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875Y1 - 압쇄기등의 유압식 개폐공구 - Google Patents

압쇄기등의 유압식 개폐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875Y1
KR960009875Y1 KR2019910011969U KR910011969U KR960009875Y1 KR 960009875 Y1 KR960009875 Y1 KR 960009875Y1 KR 2019910011969 U KR2019910011969 U KR 2019910011969U KR 910011969 U KR910011969 U KR 910011969U KR 960009875 Y1 KR960009875 Y1 KR 960009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ylinder
hydraulic
pist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352U (ko
Inventor
히로시 오까다
도시후미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니혼 뉴우매틱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네 요시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뉴우매틱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네 요시하루 filed Critical 니혼 뉴우매틱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11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875Y1/ko
Publication of KR930002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3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8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3/082Wrecking of buildings using shears, breakers, jaws and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쇄기등의 유압식 개폐공구
제1도는 압쇄기 형태인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면도.
제2도는 동 수직단면 정면도.
제3도는 동 커플링부재와 링크플레이트와의 사이의 이음부의 단면도.
제4도는 보조실린더의 한 예를 도시한 유압회로도.
제5도는 보조실린더의 다른 예를 도시한 유압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프레임 5 : 핀
6 : 작업팔 7 : 유압실린더
9 : 커플링부재 10 : 링크플레이트
21 : 메인실린더 22 : 보조실린더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콘크리트벽을 부수는 압쇄기 또는 강철프레임을 절단하는 강철프레임 커터와 같은, 유압식 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데 적용되는 작업팔을 갖는 압쇄기 등의 유압식 개폐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래의 유압식 공구중의 하나는 핀으로써 프레임에 피벗식으로 커플링되는 중심부를 가진 한쌍의 대향하는 작업팔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작업팔은 내부 중심부로부터 다른 쪽으로 뻗어있는 커플링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부재의 쌍은 핀에 의하여 링크플레이트를 통하여 서로 커플링되어 있다.
유압실린더는 한쌍의 작업팔의 후단사이에 장착되어 팔을 개폐시킨다.
이러한 유압식 공구에 있어서, 작업팔의 클램핑힘은 유압을 증가시킴으로써 간단히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작업효율 뿐만 아니라 동력소비의 견지에서 볼 때 통상적으로 큰 유압을 발생시킨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사용동력이 일정하다면, 압력이 높을수록, 유량이 낮고 따라서 실린더의 작동속도가 느리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팔의 클램핑힘이 꽤 작을때 고속으로 작동할 수 있고 또한 큰 클램핑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압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작업팔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에서 작동될 때는 메인실린더의 피스톤만이 앞 뒤로 움직인다. 따라서 팔은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작업팔을 고압에서 작동시킬 때에는 보조실린더가 작동되고, 따라서 메인실린더에서 높은 유압이 발생한다. 따라서 팔의 클램핑힘이 증가한다.
소형펌프라도 팔을 빨리 움직일 수 있고 큰 클램핑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조실린더가 필요할 때만 작동되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메인실린더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거나 프레임 또는 장착프레임 내에 또는 다른 원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제 본 고안이 압쇄기에서 사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프레임(2)은 동력삽의 아암 또는 붐 신축실린더에 이 프레임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장착프레임(1)에 커플링된다.
프레임(2)은 다른 원하는 방식으로 장착프레임(1)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은 그 위치가 회전구동장치에 의하여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도록 피벗식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프레임(2)은 끝판(3)과 그리고 끝판(3)의 양측에 구비된 한쌍의 측판(4)으로 구성된다.
지지핀(5)은 측판(4)들 사이에 뻗어 있다.
이 실시예의 작업팔로서 한쌍의 압쇄팔(6)은 지지핀(5)상에서 그 중심부에 피벗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유압실린더(7)는 측판(4)사이에 장착되며 압쇄팔(6)의 후단 사이에 뻗어서 팔을 개폐한다. 실린더는 압쇄팔(6)중의 하나에 연결된 한쪽끝과, 다른 끝, 즉 다른 압쇄팔에 연결된 유압실린더(7)의 미끄럼 이동가능한 피스톤로드(8)를 가지고 있으므로, 압쇄팔(6)의 쌍은 유압실린더(7)를 작동시킴으로써 상호 대향방법으로 동시에 피벗회전하게 된다.
