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518Y1 - 거푸집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518Y1
KR950009518Y1 KR2019900020096U KR900020096U KR950009518Y1 KR 950009518 Y1 KR950009518 Y1 KR 950009518Y1 KR 2019900020096 U KR2019900020096 U KR 2019900020096U KR 900020096 U KR900020096 U KR 900020096U KR 950009518 Y1 KR950009518 Y1 KR 950009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lange
nut
hole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122U (ko
Inventor
히로시 도요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다 기항
히로시 도요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다 기항, 히로시 도요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다 기항
Publication of KR9100111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1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82Moulds built-up from several parts; Multiple moulds; Moulds with adjust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거푸집 체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장치의 비체결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체결장치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 유지부재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결당치 12 : 거푸집
14,16 : 분할체 18,20 : 플랜지
22,24,40 : 구멍 26 : 유지부재
26a : 링홈 32 : 볼트
34 : 너트 36 : 스프링부재
38 : 관통구멍 43 : 볼트의 나사부분
48 : 멈춤링 54 : 슬리브
56 : 스토퍼 50 : 구멍
52 : 절제부
본 고안은 콘크리트관과 같은 속이빈 콘크리트 제품의 원심성형용 거푸집을 구성하는 반으로 나누어진 한쌍의 분할체를 결합하기위해 사용되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속이빈 콘크리트 제품의 원심성형용 거푸집의 하나로서, 서로 맞댄 반으로 나누어진 한쌍의 분할체를 갖는 원통형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다. 양 분할체의 각 측부에는 서로 맞추는 구멍이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플랜지가 설치되고, 양 분할체는 체결장치에 의한 한쌍의 플랜지의 체결에 따라 서로 맞추어진다.
종래의 체결장치는 한쪽 플랜지에 고정된 일단부를 갖는 플랜지의 구멍과 동축적으로 연장하는 원통부재와, 원통부재의 타단부에 나사식으로 채워진 구멍을 갖는 덮개부제와, 덮개부재의 구멍과 원통부재 및 플랜지의 각 구멍을 순서대로 관통하는 볼트 및 이 볼트에 채워진 다른쪽 플랜지에 접촉하는 너트와, 원통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또한 볼트에 부착되어 볼트의 축부를 에워싸는 와셔와, 한쪽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일본국 실개소 51-20365호 공보에 게재되어있다.
상기 공보의 반으로나눈 한쌍의 분할체의 플랜지는 볼트의 너트에 대한 채움위치를 변경하기위해 이것을 전진하는것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며 이때 코일스프링은 와서와 한쪽 플랜지 사이에서 압축된다.
탈형시 볼트를 풀어 너트와의 체결된 상태를 해제하면, 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볼트는 와셔가 덮개부재에 접촉할때까지 그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그결과 볼트는 다른쪽 플랜지의 구멍으로 부터 빠져나온 상태로 원통부재에 유지된다.
이때문에 상기 체결장치에 의하면 탈형시에 볼트를 플랜지로 부터 빼내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않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그런데, 원심성형시 양분할체의 맞댄면으로 부터 새어나온 시멘트 노로가 한쌍의 플랜지 사이를 지나 체결장치의 원통부재내에 침입하는 일이있다. 원통부재내에 침입하여 충만된 시멘트 노로가 콘크리트 제품이 양생되는 동안에 고화되면 원통부재의 내부에 배치된 코일스프링은 고화된 시멘트 노로중에 매몰된 상태로되어 그 스프링력을 발휘할 수 없게된다. 이때문에 탈형을 위해 볼트를 풀어 너트와 체결된 상태를 해제하더라도 볼트는 다른쪽 플랜지의 구멍으로 부터 빠져나오지 않게되어 볼트를 빼내기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다고 함에도 불구하고 볼트를 빼내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게되어 이것이 탈형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볼트 및 너트의 나사는 삼각 나사로 되어있는데, 삼각나사는 시멘트 노로가 부착된 볼트를 돌릴때 사다리꼴형 나사에 비해서 나사 접촉면의 압력이 크게되므로 큰 마모를 일으키기쉽고, 또 삼각나사의 선단부는 뾰족하게되어 두께도 얇기 때문에 파손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이 때문에 볼트 또는 너트를 자주 교환해야만하고 이러한 일들이 성형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로 되었다.
