이드(47)와, 세로방향 보조연료통로(45)로 연통하는 경사형의 하부보조리이드(48) 등을 형성하고 있다.8 and 9,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communicates with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communicating with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and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As shown in FIG. Inclined lower main lead 44, the longitudinal auxiliary fuel passage 45 communicating with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the upper auxiliary lead 47 communicating with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and the longitudinal auxiliary fuel cylinder An inclined lower auxiliary guide 48 and the like communicating with the furnace 45 are formed.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는 모두 플런저(45)의 상단부(15A)보다 하방위치에서 이것을 형성하는 것으로 압송연료의 유출(압송종료)의 타이밍들 제어한다.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both form this in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end 15A of the plunger 45 to control the timings of the outflow of the pressurized fuel (end of pressurization).

더욱이,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는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보다도 그 구배를 크게 형성하고 있다. 즉,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하여 플런저의 하방으로 하강하는 경사에 대하여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가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있다.Further,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has a larger gradient than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That is, 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is lowered from the lower load side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from the lower load side toward the higher load side.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gradient of the slope of.

단, 나중에 설명하는 다른 각 실시예와 같이 이것들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를 적당힌 선택함에 따라, 연료분사특성을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However, as in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later,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the fuel injection characteristics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보조구멍(42)이 대향하는 상부보조리이드(47)의 영역은 엔진의 저부하시에서 구부하시에 상당하며, 또 상부보조리이드(47)의 이 영역이외 및 메인포오트(41)가 대향하는 플런저(15)의 상단부(15A) 이외의 상단부(15A)의 영역은 시동시에 상당하다.The area of the upper auxiliary lead 47 facing the auxiliary hole 42 corresponds to the bend at the bottom of the engine, and the plunger opposite the main auxiliary port 41 and other than this area of the upper auxiliary lead 47. The area of the upper end part 15A other than the upper end part 15A of 15 is corresponded at the time of start-up.

플런저(15)는 캠(12)의 작용에 따라 플런저배럴(14)내를 상하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제 9 도에서 상부보조리이드(47), 하부보조리이드(48),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 및 하부메인리이드(44)과 함께 정위치상태의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한다.Since the plunger 15 reciprocates up and down the plunger barrel 14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cam 12, the upper auxiliary lead 47,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in FIG. ) And the lower main lead 44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in a fixed position.

또, 플런저(15)는 제어랙(13)의 작용에 의하여 플런저배럴(14)내에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제 9 도에 있어서, 상부보조리이드(47), 하부보조리이드(48),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 및 하부메인리이드(44)와 함께 정위치상태의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한다.In addition, since the plunger 15 rotates in the plunger barrel 14 by the action of the control rack 13, in FIG. 9, the upper auxiliary guide 47,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and the longitudinal main Along with the fuel passage 43 and the lower main lead 44,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in a fixed position are moved left and right.

이러한 구성의 연료분사펌프(40)에 있어서 플런저(15)의 하강에 따라 연료 저류실(20)의 연료를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으로부터 연료압실(21)내에 흡입한다.In the fuel injection pump 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uel of the fuel storage chamber 20 is sucked into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from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as the plunger 15 descends.

플런저(15)의 상승에 따라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내지는 상부보조리이드(47)의 상단부(47A)에 의하여 메인포오트(41) 내지 보조구멍(42)이 폐쇄되었을 때로부터 연료의 압축을 개시하여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와 맞물렸을 때, 혹은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와 맞물렸을 때에 연료의 압송을 종료한다.As the plunger 15 is raised, the fuel from the main port 41 to the auxiliary hole 42 is closed by the upper end 15A of the plunger 15 or the upper end 47A of the upper auxiliary lead 47. When the main port 41 is engaged with the lower main lead 44 or the auxiliary hole 42 is engaged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48, the compression is started.

즉, 플런저(15)의 하사점에서 연료의 압송개시까지의 스트로우크가 프리스트로우크이며, 보조구멍(42)의 폐쇄에서 메인포오트(41)의 개방까지의 스트로우크가 유효 스트로우크이고, 상부보조리이드(47)의 깊이 내지는 높이가 프리플로우 스트로우크(L1)이다.That is, the stroke from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plunger 15 to the start of fuel feeding is a prestroke, and the stroke from the closing of the auxiliary hole 42 to the opening of the main port 41 is an effective stroke. The depth or height of the upper auxiliary guide 47 is the preflow stroke L1.

더욱이, 프리스트로우크(L1)가 동시에 저속 회전에 대한 시동진각 스트로우크로도 된다.Furthermore, the prestroke L1 may also be a starting angle stroke for low speed rotation.

더욱 구체적으로는 엔진의 시동시에 있어서는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은 상부보조리이드(47)가 아닌 플런저(15)의 시동시영역에 있어서의 상단부(15A)에 대향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engine is started, the main po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face the upper end portion 15A in the starting region of the plunger 15 instead of the upper auxiliary lead 47. .

따라서, 연료압송의 유효 스트로우크의 최대이고, 엔진시동시에 필요한 연료분사량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fuel injection amount required at the start of the engine, which is the maximum effective fuel stroke.

상부보조리이드(47)을 형성함에 따라 플런저(15)의 상단부(15A)가 상부보조리이드(47)의 상단부(47A)에 비교하여 상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시동시에는 저속 저부하시보다도 진각한다.As the upper auxiliary lead 47 is formed,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end portion 47A of the upper auxiliary lead 47, so that the upper auxiliary lead 47 is more advanced than the low speed low load during the start-up.

엔진의 저부하 및 고부하시 운전함에 있어서는 메인포오트(41)는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보조구멍(42)은 상부보조리이드(47)에 각기 대향할 수 있다.In operation at low and high loads of the engine, the main port 41 may face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and the auxiliary hole 42 may face the upper auxiliary guide 47, respectively.

아이들링의 저속 저부하 운전에서는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의 제 9 도에 있어서 왼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효 스트로우크가 작음과 동시에 보조구멍(42)이 상부보조리이드(47)와 맞물기 때문에 보조구멍(42)의 상부보조리이드(47)의 상단부(47A)에 의하여 폐쇄되고 나서 실질적인 연료압송이 개시된다.In the low speed low load operation of the idling, since the main port 4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main lead 44 in Fig. 9, the effective stroke is small and the auxiliary hole 42 is the upper auxiliary lead 47. In this case, the fuel injection is started after closing by the upper end portion 47A of the upper auxiliary lead 47 of the auxiliary hole 42.

회전수가 상승하여 고속 저부하 운전으로 되었을 때에는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의 왼쪽에 위치하지만 보조구멍(42)에 있어서의 제한효과에 의하여 보조구멍(42)이 상부보조리이드(47)의 상단부(47A)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연료의 압송이 개시되기 때문에 연료의 분사타이밍이 진행하여(진각하여) 실제 압송 스트로우크가 증가한다.The main port 4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main lead 44 when the rotational speed is increased and becomes a high speed low load operation. However, the auxiliary hole 42 has an upper auxiliary lead due to the restriction effect in the auxiliary hole 42. Since the pumping of the fuel is started before it is completely closed by the upper end 47A of the 47, the injection timing of the fuel proceeds (advanced) and the actual pumping stroke is increased.

제10도는 N-Q 특성도에서 나타낸 타이밍 지도이다(이하, 나아갈진「進」은 「進角」을, 늦을지 「遲」는 「遲角」을 각기 뜻한다). 도해한 바와 같이 시동시 및 고속시 다함께 진각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IG. 10 is a timing map shown in the N-Q characteristic diagram (hereinafter, "진" means "," and "지" means "늦", respectively). As illustrat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ce characteristic both at the start and at the high speed.

특히, 제 9 도를 참조하면 저부하시 및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송개시 시점은 서로 같지만, 암송종료시점에 대하여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에서 우선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되어 있다.Particularly, referring to FIG. 9, the starting point of fuel feeding at the time of low load and high load is the same, but at the end of recitation, the main port 41 flows out first at the low load side, and the auxiliary hole at the high load side. It is supposed to flow out from (42) first.

더욱이, 고부하시측에 있어서 보조구멍(42)에서 유출한 다음 메인포오트(41)에 유출하기 까지의 플런저(15)의 스트로우크가 보조구멍 유출 스트로우크이다.Further, the stroke of the plunger 15 from the auxiliary hole 42 on the high load side until it flows out of the auxiliary port 42 is the auxiliary hole outflow stroke.

플런저(15)의 압송방향으로의 이동(상승)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가 유출개시의 상태로 되어도 보조구멍(42)은 아직 하부보조리이드(48)와 연통하기 까지는 이르지 않고 있으며, 종래와 대략 마찬가지의 분사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As the plunger 15 moves (increases) in the feeding direction, the auxiliary hole 42 does not yet communicate with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even when the main port 41 is in the state of starting to flow on the lower load sid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pproximately the same injection characteristics as in the prior art.

한편,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이 유출개시의 상태로 되어서도 메인포오트(41)는 아직 하부메인리이드(44)와 연통하기 까지는 이르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특히 저속시에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의 연료 유출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even at the time of high load, even though the auxiliary hole 42 is in the state of starting to flow out, the main port 41 has not yet reached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main lead 44, especially from the auxiliary hole 42 at low speed. A fuel spill will occur.

더욱이, 고속시에는 보조구멍(42)의 제한효과에 의하여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에 맞물린 상태로 되어도 보조구멍(42)이 실질적으로 폐쇄 상태 그대로이며, 종래와 대략 같은 분사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t high speed, the auxiliary hole 42 remains substantially closed even when the auxiliary hole 42 is engaged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48 due to the restricting effect of the auxiliary hole 42. Can maintain the characteristics.

제11도는 엔진회전수(N)에 대한 연료분사량(Q)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종래의 표준적인 드로롤형의 연료분사노즐(6)제 4 도)과 조합한 연료분사펌프(5)(제 3 도)에 있어서는 저속 고부하시의 토오크점에 있어서의 캠속도에 대한 연료분사율(4Q)의 관계는 가파른점(돌출한 최대 분사율)이 있는 한편(실선 참조), 제 1 발명의 연료분사펌프(40)에 있어서는 이것을 완만하게 하여 최대 분사율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점선 참조).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el injection amount Q and the engine speed N. The fuel injection pump 5 (combined with the conventional standard draw roll fuel injection nozzle 6 FIG. 4) is shown in FIG. In Fig. 3), the relationship of the fuel injection rate 4Q to the cam speed at the torque point at low speed and high load has a steep point (the maximum injection rate extruded) (see solid line), but the fuel of the first invention In the injection pump 40, this can be made gentle and the maximum injection rate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refer dotted line).

즉, 저속 고부하시에 있어서 플런저(15)에 상승에 따른 유효 스트로우크의 도중에서 보조구멍(42)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맞물림에 의하여 연료를 천천히 유출시켜 저속회전시에 있어서의 실제 송유유을 저하시켜 질소산화물, 연소음의 저감, 저속 고부하에 있어서의 연기 및 분진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엔진으로서 저속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동일 연기조건에서의 연료 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저속 토오크의 향상 및 출력의 향상을 실현한 수 있다.That is, at low speed and high load, the fuel flows out slowly by engaging the auxiliary hole 42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n the middle of the effective stroke along with the ascension to the plunger 15, so that the actual feed at the low speed rotation is achieved. Low oil torque can be reduced to reduce nitrogen oxides, combustion noise, smoke and dust at low speed and high load, and further increase fuel injection in the same smoke condition at low speed and high load as an engine. And the output can be improved.

