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798Y1 -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 Google Patents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798Y1
KR960009798Y1 KR2019930014753U KR930014753U KR960009798Y1 KR 960009798 Y1 KR960009798 Y1 KR 960009798Y1 KR 2019930014753 U KR2019930014753 U KR 2019930014753U KR 930014753 U KR930014753 U KR 930014753U KR 960009798 Y1 KR960009798 Y1 KR 960009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older
holder housing
motor
housing
mo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447U (ko
Inventor
강갑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4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798Y1/ko
Publication of KR9500074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제1도는 종래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에 대한 도면으로,
(a)는 브러쉬홀더 하우징이 장착될 모터프레임의 단면도.
(b)는 하우징에 브러쉬홀더가 조립된 상태.
(c)는 제1도 (b)의 종단면도.
(d)는 모터프레임에 브러쉬홀더 하우징을 체결한 상태.
제2도는 본 고안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에 대한 도면으로,
(a)는 하우징에 브러쉬홀더가 조립된 상태.
(b)는 제2도 (a)의 종단면도.
(c)는 제2도 (a)의 정면도.
(d)는 모터프레임에 브러쉬홀더 하우징을 체결한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브러쉬홀더 102 : 브러쉬홀더 하우징
103 : 모터프레임 104 : 이중곡면
105 : 돌기
본 고안은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류자전동기 모터프레임에 형성되는 브러쉬의 중성점을 바로잡아 전류불꽃불량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 브러쉬홀더 하우징(이하 하우징이라 한다)과 그 주변은 브러쉬를 지지하는 브러쉬홀더(1)와 상기 브러쉬홀더를 모터프레임(3)에 장착시키는 하우징(2)으로 구성되었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구성을 포함하며 가전용 제품에 사용되는 정류자 전동기는 회전토오크와 회전수의 특성곡선을 잘 이용해야 한다.
즉, 믹서나 쥬서 등은 고회전토오크 특성을 요구하는 경우이고 전공청소기 등은 고흡입력을 필요로하여 고속회전을 요하는 경우이다.
그런데 이들 특성을 내기 위해서 가장 어려운 과제는 정류불꽃불량을 줄이는 문제점이다. 상기 정류불꽃불량을 여러가지 요인이 있지만 전기적으로 가장 큰 요인은 브러쉬의 중성점 위치가 어디에 있느나 하는 것이다.
브러쉬의 중성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전기자의 코일권선을 적당히 이동하여 전기자 코어슬롯과 전류자편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방법이 일차적으로 행해지며, 브러쉬홀더(1)의 위치와 고정자의 극호(pole arc)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도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터프레임(3)에 취부되는 하우징(2)의 좌우비대칭에 따라 카본브러쉬의 이상마모 및 정류불꽃불량이 발생하는 것에는 확실한 대책이 미미하다.
그 이유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프레임(3)의 형성은 재료두께와 프레임의 깊이에 따라 외경 D1,D2,D3의 치수가 다르다.
이상적인 경우에는 D1=D2=D3가 되어야 하나 통상적으로 모터프레임(3)의 외경은 D1〉D2, D2〈D3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하우징(2)에 브러쉬홀더(1)를 삽입하여 제1도의 (d)와 같이 모트프레임(3)의 외경면에 하우징(2)을 리벳이나 스크류로 체결시, 모터프레임(3) 외경과 하우징(2)의 곡면(R)이 d1×d2인 관계를 발생시키면서 서로 면접촉이 되지 않고 중심선(A)를 기준으로 e1, 과 e2가 일치하지 않는다.
즉, 중심선(A)을 기준으로 좌측 브러쉬홀더 구멍과 우측 브러쉬홀더 구멍이 일치되지 않는다.
결국 브러쉬 중성점이 어긋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브러쉬의 정류불꽃불량 및 브러쉬 끝부 파손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에 장착되는 브러쉬홀더가, 모터프레임에 끼워지는 방향을 기준축으로 하여, 상하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하좌우 기울림 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브러쉬 기울어짐에 의한 정류불꽃불량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이하 하우징이라함)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류자전동기에서 모터프레임(103)에 형성되는 브러쉬홀더(101)가, 모터프레임에 끼워지는 방향을 기준축으로 하여, 상하,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러쉬홀더 하우징(102)에 상하, 좌우기울림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 좌우기울림 방지수단은 상하기울림을 방지하는 이중곡면(104)와 좌우기울림을 방지하는 돌기(10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곡면(104)은 모터프레임(10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폭(ℓ1)을 가지고 반지름 방향으로는 일정높이(h1)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돌기(105)는 모터프레임의 구멍과 형합되는 곳에 다수개 형성되어 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설명과 이에 따르는 효과를 이하에서 기술한다.