본 고안은 속이빈 콘크리트제품을 위한 원심성형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종래 체결장치의 결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통형태의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맞댄 반으로 나눈 한쌍의 분할체의 결합을 위해 양 분할체의 각 축부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맞추는 구멍을 형성한 한쌍의 플랜지를 체결하는 체결장치로서. 한쪽 플랜지에 고정되고 이 플랜지 구멍과 맞추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유지부재와 유지부재의 관통구멍 및 양 플랜지구멍을 거쳐 연장하는 축부를 갖는 볼트 및 이 볼트에 체워져 다른쪽 플랜지에 접촉하는 너트와, 유지부재의 관통구멍의 외부에서 볼트 머리부와 한쪽 플랜지 사이에서 압축된채 배치되는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유지부재는 유지부재의 관통구멍에 형성되는 링홈 및이 링홈에 수납되고 볼트 축부의 나사부분의 통과를 저지하는 멈춤링과,링홈에 연속해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 또는 절제부를 갖는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속이빈 콘크리트제품을 위한 원심성형시 반으로 나눈 양분할체의 맞댄면으로 부터 새어나오는 시멘트 노로가 한쌍의 플랜지 사이를 지나 유지부재와 볼트축부사이의 간격에 침입하는 일이 있더라도 스프링부재가 유지부재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개때문에 시멘트노로가 스프링부재에 부착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스프링부재는 시멘트노로에 의해서 볼트에 대한 그 스프링력의 작용을 방해받는일은 없다. 그결과 탈형을할때 양 분할체의 플랜지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의 체워진 상태를 해제할때 스프링부재의 스프링력에 의해 볼트는 너트축의 플랜지 구멍으로 부터 빠져나온다.
또. 링홈에 수납된 멈춤링이 스프링부재의 작용을 받은 볼트의 나사부분의 통과를 저지하기 때문에 탈형시에 볼트는 스프링부재의 스프링력에 대항하는 상태에서 유지부재에 유지되는 것에 의해 거푸집의 재사용시에 볼트의 재배치 작업이 불필요하게되며, 또 볼트의 분실을 방지할 수있다.
탈형 할때마다 스프링부재의 스프링력을 받는 볼트의 이동에 따라 충격을 받은 멈춤링은 이 충격에 의해서 변형 또는 링의 직경이 확장되어 볼트의 스프링부분의 통과를 저지하는 기능을 상실하는 일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거푸집의 재사용전에 멈춤링을 교환해야만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는 유지부재에 설치된 링홈에 연속하는 구멍 또는 절제부를 통해 예를들면 핀을 끼워넣어 멈춤링을 그 직경방향으로 압착하여 수축시키는 것에의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링홈에서 멈춤링을 제거할 수 있다. 그결과 멈춤링을 교환하는데 따르는 성형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너트가 삽입되는 슬리브를 다른쪽 플랜지에 고정하고, 슬리브내에 너트가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배치할 수있다. 이에 따르면 너트와 볼트의 결합을 해제할때 너트를 슬리브내에 유지할수가 있으며 이것에 의해 너트의 분실을 방지할 수있다. 또 슬리브의 중공부의 횡단면 형상을 너트의 평면형상과 동일하게 하면 거푸집의 재사용시 볼트를 너트에 체울때 이 너트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에 의해 스패너등의 공구로 너트를 고정하는 작업을 필요없게 할수있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수있다.
사다리꼴형 나사를 갖는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노로가 볼트 또는 너트에 부착된 상태에서 볼트를 회전시킬때 사다리꼴형 나사는 삼각나사에 비해 시멘트노로에 의해 마모되기 어렵고 또한 파손되기 어려우므로 볼트 및 너트의 교환 주기가 길어지기 때문에 교환작업에 따른 성형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머리부가 테이퍼(taper)진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테이퍼진 머리부는 이 머리부와 볼트의 체결을 위한 공구가 끼워지는 것을 보다 원활하게하며 볼트의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체결장치(1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크리트 파일이나 콘크리트관과 같은 속이빈 콘크리트제품을 원심성형하기 위한 원통형 거푸집(12)을 구성하는 강제로된 반으로 나눈 한쌍의 분할체(14)(16)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각 분할체(14) (16)는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한쪽 분할체(14)는 플랜지(18)를 가지며, 다른쪽 분할체(16)는 플랜지 18과 대향하는 플랜지 20을 갖는다. 각 플랜지(18)(20)는 각 분할체(14)(16)의 양측부에 거푸집(12)의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한쪽플랜지(18)는 산형강으로 된다. 산형강의 한변은 한쪽 분할체(14)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다른쪽변에는 체결용 볼트를 끼워넣는 구멍(22) 이 형성되어있고 또 다른쪽 플랜지(20)는 한쪽 플랜지(18)와 마찬가지로 산형강으로 이루어지며, 산형강의 한변은 분할체(16)의 외주면에 고정되어있다. 다른쪽 플랜지(20)를 구성하는 산형강의 다른변에는 양분할체(14) (16)가 서로 맞대게 되었을때에 다른쪽 플랜지(18)의 구멍(22)과 맞추어지는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장치(10)는 유지부재(26)와 스프링받이부재(30)와 볼트(32)및 이 볼트에 채워지는 너트(34)와 스프링부재 (36)를 포함한다.