또, 고속 고부하시의 정격점에 있어서 종래의 표준적인 드로톨형의 연료분사노즐(6)과 조합한 연료분사펌프(5)에 있어서의 캠각도에 대한 연료분사율(△Q)의 관계를 제 1 발명의 연료분사펌프(40)에 있어서도 대략 동등하게 이것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el injection rate (ΔQ) and the cam angle in the fuel injection pump 5 in combination with the conventional standard drotol-type fuel injection nozzle 6 at the rated point at high speed and high load is determined. In the fuel injection pump 40 of 1st invention, it can hold | maintain substantially equally.

또한, 송유율을 향상시켜도 저속시의 분사율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만큼 고속 고부하시의 연료분사율(송유율)을 증가시켜 출력의 향상과 연료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oil feed rate is improved, the injection rate at low speed can be pressurized, so that the fuel injection rate (oil feed rate) at high speed and high load can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output and fuel cost.

더욱이, 제12도는 분사량의 제어랙(13)(제 3 도)을 고정하였을 경우의 엔진회전수(N)에 대한 연료분사량(Q)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저속 고부하시에 있어서 N-Q 특성을 외쪽 하강으로 할 수 있다.Moreover, FIG. 1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el injection amount Q and the engine speed N when the control rack 13 (FIG. 3) of the injection amount is fixed. You can do it by descent.

그리하여, 보조구멍(42)을 구비한 프리플로우 효과를 플런저(15)을 사용함과 동시에 상부보조리이드(47)를 적정위치에 형성하였으므로 고속진각과 시동시 진각의 양립을 실현할 수 있다.Thus, the preflow effect having the auxiliary hole 42 is formed using the plunger 15 and the upper auxiliary guide 47 is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so that both high speed advance and advance at start can be realized.

더욱이, 시동시에 있어서 고속 고부하시보다 더욱 진각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시동시에서의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에 대향하여 플런저(15)의 상단부(15A)를 더욱 상방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Furthermore, in the case where it is desired to advance further than the high speed high load at the start-up,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is further formed to face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at the start-up. It is good.

또한, 연료분사의 개시시점의 제어에 대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와,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의 조합에 따라 연료분사의 종료시점의 제어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of the start point of the fuel injection, the fuel injection is termin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Control of the viewpoint can also be enabled.

다음에, 제 1 발명에 있어서는 연료의 압송개시 및 압송종료를 함께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밖에도 여러가지의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Next, in the firs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contemplat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becau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art of fuel feeding and the end of feeding.

더욱이, 다음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는 제 9 도와 마찬가지로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A)와 보조구멍(42)의 상단부(42A)는 동일높이 내지 동일 수평위치에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그 상세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예컨대, 제13도는 제 1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50)에 있어서의 제 9 도와 마찬가지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며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47)에 대하여는 제 9 도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를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보다는 작으나 제 9 도의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도 크게 하여 저부하시측 및 고부하시측 모두 보조구멍(42)으로 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Further,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upper end portion 41A of the main port 41 and the upper end portion 42A of the auxiliary hole 42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or the same horizontal position in the same way as in the ninth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omitted. For example, FIG. 1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similar to the ninth degree in the fuel injection pump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As for the upper end portion 15A and the upper auxiliary lead 47,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FIG. 9, but the slope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s smaller than the slope of the lower main lead 44 but the angle of FIG. It is larger tha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both the low load side and the high load side are configured to flow out of the auxiliary hole 42 first.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부하시측 및 고부하시측 모두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기 때문에 항상 저속측에서 연료분사율을 저감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both the low load side and the high load side flow out first from the auxiliary hole 42, the fuel injection rate can always be reduced on the low speed side.

제14도는 제 1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51)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며,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47)에 대하여 제 9 도의 제 1 실시예 및 제13도의 제 2 실시예와 같지만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를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보다도 크게 함에 따라서 저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FIG. 1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implified development of the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5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The upper end 15A and the upper part of the plunger 15 are shown in FIG. As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FIG. 9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13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lead 47, the bottom portion is made larger as 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s larger than 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On the lower side, it flows out first from the auxiliary hole 42, and on the high load side, it flows out from the main port 41 first.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으로부터 먼저 유출하기 때문에 저속 저부하시측에서 연료분사율을 저감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fuel injection rate can be reduced at the low speed low load side because the low flow side first flows out from the auxiliary hole 42 and the high load side flows out of the main port 41 first.

제15도는 제 1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52)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고,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47)에 대하여는 제 9 도의 제 1 실시예, 제13도의 제 2실시예 및 제14도의 제 3 실시예와 같지만, 하부메인리이드(44)에 상당하는 하부메인리이드(53)의 경사의 구비 및 하부보조리이드(48)에 상당하는 하부보조리이드(54)의 경사의 구비를 제 9 도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고 있다.FIG. 15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5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and is an upper end portion 15A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lunger 15. The auxiliary lead 47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FIG. 9,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13, and the third embodiment of FIG. 14, but has an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53 corresponding to the lower main lead 44.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54 corresponding to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s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단,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에 상당하는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55)를 단 하나로 하고 있으며, 하부메인리이드(53) 및 하부보조리이드(54)가 각각의 한쪽 단부에서만 이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55)와 연통하고 있다.However,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55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is composed of only one, and the lower main lead 53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54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main main passage. It communicates with the fuel passage 55.

제16도는 제 1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56)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고, 플런저(15)의 선단부(15A)에 있어서, 저부하시측의 보조구멍(42)이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보조리이드(57)를 형성하고 있어, 이 상부보조리이드(57)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 보조리이드(48)와는 역방향으로 함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특히 저속시측에 있어서의 연료의 연료의 압송개시시점을 저부하시측의 편이 지연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있다.FIG. 16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diagram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56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and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tip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And the inclined upper auxiliary guides 57 are formed to face the auxiliary holes 42 on the lower load side, and the inclined directions of the upper auxiliary guides 57 are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tarting point of the fuel feeding of the fuel on the low load side is delayed so that the side on the low load side is delayed from the low load side to the high load side.

하부보조리이드(48) 및 하부메인리이드(44)이 경사의 구배에 대하여는 제 9 도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고,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며,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ower main lead 44 ar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9 with respect to the gradient of inclination, and first flow out of the main port 41 on the low load side, and the auxiliary hole (on the high load side). 42) to be discharged first.

제17도는 제 1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으한 연료분사펌프(58)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며, 플런저(15)의 산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57)에 대하여는 제16도의 제 5 실시예와 같지만,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진 구배를 제 5 실시예의 경우 보다도 더욱 작게 함에 따라 저부하시측 및 고부하시측 모두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FIG. 1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diagram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58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wherein the peak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and The upper auxiliary lead 57 is the same as the fifth embodiment of FIG. 16, but the inclined gradient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s made smaller than that of the fifth embodiment, so that both the lower load side and the high load side have an auxiliary hole ( 42) to be discharged first.

제18도는 제 1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59)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고,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57)에 대하여는 제16도의 제 5 실시예 및 제17도의 제 6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를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보다 크게 구성함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FIG. 18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59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and is an upper end portion 15A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lunger 15. The auxiliary lead 57 is the same as the fifth embodiment of FIG. 16 and the sixth embodiment of FIG. 17, but the slope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lope of the lower main lead 44. Therefor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flow out first from the auxiliary hole 42 on the low load side, and may flow out from the main port 41 on the high load side first.

제19도는 제 1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60)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고,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있어서, 고부하시측의 보조구멍(42)이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보조리이드(61)를 형성하고 있어, 이 상부보조리이드(61)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와는 같은 방향으로 함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특히 저속시측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송개시시점을 고부하시측의 편이 늦어지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있다.FIG. 19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60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and is an explanatory view in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And the inclined upper auxiliary guide 61 facing the auxiliary hole 42 on the high load side, the inclined directions of the upper auxiliary guide 61 are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n the same direction as above),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ssure feeding of the fuel at the low speed side is controlled so that the side at the high load side is delayed from the low load side to the high load side.

하부보조리이드(48) 및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에 대하여는 제 9 도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로 부터 먼저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s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ower main lead 44 is discharged from the main port 41 first on the low load side and the auxiliary hole on the high load sid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42) to be discharged first.

제20도는 제 1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62)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고,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61)에 대하여는 제19도의 제 8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를 제 8 실시예의 경우보다도 더욱 작게 함에 따라 저부하시측 및 고부하시측 모두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FIG. 2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implified development of the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62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The upper end portion 15A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lunger 15 are illustrated. The auxiliary lead 61 is similar to the eighth embodiment of FIG. 19, but as 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s made smaller than that of the eighth embodiment, the auxiliary hole 42 on both the low load side and the high load side. ) To be discharged first.

제21도는 제 1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63)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고,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61)에 대하여는 제19도의 제 8 실시예 및 제20도의 제 9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를 하부메인리이드(44) 경사의 구배보다 크게 구성함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FIG. 2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implified development of the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63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15A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lunger 15. FIG. As for the auxiliary lead 61, the same as the eighth embodiment of FIG. 19 and the ninth embodiment of FIG. 20, 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s larger than tha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On the low load side, it flows out first from the auxiliary hole 42, and on the high load side, it flows out from the main port 41 first.

제 1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각 실시예 이외에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 나아가서는,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47, 57, 61) 등의 상부보조리이드의 형성위치 및 경사상태를 적당히 선택함에 따라 연료분사의 개 t1시기 및 종료시기를 제어하여 임의의 연료 분사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firs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further,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and the upper auxiliary lead 47, 57, 61)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formation position and the inclined state of the upper auxiliary lea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t1 timing and the end timing of the fuel injection to obtain arbitrary fuel injection characteristics.

다음에 제 2 발명을 제22도 내지 제34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2발명에 의한 연료분사펌프가 제 1 발명에 의한 연료분사펌프와 기본적으로 상이한 점은 상부보조리이드(47)에 가하여 상부메인리이드(46)(제22도 이하도 참조)를 형성한 것이다.Next, the secon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22 to 34. The difference between 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and 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is that in addition to the upper auxiliary lead 47, the upper main lead 46 (see also FIG. 22 and below) is formed.

먼저, 제 2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를 제22도~제25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First, 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5.

제22도는 연료분사펌프(70)의 종단면도, 제23도는 주요부분 종단면도이다. 제24도는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이며, 메인포어트(41) 및 보조구멍(42)을 파선(시동시) 및 실선(저부하시 및 고부하시)으로나타내어 서로 사이의 상대위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2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el injection pump 70, and FIG. 24 is a lead exploded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The main position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are shown as broken lines (at start-up) and solid lines (at low and high loads), and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between. Indicates.

제23도 및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15)의 헤드의 원주면에는 연료압실(21)로 연통하여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와,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에 연통하는 경사형의 하부메인리이드(44)와, 연료압실(21)로 연통하는 세로방향 보조연료통로(45)와, 연료압실(21)로 연통하는 상부메인리이드(46)와, 마찬가지로 연료압실(21)로 연통하는 상부보조리이드(47)와, 세로방향 보조연료통로(45)에 연통하는 경사형의 하부보조리이드(48) 등을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3 and FIG. 24,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communicates with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to communicate with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and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The inclined lower main lead 44, the longitudinal auxiliary fuel passage 45 communicating with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and the upper main lead 46 communicating with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similarly to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The upper subsidiary lead 47 communicating with the circumferential side), and the inclined lower subsidiary guide 48 communicating with the longitudinal auxiliary fuel passage 45 are formed.