각각의 압쇄팔(6)은 내부중심으로 부터 다른쪽 팔(6)을 향하여 돌출하는 커플링부재(9)로 구비되어 있다.
커플링부재(9)중의 하나는 지지핀(5)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의 한쪽에 위치되면 다른 하나는 가상선의 다른쪽에 위치한다. 각각의 커플링부재(9)는 2갈래로 분기된 끝을 갖고 있다.
링크플레이트(10)는 커플링부재(9) 쌍의 사이에 뻗어 있다.
링크플레이트(10)는 커플링부재(2)의 분기부 사이에 수용되는 양끝을 가지고 있으며 핀(11)을 통하여 커플링된다.
링크플레이트(10)의 양끝에 형성된 핀구멍(12)은 핀(1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어 이들 직경 사이에 간극(A)을 형성하는데, 이는 압쇄팔(6)의 끝들이 서로 맞닿아 있을 때는 대략 영으로 된다.
측판(4)중의 하나는 커터지지부(13)과 함께 선단에 형성된다.
플레이드(14)는 그 양측상에 고정장착된다. 가동블레이드(15)는 고정블레이드(14)와 협동하도록 압쇄팔(6)의 내부 가장자리상에 장착된다.
고정블레이드(14)와 가동블레이드(15)와의 사이에 놓여진 보강바아는 압쇄팔(6)의 피벗운동에 의하여 절단된다.
압쇄팔(6)은 피스톤로드(8)가 팔을 개폐하기 위하여 압유를 유압실린더(7)에 공급함으로써 전방이동 됨에 따라 지지핀(5) 주위를 피벗 회전한다.
압쇄팔(6)의 내부에 구비된 커플링부재(9)가 링크플레이트(10)를 통하여 서로 커플링되어 있으므로, 이들은 실린더(7)를 작동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동일각도씩 대향방향으로 동시에 피벗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압쇄팔(6)의 끝사이에 위치된 콘크리트벽이 압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압실린더(7)는 메인실린더(21)와 메인실린더(21)내의 압유가 소정의 레벨로 증가할때 작동되어 메인실린더(21)내의 유압을 더욱더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는 보조실린더(22)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실린더(22)는 제4 또는 제5도에 도시된 것일 수도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보조실린더(22)는 보조실린더(22)의 보어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구멍(24)으로 형성된 끝판(23)을 통하여 메인실린더(21)의 후부에 체결된다. 메인실린더(21)내에는 피스톤로드(8)가 체결된 피스톤(25)이 장착되어 있다.
보조실린더(22)내에는 구멍(24)내에서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플런저(27)를 전방부에 일체적으로 구비된 피스톤(26)이 장착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유압회로는 펌프(32)와 오일탱크(33) 각각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P 및 T 포오트로 구비된 솔레노이드 전환밸브(31)를 가지고 있다.
A 포오트는 메인실린더(21)의 후방챔버로 이어지는 A1포오트와 보조실린더(22)의 후방챔버로 이어지는 A2포오트와 연이어 통하여진 상태로 있다. 시이퀀스밸브(34)는 A포오트와 그리고 A포오트측에서의 유압이 높을 때 180kg/cm이상일때 개방되도록 되어 있는 A포오트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게다가, 전환밸브(31)는 메인실린더(21)의 전방챔버와 연결된 B1포오트와 연이어 통하는 B포오트와, 보조실린더(22)의 전방챔버와 차례로 연이어 통하는 B2포오트를 가지고 있다. 시이퀀스밸브(35)는 B포오트와 B1포오트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시이퀀스밸브(35)는 또한 180kg/cm에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파일럿조작 체크밸브(36)는 A포오트와 A1포오트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이것은 보통 A포오트로 부터 A1포오트까지의 자유유동을 허용하고 B포오트에서의 압력이 파일럿조작 체크밸브(36)를 작동시키는 압력에 도달할때 역유동을 허용한다.
보조실린더(22)는 메인실린더(21)로부터 분리장착되고 유압호스를 통하여 메인실린더(21)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제 보조실린더(22)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솔레노이드 전환밸브(31)가 중립위치에 있고 그리고 피스톤로드(8)와 플런저(27)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양 압쇄팔(6)은 제1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개방된다.