유지부재(26)는 관통구멍(38) 이 형성되며 또한 크고 작은 2개의 직경을 갖는 강재로된 원통체로 이루어진다. 유지부재(26)는 그 큰직경부가 한쪽분할체(14)의 플랜지(18)에 용접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부재(26)는 플랜지(18)에 고정되며 또 유지부재(26)의 관통구멍(38)은 플랜지(18)의 구멍(22)과 맞추어져있다. 유지부재(26)의 타단부, 즉 작은 직경부는 스프링받이부재(30)에 접촉가능한 평탄한면을 갖는다. 유지부재(26) 외주면의 횡단면형상은 도시한 원형대신에 다른형상, 예를들면 사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스프링받이부재(30)는 서로 연속되는 크고작은 2개의 직경부를 갖는 강제로되는 원판으로 이루어지며 이것을 관통하는 구멍(40)을 갖는다.
양 플랜지(18) (20)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볼트(32)는 스프링받이부재(30)의 구멍(40), 유지부재(26)의 관통구멍(38)및 플랜지(18)(20)의 구멍(22)(24)을 거쳐 연장하는 축부(42)및 스프링받이부재(30)의 큰직경부에 접촉하는 머리부(44)를 가지며, 너트(34)는 플랜지(20)의 구멍(24)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42)에 채워지며 플랜지(20)에 접촉하고 있다. 볼트의 머리부(44)는 머리부(44)로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끼우기 쉽도록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퍼지게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부재(36)는 스프링받이부재(30)와 유지부재(26)사이, 다시말해 볼트의 머리부(44)와 유지부재(26)사이에 배치되어있다. 스프링부재(36)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스프링받이부재(30)의 큰직경부에 접촉하고 타단은 유지부재(26)의 큰직경부에 접촉하고 있다. 한쌍의 플랜지(18)(20)가 체결되었을때 스프링부재(36)는 압축된다.
스프링받이부재(30)를 배치하지않고 볼트(32)의 머리부(44)에 스프링부재(36)의 일단이 접촉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스프링부재(36)를 볼트(32)의 머리부(44)와 유지부재(26)또는 플랜지(18)의 다른변과의 사이에 배치할수도있다.
원심성형시 분할체, 즉 반으로 나눈 거푸집 분할체(14)(16)의 맞댄면으로 부터 새어나오는 시멘트노로는 양플랜지(18)(20)사이를 거쳐 유지부재(26)와 볼트(32)의 축부(42)사이의 간격으로 흘러들어온다. 흘러들어온 시멘트노로는 볼트(32)의 나사부분(43)에 부착되지만 스프링부재(36)는 유지부재(26)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기때문에 시멘트노로가 스프링부재(36)에 부착되는 일은 없다.
양 플랜지(18)(20)의 체결을 해제할때는 볼트(32)를 풀어 너트(34)와의 결합을 해제한다. 스프링부재(36)의 스프링력에 의해 볼트(32)는 스프링받이부재(30)와 함께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되어 너트(34)로 부터 분리된다. 그결과 볼트(32)의 선단은 플랜지(20)의 구멍(24)으로 부터 빠져나온다. 체결상태를 해제할때, 볼트(32)를 플랜지(20)의 구멍(24)으로부터 빼내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않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거푸집을 재사용할때 볼트(32)의 배치작업을 불필요하게 하는 동시에 볼트의 분실을 방지하기위해 체결장치(10)는 볼트의 나사부분(43)이 그 종단(도면에서 상단)(46)에서 접촉가능한 멈춤링(48)을 구비한다. 멈춤링(48)은 유지부재(26)에 설치되며 그 내주면에 형성된 링홈(26a)에 끼워넣어져 있다. 멈춤링(48)의 내경은 나사부분(43)의 외경보다 작으며 또한 나사부분(43)을 제외한 축부(42)의 다른부분의 직경보다는 크다. 볼트(32)와 너트(34)의 체결을 해제하면 스프링부재(36)의 스프링력에 의해 볼트(32)는 유지부재(26)로 부터 빠져나오게 되지만 나사부분(43)이 멈춤링(48)에 닿아 그 통과가 저지되기 때문에 볼트(32)는 유지부제(26)에 유지된다.