제 1 발명의 각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는 함께 플런저(15)의 상단부(15A)보다 하방위치에서 이것을 형성하는 것으로 압송연료의 유출(압송종류)의 타이밍을 제어한다.As in the case of eac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together form this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so as to discharge the pressurized fuel (pressure type). To control the timing.

더욱이,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는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보다도 구 구배를 크게 형성하고 있다. 즉,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하여 플런저(15)의 하방으로 하강하는 경사에 대하여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가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다.Further,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has a larger gradient than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That is, the slope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is lower than the inclined downward of the plunger 15 from the lower load side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toward the lower load side.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48.

단, 나중에 설명하는 다른 각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하부메이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를 적당히 선택함에 따라 연료분사특성을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메인포오트(41)가 대향하는 상부메인리이드(46) 및 보조구멍(42)에 대향하는 상부보조리이드(47)의 영역은 엔진의 저부하시에서 고부하시에 상당하고, 플런저(15)의 상단부(15A)의 영역은 시동시에 상당한다.However, the fuel injection characteristics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inclinations of the lower mai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s in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later. The areas of the upper main lead 46 facing the main port 41 and the upper sub lead 47 facing the auxiliary hole 42 correspond to the lower load at the time of high engine load and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15. The area of 15A corresponds to startup.

플런저(15)는 캠(12)의 작용에 따라 플런저배럴(14)내를 상하 왕복운동하기 위하여 제24도에 있어서, 상부메인리이드(46), 상부보조리이드(47), 상하보조리이드(48), 세로방향 연료통로(43) 및 하부메인리이드(44)와 함께 정위치상태의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한다.The plunger 15 has an upper main lead 46, an upper auxiliary lead 47, and an upper and lower auxiliary lead 48 in FIG. 24 to vertically reciprocate the inside of the plunger barrel 14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cam 12. ), Along with the longitudinal fuel passage 43 and the lower main lead 44,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in a fixed position.

또, 플런저(15)는 제어랙(13)의 작용에 따라 플런저배럴(14)내에서 회전운동하기 위하여 제24도에 있어서 상부메인리이드(46), 상부보조리이드(47), 하부보조리이드(48),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 및 하부메인리이드(44)와 함께 정위치상태의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한다.In addition, the plunger 15 has an upper main lead 46, an upper auxiliary lead 47 and a lower auxiliary lead in FIG. 24 so as to rotate in the plunger barrel 14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control rack 13. 48), along with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and the lower main lead 44, they mov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in the fixed position.

이러한 구성의 연료분사펌프(70)에 있어서, 플런저(15)의 하강에 따라 연료저유실(20)의 연료를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에서 연료압실(21)내로 흡입한다.In the fuel injection pump 7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uel of the fuel reservoir 20 is sucked into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from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as the plunger 15 descends. .

플런저(15)의 상승에 따라 플런저(15)의 상단부(15A), 상부메인리이드(46)의 상단부(46A) 내지 상부보조리이드(47)의 상단부(47A)에 의하여 메인포오트(41) 내지 보조구멍(42)이 폐쇄된 때로부터 연료의 압축을 개시하여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의 맞물렸을 때, 혹은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와 맞물렸을 때에 연료의 압송을 종료한다. 즉, 플런저(15)의 하사점에서 연료의 압송개시까지의 스트로우크가 프리스트로우크이며, 보조구멍(42)의 폐쇄에서 메인포오트(41)의 개방까지의 스트로우크가 유효스트로우크이며, 제 1 발명에 관하여 제 8 도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상부보조리이드(47)의 깊이 내지 높이가 저속에 대한 시동진각단자(L1)이다. 더욱이, 상부메인리이드(46)의 깊이 내지 높이가 고속에 대한 시동진각단차(L2)이며, 이 차(L1-L2)가 프리스트로우크 즉 진각단차(L3)이다.As the plunger 15 rises, the main port 41 to the upper end 15A of the plunger 15, the upper end 46A of the upper main lead 46, and the upper end 47A of the upper auxiliary lead 47. Compression of the fuel starts from the time when the auxiliary hole 42 is closed and the main port 41 is engaged with the lower main lead 44 or when the auxiliary hole 42 is engaged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48. The pumping of fuel is terminated at this time. That is, the stroke from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plunger 15 to the start of fuel feeding is the prestroke, and the stroke from the closing of the auxiliary hole 42 to the opening of the main port 41 is an effective stroke. As in FIG. 8 with respect to the first invention, the depth-to-height of the upper auxiliary guide 47 is the start-up timing terminal L1 at low speed. Moreover, the depth to height of the upper main lead 46 is the starting advance step L2 for high speed, and the difference L1-L2 is the prestroke, that is, the step step L3.

더욱 구체적으로는 엔진의 시동시에 있어서는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은 상부메인리이드(46) 혹은 상부보조리이드(46)은 아니고, 플런저(15)의 시동시영역에 있어서의 상단부(15A)에 대향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engine is started,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are not the upper main lead 46 or the upper auxiliary lead 46, but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in the starting region of the plunger 15. It faces the upper end part 15A.

따라서, 연료압송의 유효스트로우크는 최대이고, 엔진시동시에 필요한 연료분사량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the effective stroke of fuel pressure feeding is maximum, and the fuel injection amount required at engine startup can be ensured.

상부메인리이드(46)를 형성함에 따라 플런저(15)의 상단부(15A)가 상부메인리이드(46)의 상단부(46A)에 비교하여 상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시동시에는 저속 저부하시보다도 진각한다.As the upper main lead 46 is formed,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end portion 46A of the upper main lead 46, so that the upper main lead 46 is more advanced than the low speed low load during the start-up.

엔진의 저부하 및 고부하시 운전에 있어서는 메인포오트(41)에는 상부메인리이드(46)에, 보조구멍(42)은 상부보조리이드(47)에 각기 대향할 수 있다. 아이들링 등의 저속저부하 운전에서는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의 제24도에서 왼쪽에 위치하기 위하여 유효스트로우크 작음과 동시에 보조구멍(42)이 상부보조리이드(47)와 맞물리기 때문에 보조구멍(42)이 상부보조리이드(47)의 상단부(47A)에 의하여 폐쇄되고 나서 실질적인 연료압송이 개시된다.In low load and high load operation of the engine, the main port 41 may face the upper main lead 46 and the auxiliary hole 42 may face the upper auxiliary lead 47, respectively. In low-speed low load operation such as idling, the main port 4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main lead 44 at the left in FIG. 24 while the effective stroke is small and the auxiliary hole 42 is connected to the upper auxiliary lead 47. Since the auxiliary hole 42 is closed by the upper end portion 47A of the upper auxiliary lead 47 because of the engagement, substantial fuel pressure is started.

회전수가 상승하여 고속 저부하 운전으로 되었을 때에는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의 제24도에서 왼쪽에 위치하지만 보조구멍(42)에 있어서의 수축효과에 의하여 보조구멍(42)이 상부보조리이드(47)의 상단부(47A)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되기전에 연료의 압송이 개시되기 때문에 연료의 분사타이밍이 진행(진각)하여 실제 아송 스트로우크가 증가한다.When the rotation speed is increased and the high speed low load operation is performed, the main port 4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in FIG. 24 of the lower main lead 44, but the auxiliary hole 42 is caused by the contracting effect in the auxiliary hole 42. Since the pumping of the fuel is started before it is completely closed by the upper end 47A of the upper auxiliary guide 47, the injection timing of the fuel proceeds (advances), and the actual asus strike increases.

제25도는 N-Q 특성도에서 나타낸 타이밍 지도이다. 도해한 바와 같이 시동시 고속시 함께 진각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25 is a timing map shown in the N-Q characteristic diagram. As illustrat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ce characteristic together at high speed at the start-up.

특히, 제24도를 참조하면 저부하시 및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송개시시점은 서로 같지만 압송종료시점에 대하여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으로부터 먼저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되어 있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24, the starting point of fuel injection at the time of low load and high load is the same, but with respect to the end point of the pressure feeding, the fuel flows out first from the main port 41 at the low load side, and at the high load side. 42) outflow first.

더욱이, 고부하시측에 있어서 보조구멍(42)에서 유출한 다음 메인포오트(41)에서 유출하기 까지의 플런저(15)의 스트로우크가 보조구멍 유출토오크이다.Further, the stroke of the plunger 15 from the auxiliary hole 42 on the high load side until it flows out of the main port 41 is the auxiliary hole outlet torque.

플런저(15)의 압송방향으로의 이동(상승)에 따라 저부하시측에는 메인포오트(41)가 유출개시의 상태로 되어도 보조구멍(42)은 아직 하부보조리이드(48)와 연통하기 까지에는 이르지 않아서 종래와 대략 같은 분사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Even when the main port 41 is in the state of starting to flow out on the lower load side due to the movement (rising) of the plunger 15 in the feeding direction, the auxiliary hole 42 does not reach until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s still in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pproximately the same injection characteristics as in the prior art.

한편,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이 유출개시의 상태로 되어도 메인포오트(41)는 아직 하부메인리이드(44)와 연통하기까지에는 이르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특히 저속시에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의 연료유출이 실행된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auxiliary hole 42 is in the state of starting to discharge on the high load side, the main port 41 has not yet reached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main lead 44, and in particular, the auxiliary hole 42 at low speeds. The fuel outflow from is performed.

더욱이, 고속시에는 보조구멍(42)의 수축효과에 따라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에 맞물린 상태로 되어도 보조구멍(42)이 실질적으로 폐쇄 상태 그대로이며, 종래와 대략 같은 분사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t high speed, the auxiliary hole 42 remains substantially closed even when the auxiliary hole 42 is engaged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48 due to the contracting effect of the auxiliary hole 42. Can maintain the characteristics.

제 1 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표준적인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6)(제 4 도)와 조립한 연료분사펌프(5)(제 3 도)에 있어서는 저속 고부하시의 토오크점에 있어서의 캠속도에 대한 연료분사율(△Q)의 관계는 가파른점(돌출한 최대분사율)이 있는 한편(실선 참조), 제 2 발명의 연료분사펌프(70)에 있어서도 이것을 완만하게 하여 최대 분사율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점선 참조).As in the case of the firs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in the fuel injection pump 5 (FIG. 3) assembled with the conventional standard throttle type fuel injection nozzle 6 (FIG. 4), the low-speed high loa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el injection rate (ΔQ) and the cam speed at the torque point of the city has a steep point (maximum ejection rate) (see solid line), but also in the fuel injection pump 70 of the second invention. By smoothing this, the maximum injection rate can be greatly reduced (see dashed line).

