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773Y1 -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 - Google Patents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773Y1
KR960009773Y1 KR2019940014523U KR19940014523U KR960009773Y1 KR 960009773 Y1 KR960009773 Y1 KR 960009773Y1 KR 2019940014523 U KR2019940014523 U KR 2019940014523U KR 19940014523 U KR19940014523 U KR 19940014523U KR 960009773 Y1 KR960009773 Y1 KR 960009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guide
screw portion
separato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619U (ko
Inventor
이은평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김만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김만제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4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773Y1/ko
Publication of KR9600006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6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
제1도는 일반적인 쵸크 클램프 핀의 장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린더 20 : 핀
30 : 프레임 40 : 지지 플레이트
50 : 보울트 부재 60 : 연결 스크류
70 : 가이드(Guide) 80 : 햄머(Hammer)
본 고안은 사상 압연기의 쵸크 클램프(Chock Clamp)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도중에 열연공장의 사상 압연기 워크롤(Work Roll)이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쵸크 클램프 실린더의 고정용핀을 설비의 수리시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분해토록 한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상 압연기에 있어서는, 두 개의 워크를 사이에서 조압연기를 거친 바아(Bar)가 압축되어 압연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상기 워크롤 바아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의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며 이를 트러스트력(Thrust force)이라 한다. 상기 트러스트력에 의하여 워크롤이 바깥쪽으로 밀려나오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방지토록 한 것이 쵸크 클램프이다.
이러한 쵸크 클램프는 통상적으로 한 개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고, 워크롤을 인입하기 전에는 열려 있으며, 상기 워크롤을 인입하고 압연되는 동안에는 닫혀져 워크롤을 가두고 있는 것이다.
즉, 그 종래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압실린더(110)의 헤드(Head)측단부(111)는 핀(120)에 의해 사상 압연기 본체에 고정되고, 로드(Rod)측 단부(112)는 워크롤(미도시)을 고정(Chuck)하고 있다.
미설명부호 (130)은 프레임이다.
한편, 설비고장이나 실린더 교환시에는 그 분해를 위하여 상기 핀(120)을 장치로부터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핀(120)의 제거작업은, 우선 핀(120)의 단부에 환봉등을 용접하고, 다음에 유압잭(Jack)이나 햄머(Hammer)로 타격하여 상기 핀(120)을 헤드측 단부(111) 및 로드측 단부(112)로부터 빼낸다.
그러나, 이렇게 핀을 빼내는 경우에는 용접기로 열을 가하게 되어 핀 자체에 열변형이 발생되며, 실린더 헤드부의 연결부위에도 열변형이 발생되어 설비의 수명 단축 및 타부위의 고장을 유발하는 것이었으며, 또한 한번 용접하여 빼내진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분해, 조립시마다 새로운 핀을 사용하여야 했으며, 용접을 통해 핀을 부착된 환봉 등을 햄머등으로 타격시 용접부위의 크랙에 의하여 환봉등이 순간적으로 이탈되어 날아가는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쵸크 클램프의 실린더 단부에 삽입되어 워크롤을 지지하도록 된 핀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거함으로써 설비의 보수유지를 용이하도록 한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고안은, 실린더의 헤드측 단부는 핀에 의해 사상 압연기 본체에 연결되고, 로드측 단부는 핀에 의해 워크롤을 지지토록 한 사상 압연기의 쵸크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핀은 일측 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핀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연결 스크류의 타측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스크류의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는 타측 단부에 스토퍼가 일체로 고정됨은 물론, 상기 가이드를 따라 미끄럼 가능토록 설치되어 가이드의 단부 스토포에 타격력을 가할 수 있도록 햄머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 크램프 핀 분리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실린더(10)의 헤드측 단부(11)와 로드축 단부(12)에서 그 단부(11)(12)의 지지를 위하여 삽입되어 설치되는 핀(20)은, 그 일측 단부에 길이방향의 암나사부(21)를 형성하고, 그 외주부에는 그리스 급지용 구멍(22)이 다수개 형성되며, 암나사부(21)가 형성된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적정한 깊이를 가지는凹형 턱(23)이 형성된다.
상기 핀(20)은 실린더(10)의 헤드측 단부(11)와 로드측 단부(12)를 수용하는 프레임(30)의 관통구멍(31)으로 삽입되고, 상기凹형 턱(23)에는 판재형상의지지 플레이트(40)가 끼워져 핀(20) 외표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보울트 부재(50)를 매개로 프레임(3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핀(20)의 암나사부(21)에 결합되는 연결 스크류(60)는 양측 단부에 수나사부(61)를 형성하며, 일측의 수나사부(61)는 상기 핀(20)의 암나사부(21)에 결합되고, 타측 수나사부(61)는 가이드(70)의 일측 단부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70)는 환봉부재로서, 일측 단부의 중앙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암나사부(71)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 스크류(61)의 수나사부(61)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그 외경보다 더 크고 또한 후술하는 햄머(80)의 관통구멍(81)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 스토퍼(72)가 일체로 갖추어진다.