스프링력이 미친 볼트(32)가 멈춤링(48)과의 충돌에 의해 멈춤링(48)이 변형하거나 직경이 확장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일이 있는데 이때에는 멈춤링(48)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이 멈춤링(48)의 원활한 교환작업을 실현하기 위해 유지부재(26)의 관통구멍(38)을 규정하는 벽을 관통하여 링홈(26a)에 연속되는 구멍(50)이 설치되어있다.(제1도 및 제3도), 구멍(50)을 통해 예를들면 핀(도시하지않음)을 끼워서 링홈(26a)내의 멈충링(48)에 대해 그 직경방향으로 밀어누르는 힘이 미치도록하여 멈춤링(48)을 그 둘레방향으로 수축시킴으로써 직경이작아지게 할수있다. 직경이 작아진 멈춤링(48)은 링홈(26a)로 부터 간단하게 빼낼 수 있으며 그후 다른 새로운 멈춤링으로 교환할 수있다. 구멍(50) 대신에 유지부재(26)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그 타단부에서 개방하는 절재부(52)(제4도)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절제부(52)는 그 개방되지않은 단부(도면에서 하단부)에서 링홈(26a)에 연속된다.
구멍(50)은 도시한 둥근구멍 대신에 다른 형상. 예를들면 링홈(26a)에 대응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끙과 나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장공등으로 할수있으며 또한 절재부도 나선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할수있다. 그리고 구멍과 장공 및 절제부 각각의 형상은 다른형상, 예를들면 사각형으로 할수있으며, 그리고 그 수량도 둘이상으로 할수있다. 예를들면 직경방향으로 상대하는 적어도 한쌍의 절제부로서 플라이어나 팬치의 손잡이부가 통과할수있는 크기의 절제부를 설치할 경우에는 플라이어나 펜치의 손잡이부로 유지부재(26)속의 멈춤링(48)을 걸어 이것을 외부로 빼낼수가 있다.
너트(34)를 수납할수있는 슬러브(54)를 플랜지(20)에 고정하고, 슬리브(54)에 너트(34)가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56)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 의하면 슬리브(54)는 플랜지(20)의 구멍(24)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또한 플랜지(20)에 용접되어있다. 슬리브(54)에는 그 내주면에 개방하는 다수의 홈(58)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있다. 스토퍼(56)는 홈(56)에 부분적으로 끼워진 원호부와 이 원호부에서 이것과 직교하여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한편 슬리브(54)로 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평행부로 이루어진다. 너트(34)는 볼트(32)와의 결합이 해제될때 스토퍼(56)의 원호부상에 놓여지게 되어 슬리브(54)내에 유지된다. 스토퍼(56)는 한쌍의 평행부를 잡고 이들을 서로 다른쪽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원호부의 직경을 작게 할수있다. 원호부의 직경을 작게한 상태로 이것을 홈(58)에 삽입하거나 이탈시키는 것에 의해 스토퍼(56)의 착탈을 용이하게 실행 할수있다.
거푸집(12)의 재사용시에 볼트(32)와 너트(34)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슬리브(54) 중공부의 횡단면형상을 너트(34)의 평면형상과 같게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 의하면 슬리브(54) 내주면의 횡단면형상은 정육각형이며볼트(32)와 너트(34)를 체결할때 너트(34)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스패너등의 공구로 너트(34)를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볼트 및 너트의 교환주기를 길게하기위해 볼트(32)및 너트(34)의 나사가 사다리꼴형 나사인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시멘트노로가 볼트(32)또는 너트(34)에 부착된 상태로 볼트(32)를 너트(34)에 체결할때 시멘트노로 때문에 발생하는 나사의 마모나 파손이 작게된다.

