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088Y1 -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088Y1
KR960010088Y1 KR2019930012778U KR930012778U KR960010088Y1 KR 960010088 Y1 KR960010088 Y1 KR 960010088Y1 KR 2019930012778 U KR2019930012778 U KR 2019930012778U KR 930012778 U KR930012778 U KR 930012778U KR 960010088 Y1 KR960010088 Y1 KR 960010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pipe
culvert
s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901U (ko
Inventor
박원선
Original Assignee
박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선 filed Critical 박원선
Priority to KR2019930012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088Y1/ko
Publication of KR950003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0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하수관로 암가 준설장치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지사에 설치된 원치를 가동시켜 연결된 로프를 통해 맨홀 하부의 하수관로 암거내에 설치된 준설용 대차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하수관로 암거안에 침전된 오물 및 토사를 소정위치로 긁어내고 이어서 지상 준설차의 펌프와 연결된 흡입관을 맨홀 아래로 넣어 상기 오물 및 토사를 흡입하여 찌거기는 준설차 탱크안에 축적시키고 여과기를 통해 여과된 물은 다시 호스를 통해 맨홀 안으로 주입시키므로써 하수관로 암거안의 오물 및 토사를 신속하면서도 완전하게 준설하도록 한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는, 맨홀하부의 수직관로안에 설치된 흡입관광과 탱크 및 여과기가 설치된 준설차와 연결된 각각의 펌프와, 상기 수직관로의 벽면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지상의 원치와 로프가 연결된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연결된 상기 로프의 단부와 결합되어서 하수관로 암거에 설치된 대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에 의하면, 하수관로 암거의 폭에 맞게 대차의 본체 양측에 보조체를 임이적으로 부가 설치할수 있으며, 하수관로 암거안의 오물 및 토사의 양에 따라 대차의 불레이드 경사각도를 적절하게 가변시킬수 있으므로써, 맨홀 내부의 하수관로 암거에 쌓인 오물 및 토사를 준설용 대차의 이동에 따라 하수관로 암거의 양단에 쌓은 다음 흡입관을 통해 신속하게 흡입. 배출시킬수 있는 것이다.
도1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준설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준설용 대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3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맨홀 3, 4 : 수직관로
5, 6 : 흡입관 7, 8 : 준설차
7a, 8a : 탱크 7b, 8b : 여과기
7c, 8c : 배출호스 9, 10 : 펌프
11, 12 : 지지프레임 11a, 12a : 회전드럼
13, 14 : 원치 15, 16 : 로프
17 : 하수관로 암거 18 : 대차
19 : 본체 20, 21 : 보조체
22, 25, 26, 30 : 지지봉 23, 24, 31, 32 : 지지판
27, 33 : 블레이드 28, 34 : 보울트
29, 35 : 너트 36 : 결합공
37 : 걸고리 38 : 클램프
39 : 걸림부재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1)(2)하부의 수직관로(3)(4)안에 흡입관(5)(6)이 설치되어 지상의 준설차(7)(8)의 펌프(9)(10)와 결합되고, 상기 수직관로(3)(4)의 벽면에 지지프레임(11)(12)이 설치되며 이 지지프레임(11)(12)의 소정위치에는 회전드럼(11a)(12a)이 설치되어 지상의 원치(13)(14)와 로프(15)(16)로 연결되고, 이 로프(15)(16)의 단부는 하수관로 암거(17)안에 설치된 대차(18)와 결합된 것이다.
또한, 상기 준설차(7)(8)에는 탱크(7a)(8a) 및 여과기(7b)(8b)가 설치되어 있고, 여과기(7b)(8b)에는 배출호스(7c)(8c)가 구비되어 맨홀(1)(2)의 하부로 통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수관로 암거(17)안에서 준설작업을 하는 대차(18)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본체(19)가 구비되고 , 이 본체(19)의 선단 양측에 보조체(20)(21)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9)는 지지봉(22)에 의해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2개의 지지판(23)(24)이 갖추어지고, 본체(19)후미의 상부에는 지지봉(25)이 양 지지판(23)(24)에 결착되며, 상기 본체(19)후미 하부에는 상기 지지봉(25)의 위치와 대각선 방향으로 지지봉(26)이 상기 지지판(23)(24)에 착탈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지지봉(25)(26)에 블레이드(27)가 보울트(28) 및 너트(29)로 착탈되게 끼워져 있다.
한편, 본고안은 상기 본체(19)의 앞쪽에는 좌.우로 보조체(20)(21)가 착탈가능하며 결합되는바. 이 보조체(20)(21)는 지지봉(30)에 의해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2개의 지지판(31)(32)이 구비되고, 그 안쪽 상, 하부에 블레이트(33)가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다.