전환밸브(31)가 이 상태에서 왼쪽으로 이동되면, 펌프(32)내의 압유는 P포오트, A포오트, 체크밸브(36), A1포오트를 통하여 흐르며, 따라서 메인실린더(21)의 후방 챔버내의 유압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메인실린더(21)의 전방챔버내의 오일은 B1포오트, 시이퀀스밸브(35)의 체크밸브, B포오트, T포오트를 통하여 흐르고 탱크(33)로 되돌아간다. 이로써 피스톤(25)이 전방이동하게 되며 압쇄팔(6)은 피스톤로드(8)에 의하여 서로를 향하여 피벗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팔(6) 사이에 끼인 콘크리트등이 압쇄된다.
그러나 메인실린더(21)만으로 콘크리트를 압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피스톤(25)이 전방이동중 정지하게될 것이다. 그러나 펌프(32)는 줄곧 작동이 유지되기 때문에 포오트 A에서의 유압은 급격히 상승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압이 180kg/cm에 도달할 때, 시이퀀스밸브(34)가 개방되고, 고압유가 A2포오트로부터 보조실린더(22)의 후방챔버로 흐르게 된다.
한편, 보조실린더(22)의 전방챔버에 이르는 B2포오트는 이 상태에서 T포오트를 통하여 오일탱크(33)와 연이어 통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6) 전방에 형성되어 있느 보조실린더(22)의 챔버내의 오일은 자유롭게 방출될 수 있다.
메인실린더의 후방챔버내의 유압은 플런저(27)의 전방끝에 가해진다.
플런저(27)가 피스톤(26)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26)을 미는 유압은 2곳의 단면적의 차이에 상응하는 비율만큼 더 커진다.
따라서 플런저(27)는 앞쪽으로 밀리며 피스톤(25)의 후방챔버내의 유압은 플런저(27)의 단면적에 대한 피스톤(26)의 단면적의 비율에 상응하는 비율로 증가한다. 실시예에서, 플런저(27)는 피스톤(25)의 후방챔버의 유압이 180kg/cm일 때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2곳의 단면적간의 비율이 2라면, 피스톤(25)의 후방챔버내의 유압은 2×180=360 kg/cm이 된다.
그러나 보조실린더(22)는 크기가 작고 피스톤(26)의 행정이 짧기 때문에, 단일행정으로 충분한 결과가 얻어질 수 없다.
이 경우에, 피스톤(26)이 전방으로 이동한 후 전환밸브(31)는 오른쪽으로 전환되어 피스톤(26)을 일시적으로 후퇴시킨다. 바로 직후에 전환밸브는 왼쪽으로 전환되어 피스톤(26)을 재차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피스톤(25)은 상기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고유압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피스톤(26)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포오트의 위치를 P로부터 B로 그리고 T로부터 A로 전환시킨 후에, 전환밸브(31)를 오른쪽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펌프(32)로부터의 압유는 P포오트, B포오트, B포오트를 통하여 흐르고, 반면에 A포오트는 A포오트 및 T포오트를 통하여 오일탱크(33)와 연이어 통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보조실린더(22)의 후방챔버는 시이퀀스밸브(34)내의 체크밸브를 통하여 탱크(33)와 연이어 통하므로 유압은 급격히 하강한다. 반면에, 펌프(32)로부터의 압축오일은 보조실린더(22)의 전방챔버로 도입된다. 따라서 피스톤(26)은 일시적으로 후퇴한다.
이 상태에서 유압은 시이퀀스밸브(35)상에도 역시 작용한다.
그러나 피스톤(26)의 수축 후퇴에 기인하여, 유압은 시이퀀스밸브(35)를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레벨까지 상승하지는 않게 된다. 게다가 체크밸브(36)는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단지 피스톤(26)만이 후퇴한다.
피스톤(26)을 후퇴시킨 직후에, 전환밸브(31)는 왼쪽으로 전환되어 피스톤(26)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작동은 콘크리트가 압쇄될 때까지 반복된다.
콘크리트를 압쇄한 후, 전환밸브는 오른쪽으로 전환되고 이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보조실린더(22)내의 피스톤(26)은 행정끝까지 후퇴한다.