상기 가이드(70)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그 가이드(7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된 햄머(80)는 중앙부에 가이드(70)가 기워져 관통될 수 있도록 그 가이드(70)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관통구멍(81)을 형성하고, 이러한 햄머(80)의 외주면에는 그 반경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손잡이(82)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비 고장이나 실린더 교환을 위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본 고안의 핀(20)을 실린더(10)의 헤드측 단부(11) 및 로드축 단부(12)로부터 분해하여 빼내기 위하여는, 우선 프레임(30)에 보울트 부재(50)로서 장착되며 핀(20)의凹형 턱(23)에 삽입된 지지 플레이트(40)를 그 프레임(30)과 凹형 턱(23)으로부터 빼내며, 이는 보울트 부재(50)를 프레임(30)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핀(20)의 일단부에 연결 스크류(60)로서 가이드(70)에서 미끄럼 가능하도록 된 햄머(80)를 상기 가이드(70)의 스토퍼(72)측으로 힘을 가해 이동시키면, 그 햄머(80)가 가이드(70)의 스토퍼(72)에 타격력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타격력에 의해 핀(20)은 프레임(30)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다.
따라서, 핀(20)이 프레임(30)으로부터 제거되고, 실린더(10)를 교환하는 등의 후속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햄머(80)의 손잡이(82)는 햄머(80)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핀(20)의 그리스 급지용 구멍(22)에 충전된 그리스는 핀(20)과 프레임(30)과의 사이의 윤활은 물론, 녹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프레임(30)과 핀(20) 사이의 윤활용 구멍(22)과, 실린더 헤드측 단부(11), 로드측 단부(12)와 핀(20) 사이의 윤활용 구멍(22`)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에 의하면, 실린더 헤드부와 로드부의 지지를 위해 설치된 핀이 연결 스크류에 의해 가이드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에 삽입된 햄머에 의한 타격력으로 핀의 제거가 가능토록 하여, 핀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그 수리나 교환이 용이하고, 1회 사용된 핀일지라도 그 제거시에 파손되지 않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실용상의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실린더(10)의 헤드측 단부(11)는 핀에 의해 사상 압연기 본체에 연결되고, 로드측 단부(12)는 핀에 의해 워크롤을 지지토록 한 사상 압연기의 쵸크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핀(20)은 일측 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암나사부(21)를 형성하고, 상기 핀(20)의 암나사부(21)에 결합되는 연결 스크류(60)의 타측단부에 수나사부(6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스크류(60)의 수나사부(61)에 결합되는 가이드(70)는 타측단부에 스토퍼(72)가 일체로 고정됨은 물론, 상기 가이드(70)를 따라 미끄럼 가능토록 설치되어 가이드(70)의 단부 스토퍼(72)에 타격력을 가할 수 있도록 햄머(80)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클램프 핀 분리기
KR2019940014523U 1994-06-21 1994-06-21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 KR960009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523U KR960009773Y1 (ko) 1994-06-21 1994-06-21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523U KR960009773Y1 (ko) 1994-06-21 1994-06-21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619U KR960000619U (ko) 1996-01-17
KR960009773Y1 true KR960009773Y1 (ko) 1996-11-11

Family

ID=19386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523U KR960009773Y1 (ko) 1994-06-21 1994-06-21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7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619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0736A (en) Bicycle chain rivet dismantling apparatus
US6447036B1 (en) Pile clamp systems and methods
US4394810A (en) Chain link repair device
KR20090011109U (ko) 베어링 탈거장치
KR101135348B1 (ko) 다우얼핀 제거장치
JPS63151424A (ja) 押出し機のスクリュの取付け及び取外し方法並びにその装置
US3880604A (en) Press for removing bearings
US3403434A (en) Bearing race extractor
US5222354A (en) Apparatus for chain link removal and replacement
KR960009773Y1 (ko) 쵸크 클램프 핀 분리기
US2359677A (en) Device for removing elements from shafts
US6644467B1 (en) Track for drawing assembly and method to remove the relative gripping elements
US4138780A (en) Tool for removing and inserting bolts in connecting rods
EP2393635B1 (en) Implement for loosening connection elements
JP2709727B2 (ja) 高炉の湯出し口を孔抜きするロッドを孔抜き機械へ結合するためのグリッパを装着する装置
KR200451560Y1 (ko) 롤 쵸크의 베어링 분해용 지그
KR970007051Y1 (ko) 냉간압연설비의 롤네크베어링 조립 및 분리장치
CN214771772U (zh) 橡胶辊子的拆卸装置
JP2009062106A (ja) 吊り具
KR19980045945U (ko) 억지끼워 맞춤된 소형부품의 분해장치
JP4041969B2 (ja) 高速引張試験機
KR200192665Y1 (ko) 사이롤의 넥크베어링 착탈장치
DE102022114197B3 (de) Wuchtadapter und Auswuchtmaschine
CN212146225U (zh) 拔销器
KR950009518Y1 (ko) 거푸집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