제2도의 (c)와 하우징(102)의 돌기(105)를 모터프레임(103)의 구멍과 형합되는 곳에 형성하고 하우징 곡면(1)의 하단부에 또다른 곡면(R1)을 높이(h1)와 폭(ℓ1)을 갖도록 구성하여 모터프레임(103)의 재료두께 편차나 외경의 불일치인 경우라도 돌기(105)와 하단부 2중곡면(104) 부위가 모터 프레임(103)에 선접촉 또는 면접촉된다.
따라서 브러쉬홀더 구멍의 좌우대칭은 물론 상하수평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모터프레임과 브러쉬홀더 하우징의 곡면 및 돌기가 면접촉 또는 선접촉이 확실하게 되는 것이므로 프레임과 브레쉬홀더 하우징의 곡면부 뜸현상이 개선되어 정류불꽃불량을 줄일 수 있고 이상소음 및 브러쉬 수면시간 개선의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모터프레임에 결합되어 브러쉬홀더를 지지하는 브러쉬홀더 하우징에 모터프레임에 끼워지는 방향을 기준 축으로 하여 상하,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러쉬홀더 하우징에 상하좌우기울림 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좌우 기울림방지수단은 브러쉬홀더 하우징 일단에 형성되어 상하기울림을 방지하는 이중곡면과. 브러쉬홀더 하우징에 형성되어 좌우기울림을 방지하는 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 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이중곡면은 모터프레임의 중심축방향으로 일정폭을 가지고 반지름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4. 제 2항에 있어서. 돌기는 모터프레임의 구멍과 형합되는 곳에 다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KR2019930014753U 1993-08-02 1993-08-02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KR960009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753U KR960009798Y1 (ko) 1993-08-02 1993-08-02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753U KR960009798Y1 (ko) 1993-08-02 1993-08-02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47U KR950007447U (ko) 1995-03-21
KR960009798Y1 true KR960009798Y1 (ko) 1996-11-11

Family

ID=1936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753U KR960009798Y1 (ko) 1993-08-02 1993-08-02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7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47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9798Y1 (ko) 정류자전동기의 브러쉬홀더 하우징
US4166968A (en) Electrically isolated brush holder
JP3187356B2 (ja) 洗濯機駆動用ブラシレスモータ
CN212572225U (zh) 一种励磁支架和轴向磁路电机
JP2023502453A (ja) ブラシ付モータ及びブラシ装置
KR200161191Y1 (ko) 쉐이딩 폴 모터용 엔드 플레이 조절 와셔
JPH10322960A (ja) 電動機
KR200304620Y1 (ko) 전동기
KR100610722B1 (ko) 레이디얼 에어갭형 직류 브러시리스 모터
KR970005304Y1 (ko) 청소기 모터의 회전자 밸런스 고정용 웨지(wedge)구조
US3423612A (en) Motor starting device
KR100226407B1 (ko) 가전용 모터의 로터
KR200144413Y1 (ko)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
KR930008382Y1 (ko) 고정자 철심
KR100234745B1 (ko) 전동기의 회전자
EP1136711B1 (en) A bearing with adjustable contact element for supporting spindles during machining
SU1739422A2 (ru) Щеткодержатель дл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KR860001748Y1 (ko) 정류자와 전용지그
KR19980035397A (ko) 영구자석형 전동기
JPH08298743A (ja) 回転電機
KR0120842Y1 (ko) 정류자 모터의 권선형 회전자 코일 보호장치
KR890007226Y1 (ko) 세이팅(Shading)형 유도 모우터
KR940003602Y1 (ko) 레진 팩 모터의 리이드 와이어 인출 구조
JPH11159497A (ja) 電動送風機
KR970009444B1 (ko) 세이딩 코일 모터의 에나멜선 권선이 용이한 고정자 철심 및 권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