즉, 저속고부하시에 있어서, 플런저(15)의 상승에 따른 유효스트로우크의 도중에서 보조구멍(42)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맞물림에 의하여 연료를 천천히 유출시켜, 저속회전시에 있어서의 실제 송유율을 저하시키고, 질소산화물, 연소음의 저감, 저속고부하시에 있어서의 연기 및 분진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엔진으로서 저속고부하시에 있어서의 동일 매연조건에서의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저속토오크의 향상 및 출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That is, at low speed and high load, the fuel flows out slowly by engaging the auxiliary hole 42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n the middle of the effective stroke due to the rise of the plunger 15, and at the time of low speed rot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ctual oil supply rate, to reduce nitrogen oxides, combustion noise, and to reduce smoke and dust at low speed and high load, and to increase the fuel injection amount under the same soot condition at low speed and high load as an engine. Therefore, the low torque and the output can be improved.

또, 고속고부하시의 정격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표준적인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6)과 조합한 연료분사펌프(5)에 있어서의 캠각도에 대한 연료분사율(△Q)의 관계를 제 2 발명의 연료분사펌프(70)에 있어서도 대략 마찬가지로 이것을 유지할 수 있다.At the high-speed high load 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el injection rate (ΔQ) and the cam angle in the fuel injection pump (5) in combination with the conventional standard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6) is shown. The same can be maintained in the fuel injection pump 70 of the second invention in the same manner.

또한, 송유율을 향상시켜도 저속시의 분사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만큼, 고속고부하시의 연료분사율(송유율)을 증가시켜 출력의 향상과 연료소비률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oil supply rate is improved, the injection rate at low speed can be suppressed, and accordingly, the fuel injection rate (oil supply rate) at high speed and high load can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output and fuel consumption rate.

또한, 제 1 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속고부하시에 있어서 N-Q 특성을 왼쪽 하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the firs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the N-Q characteristic can be left lowered at low speed and high load.

그리하여, 보조구멍(42)을 구비한 프리플로우 효과의 플런저(15)를 사용함과 동시에, 상부보조리이드(47)를 적정위치에 형성하였으므로, 고속진각과 시동시진각의 양립을 실현할 수 있다.Thus, by using the plunger 15 having the preflow effect having the auxiliary hole 42 and forming the upper auxiliary guide 47 at an appropriate position, both high speed and start starting angles can be realized.

더욱이, 시동시에 있어서, 고소·고부하시 보다도 더욱 진각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시동시에서의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에 대향하여 플런저(15)의 상단부(15A)를 더욱 상방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tarting, when the user wants to advance more than the height and height of loading,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is further upwardly opposed to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at the time of starting. It is good to form.

또한, 연료분사의 개시시점의 제어에 가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와,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의 조합에 따라 연료분사의 종료시점의 제어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ntrol of the start point of fuel inj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uel injectio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end point of.

다음에, 제 2 발명에 있어서도 연료의 압송개시 및 압송 종료를 함께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예에도 여러가지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Next, also in the second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art of fuel feeding and the end of the feeding of fuel together,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considered in th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더욱이, 다음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4도와 마찬가지로,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와 보조구멍(42)의 상단부(42A)는 동일 높이 내지 동일 수평 위치에 형성하고 있는 것이라 하여, 그 상세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Furthermore, also in each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as in FIG. 24, the upper end portion 41 of the main port 41 and the upper end portion 42A of the auxiliary hole 42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or the same horizontal position.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detail.

예컨대, 제26도는, 제 2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1)에 있어서의 제24도와 마찬가지로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며, 플런저(15) 상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47)에 대하여 제24도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임과 동시에, 제 1 발명의 제 4 실시예(제15도)와 마찬가지로, 하부메인리이드(44)에 상당하는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 및 하부보조리이드(48)에 상당하는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도 이것을 제24도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For example, FIG. 26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implified the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similarly to FIG. 24 in the fuel injection pump 71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of the 2nd invention, and the plunger 15. FIG. The upper end portion 15A and the upper auxiliary lead 47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FIG. 24 and correspond to the lower main lead 44 similarly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FIG. 15). 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corresponding to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re also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단,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에 상당하는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를 단일로 하고, 하부메인리이드(53) 및 하부보조리이드(54)가 각각의 한쪽 단부에 있어서만, 이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와 연통하고 있다.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is a single unit, and the lower main lead 53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54 are provided at one end of each of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s.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urnace 43.

제27도는, 제 2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2)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고,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서 저부하시측 및 고부하시측의 보조구멍(42)에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보조리이드(73)를 형성하고 있어, 이 상부보조리이드(73)의 경사방향으로 하부메인리이드(44) 및 부와는 역방향으로 함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특히, 저속시측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송개시 시점을 저부하시측의 편이 늦어지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IG. 2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implified development of the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and at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An inclined upper auxiliary lead 73 is formed to face the auxiliary hole 42 at the lower load side and at the higher load side, and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buoy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upper auxiliary lead 73 are formed. In the reverse direction, as the direction from the low load side to the high load side is increased, in particular,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ssure feeding of the fuel at the low speed side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side on the low side is delayed.

하부보조리이드(48) 및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에 대하여는 제24도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저부하시측에는 메인포오트(41)에서 먼저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에서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ower main lead 44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24, and first flows out of the main port 41 on the low load side, and the auxiliary hole (on the high load side). 42) outflow first.

제28도는, 제 2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4)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고, 프런저(15)의 상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73)에 대하여는 제27도의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하부메인리이드(44)의 위치를 제 3 실시예의 경우 보다도 더욱 플런저(15)의 하방에 형성함에 따라서, 저부하시측 및 고부하시측 모두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FIG. 28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and illustrates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As for the upper auxiliary guide 73, the same as in the third embodiment of FIG. 27, but the lower main lead 44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plunger 15 more than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And both sides under high load are first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hole 42.

제29도는, 제 2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5)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고,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73)에 대하여는, 제27도의 제 3 실시예 및 제28도의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를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보다 크게 구성함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FIG. 29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and As for the upper auxiliary lead 73, the same as the third embodiment of FIG. 27 and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28, but the slope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s less than the slope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FIG. By large configuration, it flows out first from the auxiliary hole 42 at the low load side, and flows out from the main port 41 at the high load side first.

제30도는, 제 2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6)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고,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서 저부하시측 및 고부하시측의 메인포오트(41)가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메인리이드(77)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상부메인리이드(77)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는 같은 방향으로 함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에서 향함에 따라서, 연료의 압송개시시점을 고부하시측의 편이 늦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FIG. 30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development of the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6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and at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The main main port 41 on the low load side and the high load side forms an inclined upper main lead 77 facing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main inclined directions. As the auxiliary lead 48 is in the sam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ssure feeding of the fuel so that the side on the high load side is delayed from the low load side to the high load side.

하부보조리이드(48) 및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에 대하여는 제24도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고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로부터 먼저 유출하며,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slope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ower main lead 44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24, and first flows out of the main port 41 on the low load side, and the auxiliary hole 42 on the high load side. ) To be discharged first.

제31도는, 제 2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8)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이고,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및 상부메인리이드(77)에 대하여는 제30도의 제 6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나, 하부보조리이드(48)의 위치를 제 6 실시예의 경우 보다도 플런저(15)의 상방에서 형성함에 따라, 저부하시측 및 고부하시측 모두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FIG. 3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8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and As for the upper main lead 77, the same as in the sixth embodiment of FIG. 30, but the posi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s formed above the plunger 15 than in the sixth embodiment, so that the lower load side and the high load Both of the viewing sides are configured to flow out of the auxiliary holes 42 first.

제32도는, 제 2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79)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로서,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및 상부보조리이드(77)에 대하여는, 제30도의 제 6 실시예 및 제31도의 제 7 실시예와 마찬가지 이지만, 하부보조리이드의 경사의 구배를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보다 크게 구성함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FIG. 32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diagram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79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and The upper auxiliary lead 77 is similar to the sixth embodiment of FIG. 30 and the seventh embodiment of FIG. 31, but the slope of the lower auxiliary lead is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main lead 44. Therefor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flow out first from the auxiliary hole 42 at the low load side, and will flow out from the main port 41 at the high load side first.

제33도는 제 2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80)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서, 저부하시측 및 고부하시측의 보조구멍(42)이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보조리이드(81)를 형성하고 있고, 이 상부보조리이드(81)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81)를 형성하고 있고, 이 상부보조리이드(81)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와는 같은 방향으로 함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는 고부하시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특히 저속시측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송개시 시점을 고부하시측의 편이 늦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있다.FIG. 33 shows the inclination of the auxiliary hole 42 on the low load side and the high load side facing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80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The upper auxiliary lead 81 of the die is formed, and the lower main lead 81 is formed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upper auxiliary lead 81, and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upper auxiliary lead 81 is the lower main lead ( 44) and the lower subsidiary guide 48, the lower load side is directed toward the high load side, so that the starting point of fuel injection at the low speed side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side at the high load side is delayed. Doing.

하부보조리이드(48) 및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에 대하여는 제24도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고,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에서 먼저 유출하며, 고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ower main lead 44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24, and flows out of the main port 41 first on the low load side, and on the high load side, The pot 41 is configured to flow out first.

제34도는, 제 2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82)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로서,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서 저부하시측 및 고부하시측의 메인포오트(41)가 대향하는 경사방형의 상부메인리이드(83)를 형성하고 있고, 이 상부보조리이드(83)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는 역방향으로 함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연료의 압송개시 시점을 저부하시측의 편이 늦어지도록 제어할 수 이게 하고 있다.FIG. 34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82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In FIG. 34,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is shown. The main main portion 41 on the low load side and the high load side forms an inclined rectangular upper main lead 83. The inclined directions of the upper auxiliary lead 83 are lower main lead 44 and lower portion. As the auxiliary lead 48 is turn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ssure feeding start of the fuel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side on the lower load side is delayed from the lower load side to the high load side.

하부보조리이드(48) 및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에 대하여는 제24도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으로부터 먼저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slope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ower main lead 44 is discharged first from the main port 41 at the low load side and the auxiliary hole 42 at the high load sid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 To be discharged first.

제 2 발명에 있어서도, 상술한 각 실시예 이외에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 나아가서는 플런저(15)의 상단부(15A), 상부메인리이드(46, 77, 83) 등의 상부메인리이드, 및 상부보조리이드(47, 73, 81) 등의 상부보조리이드의 형성위치 및 경사상태를 적당히 선택함에 따라, 연료분사의 개시시기 및 종료시기를 제어하여 임의의 연료분사 특성을 얻을 수 있다.Also in the second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further, the upper end 15A of the plunger 15, the upper main lead 46, 77, 83) The start and end timings of the fuel injection can be controll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formation position and the inclined state of the upper main lead such as the upper main lead and the upper auxiliary lead such as the upper auxiliary lead 47 and 73 and 81. Injectio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다음에 제 3 발명을 제35도~제41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3 발명에 의한 연료분사펌프와,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에 의한 연료분사펌프와는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를 형성하는 점에 있어서 같지만,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 엔진의 보조연소실(예컨대 제 1 도의 예비연소실(4) 혹은 제 2 도의 소용돌이 챔버(9)에 면한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6)(제 4 도)과 함께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Next, 3rd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FIGS. 35-41. 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and 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are the same in that they form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but the secondary combustion type diesel It is assumed that the engine is used together with an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of the engine (for example, the pre-combustion chamber 4 of FIG. 1 or the vortex fuel injection nozzle 6 (FIG. 4) facing the vortex chamber 9 of FIG. 2).