B포오트내의 유압이 시이퀀스밸브(35)에 대한 설정 압력에 도달했을때, 시이퀀스밸브(35)는 개방되게 된다. 동시에 체크밸브(36)도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A포오트가 A포오트와 T포오트를 통하여 오일탱크(33)와 연이어 통하게 되므로 오일은 시이퀀스밸브(35) 및 B1포오트를 통하여 메인실린더(21)의 전방챔버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5) 및 피스톤로드(8)는 후퇴하여 압쇄팔(6)을 제1도에 도시된 개방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제 제5도에 도시된 보조실린더(22)를 설명한다. 제5도에 있어서, 보조실린더(22)는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실제 크기의 보조실린더(22)는 메인실린더(21)보다 훨씬 작다.
제5도에 있어서, 피스톤로드(8) 근처의 메인실린더내의 챔버중의 하나는 전방챔버(45)로 호칭되며, 피스톤로드(8)에서 멀리 떨어진 것은 후방챔버로 호칭된다.
오일라인(47)은 유압포오트의 방출포오트에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오일라인(48)은 오일탱크(33)에 연결되어 있다.
오일라인(47)은 4방향 전환밸브의 형태로 제어밸브(50)의 압유공급 포오트와 연이어 통한다. 오일라인(48)은 제어밸브(50)의 오일방출 포오트와 연이어 통한다. 제어밸브(50)는 오일라인(50, 51)과 연이어 통하는 2개의 부하걸린 포오트를 가지고 있다.
오일라인(50, 51)은 메인실린더의 후방챔버(46) 및 전방챔버(45)와 연이어 통한다. 파일럿·조작 체크밸브(53)는 후방챔버(46)로부터의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일라인(51)내에 구비되어 있다.
그 파일럿회로(54)는 오일라인(52)과 연이어 통한 상태로 있다.
대직경의 부스터 피스톤(57)은 부스터 피스톤챔버(56)내에 장착되어 있다. 소직경의 부스터 유니트(58, 59)는 부스터 피스톤(57)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부스터 피스톤챔버(56)와 연이어 통하는 소직경이 부스터 챔버(60, 61)내에 수용된다.
메인실린더(21)의 후방챔버(46)는 체크밸브(62, 63) 각각을 가지는 오일라인(64, 65)을 통하여 부스터 챔버(60, 61)에 연이어 통하며, 이에 따라, 부스터 챔버(60, 61)로부터 후방챔버(46)로의 오일유동을 허용하지만 그 역방향유동은 허용하지 않는다.
오일라인(66, 67)은 각각의 부스터 유니트(58, 59)내에 구비되어 이를 통하여 부스터 챔버(60, 61)는 부스터 피스톤챔버(56)의 양측과 연이어 통한다.
체크밸브(68, 69)는 각각의 오일라인(66, 67)내에 구비되어 부스터 챔버(60, 61)로부터 피스톤 챔버(56)로의 역류를 방지한다.
좌측 부스터 유니트(59)는 우측의 것(58)보다 훨씬 길다. 환형홈(70)은 좌측 부스터 유니트(59)의 외부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반면 3개의 환형홈(71, 72, 73)은 부스터 챔버(61)의 내부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스풀타입 위치검출부재(75)를 구성한다.
유압제어식 스프링-복귀형 자동전환밸브(81)는 회로(51)로부터 분기한 오일라인(76), 환형홈(71)에 이르는 오일라인(77), 그리고, 부스터 피스톤챔버(56)의 전·후방부에 이르는 오일라인(78, 79) 사이의 상호연결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오일라인(76)은 또한 오일라인(74)을 통하여 환형홈(73)에 연결된다. 전환밸브(81) 제어용 오일라인(80)은 환형홈(72)에 연결되어 있다.
오일라인(76)의 중도에는, 오일라인(76)내의 유압이 소정의 레벨 이상 상승될 때 개방되도록 되어 있는 시이퀀스밸브(82)가 구비되어 있다.
오일라인(77)으로부터 분기되어 오일라인(52)에 연결된 오일라인(84)의 도중에는 오일라인(52)으로 부터 오일라인(77)으로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85)가 구비되어 있다.
오일라인(47)으로부터 분기된 오일라인내에는 오일라인(47)내의 유압이 소정의 레벨 이상 상승할 때 오일탱크(33)로 오일을 복귀시키기 위한 릴리이프밸브(86)가 구비되어 있다.
