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654B1 - 가역성 i회용 혈관 수지침 - Google Patents

가역성 i회용 혈관 수지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654B1
KR960009654B1 KR1019930009244A KR930009244A KR960009654B1 KR 960009654 B1 KR960009654 B1 KR 960009654B1 KR 1019930009244 A KR1019930009244 A KR 1019930009244A KR 930009244 A KR930009244 A KR 930009244A KR 960009654 B1 KR960009654 B1 KR 960009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needle
film
trans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진
송영식
송정식
송중식
Original Assignee
송경진
송영식
송정식
송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진, 송영식, 송정식, 송중식 filed Critical 송경진
Priority to KR1019930009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654B1/ko

Links

Landscapes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낸 연결상태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작동후 상태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실린더통에 대한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 제4도의 A부 확대도.
제 9 도는 본 발명 제4도의 A부 확대도.
제10도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동작후 상태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동작전 상태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 또다른 실시예의 동작전 상태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 또다른 실시에의 동작후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지침2 : 필름막 원통
3 : 수액줄 연결부4 : 피스톤
4a : 수액 이동홀5 : 연결축
6 : 손잡이7 : 금속침
8 : 실린더통8a, 8b : 요홈
9 : 수지관10 : 슬라이딩홀
10a, 10b : 스톱퍼11 : 침공
12 : 수액 공급홀15 : 수액줄
16 : 연결구17 : 삼각 공간부
18 : 배기공20 : 플렉시블관
21, 22, 23, 24 : 돌기25 : 걸림턱
본 발명은 수혈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할 때 사용되는 혈관수지침에 관한 것으로써 혈관에 수지침을 꽂은 후 금속침을 빼어 버리지 않고 후퇴시키면 수액이 공급되어 주사할 수 있도록 한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혈관수지침은 금속침을 이용하여 혈관에 주사한 뒤 금속침을 빼내고 고정구의 상측으로 수혈줄이나 수액줄의 연결구를 연결시켜 수혈이나 수액을 주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금속침을 이용하여 혈관에 수지관을 삽입한 뒤 즉시 금속침을 빼내어 수지침에 수혈줄이나 수액줄을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연결도중에 혈관에 삽입된 수지관으로부터 혈액 또는 수액이 흘러나오는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수액줄을 연결시키는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수혈 또는 수액의 주사도중에 다른 혈관으로 바꾸어 주사를 하고자 할 때는 금속침을 제거시켰기 때문에 새로운 수지침으로 바꿔 끼워야만 하므로 해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었고 수혈이나 수액줄을 연결시킬 때 항상 간염이나 다른 병들로부터 세균감염의 우려가 있었으며, 특히, AIDS(후천성 면역결핍증)환자인지를 모르고 수혈이나 수액을 환자에게 주사하게 되면 혈관에서 빼내어진 금속침(주사바늘)에 혈액이 묻어 있어 이를 취급하는 사람이 금속침에 의해 상처를 입을 경우 AIDS에 감염될 염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수혈이나 수액을 주사할 때 혈관에 금속침과 수지관을 꽂은 후 금속침을 이동시키면 수지관이 개방되면서 즉시 주사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주사도중 다른 혈관으로 바꾸어 주사를 놓기 위해 새로운 수지침으로 바꾸어 낄 필요없이 금속침을 수지관 내에 복귀시키는 것만으로써 다른 혈관에 꽂아 계속해서 주사를 놓을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주사침을 취급할 때 환자나 환자보호자, 의사, 간호사 및 병원 종사자들에게 주사침으로 인한 상처를 입히지 않게 하며 따라서 AIDS(후천성 면역 결핍증)나 간염과 같은 세균간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주사가 편리하며 주사시 새로운 수지침으로 바꾸지 않고 혈관을 옮겨가며, 주사하며 환자와 취급자가 세균으로부터 감염이 방지되도록 하는 특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액이 내장된 용기(13)에는 수혈 및 주사시 수액줄(15)이 연결되며 전기 수액줄(15)의 일부분에 수액공급량을 조절하는 수액조절구(14)가 설치되고 수액줄(15)의 선단에는 연결구(16)가 설치된다.