또, 상기 보조체(20)(21)는 본체(19)의 측면에 보울트(34) 및 너트(35)로 착탈되게 결합된다.
또한, 본 고안의 대차(18)는 본체(19)의 앞, 뒤에 로프(15)(16)가 결착되는데, 지지판(23)(24)(32)의 양단에는 세로로 일정간격을 둔 결합공(36)이 뚫려 이에 훅크형 걸고리(37)를 끼운 후 너트로 조이도록 한 다음 로프(15)(16)를 걸고 클램프(38)를 결착된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체(20)(21)에 경사지게 설치된 블레이트(33)의 경사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5°또는 50°로 할수 있다.
다음은,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맨홀(1)(2)하부의 하수관로 암거(17)에 대차(18)를 투입해야 하는바, 이때에는 대차(18)의 본체(19)만을 맨홀을 통해넣고, 이어서 소정 개수의 보조체(20)(21)를 넣은 다음 하수관로 암거(17)에서 작업자가 본체(19)의 양측 지지판(23)(24)에 보울트(34) 및 너트(35)로 상기 보조체(21)(20)의 양 지지판(31)(32)을 결합시키므로써 본체(19)와 보조체(20)(21)가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로프(15)(16)를 본체(19)의 선, 후단에 형성된 클램프(38)를 통해 묶고, 그 교차점을 클램프로 결착한 다음 수직관로(3)(4)의 벽면에는 지지프레임(11)(12)이 설치되어 있고, 그 소정위치에는 회전드럼(11a)(12a)이 결착되어 이에 상기 로프(15)(16)를 경유시켜 지상에 설치된 원치(13)(14)에 권취한다.
이런 다음에 준설 작업을 하기 위해 원치(13)(14)를 가동시키면 대차(18)는 하수관로 암거(17)안에서 좌,우 이동되면서 침전된 오물 및 토사를 수직관로(3)(4)와 바로 연통되는 지점까지 긁어내면 그 일측으로 설치된 걸림부재(39)(예컴데. H빔등)에 의해 오물 및 토사는 더 이상 전진이동하지 못하고 정체되면서 쌓이게 된다.
그러면 쌓인 오물 및 토사를 지상으로 배출시켜야 하는바, 이때 수직관로(3)(4)에는 흡입관(5)(6)이 설치되어 있어 펌프(9)(10)를 가동시키면 흡입관(5)(6)을 통해 오물 및 토사가 상기 흡입관(5)(6)을 통해 강제 흡입된다.
또, 상기 흡입관(5)(6)으로 흡입된 오물 및 토사는 지사의 준설차(7)(8)의 탱크(7a)(8a)로 유입되어 쌓이는 한편, 상기 준설차(7)(8)의 내부에는 여과기(7b)(8b)가 설치되어 있어 찌꺼기는 여과기(7b)(8b)를 통해 여과되고, 이때 발생된 수분은 다시 배출호스(7c)(8c)를 통해 맨홀(1)(2)안으로 재 투입된다.
한편, 본고안은 하수관로 암거(17)에 준설용 대차(18)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대차(18)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2 또는 도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9)의 양측에 보조체(20)(21)가 구비되어 있는데, 하수관로 암거(17)의 폭에 맞도록 되어 있고, 더욱이 본체(19) 및 보조체(20)(21)에는 블레이드(27)(33)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오물 및 토사를 확실하게 긁어낼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대차(18)는 오물 및 토사의 양에 따라 준설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블레이트(27)(33)의 경사도를 조절할수 있다.
예컨대, 블레이드의 경사각도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본체(19)의 양 지지판(23)(24)의 후미에는 상,하부에 지지봉(25)(26)이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결착되어 있고, 이에 블레이트(27)가 보울트(28) 및 너트(29)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보울트(28) 및 너트(29)를 풀어 지지봉(25)(26)으로부터 블레이트(27)를 해체시킨 다음에 하부의 지지봉(26)을 빼낸다.
즉, 상기 지지봉(26)은 양 지지판(23)(24)에 너트로 고정되어 있어 이 너트를 풀어 지지봉(26)을 분리한 다음 지지판(23)(24)의 소정위치에 뚫려 있는 결합구멍을 통해 상기 분리한 지지봉(26)을 끼운후 너트로 고정시키고 이어서 해체한 블레이트(27)를 결합시면 된다.
또한, 본체(19)의 양측에 결합된 보조체(20)(21)는 보울트(34) 및 너트(35)에 의해 찰탈이 가능하므로 경사각도가 다른 블레이드가 결합된 보조체를 본체(19)의 양측에 결합시키면 된다.