이제 제5도에 도시된 보조실린더(22)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중의 우측을 전방으로, 좌측을 후방으로 가정한다.
제어밸브(50)가 제5도에서 도시된 중립위치로부터 좌측의 작업 위치로 전환될 때 유압펌프(32)로 부터의 압유는 오일라인(51)을 통하여 흘러 파일럿체크밸브(53)를 개방시키고, 메인실린더(21)의 후방챔버(46)로 유압하는 반면에 전방챔버(45)내의 오일은 제어밸브(50)를 통하여 탱크(33)로 복귀된다.
따라서 피스톤(25)은 로드(8)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만약 피스톤(25)이 로드(8)상의 부하 때문에 중간에 정지하게 되면, 후방챔버(46)로 유입하는 압유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 압력이 시이퀀스밸브(82)의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때, 시이퀀스밸브(82)가 개방되어 압유가 자동전환밸브(81)를 통하여 부스터 피스톤챔버(56)의 전방챔버로 유입되게 한다. 따라서 유압은 부스터 피스톤(57)의 전방표면과 부스터 유니트(58)상에 작용하여 후방으로 민다.
이 작동중에, 메인실린더(21)의 후방챔버(46)내의 유압은 체크밸브(62, 63)상에 작용하고, 부스터 챔버(60, 61)는 오일로 채워진다.
이 상태에서, 부스터 유니트(59)의 끝면의 면적은 피스톤(57)과 부스터 유니트(58)의 후방끝면의 면적보다 더 작기 때문에, 챔버(61)내의 유압은 후방챔버(46)내의 유압보다 더 높게 유지된다. 따라서, 고압유는 체크밸브(63)를 밀어서 개방시킴으로써 후방챔버(46)로 유입하게 된다.
결국 부스터 피스톤(57)이 후방이동 이동되어 환형홈(70)과 환형홈(72, 73)과의 사이의 연이어 통함을 개방하여, 그결과 오일라인(74, 80) 사이의 연이어 통함을 개방시킬 때 오일라인(74)내의 압유는 오일라인(80)으로 유입하게 되어, 자동전환밸브(81)의 위치를 전환시킨다.
이 상태에서, 압유는 부스터 피스톤챔버(56)의 후방부로 유입하게 되어, 부스터 피스톤(57)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부스터 피스톤챔버(56)의 전방부내의 오일은 전환밸브(81)를 통하여 오일라인(77)으로 유입하여 체크밸브(85)를 개방시키고, 오일라인(84, 52)을 통하여 오일탱크(33)로 복귀한다.
동시에, 부스터 피스톤챔버(56)내의 압유는 오일라인(67)을 통하여 흘러 체크밸브(69)를 개방시키고 부스터 챔버(61)내로 유입한다.
그러나 후방챔버(46)내의 압력이 높은 한, 체크밸브(63)는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후방챔버(46)로부터의 역류를 막는다. 따라서, 후방챔버(46)내의 압력은 높게 유지된다.
부스터 피스톤(57)이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대, 부스터 피스톤(57)과 일체로 된 부스터 유니트(58)는 그 압력이 증가하면서 체크밸브(62)를 개방시킴으로써 부스터 챔버(60)내의 오일을 후방챔버(46)로 밀게 된다.
부스터 피스톤(57)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환형홈(70)도 역시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오일라인(74, 80)사이의 연이어 통함이 먼저 차단되고, 따라서 전환밸브(81)를 원래 위치에 유지시킨다. 피스톤(57)이 더욱더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환형홈(70)은 환형홈(71, 72)들을 연이어 통하고 그리고 전환밸브(81)를 작동시키기 위한 오일라인(80)은 오일라인(84)과 연이어 통하게 된다. 따라서 전환밸브(81)는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복귀되게 되고 전환밸브(81)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된 오일은 오일라인(80)과 환형홈(72, 70, 71)을 통하여 흐르게 되어, 체크밸브(85)를 개방시키고 나서 오일라인(84, 52), 변환밸브(50) 및 오일라인(48)을 통하여 오일탱크(33)로 유입된다.
전환밸브(81)가 그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 부스터 피스톤(57)은 재차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부스터 피스톤(57)은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따라서 그 전후방에 구비된 부스터 유니트(58, 59)로 고압유를 반복적으로 밀어낸다.