이어서 제 3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90)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Next, a fuel injection pump 9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35도는, 연료분사펌프(90)의 플런저배실(14) 및 플런저(15) 부분의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 제36도는 플런저(15)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로서,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과 마찬가지로 플런저배럴(14)에는, 연료의 흡입배출구멍으로서 흡입배출구멍(22)(제 3 도)에 상당하는 보다 큰 지름의 메인포오트(41)와, 보다 작은 지름의 보조구멍(42)을 형성하고 있다.FIG. 3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ortions of the plunger chamber 14 and the plunger 15 of the fuel injection pump 90, and FIG. 36 is a lead developed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simi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In the plunger barrel 14, a larger diameter main pot 41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discharge hole 22 (FIG. 3) and an auxiliary hole 42 having a smaller diameter are formed as the suction discharge hole of the fuel. Doing.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A)와 보조구멍(42)의 상단부(42A)는 동일높이 내지 동일 수평 위치에 있고, 또한 원주방향에서 180°의 간격을 벌리고 이것을 형성하고 있다.The upper end portion 41A of the main port 41 and the upper end portion 42A of the auxiliary hole 42 are at the same height or the same horizontal position, and are spaced apart by 18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더욱이,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A)와 보조구멍(42)의 상단부(42A)와의 위치관계로서는, 필요에 따라서 보조구멍(42)의 상단부(42A)가 메인포오트(42A)가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A) 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41A of the main port 41 and the upper end portion 42A of the auxiliary hole 42, the upper end portion 42A of the auxiliary hole 42 may be formed as needed. It may be formed to be located below the upper end portion 41A of the main pot 41.

플런저(15)이 헤드의 원주면에는, 연료압실(21)로 연통하는 세로방향 연료통로(24)에 상당하는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와,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로 연통하는 경사리이드(25)에 상당하는 하부메인리이드(44)와, 연료압실(21)로 연통하는 세로방향 연료통로(24)에 상당하는 세로방향 보조연료통로(45)와, 세로방향 보조연료통로(45)에 연통하는 하부보조리이드(48)를 형성하고 있다.The plunger 15 communicates with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and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fuel passage 24 communicating with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A lower main lead 44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lead 25, a longitudinal auxiliary fuel passage 45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fuel passage 24 communicating with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and a longitudinal auxiliary fuel passage ( A lower auxiliary lead 48 communicating with 45 is formed.

하부메인리이드(44) 및 상부보조리이드(48), 특히 플런저(15)의 상단부(15A) 보다 하방위치에서 이것을 형성하는 것으로 압송연료의 유출(압송종료)의 타이밍을 제어한다.The form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upper auxiliary lead 48, in particular,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end 15A of the plunger 15 controls the timing of outflow of the pressurized fuel.

더욱이,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는,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보다도 그 구배를 크게 형성하고 있다. 즉,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하여 플런저(15)의 하방으로 하강하는 경사에 대하여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가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이 구배 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다.Further,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has a larger gradient than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That is, the slope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is lower than the inclined downward of the plunger 15 from the lower load side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toward the lower load side. The inclination of 48 is formed larger than the gradient.

플런저(15)는 캠(12)(제 3 도)의 작용에 의하여 플런저배럴(14)안을 상하 왕복운동하기 때문에, 제36도에 있어서,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 하부메인리이드(44), 세로방향 보조연료통로(45) 및 하부보조리이드(48)와 함께 정위치상태의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한다.Since the plunger 15 reciprocates up and down the plunger barrel 14 by the action of the cam 12 (FIG. 3), in FIG. 36,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and the lower main lead 44 ), Along with the longitudinal auxiliary fuel passage 45 and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in a fixed position.

또한, 플런저(15)는 제어랙(13)(제 3 도)의 작용에 의하여 플런저배럴(14) 안에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제36도에서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 하부메인리이드(44), 세로방향 보조연료통로(45) 및 하부보조리이드(48)와 함께, 정위치상태의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한다.Further, since the plunger 15 rotates in the plunger barrel 14 by the action of the control rack 13 (FIG. 3),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43 and the lower main lead 44 in FIG. , Along with the longitudinal auxiliary fuel passage 45 and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mov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in the fixed position.

따라서, 제36도에서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보조구멍(42)으로부터의 유출영역을 메인포오트(41)의 위치에 나타내면 하부보조리이드(48)의 상단부(48A)와 하부메인리이드(44)의 상단부(44A)의 사이에서 하부메인리이드(44)의 상방에 3각 형상으로 나타난다.Therefore, as shown by the oblique line in FIG. 36, when the outflow region from the auxiliary hole 42 is shown at the position of the main port 41, the upper end portion 48A and the lower main lead 44 of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are shown. It appears in a triangular shape above the lower main lead 44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s 44A of.

제37도는 제36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로서 도면중 좌측이 저부하시에 우측이 고부하시에 각기 대응하고 있으며, 고부하시의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은 실선으로 저부하시에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은 점선으로 각기 나타내고 있다.FIG. 37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implified diagram of FIG. 36. The left side corresponds to the lower load on the right side and the high load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of the high load load are loaded with solid lines. The main po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의 연료분사펌프(90)에 있어서, 특히 제37도를 참조하면 저부하시 및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연료의 압송개시시점은 서로 같지만 암송종료시점에 대하여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으로부터 먼저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 먼저 유출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fuel injection pump 9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specially referring to FIG. 37,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ssure feeding of the fuels at the low load and the high load is the same, but the main port 41 is at the lower load side when the recitation is finished Flows out first from the auxiliary hole 42 on the high-load side.

즉, 플런저(15)의 압송방향으로의 이동(상승)에 따라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가 유출개시의 상태로 되어도 보조구멍(42)은 아직 하부보조리이드(48)와 연통하기 까지에는 이르지 않아서 종래와 대략 마찬가지의 분사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That is, even when the main port 41 is in the state of starting to discharge on the lower load side, the auxiliary hole 42 still communicates with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due to the movement (rising) of the plunger 15 in the feeding direction. Since it does not reach | attai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pproximately the same injection characteristics as the conventional one.

한편,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이 유출개시의 상태로 되어도 메인포오트(41)는 아직 하부메인리이드(44)와 연통하기 까지에는 이르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특히 저속시에는 보조구멍(42)으로부터의 연료유출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high load side, even if the auxiliary hole 42 is in the state of starting to flow out, the main port 41 has not yet reached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main lead 44. In particular, the auxiliary hole 42 is at a low speed. Fuel outflow from the

더욱이, 고속시에는 보조구멍(42)의 수축효과에 따라,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와 맞물린 상태로 되어도 보조구멍(42)이 실질적으로 폐쇄상태 그대로여서, 종래와 대략 마찬가지 분사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at high speed, the auxiliary hole 42 remains substantially closed even when the auxiliary hole 42 is engaged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48, depending on the contracting effect of the auxiliary hole 42. Injection characteristics can be maintained.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표준적인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6)(제 4 도)와 조합한 연료분사펌프(5)(제 3 도)에 있어서는, 저속고부하시의 토오크 점에 있어서의 캠속도에 대한 연료분사율(△Q)의 관계는, 가파른점(돌출한 최대 분사율)이 있는 한편(실선 참조), 제 3 발명의 연료분사펌프(90)에 있어서는 이것을 완만하게 하여, 최대분사율을 대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점선 참조).As in the case of the first invention and the second invention, the fuel injection pump 5 (FIG. 3) combined with the conventional standard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6 (FIG. 4) as shown in FIG.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el injection rate (ΔQ) and the cam speed at the torque point at low speed and high load has a steep point (the maximum injection rate protruded) (see solid line), and the fuel of the third invention. In the injection pump 90, this can be made gentle and the maximum injection rate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refer dotted line).

즉, 저속고부시에 있어서, 플런저(15)의 상승에 따른 유효 스트로우크의 도중에서 보조구멍(42)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맞물림에 따라서 연료를 천천히 유출시켜, 저속회전시에 있어서의 실제 송유율을 저하시키고, 질소산화물, 연소음의 저감, 저속고부하에 있어서의 연기 및 분진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엔진으로서 저속고부하시에 있어서의 동일 스모크 조건에서의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저속토오크의 향상 및 출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That is, at low speed high-speed, fuel flows out slowly in accordance with the engagement of the auxiliary hole 42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n the middle of the effective stroke according to the rise of the plunger 15, and at the time of low-speed rotation. It is possible to lower the actual oil supply rate, reduce nitrogen oxides, combustion noise, reduce smoke and dust at low speed and high load, and increase fuel injection amount under the same smoke conditions at low speed and high load as an engine. Therefore, the low torque and the output can be improved.

또, 고속고부하시의 정격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표준적인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6)와 조합한 연료분사펌프(5)에 있어서의 캠 각도에 대한 연료분사율(△Q)의 관계를 제 3 발명의 연료분사펌프(90)에 있어서도 대략 동등하게 이것을 유지할 수 있다.At the high-speed high load 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el injection rate ΔQ and the cam angle in the fuel injection pump 5 in combination with the conventional standard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6 is shown. In the fuel injection pump 90 of 3rd invention, this can be maintained substantially equally.

또한, 송유율을 향상시켜도 저속시의 분사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만큼, 고속고부하시의 연료분사율(송유율)을 증가시켜 출력의 향상과 연료소비률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oil supply rate is improved, the injection rate at low speed can be suppressed, and accordingly, the fuel injection rate (oil supply rate) at high speed and high load can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output and fuel consumption rate.

또한,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속고부하시에 있어서 N-Q 특성을 좌측하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the first invention and the second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the N-Q characteristic can be left lowered at low speed and high load.

이어서, 제 3 발명에 있어서는 연료의 압송종료를 제어하는 것으로 연료의 압송개시에 대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경우는 메인포오트(41)와 보조구멍(42) 이동시에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의하여 폐쇄되는 예이지만, 이 밖에도 여러가지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Next, in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feeding of fuel is controlled.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starting feeding of fuel,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15 is moved when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move. Although it is an example closed by 15A), various modifications can also be considered.

예컨대, 제38도는 제 3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91)에 있어서의 제37도와 마찬가지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로서, 메인포오트(41)를 보조구멍(42)보다 상방에 형성함과 동시에 플런저(15)의 상단부(15A)는 이것을 평탄한 그대로의 상태로 함에 따라 보조구멍(42)이 먼저 폐쇄되고 나중에 메인포오트(41)가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For example, FIG. 3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diagram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similar to FIG. 37 in the fuel injection pump 9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41 is formed above the auxiliary hole 42, and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is kept flat so that the auxiliary hole 42 is closed first, and then the main port 41 is closed. It is configured to be closed.

더욱이, 제 2 실시예를 포함하는 다음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는 압송종료시점에 대하여,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41)가 먼저 유출하고, 고부하시측에서는 보조구멍(42)이 먼저 유출하는 구성은, 이미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이것을 생략한다.Further,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ncluding the second embodiment, the main port 41 flows out first at the low load side, and the auxiliary hole 42 flows out first at the high load side at the end of the pressure feeding. Since i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lready describ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포오트(41)가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의하여 폐쇄될 때에는 보조구멍(42)은 항상 이미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고, 연료의 압송개시시에 대하여는 사실상 보조구멍(42)을 형성하고 있지 않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분사특성을 얻을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main pot 41 is closed by the upper end 15A of the plunger 15, the auxiliary hole 42 is always already closed, and in fact, at the start of the pressure feeding of the fuel. The spraying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in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hole 42 is not formed can be obtained.

