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559B1 - 화장지 분쇄기 - Google Patents

화장지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559B1
KR960009559B1 KR1019930015893A KR930015893A KR960009559B1 KR 960009559 B1 KR960009559 B1 KR 960009559B1 KR 1019930015893 A KR1019930015893 A KR 1019930015893A KR 930015893 A KR930015893 A KR 930015893A KR 960009559 B1 KR960009559 B1 KR 960009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housing
upper housing
toilet paper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378A (ko
Inventor
이의준
Original Assignee
이의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준 filed Critical 이의준
Priority to KR101993001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559B1/ko
Publication of KR950005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6Selection or use of additives to aid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02C2013/28609Dischar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장지 분쇄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화장지 분쇄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화장지 분쇄기의 수직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화장지 분쇄기의 살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화장지 분쇄기 12 : 하부 하우징
14 : 하부 하우징 15 : 돌기
16 : 덮개 18 : 뚜껑
20 : 살수실 22 : 파이프
32 : 호퍼 38 : 호퍼 배출기
52 : 분쇄실 54 : 배출구
64 : 모터 66 : 모터 회전축
72 : 분쇄용 회전판 76 : 덮개판
본 발명의 화장실에서 사용되고 난 화장지를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처리하기 위한 화장지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사용하고 난 화장지는 변기 내에 넣지 않고 휴지통에 따로 모아 처리하고 있다. 이런 사용된 화장지는 모아진 후에 일반 쓰레기와 함께 처리되므로 비위생적이다. 화장실용 화장지를 수세식 변기에 투입하는 경우에는 화장지의 섬유질이 뭉쳐서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S자형 굴곡부가 형성된 변기의 오수 배출 관로가 막히게 되어 변기를 사용 불능하게 만들어 되어버리는 일이 종종 일어난다. 또한, 근래에는 물에 풀어질 수 있도록 제조된 화장지도 시판되고 있지만 이런 종류의 화장지도 물에 완전히 풀어지는 것이 아니어서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배수관의 굴곡부 내에 남는 화장지 조각들이 점점 뭉쳐져서 결국 굴곡부를 막게 되어 오수의 역류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장지를 변기에 투입하더라도 변기가 막히지 않고 쉽게 배출되도록 화장지를 전처리하기 위한 화장지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지 분쇄기는 원통형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주대형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개방된 윗면을 덮고 그 중앙에 개폐 가능한 뚜껑이 형성된 덮개와, 상부 하우징의 상단 모서리에 인접하여 그 내면에 원주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고 한쪽이 T형 이음쇠를 거쳐 외부의 급수원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에 걸쳐 다수의 살수구가 상부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뚫려 있는 고리형 파이프 와 원통형 벽과 원통형 벽의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진 바닥벽 및 바다벽의 꼭지점 위치에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원통형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호퍼와, 외측면이 하부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게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바닥면에 인접한 일측면에는 분쇄실 배출구가 하부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 중심부에는 위를 향해 원통형 베어링부가 돌출되어 있는 분쇄실과, 분쇄실의 아래에 설치되고 회전축이 베어링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와, 모터 회전축과 축 결합되는 축이 아래로 돌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분쇄용 회전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분쇄실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외연부가 하부 하우징의 내면에 끼워 맞춰져서 분쇄실을 밀폐하고 상면에 호퍼의 원통형 배출구와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가 위로 돌출 형성된 분쇄실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호퍼의 원통형 배출구가 상부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해 평심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호퍼의 원통형 배출구가 상부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지 분쇄기(10)은 상부 하우징(12)와 하부 하우징(14)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부 하우징의 위에는 덮개(16)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16)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살수실로 화장지를 투입하기 위해 여닫을 수 있는 뚜껑(18)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2)의 내면에는 그 상단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원주 방향으로 고리형 파이프(22)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파이프(22)에는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다수의 살수구(24)가 뚫려있다. 따라서, 물이 외부의 급수원(도시 안됨)으로부터 급수 호스(26)을 통하여 파이프(22)로 공급되면, 물은 수압에 의하여 살수구(24)를 통하여 상부 하우징(12)의 내부로 살수 된다.
호스(26)과 파이프(22)는 T형 파이프 이음쇠(28)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호퍼(32)가 설치되어 있다. 호퍼(22)는 원통형 벽(34), 원통형 벽의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진 바닥벽(36) 및 바닥벽(36)의 꼭지점 위치에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원통형 배출구(38)로 되어 있다. 배출구(38)의 중심은 상부 하우징(12)의 중심으로부터 적당한 거리에 떨어져 있다. 원통형 벽(34)는 그 바깥 지름이 상부 하우징(12)의 안지름과 거의 같아서, 호퍼(32)와 상부 하우징(12) 및 덮개(16)의 사이에는 밀폐된 구조의 살수실(20)이 형서왼다.
하부 하우징(14)의 내면 중간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의 돌기(15)가 형성되어 있어서 분쇄실(52)가 그 바닥면 모서리부에 돌기(15) 위에 걸치게 된다. 분쇄실(52)의 외면은 하부 하우징(14)의내면과 거의 같은 형상과 크기로 되어 있어서 하부 하우징(14)의 내면에 밀착하여 설치된다. 분쇄실(52)의 윗면은 개방되어 있으나 그 하면에는 바닥면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외부를 향하여 원통형의 분쇄실 배출구(5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분쇄실 배출구(54)의 위치에상응하는 위치의 하부 하우징(14)의 벽은 배출구(54)가 하부 하우징(14)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잇도록 적당한 크기로 절개되어 있다. 분쇄실(52)의 바닥벽 중심부에는 위를 향해 소정의 높이로 원통형 베어링부(56)이 돌출되어 있다. 베어링부(56)의 중심에는 원형 제1구멍(57)과, 그아래로 이어서 마련된 제1구멍(57)보다 지름이 작은 원형 제2구멍(58)이 뚫려 있다.