연결구(16)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수액줄 연결부(3)의 상측에 투명 필름막 원통(2) 상단이 밀착 고정되고 투명필름막 원통(2)의 하단이 수액 공급홀(12)의 외측에서 실린더통(8)내에 밀착고정된다.
수액줄 연결부(3)가 상측에 고정되며 하측으로 일정길이의 수지관(9)이 돌출된 실린더통(8)이 설치된다.
또한, 실린더통(8)의 하단에는 삼각 공간부(17)를 구성하고 금속침(7)이 하사점에 위치해 있을 때 삼각공간부(17)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금속침(7)에 미세한 배기공(18)을 형성한다.
이때 실린더통(8)은 투명 또는 반투명체이며 일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홀(10)이 설치된 후 이 슬라이딩홀(10)의 양측에 각각 스톱퍼(10a)(10b)를 돌출시킨다.
그리고 실린더통(8)과 수지관(9)의 연결부위에 직립되게 수액공급홀(12)을 설치하며 중앙에 금속침(7)이 통과되는 침공(11)이 설치된다.
실린더통(8)내에서 왕복이동되며 중앙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금속침(7)이 돌출되고 양측에서 수액이동홀(4a)이 설치된 후 슬라이딩홀(10)에서 연결축(5)을 통해 외측에 손잡이(6)와 연결되는 피스톤(4)이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4)의 외측으로 투명필름 필름막 원통(2)이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혈줄이나 수액줄(15)이 연결된 연결구(16)를 수액줄 연결부(3)에 꽂아 놓은 후 수액조절구(14)를 동작시켜 용기(13)내의 수혈이나 수액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면 용기(13)내의 수혈이나 수액이 수액줄(15)을 통하여 실린더통(8)내의 막(2)에 공급된다.
이때에는 피스톤(4)이 제3도에서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고 있게 되며 수지관(9)의 하측으로 금속침(7)이 1-2mm 정도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실린더통(8)과 손잡이(6)를 함께 잡고 금속침(7)을 이용해 주사하려는 부위에서 혈관을 찾아 꽂게 된다.
금속침(7)이 혈관을 정확하게 찾게되면 혈관의 피가 역류하므로 금속침(7)을 통하여 역류된 것을 보고 혈관을 정확이 찾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나서 손잡이(6)를 잡고 제4도와 제5도에서와 같이 C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연결축(5)이 슬라이딩홀(10)에서 안내되면서 피스톤(4)을 상승시키게 된다.
여기서 금속침(7)이 수지관(9)에 위치할때에는 금속침(7)이 수지관(9)을 막고 있으므로 수액의 공급이 불가능하며 금속침(7)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된다.
이때 연결축(5)이 슬라이딩홀(10)상의 스톱퍼(10a)를 지나면서 걸려 정지되므로 더이상의 이동이 정지되며, 이 위치가 피스톤(4)의 상사점이 된다.
그러면 금속침(7)의 끝은 침공(11)에 위치하게 되며 실린더통(8)내의 수액은 수액공급홀(12)을 통과한 후 수지관(9)을 통하여 혈관에 주사된다.
즉, 수지침(1)의 삼각 공간부(17)에는 수액줄(12)과 실린더통(8)을 통해 혈액이나 수액이 공급되고 그 삼각 공간부(17)로 공급된 혈액이나 수액은 레이저빔으로 미세하게 가공한 배기공(17)으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게 되므로 수혈이나 수액시 혈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혈이나 수액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수액은 수액줄(15)을 통하여 실린더통(8)내에 있는 필름막 원통(2)에 공급되며 이 필름막 원통(2)은 실린더통(8)내에서 상단과 하단에 밀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수액이나 수혈 혈액은 피스톤(4)의 수액이동홀(4a)을 통하여 하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필름막 원통(2)의 길이는 실린더통 (8)의 약 2배길이에 해당되며 피스톤(4)이 이동됨에 따라 필름막 원통(2)이 자바라식으로 접혀지게 된다.