Claims (5)

  1. 관형상의 거푸집(12)을 형성하도록 서로 맞댄 반으로 나눈 한쌍의 분할체(14) (16)를 결합을 위해 양 분할체(14) (16)의 각측부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맞추는 구멍(22) (24) 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18) (20)를 체결하는 체결장치(10)로서 한쪽 플랜지(18)에 고정되며 이 플랜지(18)의 구멍(22)과 맞추어지는 관통구멍(38)를 갖는 유지부재(26)와, 상기 유지부재(26)의 관통구멍(38)및 양플랜지(18)(20)의 구멍(22)(24)을 거쳐 연장하는 축부(42)를 갖는 볼트(32)및 이 볼트(32)에 체결되어 다른쪽 플랜지(20)에 접촉하는 너트(34)와 상기 유지부재(26)의 관통구멍(38) 외부에서 볼트(32)의 머리부(44)와 한쪽 플랜지(18)사이에서 압축된채 배치되는 스프링부지(36)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재(26)는 유지부재(26)의 관통구멍(38)에 형성되는 링홈(26a)및 이 링홈(26a)에 끼워넣어지며 상기 볼트 축부(42)의 나사부분(43)이 통과하는 것을 저지하는 멈춤링(48)과, 상기 링홈(26a)에 이어지는 하나이상의 구멍(50) 또는 절제부(52)로 이루어지는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2)및 너트(34)의 나사는 각각 사다리꼴형 나사인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34)가 수납되며 또한 다른쪽 플랜지(20)에 고정되어 이 플랜지(20)의 구멍(24)과 동축적으로 연장하는 슬리브(54)와 상기 슬리브(54)내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너트(34)가 슬리브(54)에서 빠져나가는것을 저지하는 스토퍼(56)를 포함하는 체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34)는 다각형평면형상을 가지며, 또 상기 슬리브(54)는 너트(34)의 평면형상과 같은 단면형상의 중공부를 갖는 체결장치.
  5. 제1항에 있여서. 상기 볼트(32)의 머리부(44)는 테이퍼져있는 체결장치.
KR2019900020096U 1989-12-21 1990-12-18 거푸집 체결장치 KR9500095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146438U JPH0512006Y2 (ko) 1989-12-21 1989-12-21
JP1-146438 1990-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22U KR910011122U (ko) 1991-07-29
KR950009518Y1 true KR950009518Y1 (ko) 1995-11-08

Family

ID=1540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096U KR950009518Y1 (ko) 1989-12-21 1990-12-18 거푸집 체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2006Y2 (ko)
KR (1) KR9500095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900A (ko) * 2001-06-07 2002-06-21 박영성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KR100439067B1 (ko) * 2001-10-12 2004-07-05 박영성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22U (ko) 1991-07-29
JPH0387206U (ko) 1991-09-04
JPH0512006Y2 (ko) 199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0777A (en) Quick-action fasteners
US4437276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erformance of a supporting function in a passage
CA1080007A (en) Manually operable tool for installing blind anchor nuts
US3912406A (en) Gripper with center pull feed through release member
US6345925B1 (en) Bolt for conveyor belt fastener
EP0408239A1 (en) Quick-fastening nut
US6536088B1 (en) Gear puller having outwardly forced jaws
JPS6025646B2 (ja) 固有のトルク制限ナツト
CA1096668A (en) Expansion dowel assembly
US4967468A (en) Apparatus for fixing boiler tubes during replacement of same
CA1178461A (en) Rock bolt expansion anchor having widened expansion range
KR950009518Y1 (ko) 거푸집 체결장치
US3736011A (en) Quick disconnect tool coupling
US3822860A (en) Reusable tie assembly for concrete forms
US2990739A (en) Axial-impact tool with reversible chuck
US3060639A (en) Prestressing apparatus
US7334307B1 (en) Disposable set screw system
RU21982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рушения минеральных и искусстве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US4764071A (en) Quick-action fasteners
US20100296891A1 (en) Anchor Nut Made of Fibre Reinforced Plastic
US3927856A (en) Internal spreader means for use with a reusable tie rod
US4831702A (en) Method for fixing boiler tubes during replacement of same
KR200389763Y1 (ko) 콘크리트 파일 형틀용 체결부재 교환장치
US2180030A (en) Bolt
US3926404A (en) Tie rod for use with an internal spreader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