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703Y1 -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703Y1
KR960009703Y1 KR2019950007812U KR19950007812U KR960009703Y1 KR 960009703 Y1 KR960009703 Y1 KR 960009703Y1 KR 2019950007812 U KR2019950007812 U KR 2019950007812U KR 19950007812 U KR19950007812 U KR 19950007812U KR 960009703 Y1 KR960009703 Y1 KR 960009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ignition
denotes
discharg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7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우지 야마다
요시소우 이또우
히로시 야마구찌
유끼다까 하야시
도시오 가사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다오까 다까시
알 · 비 · 콘트롤스 가부시끼가이샤
나이도우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0622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811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다오까 다까시, 알 · 비 · 콘트롤스 가부시끼가이샤, 나이도우 스스무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6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8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화장치
제1도는 이 고안에 의한 점화장치의 한 실시예를 표기하는 전기회로도.
제2도는 통상의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도.
제3도는 제2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은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제어회로의 블럭도.
제4도는 종래의 점화장치의 전기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점화프러그 20 : 승압트랜스포머
22 : 발진부 23~27 : 저항
28 : 가변저항 29, 30 : 콘덴서
31~33 : 다이오드 34 : 트랜지스터
35 : 코일
(도면중,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
이 고안은, 예를들면 액체연교 연소장치들에 사용되는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2도는 예를들면 실공소 63-24370호 공부에 표시된 통상의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도이다.
또 제3도는 예를들며누 제2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은 액체연료연소장치의 제어회로의 블럭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편의상 마이컴이라고 표기한다)이고, CPU(2)과 A/D변환기(3)를 가지고 있다.
(4)는 기화통예열온도센서, (5)는 릴레이, (6)은 기화통예열 히터, (7)은 연료용모터, (8)은 연료급기용전자펌프, (9)는 점화장치, (10)은 송풍용모터, (11)은 가압솔레노이드, (12)는 기화통, (13)은 정유면기(定油面器), (14)는 점화프러그, (15)는 버너헤드이다.
다음에, 통상의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점화기에 동작에 관하여 제2도, 제3도에 의거 설명한다.
마이컴(1)의 CPU(2)는 기화통예열온도센서(4)의 신호를 마이컴(1)의 A/D변환기(3)에 의하며, 디지탈값으로 변환하여, 기화통(12)의 예열온도를 판별하고 기화통(12)을 액체연료의 기화에 최적한 일정온도로 유지하도록 릴레이(5)를 개폐시켜, 기화통예열히터(6)를 넣고 끓기를 한다.
기화통예열히터(6)에 의하여 기화통(12)이 소정온도에 도달하면, 연소용히터(7), 연료급기용전자펌프(8)에 통정하고, 기화통(12)내의 미연(未然)가스를 제거함과 아울러 정유면기(13)에 연료를 퍼올린다.
소정시간(예를들면 10초)에 점화장치(9), 송풍용모터(10), 가압솔레노이드(11)에 통전하고, 버너헤드(15) 근방의 점화프러그(14)에서 볼꽃방전을 일으킨다.
이때, 불꽃방전음이 발생한다.
불꽃방전에 의하여, 버너헤드(15)로 부터 분출하는 기화된 연료에 착화(着火)시킨다.
연소가 시작되면, 점화장치(9)에의 통전을 정지하고, 점화프러그(14)에서의 불꽃방전을 정지한다.
제4도는 예를들면 제2도 및 제3도에 의하여 표시되는 바와 같은 액체연료 연소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점화장치의 전기회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6)은 다이오드, (17)은 콘덴서, (18)은 사이리스터, (19)은 저항, (20)은 승압트랜스포머, (21)은 교류 100V의 전압이 인가되는 단자이다.
또 (14)는 제2도 및 제3도와 마찬가지로 점화프러그를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제4도에 표시된 종래의 점화장치의 전기회로도에 의거, 점화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자(21)에 50Hz 또는 60Hz의 교류 100V의 전압이 인가되면 교류의 전반(前半)의 반사이클의 사이에 다이오드(16)에 의하여 정류된 전하(電荷)가 콘덴서(17)에 저장되고, 교류의 후반(後半)의 반사이클시에, 사이리스터(18)의 게이트신호가 저항(19)을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사이리스터(18)가 통전되고, 이 콘덴서(17)에 저장된 전하가 승압트랜스포머(20)의 1차코일에 흘러, 승압트랜스포머(20)의 2차코일에 고전압이 유기되며, 점화프러그(14)의 사이에서 불꽃방전이 일어난다.
이 불꽃방전은 교유전원의 주파수와 동기하여 일어나기 때문에 불꽃방전음은, 주파수와 동기한 회수를 발생한다.
종래의 점화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점화시의 불꽃방전음은, 그 회수가 많고 또 소리가 크다.
특히 액체연료의 경우는 기화시켜도 점화를 위하여 비교적 큰에너지를 요하기 때문에 소리가 크고, 귀에 거슬리는 소음으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소음의 발생을 저감한 점화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고안에 관한 점화장치는, 가청주파수를 넘는 주파수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부, 상기 전류를 1차코일에 입력하여 2차코일에 상기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고전압을 출격하는 승압트랜스포머, 상기 고전압에 의하여 점화프러그간에서 방전하는 점화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 고안에 있어서의 점화장치에서는, 점화를 위한 방전을 행할 경우, 가청주파수를 넘는 주파수의 고전압에 의하여 방전을 행하기 때문에, 방전개시의 순간에는 소리가 발생하지만, 그후의 연속방전주에는 인간의 귀에는 방전음이 들리지 않는다.
