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707Y1 -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 - Google Patents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707Y1
KR960009707Y1 KR92021439U KR920021439U KR960009707Y1 KR 960009707 Y1 KR960009707 Y1 KR 960009707Y1 KR 92021439 U KR92021439 U KR 92021439U KR 920021439 U KR920021439 U KR 920021439U KR 960009707 Y1 KR960009707 Y1 KR 960009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ignal
output
multivibra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1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972U (ko
Inventor
이성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92021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707Y1/ko
Publication of KR940013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9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12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 H04N11/14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 H04N11/1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the chrominance signal alternating in phase, e.g. PAL-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
도면은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분리부 20 : 차동증폭기
30 : 밀터바이브레이터 구동부 40 : SCR 회로
50 : 멀티바이브레이터 Q1-Q15 : 트랜지스터
R1-R37 : 저항 C1-C5 : 콘덴서
A : 매인 IC로부터의 주파수 스위칭 신호단자
B, C : 매인 IC로부터의 칼라킬러 신호단자
본 고안은 TV에 있어서, 각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송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절환되어질 수 있도록 한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NTSC, PAL M 및 PAL N 방식의 방송을 수신하여 TV내부의 회로를 자동으로 절환하여 줄 수 있도록 한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방식은 방송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나 변조방식등에 따라 다양하며, 각 나라 또는 각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방송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방송을 수신하여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TV의 내부회로는 각 방송방식에 따라 달리하여 생산되거나, 각 방송방식에 따라 절환이 되어질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이때, 종래에는 각 방송방식에 따라 TV를 절환시키기 위한 특별한 별도의 회로가 없이 사용자가 직접 전환스위치를 세트하거나, 공장에서 양상할때부터 이미 방송방식이 세트되어 출하되었었다.
그러므로, 송신되는 방송방식이 변하거나, 사용자가 타지역으로 이주할 경우, 기존의 TV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거나, 직접 전환하여야 하였으므로 사용자에게 특별한 지식을 요구함은 물론, 비경제적이고 번거러운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TV내의 방송신호 수신단에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방송방식을 판단하고, 자도응로 절환하여 줄 수 있도록 한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의 본 고안에 따른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로, TV내 메일 IC로부터 출력되는 수직동기 주파수 스위칭 신호단자(A)의 신호에서 PAL N방송신호를 분리하는데 제1분리부(10)와, 상기 메인 IC로 부터의 칼라킬러 신호단자(B, C)의 신호를 차분증폭하는 차동증폭기(20)와, 상기 차동증폭기(20)의 출력에 의해 온/오프되어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바이브레이터 구동부(30)와,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 구동부(30)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멀티바이브레이터(50)와,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출력을 유지하는 SCR회로(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함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의 설명을 돕기 위하여 참고로 설명하면, PAL M 방식 및 NTSC 방식과 PAL N 방식은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에 의해 판별되고, PAL M 방식 및 NTSC 방식의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는 60Hz이며, PAL N 방식은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가 50Hz이다.
또한, PAL M 방식 및 NTSC 방식은 메일 IC로 부터의 칼라킬러 신호전압의 상태에 따라 판별이 가능하며, 수신된 방송방식과 선택된 방식이 일치할 경우 메인 IC로부터의 칼라킬러 신호전압은 동일하며, 일치하지 않을 경우, 신호전압에 차가 발생한다.
먼저, 수신된 방송신호의 주파수가 50Hz일 경우, 미도시된 메인 IC로부터 로우신호가 신호단자(A)에 인가되어 제1분리부(10)의 제2, 3트랜지스터(Q2, Q3)는 오프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면,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하이신호가 인가되므로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도 오프되고, 상기 제2, 제3트랜지스터(Q2, Q3)가 오프되며, PAL N 단자에는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제1분리부(10)에 의해 PAL N 방식이 선택된다.
다음으로, 수신된 방송신호의 주파수가 60Hz인 경우, 하이신호가 상기 신호단자(A)에 인가되어 제2, 제3트랜지스터(Q2, Q3)가 온되므로 PAL N 단자에서는 로우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온된 제2트랜지스터(Q2)가 온됨으로써, 공급전원(Vcc)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에이미 컬렉터를 통해 멀티바이브레이터 구동부(30) 및 제2분리수간인 멀티바이브레이터(40)의 전원공급단자(D)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공급단자(D)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현재 TV에 채택된 방송방식과 다른 방송방식의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IC로부터의 칼라킬러 신호단자(B, C)의 신호전압에 차가 생긴다.
따라서, 상기 신호단자(B, C)의 신호전압의 차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4, 제5트랜지스터(Q4, Q5)로 구성된 차동증폭기(20)의 출력단자(E)의 출력은 하이가 된다.
상기 차동증폭기(20)로부터의 하이출력은 제6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상기 제6트랜지스터(Q6)는 온됨으로써 단자(D)를 통한 전원이 상기 제6트랜지스터(Q6)를 통해 접지되고, 제7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에는 로우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제7트랜지스터(Q7)를 오프시켜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제10, 제11트랜지스터(Q10, Q11)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 구동부(30)에 의해 구동된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초기상태는 임의로 어느쪽도 선택되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PAL M 방식이 선택되어 하이로 세트되었을 경우, 제18, 제19저항(R19, R18)을 통해 단자(F)가 하이가 되어 상기 단자(F)가 연결된 PAL M 방식의 미도시된 발진기에 연결됨과 동시에 전해 콘덴서(C4)는 충전을 시작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방식과 현재 수신중인 방송신호의 방식이 서로 일치할 경우, 메인 IC로부터의 칼리킬러신호는 안정되어 두 신호간에 전압차가 없어진다.