따라서 하수관로 암거(17)의 오물 및 토사의 상태에 따라 본체(19) 및 보조체(20)(21)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블레이드(27)(33)의 경사각도를 적절하게 가변시킬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하수관로 암거(17)안에서 긁어내는 오물 및 토사의 양에 따라 받게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디기 위해 로프(15)(16)가 묶인 걸고리(37)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바, 이는 본체(19) 및 보조체(20)(21)선, 후단의 측면에 세로로 결합공(36)이 뚫려 있어 걸고리(37)를 결착시킨 너트를 풀어 원하는 높이의 결합공에 넣고 다시 너트로 결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하수관로 암거(17)의 폭에 따라 본체(19)의 양측에 보조체를임의적으로 부가 설치할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에 의하면 하수관로 암거의 폭에 맞게 대차의 본체 양극에 보조체를 임의적으로 부가 설치할수 있으며, 하수관로 암거안의 오물 및 토사의 양에 따라 대차의 블레이드 경사각도를 적절하게 가변시킬수 있으므로써, 맨홀 내부의 하수관로 암거에 쌓인 오물 및 토사를 준설용 대차의 이동에 따라 하수관로 암거의 양단에 쌓인 다음 흡입관을 통해 신속하게 흡입. 배출시킬수 있다는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맨홀(1)(2)하부의 수직관로(3)(4)안에 설치된 흡입관(5)(6)과 탱크(7a)(8a) 및 여과기(7b)(8b)가 설치된 준설차(7)(8)와 연결된 각각이 펌프(9)(10)와, 상기 수직관로(3)(4)의 벽면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1)(12)에 설치되며 지상의 원치(13)(14)와 로프(15)(16)가 연결된 회전드럼(11a)(12a)과 상기 회전드럼(11a)(12a)에 연결된 상기 로프(15)(16)의 단부와 결합되어서 하수관로 암거(17)에 설치된 대차(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
  2. 상기 대차(18)는, 지지봉(22)에 의해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2개의 지지판(23)(24)이 갖추어진 본체(19)와, 상기 본체(19)의 지지판(23)(24)의 상부에 결착된 지지봉(25)과, 상기 지지봉(25)의 대각선 방향의 상기 지지판(23)(24)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진 지지봉(26)과, 상기 지지봉(25)(26)에 착탈되게 끼워진 블레이드(27)와, 상기 블레이드(27)가 끼워진 상기 본체(19)의 좌.우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봉(30)에 의해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2개의 지지판(31)(32)이 구비된 보조체(20)(21)와, 상기 보조체(20)(21)에 경사지게 설치된 블레이드(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
KR2019930012778U 1993-07-12 1993-07-12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 KR960010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778U KR960010088Y1 (ko) 1993-07-12 1993-07-12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778U KR960010088Y1 (ko) 1993-07-12 1993-07-12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01U KR950003901U (ko) 1995-02-17
KR960010088Y1 true KR960010088Y1 (ko) 1996-11-22

Family

ID=1935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778U KR960010088Y1 (ko) 1993-07-12 1993-07-12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0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276B1 (ko) * 2022-05-02 2023-01-12 이경일 토출조절기능을 가지는 에어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276B1 (ko) * 2022-05-02 2023-01-12 이경일 토출조절기능을 가지는 에어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01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389A (en) Scraper blade for toothed buckets of earth working machines
US4322868A (en) Sewer and catch basin cleaner
CN110644554B (zh) 河流或水库生态清淤装置和生态清淤系统
CN106337493A (zh) 地下排水管沟疏捞装置及其疏捞方法
KR960010088Y1 (ko) 하수관로 암거 준설장치
US6000152A (en) Culvert cleaning apparatus
JPH08302730A (ja) 浚渫装置
BG62411B1 (bg) Корпус за опорен накрайник на укрепваща плоча за изкопи
US6860044B2 (en) Quick attachable blade
KR200333120Y1 (ko) 차집관로 준설용 활차
JP3862368B2 (ja) 除塵装置
CN213942384U (zh) 一种混凝土搅拌车废水处理装置
KR0174812B1 (ko) 제철소 수수지의 슬러지 처리방법
JP7419141B2 (ja) 汚泥除去用治具及び汚泥除去方法
KR200179087Y1 (ko) 지하철 궤도 주행용 하수구 준설차
CN214997697U (zh) 一种用于竖井横通道施工的注浆装置
KR200389519Y1 (ko) 준설토의 건조를 위한 배수 챔버
CN219863268U (zh) 排水沟槽清淤车
CN218756967U (zh) 一种预制梁桥伸缩缝渗漏水疏导结构
CN211257262U (zh) 一种快速干湿分离窨井清淤车
CN213773751U (zh) 一种城市管道清淤装置
KR0124142B1 (ko) 암거용 준설기
CN113503178A (zh) 一种煤矿巷道支护的组合结构
KR960015774B1 (ko) 혼기젯트 펌프와 활차를 이용한 차집관로 준설방법
JPH0276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