또한, 수지침(1)을 이용해 혈관에 수혈이나 수액의 주사도중 다른 혈관으로 옮겨 주사할경우 수액조절구(14)에 의해 수혈이나 수액의 공급을 중단하고 수지관(9)을 혈관으로부터 빼낸다음 손잡이(6)를 D방향으로 하향이동시켜 연결축(5)이 슬라이딩홀(10)의 스톱퍼(10b)를 지나면서 정지될 때 피스톤(4)의 하사점이 되며 금속침(7)이 주사전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에 금속침(7)을 이용해서 다른 혈관으로 옮겨 주사하게 된다.
따라서 수지침(1)은 한 환자에게 계속해서 주사할경우 수지침(1)을 버리지 않고 혈관을 옮겨가며 즉시 주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통(8)의 내부에 필름막 원통(2)이 설치되어 있으면서 피스톤(4)을 감싸 고정하고 있으므로 주사시 피스톤(4)이 이동한다해도 필름막 원통(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와 차단시켜 세균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은 슬라이딩홀(10)의 스톱퍼(10a)(10b)에 의해 상, 하사점이 결정되어 이동위치를 결정하게 되며 필름막 원통(2)에 의해 금속침(7)을 외부와 차단시켜 세균의 침투를 방지하고, 금속침(7)을 수지관(9)으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시켜 주사도중 다른 혈관으로 바꾸어서 즉시 주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0도내지 제12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수액 이동홀(4a)이 형성된 피스톤(4)의 상단과 수액줄연결부(3')는 플렉시블(flexible)관(20)으로 연결하며 플렉시블관(20)의 상하부에는 돌기(21) (22)를 형성하여 실린더통(8)의 요홈(8a)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는 손잡이(6)를 잡고 피스톤(4)을 하강시키면 제12도와 같이 필름막원통(2)은 자바라식으로 접히게 되고 피스톤(4) 상측의 플렉시블관(20)은 실린더통(8)으로 삽입되어 상단의 돌기(21)가 실린더통(8) 내부 상단에 형성된 요홈(8a)에 결합되어 금속침(7)과 수지관(9)을 혈관에 꽂을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금속침(7)과 수지관(9)을 혈관에 꽂은 후에는 손잡이(6)을 잡고 피스톤(4)을 상향이동시키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혔던 필름막원통(2)은 펴지고 플렉시블관(20)의 돌기(21)는 요홈(8a)에서 이탈되어 플렉시블관(20)하단의 돌기(22)가 실린더통(8)의 요홈(8a)에 결합되어 플렉시블관(20)과 피스톤(4)이 자연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 제13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실린더통(8)은 완전한 원통으로 구성이 되고, 주사시 피스톤(4)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킬 때에는 플렉시블관(20)의 끝단에 설치된 수액줄 연결부(3')를 손으로 잡고 밀거나 잡아당기면 되게 한 것이며, 이때 피스톤(4)을 완전히 잡아 뺐을때는 실린더통(8)의 내면 상부에 형성된 돌기(23)가 피스톤(4)의 요홈(8a)에 끼워져 피스톤(4)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반대로 피스톤(4)을 완전히 밀었을때는 실린더통(8) 내면 하부에 형성된 돌기(24)가 피스톤(4)의 요홈(8b)에 끼워져 피스톤(4)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면 부호 23은 걸림턱이다.