제39도는 제 3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92)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로서, 메인포오트(41)와 보조구멍(42)은 동일레벨에 이것을 형성하고 있으나, 플런저(15)에는 보조구멍(42)에 대향할 수 있는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 상부보조리이드(93)를 형성함과 동시에, 메인포오트(41)에 대향할 수 있는 플런저(15)의 회전운동 위치에는 평탄한 상단부(15A) 그대로의 상태여서, 메인포오트(41)가 먼저 폐쇄되고, 나중에 보조구멍(42)이 폐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FIG. 39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9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are shown in FIG. Is formed at the same level, but the upper auxiliary guide 93 is formed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plunger 15 which can be opposed to the auxiliary hole 42 in the plunger 15,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port ( 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plunger 15 which can be opposed to 41, the flat upper end portion 15A is intact, so that the main port 41 is closed first, and the auxiliary hole 42 is closed later.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속회전시에 있어서의 프리플로우 효과 즉 연료의 흡입배출구멍 특히 보조구멍(42)이 닫혀지기 전에 동적효과(수축효과)에 의하여 연료가 압송되기 때문에 저부하시 및 고부하시 모두 고속시에 연료의 분사타이밍을 진행시키는(진각시키는) 특성을 얻을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fuel is fed by the dynamic effect (shrink effect) before the preflow effect during high-speed rotation, i.e., the fuel inlet discharge hole, especially the auxiliary hole 42, is closed. In all, the characteristics of advancing (advancing) the injection timing of the fuel at high speed can be obtained.

제40도는 제 3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94)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간략화하여 그린 설명도로서, 메인포오트(41)와 보조구멍(42)은 동일레벨이 이것을 형성하고 있으나, 플런저(15)에는 보조구멍(42)에 대향할 수 있는 플런저(15)의 회전운동 위치에 제39도와 같은 상부보조리이드(93)를 형성함과 동시에, 메인포오트(41)에 대향할 수 있는 플런저(15)의 회전운동 위치의 전부하시에 평탄한 상단부(15A)를 대향시키며, 고부하시에는 경사형의 상부메인리이드(95)를 대향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다.FIG. 4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implified development of the lead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9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are shown in FIG. Is formed at the same level, but at the same time the upper auxiliary guide 93 as shown in FIG. 39 is formed in the plunger 15 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plunger 15 which can be opposed to the auxiliary hole 42, The flat upper end portion 15A is opposed to the main port 41 at the time of full rotation of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plunger 15, and is formed to face the inclined upper main lead 95 at high load. Doing.

제 4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부하시에는 메인포오트(41)가 먼저 폐쇄되고, 나중에 보조구멍(42)이 폐쇄되며, 또 고부하시에는 보조구멍(42)이 먼저 폐쇄되고, 나중에 메인포오트(41)가 폐쇄됨과 동시에 저부하에서 고부하로의 부하의 정도에 따라서 메인포오트(41)가 연통하는 경사형의 상부메인리이드(95)의 부위가 변화하므로 저부하시에는 고속시에 진각할 수 있으나 고부하로 됨에 따라서 서서히 지연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main port 41 is closed first at low load, the auxiliary hole 42 is closed at a later time, and the auxiliary hole 42 is closed first at high load, and later the main port ( 41) is closed and the portion of the inclined upper main lid 95 in which the main port 41 communicates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load from the low load to the high load. As the load becomes high, the delaying characteristic can be obtained.

제41도는 제 3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96)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헤드의 리이드 전개도를 그린 설명도로서 메인포오트(41)와 보조구멍(42)은 동일레벨에 이것을 형성하고 있으나.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43)에 상당하는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97)를 중앙에 형성하고, 이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97)의 좌우에, 메인포오트(41)에 대향할 수 있는 플런저(15)의 회전운동 위치에 하부메인리이드(98)를 보조구멍(42)에 대향할 수 있는 플런저(15)의 회전운동 위치에 하부보조리이드(99)를 각기 형성하고 있어, 제36도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조구멍(42) 및 메인포오트(41)가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의하여 동시에 폐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FIG. 4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lead development view of the head of the plunger 15 in the fuel injection pump 96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The main port 41 and the auxiliary hole 42 are the same. I'm forming this in the level. The plunger which forms the main fuel path 97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th 43 in the center, and opposes the main port 41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th 97. Lower auxiliary guides 99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s of the plunger 15, which can oppose the lower main lead 98 to the auxiliary holes 42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s of (15).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uxiliary hole 42 and the main pot 41 are configured to be closed simultaneously by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질적인 분사특성은 이미 설명한 제 1 실시예(제37도를 참조)와 마찬가지 이지만 하부메인리이드(98) 및 하부보조리이드(99)가 세로방향 메인연료통로(97)를 공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15)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actual injection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ee FIG. 37), but the lower main lead 98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99 share the longitudinal main fuel passage 97. Since the strength of the plunger 15 can be maintained.

이상과 같은 제 1 발명에 의하면, 보조구멍 및 상부보조리이드에 의한 프리플로우 효과를 이용함과 동시에 각각의 경사상태를 조합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 및 하부보조리이드를 사용한 연료분사펌프로 하였으므로 저속시 및 고속시에 있어서의 연료의 분사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는 스피이드 타이머 기능을 유지한 그대로 특히 저속고부하시의 스모크(흑연) 및 분진(그을름)을 저감하여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토오크업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uel injection pump using the lower main lead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which can combine the respective inclined states while utilizing the preflow effect by the auxiliary hole and the upper auxiliary lead, The speed-up function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smoke (graphite) and dust (soot) at low speed and high load, while maintaining the speed timer function that can control the injection timing of fuel at high speed. Make it possible.

또, 제 2 발명에 의하면, 보조구멍 및 상부보조리이드에 의한 프리플로우 효과를 이용함과 동시에, 각각의 경사상태를 조립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 및 하부보조리이드를 사용함과 동시에 메인포오트가 대향하는 상부메인리이드를 형성한 연료분사펌프로 하였으므로, 저속시 및 고속시에 있어서의 연료의 분사타이밍 제어할 수 있는 스피드타이머기능, 및 시동시에 있어서의 진각기능을 유지한 그대로의 상태, 특히 저속고부하시의 스모크(흑연) 및 분진(그을름)을 저감하고,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토오크업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ort is opposed to the main port while the lower main lead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can be used while the preflow effect of the auxiliary hole and the upper auxiliary lead is used. Since it is a fuel injection pump having a main lead, the speed timer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timing of fuel at low speed and high speed, and the advance time function at start-up are maintained, especially at low speed and high load. Smoke (graphite) and dust (soot) can be reduced, and the fuel injection amount can be increased, thereby enabling torque up.

또한,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에 의하면 송유율을 향상시켜서도 저속에서의 연료분사율은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고부하시의 연료분사율(송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출력의 향상과 연료소비률의 향상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and the second invention, the fuel injection rate at low speed does not increase even when the oil supply rate is improved, so that the fuel injection rate (oil supply rate) at high speed and high load can be improved, and the output is improved. And fuel consumption can be improved.

또한, 제 3 발명에 의하면,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과 조합함과 동시에, 플런저배럴에 메인포오트 및 보조구멍을 형성하고 하부메인리이드 및 하부보조리이드를 플런저에 형성하며, 고부하시측에서는 보고구멍으로부터 먼저 연료를 유출시키고 저부하시측에서는 메인포오트으로부터 유출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특히 저속고부하시에 있어서의 최대분사율의 저감을 도모하여 이 영역에 있어서의 흑연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the main port and the auxiliary hole are formed in the plunger barrel, the lower main lead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are formed in the plunger barrel at the same time, in combination with the throttle-type fuel injection nozzle. Since the fuel flows out first from the main port at the low load side, the maximum injection rate can be reduced, especially at low speed and high load, and the generation of graphite in this region can be reduced.

Claims (35)