따라서,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 구동부(30)의 제6, 제7트랜지스터(Q6, Q7)를 오프시켜 멀티바이브레이터(50)가 구동되지 못하고, 상기 전해콘덴서(C4)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어 SCR회로(40)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단자(F)의 하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수신중인 방송신호가 NTSC 방식일 경우, 상기 단자(F)로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PAL M 방식의 발진기가 동작한다 할지라도 수신된 방송신호와 부합하지 못하므로 메인 IC로부터의 칼라킬러 신호는 안정되지 못하므로 두 신호단자간에는 전압의 차이가 발생하여 멀티바이브레이터 구동부(30)가 동작하므로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50)가 작동하여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작동 특성상 상태가 반전된다.
즉, 단자(G)가 하이가 되어 NTSC 방식이 선택된다.
이때 다시 상이한 방송방식의 신호가 수신된다고 하여도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방송방식의 절환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는 간단하게 수신되는 방송방식에 따라 적절하게 TV내 방송신호 수신단의 방송방식을 전환하여 줄 수 있는 회로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전환조작을 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어느 지역이나 상관없이 TV가 호환성있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사용상의 잇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정)TV내 매인 IC로부터 출력되는 수직 동기주파수 스위칭 신호단자(A)의 신호에서 PAL N 방송신호를 분리하는 제1분리부(10), 상기 매인 IC로부터의 칼라킬러 신호단자(C, B)의 신호를 차분증폭하는 차동증폭기(20), 상기 차동증폭기(20)의 출력에 의해 온/오프되어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바이브레이터 구동부(30),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 구동부(30)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멀티바이브레이터(50),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50)의 출력을 유지하는 SCR회로(40),로 구성된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부(10)는 수직 동기주파수 스위칭 신호단자(A)가 제1, 제4저항(R1, R4)을 통해 접지된 제2, 제3트랜지스터(Q2, Q3)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는 제2, 제3저항(R2, R3)과 직렬로 공급전원(Vcc)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제3저항(R2, R3)의 사이에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제6저항(R6)을 통해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에 연결됨과 동시에, PAL N 방식 선택단자에 연결되며 구성된 TV의 방송장치 절환회로.
  3.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 구동부(30)는 상기 차동증폭기(20)의 출력이 제11저항(R11)을 통해 에미터 접지된 제6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6트랜지스터(Q6)의 컬렉터는 직렬연결된 제13, 제14저항(R13, R14)의 사이에 제7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7트랜지스터(Q7)의 에미터는 제15저항(R15)을 통해 2차 공급전원단자(D)에 연결됨과 동시에, 컬렉터를 출력으로 하여 구성된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
KR92021439U 1992-11-03 1992-11-03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 KR960009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439U KR960009707Y1 (ko) 1992-11-03 1992-11-03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439U KR960009707Y1 (ko) 1992-11-03 1992-11-03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972U KR940013972U (ko) 1994-06-29
KR960009707Y1 true KR960009707Y1 (ko) 1996-10-31

Family

ID=1934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1439U KR960009707Y1 (ko) 1992-11-03 1992-11-03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7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972U (ko) 1994-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9707Y1 (ko) Tv의 방송방식 절환회로
US4229759A (en) Signal detector including sample and hold circuit with reduced offset error
US4365270A (en) Dual standard vertical deflection system
FI76457C (fi) Synkroniseringssystem foer en oscillator med dc-kontroll av tomgaongsfrekvensen.
GB2102237A (en) Chrominance signal processing circuits
US3611176A (en) Frequency controlled oscillator
JP2558662B2 (ja) 水平発振周波数安定化回路
KR970008381B1 (ko) 티이(t) 플립플롭을 이용한 텔레비젼의 방송 방식 전환 회로
JPS645419Y2 (ko)
KR900001325Y1 (ko) 위성방송 수신기의 온스크린 기능을 위한 동기분리장치
KR900000566Y1 (ko) Av 수신기 직류(dc) 재생회로
JPH03953B2 (ko)
JPS58154329A (ja) 切換装置
KR910006195Y1 (ko) Pal과 ntsc겸용 비데오카메라의 버스트플랙펄스선택회로
KR890001356Y1 (ko) 합성 비디오신호의 디지탈 동기신호 분리용 집적회로
KR940003409Y1 (ko) 색부 반송파 자동 절환회로
KR890001357Y1 (ko) Pal 및 ntsc방식의 방송 선택 회로
JPS6129188B2 (ko)
KR870000730Y1 (ko) 직류분 재생회로
KR100271129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KR880003151Y1 (ko) Pal방식 텔레비젼의 음성 절환회로
KR830000222B1 (ko) 텔레비젼 수상기
KR890005832Y1 (ko) 무신호시 온 스크린 안정화 회로
KR960003425Y1 (ko) Ntsc/pal방식 겸용 텔레비젼에 있어서 수직폭 제어회로
KR200146200Y1 (ko) 메인전원 공급 초기 수직 동기신호 안정화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