(실시예)
제1도는 이 고안에 의한 점화장치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전기회로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14, 20, 21)은 제4도에 표시한 것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하는데 따라, 설명을 편의상 생략한다.
(22)는 가청주파수를 넘는 주파수의 전류를 승압트랜스포머(20)의 1차코일에 대하여 출력하는 발진부이다.
발진부(22)는, 저항(23~27), 가변저항(28), 콘덴서(29~30), 다이오드(31~33), 트랜지스터(34), 코일(3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한 실시예에서는, 가청주파수를 넘는 주파수라는 것은 20kHz이상의 주파를 말한다.
다음에 제1도에 표시된 점화장치의 점화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자(21)에 50Hz 또는 60Hz의 교류 100V가 인가되면, 다이오드(31)에 의하여 정류되고, 콘덴서(29)에 직류의 전압이 인가된다.
저항(24, 25), 가변저항(28), 콘덴서(30), 다이오드(32), 코일(35)로 이루어지는 회로부에 의하여 결정되는 가청주파수를 넘는 주파수로 트랜지스터(34)를 구동하고, 승압트랜스포머(20)의 1차코일에 상기 주파수의 전류를 흘려서 승압트랜스(20)의 2차코일에 상기 주파수의 고전압을 발생시켜, 전화프러그(14)의 사이에서 불꽃방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료에 점화한다.
이상 설명한 한 실시예의 점화장치에 의하여 방전한 경우, 방전개시시에 순간적인 소리의 발생은 있으나 그 후의 연속방전중에는, 방전의 주파수가 가청주파수를 넘고 있기 때문에, 인가의 귀에는 방전은이 들리지 않고, 귀에 거슬리는 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도에 표시된 이 고안에 의한 점화장치의 한 실시예의 전기회로도에 있어서, 예를들면 저항(23)을 43Ω, 저항(24)을 200kΩ, 저항(25)을 560kΩ, 저항(26)을 43Ω, 저항(27)을 43Ω의 것으로 하고, 가변저항(28)을 22Ω, 콘덴서(29)를 220μF, 콘덴서(30)를 0.1μF의 것으로 하면, 이것에 의한 발진부(22)가 출력하는 전류의 주파수로서는, 승압트랜스포머(20)의 정격 및 가변저항(28)의 세팅에 도의하지만, 대개 50~100kHz의 범위의 발진주파수가 얻어진다.
이 고안의 점화장치는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발진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가청주파수를 넘는 주파수로하고, 이 주파수의 전류를 승압트랜스포머의 1차코일에 입력하여 승압하여 승압트랜스포머의 2차코일과 접속된 점화부의 점화프러그간에서 상기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고전압에 의하여 방전을 행하고, 점화를 행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점화를 위하여 방전을 행할 경우, 방전개시의 순간에는 소리가 발생하지만, 그후의 연속방전중에는 방전의 주파수가 가청주파수를 넘고 있기 때문에 귀에는 방전음이 들리지 않고, 귀에 거슬림의 소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가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청주파수를 넘는 주파수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부(22)와, 상기 전류를 1차코일에 입력하여 2차코일로 상기 조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고전압을 출력하는 승압트랜스포머(20)와, 상기 고전압에 의하여 점화프러그(14) 사이에서 가청주파수 이상으로 방전하는 정착(靜着)점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장치.
  2. (신설)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청주파수는 50-100kHz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장치.
KR2019950007812U 1990-04-21 1995-04-17 점화장치 KR96000970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06226 1990-04-21
JP2106226A JPH043811A (ja) 1990-04-21 1990-04-21 点火装置
KR1019910003473A KR910018727A (ko) 1990-04-21 1991-03-04 점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473A Division KR910018727A (ko) 1990-04-21 1991-03-04 점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703Y1 true KR960009703Y1 (ko) 1996-10-31

Family

ID=2644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7812U KR960009703Y1 (ko) 1990-04-21 1995-04-17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7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1338A (en) Lamp starting circuit
KR100442952B1 (ko) 내연기관의 점화장치
FI76906B (fi) Vaexelriktaranordning foer matning av urladdningslampor.
US4890041A (en) High wattage HID lamp circuit
US3877864A (en) Spark igniter system for gas appliance pilot ignition
US4378514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gaseous discharge lamps
CA1288037C (en) Gas ignition apparatus
US6759813B2 (en) Operating circuit for a discharge lamp with frequency-variable ignition
US9784232B1 (en) Forced frequency igni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35099A (en) Igni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004960A (en) Ignition device for a gas discharge lamp
US4266165A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starting circuit
KR960009703Y1 (ko) 점화장치
US5909089A (en) Discharge lamp igniting and operating circuit with a timer controlled output voltage limit
JPS631498B2 (ko)
US5621278A (en) Ignition apparatus
US5945784A (en) High intensity discharge ballast
JP2004511892A (ja) 回路装置
JPH043811A (ja) 点火装置
JPS61110997A (ja) 放電灯点灯装置
JP3294301B2 (ja) 放電灯点灯装置
CA2012181C (en) Gas ignition apparatus
KR900004170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점화장치
JPH05195814A (ja) ガスタービン用エキサイター
JPS612139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