펌프하우징(10)과, 이 펌프하우징(10)에 부착함과 동시에, 연료저류실(20)에 연통하는 연료의 흡입배출구멍(22, 41, 42)을 형성한 플런저배럴(14)과, 이 플런저배럴(14) 내에 왕복슬라이딩 할 수 있고, 또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삽입함과 동시에 흡입배출구멍(22, 41, 42)으로 연통할 수 있는 위치에 경사리이드(44, 48, 53, 54, 98, 99)를 형성한 플런저(15) 등을 구비하였고, 이 플런저(15)와 플런저배럴(14) 사이에 연료압실(21)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플런저(15)의 왕복슬라이딩에 의하여 연료저류실(20)에서 이 연료압실(21)내로 연료를 흡입하여 연료분사노즐(6)에 압송하는 연료분사펌프로서 플런저배럴(14)에 흡입배출구멍(41, 42)으로서 보다 큰 지름의 메인포오트(41) 및 보다 작은 지름의 보조구멍(42)을 이 보조구멍(42)의 상단부(42A)가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A)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여 플런저(15)의 헤드에는 이 플런저(15)의 회전운동에 따른 일정범위에 걸쳐서 이 보조구멍(42)에 연통할 수 있는 상부보조리이드(47)를 형성하며, 또한 메인포오트(41)가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의하여 폐쇄되어도 보조구멍(42)이 상부보조리이드(47)에 연통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플런저(15)에는 이 플런저(15)의 회전운동에 따른 일정범위에 걸쳐서 또한 이 플런저(15)의 상단부(15A)보다 하방위치에서 보조구멍(42)으로 연통할 수 있는 하부보조리이드(48) 및 메인포오트(41)에 연통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44)를 경사리이드(44, 48, 53, 54, 98, 99)로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A plunger barrel 14 which is attached to the pump housing 10, the pump housing 10, and forms the suction discharge holes 22, 41, 42 for communicating with the fuel storage chamber 20; The inclined lead 44, 48, 53, 54 can be reciprocated in the plunger barrel 14 and inserted into the plunger barrel 14 and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discharge holes 22, 41, 42 at the same time. , 98, 99, and the like, and the plunger 15 is formed.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is formed between the plunger 15 and the plunger barrel 14, and the reciprocating sliding of the plunger 15 is provided. The fuel injection pump sucks the fuel from the fuel storage chamber 20 into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and feeds the fuel injection nozzle 6 to the plunger barrel 14 as the suction discharge holes 41 and 42. The main port 41 of the main port 41 and the smaller diameter auxiliary hole 42 have an upper end portion 42A of the auxiliary hole 42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end portion 41A of the main port 41. The upper auxiliary guide 47 is formed in the head of the plunger 15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hole 42 over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nger 15. Even if 41 is closed by the upper end 15A of the plunger 15, the auxiliary hole 42 can communicate with the upper auxiliary guide 47, and the plunger 15 has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nger 15. The lower main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and the main port 41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hole 42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end 15A of the plunger 15 over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above. A fuel injection pump comprising the lead 44 as an inclined lead 44, 48, 53, 54, 98, 99. 제 1 항에 있어서,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서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에 연통하여도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저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서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 연통하여도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라이드(48)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제1, 제4, 제5, 제 8 실시예)The main gu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hole (42) communicates with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5) in the feeding direction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plunger (15) at high load. While the haute 41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main lead 44, the main port (3) moves in the pressure feeding direction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plunger 15 at the time of low load. The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hole 42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auxiliary ride 48 even if 4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main lead 44. (1st, 4th, Fifth and eighth embodiments)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하여 플런저(15)의 하방 하강하는 경사에 대하여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를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비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제1, 제4, 제5, 제 8 실시예)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with respect to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from the lower load side to the higher load side is lowered downward of the plunger 15. A fuel injection pump which is made larg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1st, 4th, 5th, and 8th embodiments of the first invention)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분사노즐(6)은 이것은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의 보조연소실에 면한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6)이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모든 실시예)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uel injection nozzle (6) is called a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6) facing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of a diesel engine of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type. Example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분압실(21)과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 등을 연통할 수 있는 세로방향의 연료통로(43, 45, 55)를 플런저(15)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모든 실시예)The plunger (15)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longitudinal fuel passages (43, 45, 55) can communicate with the fuel partial pressure chamber (21), the lower main lead (44),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ike. A fuel injection pump, comprising: (all embodiments of the first invention)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플런저(15)의 하방으로 하강하는 경사방향에 차례로 저부하시, 고부하시 및 시동시에 있어서의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을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모든 실시예)2. The main port (4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main part (41) at the time of bottom load, high load, and start-up in the inclined direction descending downward of the plunger (15)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auxiliary hole 42 are opposed to each other. (All embodiments of the first invention) 제 1 항에 있어서, 시동시에 있어서의 보조구멍(42)은 상부보조리이드(47)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이것을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모든 실시예)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hole (42) at the start is opposed to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which does not form the upper auxiliary lead (47). All embodiments of the first invention) 제 1 항에 있어서, 고부하시 및 저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 위치에서 함께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에 연통하여도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제2, 제6, 제 9 실시예)2. The auxiliary hole 42 is connected to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according to claim 1,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5 in the feeding direction 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plunger 15 at high load and low load. Also, the main pot 41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lower main lead 44 through the fuel injection pump. (2nd, 6th and 9th embodiments of the first invention) 제 1 항에 있어서,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서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 연통하여도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저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서 압송방향으로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에 연통하여도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제3, 제7, 제10실시예)The main port 41 is assis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main lead 44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5 in the pressure feeding direction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plunger 15 at high load. While the hole 42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ubsidiary guide 48, the auxiliary hole 42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5 in the feeding direction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plunger 15 at the time of low load.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port 41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lower main lead 44 even if it communicates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48. (3, 7, and 10 of the first invention) Example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저부하시 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하여 플런저(15)의 하방으로 하강하는 경사에 대하여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를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에 구배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제3, 제7, 제10실시예)The lower auxiliary guide 48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lower load side to the lower load side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dient is larger than the gradient in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3rd, 7th, and 10th embodiments of the first invention)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압실(21)과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 등을 연통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에 공통한 세로방향의 연료통로(55) 등을 플런저(15)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제 4 실시예)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mon to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capable of communicating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the lower main lead 44,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ike. A fuel injection pump comprising a fuel passage 55 or the like formed in the plunger 15. (Fourth Embodiment of the First Invention) 제 1 항에 있어서, 저부하시에 있어서의 보조구멍(42)이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보조리이드(47)를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상부보조리이드(47)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와는 역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제5, 제6, 제 7 실시예)2. The upper auxiliary lead 47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clined upper auxiliary lead 47 is formed at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to which the auxiliary hole 42 at the time of low load opposes.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re reversed. (Fifth, Sixth, and Seventh Embodiments of the First Invention) 제 1 항에 있어서,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보조구멍(42)이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보조리이드(47)를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상부보조리이드(47)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는 같은 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1 발명의 제8, 제9, 제10실시예)2. The upper auxiliary lead 47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clined upper auxiliary lead 47 is formed at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to which the auxiliary hole 42 at high load opposes.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r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fuel injection pump. (Eighth, Ninth, and Tenth Embodiments of the first invention) 펌프하우징(10)과 이 펌프하우징(10)에 부착함과 동시에 연료저류실(20)에 연통하는 연료의 흡입배출구멍(22, 41, 42)을 형성한 플런저배럴(14)과, 이 플런저배럴내에 왕복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또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삽입함과 동시에 흡입배출구멍(22, 42, 43)으로 연통할 수 있는 위치에 경사리이드(44, 48, 53, 54, 98, 99)를 형성한 플런저(15) 등을 구비하여 이 플런저(15)와 플런저배럴(14) 사이에 연료압실(21)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플런저(15)의 왕복슬라이딩에 따라 연료저류실(20)에서 이 연료압실(21)내로 연료를 흡입연료 분사노즐(6)에 압송하는 연료분사 펌프로서 플런저배럴(14)에 흡입배출구멍(41, 42)으로서 보다 큰 지름의 메인포오트(41) 및 보다 작은 지름의 보조구멍(42)을, 이 보조구멍(42)의 상단부(42A)가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A)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고, 플런저(15)의 헤드에는 이 플런저(15)의 회전운동에 따른 소정범위에 걸쳐서 이 보조구멍(42)에 연통할 수 있는 상부보조리이드(47)와, 메인포오트(41)에 연통할 수 있는 상부메인리이드(46) 등을 형성하며, 또한 플런저(15)의 회전운동에 따른 소정범위속에서 메인포오트(41)가 상부메인리이드(46)의 상단부(46A)에 의하여 폐쇄되어도 보조구멍(42)이 상부보조리이드(47)에 연통할 수 있게 되도록 상부메인리이드(46) 및 상부보조리이드(47)를 형성하였고, 플런저(15)에는 플런저(15)의 회전운동에 따른 소정범위에 걸쳐서, 또한 플런저(15)의 상단부(15A)보다 하방위치에서 보조구멍(42)으로 연통할 수 있는 하부보조리이드(48) 및 메인포오트(41)에 연통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44)를 경사리이드(44, 48, 53, 54, 98, 99)로서 형성하였으며, 또한 시동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서는 상부메인리이드(46)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의하여 메인포오트(41)를페쇄할수 있게 함고 동시에, 상부보조리이드(47)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플린저(15)의 상단부(15A)에 의하여 보조구멍(42)을 폐쇄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A plunger barrel 14 which is attached to the pump housing 10 and the pump housing 10 and has formed suction suction holes 22, 41, 42 for communicating with the fuel storage chamber 20; The inclined leads 44, 48, 53, 54, 98 and 99 are inserted into the barrel so as to be reciprocally slidable and rotated, and at the same time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discharge holes 22, 42 and 43. A fuel pressure chamber 21 is formed between the plunger 15 and the plunger barrel 14 by providing the formed plunger 15 and the like, and the fuel storage chamber 20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sliding of the plunger 15. Is a fuel injection pump for pumping fuel into the intake fuel injection nozzle 6 into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as a main port 41 having a larger diameter as the intake discharge holes 41 and 42 in the plunger barrel 14. A smaller diameter auxiliary hole 42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end portion 42A of the auxiliary hole 42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end portion 41A of the main port 41. The head of the plunger 15 communicates with the upper auxiliary guide 47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hole 42 over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nger 15 and the main port 41. The upper main lead 46 and the like, and the main port 41 is closed by the upper end 46A of the upper main lead 46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nger 15. An upper main lead 46 and an upper auxiliary lead 47 are formed so that the auxiliary hole 42 can communicate with the upper auxiliary lead 47, and the plunger 15 has a predetermined value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nger 15. Over the range, the lower main lea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ubsidiary guide 48 and the main port 41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hole 42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end 15A of the plunger 15 ( 44 is formed as the inclined lead 44, 48, 53, 54, 98, 99, and the plunger at the start In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15), the main port 41 can be closed by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which does not form the upper main lead 46,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auxiliary lead 47 is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hole 42 can be closed by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which is not formed. 제 14 항에 있어서,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서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에 연통하여도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저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서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 연통하여도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제1, 제2, 제3, 제6, 제9, 제 10 실시예)The main gun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auxiliary hole (42) communicates with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5) in the feeding direction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plunger (15) at high load. While the haute 41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main lead 44, the main port 41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5 in the pressure feeding direction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plunger 15 at the time of low load.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hole (42)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48) even when the main body (44) communicates with the lower main lead (44). 3, 6, 9, 10th embodiment) 제 14 항에 있어서,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하여 플런저(15)의 하방으로 하강하는 경사에 대하여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를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에 구배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제1, 제2, 제3, 제9, 제 10 실시예)15. 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from the lower load side toward the lower load side of the lower plunger 15.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larger than the gradient in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First, second, third, ninth, and tenth embodiments of the second inven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연료분사노즐(6)은 이것을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의 보조연소실에 면한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6)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모든 실시예)15. 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fuel injection nozzle (6) is a throttle type fuel injection nozzle (6) facing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of the diesel engine of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type (all the embodiments of the second invention). ) 제 14 항에 있어서, 연료압실(21)과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를 연통할 수 있는 세로방향의 연료통로(43, 45, 55)를 플런저(15)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모든 실시예)The plunger 15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longitudinal fuel passages (43, 45, 55) are formed in the plunger (15) to communicate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with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 fuel injection pump comprising: (all embodiments of the second invention) 제 14 항에 있어서,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플런저(15)의 하방으로 하강하는 경사방향에 차례로 저부하시, 고부하시 및 시동시에 있어서의 메인포오트(41) 및 보조구멍(42)을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모든 실시예)15. The main port (41)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main main part (41) is sequentially loaded, loaded, and started in an inclined direction falling downward of the plunger (15)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auxiliary hole 42 are opposed to each other. (All embodiments of the second inven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시동시에 있어서의 보조구멍(42)은 상부보조리이드(47)을 형성하고 있지 않는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이것을 대향시킴과 동시에, 시동시에, 있어서의 메인포오트(41)는 상부메인리이드(46)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이것을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모든 실시예)The auxiliary hole 42 at the time of starting opposes this to the upper end part 15A of the plunger 15 which does not form the upper auxiliary guide 47, an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main pot 41 is opposed to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which does not form the upper main lead 46. A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연료압실(21)과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 등을 연통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에 공통한 세로방향 연료통로(55)를 플런저(15)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제 2 실시예)15. The vertical fuel cell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fuel tank 21, the lower main lead 44,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ike, communicate with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n common. A fuel injection pump in which a furnace 55 is formed in the plunger 15.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저부하시 및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보조구멍(42)이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보조리이드(47)를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상부보조리이드(47)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는 역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제3, 제4, 제 5 실시예)15. The upper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is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wherein the subsidiary holes 42 at the low load and the high load face each other.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re inclined in an inclined direction of the auxiliary lead 47. 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the third,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second invention. 제 14 항에 있어서, 고부하시 및 저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 위치에서 함께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에 연통하여도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제4, 제 7 실시예)15. The auxiliary hole 42 is connected to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5 in the feeding direction together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s of the plunger 15 at high load and low load. Also, the main pot 41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lower main lid 44 through the fuel injection pump. (4th and 7th embodiments of the second invention) 제 14 항에 있어서,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서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서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 연통하여도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저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서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 보조구멍(42)의 하부보조리이드(48)에 연통하여도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제5, 제 8 실시예)15. The main port 41 is connected to the lower main lead 44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5 in the feeding direction at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plunger 15 at high load. While the hole 42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the auxiliary hole 42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5 in the pressure feeding direction 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plunger 15 at the time of low load. The main injection port 41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lower main lead 44 even when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48 of the fuel injection pump. (Fifth and Eighth Embodiments of the Second Invention) ) 제 14 항에 있어서,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저부하시 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하여 플런저(15)의 하방으로 하강하는 경사에 대하여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를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에 구배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제5, 제 8 실시예)15.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lower auxiliary lead 48 is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from the lower load side toward the higher load side. A fuel injection pump, wherein the gradient is made larger than the gradient on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Fifth and eighth embodiments of the second inven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저부하시 및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메인포오트(41)가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메인리이드(46)를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상부메인리이드(46)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와는 같은 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제6, 제 7 실시예)15. The upper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upper main lead 46 of which the main port 41 faces at low load and high load.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main lead 46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Sixth and Seventh Embodiments of the Second Inven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저부하시 및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보조구멍(42)이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보조리이드(47)를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상부보조리이드(47)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와는 같은 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제 9 실시예)15. The upper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is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wherein the subsidiary holes 42 at the low load and the high load face each other.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auxiliary lead 47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Nin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저부하시 및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메인포오트(41)가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메인리이드(46)를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상부메인리이드(46)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와는 역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2 발명의 제10실시예)15. The upper main portion 46 of the plunger 15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main port 41 at the low load and the high load.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upper main lead 46 is opposite to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10th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ntion) 펌프하우징(10)과 이 펌프하우징(10)에 부착함과 동시에 연료저류실(20)로 연통하는 연료의 흡입배출구멍(22, 41, 42)을 형성한 플런저배럴(14)과, 이 플런저배럴(14)내에 왕복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또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삽입함과 동시에 흡입배출구멍(22, 41, 42)으로 연통할 수 있는 위치에 경사리이드(44, 48, 53, 54, 98, 99)를 형성한 플런저(15) 등을 구비하여, 이 플런저(15)와 플런저배럴(14) 사이에 연료압실(21)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플런저(15)의 왕복슬라이딩에 따라 연료저류실(20)에서 이 연료압실(21)내로 연료를 흡입하고, 연료분사노즐(6)에 압송하는 연료분사펌프로서 연료분사노즐로서 연료분사노즐(6)로 하여금, 보조연소실식의 디이젤엔진(1, 8)의 보조연소실(4, 9)에 면한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6)으로 함과 동시에 플런저배럴(14)에 흡입 배출구멍(41, 42)으로서 보다 큰 지금의 메인포오트(41) 및 보다 작은 지름의 보조구멍(42)을 형성하고, 플런저(15)에는 이 플런저(15)의 회전운동에 따른 일정범위에 걸쳐서 또한 이 플런저(15)의 상단부(15A)보다 하방위치에서 보조구멍(42)으로 연통할 수 있는 하부보조리이드(48) 및 메인포오트(41)에 연통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44)를 형성하며, 또한 디이젤엔진(1, 8)의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 있어서는 압송방향으로의 이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로 연통하여도 메인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디이젤엔진(1, 8)의 저부하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5)의 회전운동위치에 있어서는 압송방향으로의 플런저(15)의 이동에 따라 메인 포오트(41)가 하부메인리이드(44)에 연통하여도 보조구멍(42)이 하부보조리이드(48)에는 연통하고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3 발명)A plunger barrel 14 which is attached to the pump housing 10 and the pump housing 10 and has formed suction suction holes 22, 41, 42 for communicating with the fuel storage chamber 20; The inclined leads 44, 48, 53, 54, 98, which are inserted into the barrel 14 so as to be reciprocated and rotated, and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discharge holes 22, 41, 42 at the same time. And a plunger 15 having a 99 formed thereon, and forming a fuel pressure chamber 21 between the plunger 15 and the plunger barrel 14, and at the same time as the reciprocating sliding of the plunger 15, A fuel injection pump 6 which sucks fuel into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and pumps the fuel injection nozzle 6 to the fuel injection nozzle 6 causes the fuel injection nozzle 6 as a fuel injection nozzle to have a diesel engine 1 of an auxiliary combustion type. And the suction discharge hole 41 in the plunger barrel 14 as well as the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6 facing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s 4 and 9 of FIG. And 42, the larger main port 41 and the smaller diameter auxiliary hole 42 are formed, and the plunger 15 also has a plunger over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nger 15. A lower auxiliary lead 48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hole 42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end 15A of the upper part 15, and a lower main lead 44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main port 41; In addition, in the rotational movement position of the plunger 15 at the high load of the diesel engines 1 and 8, the auxiliary hole 42 moves to the lower auxiliary guide 48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5 in the feeding direction. The main port 41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lower main lid 44 even when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main lid 44, and 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plunger 15 at the lower load of the diesel engines 1 and 8 in the feeding direction. Even if the main pot 41 communicates with the lower main lead 44 as the plunger 15 moves.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hole (42)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lower auxiliary lead (48). 제 29 항에 있어서, 연료압실(21)과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 등을 연통할 수 있는 세로방향 연료통로(43, 45, 97)를 플런저(15)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3 발명의 모든 실시예)30. The plunger 15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longitudinal fuel passages 43, 45, 97 are formed in the plunger 15 to communicate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with the lower main lead 44,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ike. A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all embodiments of the third invention) 제 29 항에 있어서, 드로틀형의 연료분사노즐(6)은 그 선단부에 분사구멍(37)을 형성한 노즐본체(26)와, 이 노즐본체(26)내를 슬라이딩하여 이 분사구멍(37)을 개폐하는 니이들밸브(30) 등을 구비하고, 니이들밸브(30)의 선단부에는 핀부분(30A) 및 테이퍼부(30B)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핀부분(30A)을 분사구멍(37)의 원주형 내벽부(37A)에 면하게 하고, 또한 이 테이퍼부(30B)를 이 분사구멍(37)의 시이트부(37)의 시이트부(37B)에 시이트시키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3 발명의 모든 실시예)30. The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6)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throttle fuel injection nozzle (6) has a nozzle body (26) having an injection hole (37) formed at the tip thereof, and the nozzle body (26) slides in the nozzle body (26). Needle valve 30 or the lik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eedle valve 30. A pin portion 30A and a taper portion 30B are formed at the tip of the needle valve 30, and the pin portion 30A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hole 37.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inner wall portion 37A of the < RTI ID = 0.0 >) < / RTI > and the tapered portion 30B are seated on the sheet portion 37B of the sheet portion 37 of the injection hole 37. (All embodiments of the third invention) 제 29 항에 있어서,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의 저부하시측에서 고부하시측으로 향하여 플런저(15)의 하방으로 하강으로 경사에 대하여 하부메인리이드(44)의 경사의 구배를 하부보조리이드(48)의 경사의 구배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3 발명의 모든 실시예)The gradi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with respect to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main lead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from the lower load side to the lower load side downwards of the plunger 15.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larger than the gradient of the slope of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ll embodiments of the third invention) 제 29 항에 있어서, 보조구멍(42)의 상단부(42A)가 메인포오트(41)의 상단부(41A) 이하가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3 발명의 모든 실시예)The fuel injection pump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upper end portion 42A of the auxiliary hole 42 is form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upper end portion 41A of the main port 41. (All embodiments of the third invention) 제 29 항에 있어서, 고부하시에 있어서의 메인포오트(41)가 대향하는 경사형의 상부메인리이드(95)를 플런저(15)의 상단부(15A)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상부메인리이드(95)의 경사방향을 하부메인리이드(55) 및 하부보조리리드(48)와는 같은 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3 발명의 제 4 실시예)The upper main lead 95 according to claim 29 is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15A of the plunger 15 with an inclined upper main lead 95 facing the main pot 41 at high load. 95,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fuel injection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direction as the lower main lead 55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Four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제 29 항에 있어서, 연료압실(21)과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 등을 연통할 수 있는 하부메인리이드(44) 및 하부보조리이드(48)에 공통한 세로방향의 연료통로(97)를 플런저(15)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제 3 발명의 제 5 실시예)The lower longitudinal guide 44 and the lower auxiliary lead 48 which communicate with the fuel pressure chamber 21, the lower main lead 44, the lower auxiliary lead 48, and the like. A fuel injection pump comprising a fuel passage 97 formed in the plunger 15. (Fifth Embodiment of the Third Invention)
KR1019940038135A 1993-12-28 1994-12-28 Fuel ejecting pump KR9600102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49170 1993-12-28
JP93-349176 1993-12-28
JP93-349181 1993-12-28
JP5349170A JPH07189861A (en) 1993-12-28 1993-12-28 Fuel injection pump
JP34918193A JP3174932B2 (en) 1993-12-28 1993-12-28 Fuel injection pump
JP5349176A JPH07189862A (en) 1993-12-28 1993-12-28 Fuel injection 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165A KR950019165A (en) 1995-07-22
KR960010290B1 true KR960010290B1 (en) 1996-07-27