메인실린더(21)의 후방챔버(46)내의 유압이 증가하고 피스톤(25)은 큰 힘으로 밀린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공구로 구비된 압쇄기는 콘크리트 덩어리를 압쇄시킬 수 있다. 제어밸브가 좌측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은 이 작동은 자동적으로 반복된다.
압쇄작업이 끝났을 때, 제어밸브는 우측으로 전환되므로, 오일라인(51)은 오일라인(48)을 통하여 오일탱크(33)로 개방되고, 오일라인(52)는 오일라인(47)을 통하여 유압펌프(32)로 개방된다.
따라서 유압은 파일럿회로(54)에 가해져서 체크밸브(53)를 개방시키고 메인실린더(21)의 후방챔버(46)내의 오일을 오일탱크(33)로 복귀시킨다.
피스톤(25)은 후방챔버(45)내의 유압하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후, 제어밸브(50)는 중립위치까지 후방으로 이동한다.

Claims (1)

  1. (정정) 핀에 의하여 프레임에 피벗식으로 커플링되어 있는 중심부를 각각 가진 대향하는 한쌍의 작업팔, 그 내부 중심부로 부터 다른 팔 쪽으로 뻗어 있는 커플링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상기 작업팔, 핀에 의하여 링크플레이트를 통해 그 끝에서 서로 커플링되어 있는 상기 커플링부재의 쌍, 및 상기 작업팔의 쌍의 후단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는 유압공구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메인실린더와, 상기 메인실린더내의 유압이 소정의 레벨로 증가할때 작동되어 메인실린더내의 유압을 더욱더 증가시키도록 하는 보조실린더로 구성되고 펌프(32)와 보조실린더(22)의 압력을 받는 면을 연결하는 오일라인의 도중에 주실린더(21)와 펌프(32)를 연결하는 오일라인의 압력이 일정압력에 달했을 때에 열리는 시이퀀스밸브(34, 82)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쇄기 등의 유압식 개폐공구.
KR2019910011969U 1991-07-29 1991-07-29 압쇄기등의 유압식 개폐공구 KR960009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969U KR960009875Y1 (ko) 1991-07-29 1991-07-29 압쇄기등의 유압식 개폐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969U KR960009875Y1 (ko) 1991-07-29 1991-07-29 압쇄기등의 유압식 개폐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352U KR930002352U (ko) 1993-02-25
KR960009875Y1 true KR960009875Y1 (ko) 1996-11-18

Family

ID=1931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969U KR960009875Y1 (ko) 1991-07-29 1991-07-29 압쇄기등의 유압식 개폐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8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352U (ko) 199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6465A (en) Oil pressure device
US4833971A (en) Self-regulated hydraulic control system
EP1580437B1 (en) Hydraulic cylinder for use in a hydraulic tool
US4065010A (en) Swing valve circuit
JPH0565769A (ja) 破砕工具用の駆動装置
US3250028A (en) Universal bucket for a tractor mounted loader
JP2011237037A (ja) 油圧システム用の再生マニホルド、油圧作動システム、及び油圧作動システムに加圧油圧流体を提供する方法
US6481749B2 (en) Auto-up switch for simultaneously retracting a pair of stabilizer legs on a backhoe loader machine
US3641876A (en) Two-speed hydraulic control system
US4718325A (en) Hydraulic swing control for boom assembly
JP2554476B2 (ja) 圧砕機等の油圧シリンダの増速回路
KR960009875Y1 (ko) 압쇄기등의 유압식 개폐공구
US4389153A (en) Backhoe swing mechanism
US11578474B2 (en) Hydraulic cylinder, for example for use with a hydraulic tool
US3605561A (en) One handle sequence selecting valving for crowd cylinders
JPS60227001A (ja) 増圧式シリンダ装置
KR102704482B1 (ko) 승압기를 구비한 유압 실린더
US3490338A (en) Sequencer for hydraulic motors
JP2581029Y2 (ja) 破砕機
JP3046870U (ja) 油圧シリンダの連動制御回路
JP2900324B2 (ja) 油圧破砕機の駆動回路
US3250411A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tractor loader
JP2010071441A (ja) 増圧式シリンダ装置
KR20230056345A (ko) 승압기를 구비한 유압 실린더
JPH04102704A (ja) 油圧シリンダのための脈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