본 발명에서 플렉시블관(20)은 수액줄 연결부(3')를 잡고 밀거나 잡아 당길 때 꺾이는 일이 없도록 일정한 경도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혈이나 수액의 주사시 금속침을 이용해 혈관에 정확히 꽂은 후 금속침을 후퇴시키면 즉시 주사되므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빠른시간내에 주사할 수 있는 것이며, 주사도중 따른 혈관으로 바꿔 주사할 경우 새로운 금속침을 바꾸어 끼울 필요없이 금속침을 전진시켜 혈관을 찾은 후 다시 후진시키면 다시 계속해서 주사가 되므로 수지침 교체에 따른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금속침은 항상 실린더통내에서 보호되며 필름막 원통이 외부와 차단을 시키므로 금속침 사용시 세균의 침투를 방지하고 사용후에는 금속침이 실린더통내에 들어있는 상태로 폐기시키므로 종래와 같이 주사후 금속침에 의해 취급자가 피부에 상처를 입어 발생하는 AIDS감염 및 기타 병으로 부터의 세균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1회용 혈관수지침에 있어서, 수액줄(15)의 연결구(16)가 삽입되는 수액줄 연결부(3)와 실린더통(8) 내부 상단과 하단에 고정되는 투명필름막 원통(2)과, 전기 필름막 원통(2)의 내부 중앙에 고정되며 하측으로 금속침(7)이 돌출되고 손잡이(6)가 연결축(5)에 연결되는 피스톤(4)과, 전기 피스톤(4)이 왕복이동되며 하측으로 수지관(9)이 돌출된 실린더통(10)으로 구성시킨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2.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막 원통(2)을 실린더통(8) 내부에 구성시킨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3. 제 1 항에 있어서, 피스톤(4)에 수직으로 수액이동홀(4a)을 구성시킨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4.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통(8)의 일측에 직립되게 슬라이딩홀(10)과, 전기 슬라이등홀(10)의 양단에 스톱터(10a)(10b)와, 전기 실린더통(8)의 하측중앙에 침공(11)과, 이 침공(11)외측에 수액공급홀(12)을 구성시킨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5.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통(8)의 하단에 삼각 공간부(17)를 형성하고 그 삼각 공간부(17)내의 금속침(7) 하단에 미세한 배기공(18)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액 이동홀(4a)이 형성된 피스톤(4)과 실린더통(8)의 하단은 필름막원통(2)으로 연결하고 피스톤(4)의 상단과 수액줄 연결부(3')는 플렉시블(flexible)관(20)으로 연결하여 플렉시블관(20)의 상하부에는 돌기(21) (22)를 형성하여 실린더통(8)의 요홈(8a)에 결합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액 이동홀(4a)이 형성된 피스톤(4)에 요홈(8b)을 형성하고, 실린더통(8)의 내명 상부와 하부에 돌기(23) (24)를 각각 설치하여, 피스톤(4) 전후진시 실린더통(8)의 돌기(23) (24)가 피스톤(4)의 요홈(8b)에 결합고정 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KR1019930009244A 1993-03-11 1993-03-11 가역성 i회용 혈관 수지침 KR960009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244A KR960009654B1 (ko) 1993-03-11 1993-03-11 가역성 i회용 혈관 수지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244A KR960009654B1 (ko) 1993-03-11 1993-03-11 가역성 i회용 혈관 수지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796A Division KR960001727B1 (ko) 1993-03-13 1993-03-13 연속보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연속보교량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654B1 true KR960009654B1 (ko) 1996-07-23

Family

ID=1935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244A KR960009654B1 (ko) 1993-03-11 1993-03-11 가역성 i회용 혈관 수지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65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616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US6974444B2 (en) Safety catheter
RU2344841C2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пациенто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ES2256960T3 (es) Sistema cerrado de extraccion de muestras de sangre manipulable conuna sola mano.
JP4988602B2 (ja) 往復処置シリンジ
KR900009101A (ko) 일회용 주사기
KR20130041159A (ko) 사전 충전된 주사기 및 주사 디바이스용 안전 디바이스
ATE146366T1 (de) Medizinische ventileinrichtung
JP4233325B2 (ja) 注射器
US5057089A (en) Syringe needle guard
RU2277945C2 (ru) Катетер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3832148B2 (ja) シリンジ用アダプタ装置
KR960009654B1 (ko) 가역성 i회용 혈관 수지침
KR100991708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KR101628349B1 (ko) 시린지 교체형 자동투약기
ATE361765T1 (de) Selbstumhüllende zahnärztliche nadel
CA2634361A1 (en) System for injection through or into human skin
KR100864326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KR960015614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GB2279570A (en) Vein needle set
KR940006930Y1 (ko) 일회용 무통 주사기
KR19990073087A (ko) 가역성1회용혈관수지침
KR200362573Y1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960015615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KR100517200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