Family

ID=2734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135A KR960010290B1 (en) 1993-12-28 1994-12-28 Fuel ejecting pump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665373B1 (en)
KR (1) KR960010290B1 (en)
DE (1) DE69424400T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8537A1 (en) * 2000-12-13 2002-06-20 Yanmar Co., Ltd. Plunger pump of fuel injection pump
CN201412249Y (en) * 2009-05-04 2010-02-24 洪选民 In-line type fuel pump piston of diesel engine
DE102010007137A1 (en) 2010-02-05 2011-08-11 Hoerbiger Automatisierungstechnik Holding GmbH, 86956 Fluid operated actuator on a valv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43B2 (en) * 1979-01-26 1985-03-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fuel injection pump
JPS59200060A (en) * 1983-04-28 1984-11-13 Hino Motors Ltd Fuel injecting device
DE3804018A1 (en) * 1987-06-10 1989-08-24 Kloeckner Humboldt Deutz Ag INJECTION PUMP WITH PRE-INJ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65373B1 (en) 2000-05-10
DE69424400D1 (en) 2000-06-15
DE69424400T2 (en) 2000-08-31
EP0665373A1 (en) 1995-08-02
KR950019165A (en)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1370A (en) Emulsion fuel engine
US5012786A (en) Diesel engine fuel injection system
EP0416460B1 (en) High pressure unit fuel injector with timing chamber pressure control
US5647326A (en) Fuel injection pump
JP2591280B2 (en)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EP0778412B1 (en) Fuel injection pump
US5911207A (en) Fuel injection pump
JP2677709B2 (en) High pressure unit fuel injector with variable effective spill area
KR960010290B1 (en) Fuel ejecting pump
JP2982542B2 (en) Fuel injection device
JP3174932B2 (en) Fuel injection pump
JP3610112B2 (en) Fuel supply system for diesel engine
JP3296012B2 (en)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JP2704636B2 (en) Fuel injection pump
JPH07189861A (en) Fuel injection pump
JPS6226587Y2 (en)
JP2964135B2 (en) Fuel injection device
JP2831150B2 (en) Fuel injection device
JPH07189862A (en) Fuel injection pump
JPH0447417Y2 (en)
JP2573652Y2 (en) Pre-stroke control device for fuel injection pump
JP2589906Y2 (en) Fuel injection device
JPH07189701A (en) Pist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72580B2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diesel engine
JP2553011B2 (en) Fuel injection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