하부 하우징(14)의 아래에는 바닥판(62)가 있고 그 중심부에는 모터(64)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64)의 회전축(66)은 제2구멍(58)을 통해서 베어링부(56)에 삽입된다. 회전축(66)은 그 바같 지름이 지지부(56)의 제2구멍(58)의 지름보다 약간 작아서 회전시에는 제2구멍(58)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구멍(57)에는 분쇄용 회전판(72)의 중심부 아래로 연장된 회전판축(74)가 삽입된다. 분쇄용 회전판(72)는 상면에는 돌기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시에는 그위로 공급되는 화장지를 원심력 및 전단력에 의해 분쇄시킬 수 있다. 회전판축(74)의 중앙부에는 모터(64)의 회전축(66)에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긴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분쇄실(52)의 위에는 분쇄용 회전판 (76)이 덮힌다. 덮개판(76)은 그 외연부가 하부 하우징(14)의 내면에 끼워 맞춰져서 분쇄실(52)를 밀폐한다. 덮개판(76)의 상부에는 호퍼(32)의 원통형 배출구(38)과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가 위로 돌출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4)에는, 제2도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터(64)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는 복수개의 열 발산 구멍(65)가 하부 하우징(14)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하부 하우징 측벽의 열 발산 구멍(65)가 형성된 부분과는 직경 방향으로 대향되는 측벽 외면에는 모터의 가동 및 정지를 위한 스위치(67), 회전 속도 제어 회로나 그 밖에 모터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과부하 방지 회로 등의 회로를 구비할 수 있는 제어부(68)이 하부 하우징(14) 외측에 부착된다. 이 제어부(68)은 스위치(67)과 같이 외부 조작을 요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각종 회로 등을 하부 하우징(14)의 내측의 공간에 내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쇄실(52)의 배출관(54)는 분쇄실(52)의 측벽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분쇄실(52)내에 설치되어 화장지를 분쇄하는 역할을 하는 분쇄용 회전판(72)는 원판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돌기을 분쇄실(52)의 덮개(76)의 하면에도 마주보게 형성하여 분쇄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때, 회전판(72) 상면의 돌기와 덮개(76) 하면의 돌기는 회전판(7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으로 형성하되 서로 충돌하여 마모되지 않게 엇갈려 형성하면 좋다. 또, 분쇄를 위한 구성으로서 돌기를 형성하는 대신 회전판(72)와 덮개(76)의 간격을 좁히고 이들의 대향 면에 껄쭉이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호퍼(32)의 깔때기형 경사 바닥부(36)의 꼭지점 부근에 형성된 배출구(38)은 분쇄용 회전판(72)의 중심에 일치하지 않도록 회전판(20)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 거리 격리된 곳에 중심을 둔 형태로 회전판(72)의 중심 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배출구(38)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화장지가 회전판의 원심력을 받아 천장판의 하면과 비벼지면서 분쇄되어 배출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이다.
제3도는 상술한 살수를 위한 장치의 부착 상태와 그 구조를 상세히 도시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이프(22)는 고리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고리형 파이프의 내부측의 약간 하방에 물을 하향 경사로 살수할 수 있는 다수의 살수구(24)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12) 및 호퍼(32)에 의해 형성된 살수실(20) 내부에 수용된 화장지를 적시게 한다. 파이프(22)의 급숭원으로의 연결은 상기 링형 파이프(22)의 한곳에 T형 이음쇠(28)이 연결되어 그 이음쇠의 다리 부분이 상부 하우징(12)를 관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급수원까지 이어지는 호스(26) 및 급수 차단 밸브(29)에 연결된다.
살수실에서 적당히 젖은 화장지는 호퍼 배출구(38)을 통해 분쇄실(52) 내부의 회전판(72) 상부로 떨어져 잘게 분쇄된 후 분쇄실 배출구(54)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화장지를 물에 적시면서 분쇄하여 오수와 함께 흘려 보낼수 있어서 변기의 막힘이나 오수의 역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된 화장지의 처리가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그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실시예와 동등한 개념의 다른 모든 변형 가능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예를 들어, 분쇄용 회전판(72)의 상면을 원추형으로 하고 덮개(72)의 하면을 이에 대응하는 원추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 하우징을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나누지 않고 일체의 부재로 된 원통형 하우징으로 하거나 분쇄실 또는 호퍼 등을 별도의 부재로 하여 적층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분쇄기는 화장실에서의 화장지 뿐만 아니라, 식당 등 화장지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사업장에서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원통형 상부 하우징(12); 상부 하우징(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추대형 하부 하우징(14); 상부 하우징(12)의 개방된 윗면을 덮고 그 중앙에 개폐 가능한 뚜껑(18)이 형성된 덮개(16); 상부 하우징(12)의 상단 모서리에 인접하여 그 내면에 원주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고, 한쪽 끝이 T형 이음쇠(28)를 거쳐 외부의 급수원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에 걸쳐 다수의 살수구(24)가 상부 하우징(12)의 내부를 향하여 뚫려 있는 고리형 파이프(22); 원통형 벽(34), 원통형 벽의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진 바닥면(36) 및 이 바닥벽(36)의 꼭지점 위치에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원통형 배출구(38)을 구비하고 상부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호퍼(32); 외측면이 하부 하우징(14)의 내면에 밀착되게 하부 하우징(14)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바닥면에 인접한 일측면에는 분쇄실 배출구(54)가 하부 하우징(14)를 관통하여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 중심부에는 위를 원통형 베어링부(56)이 돌출되어 있는 분쇄실(52); 분쇄실(52)의 아래에 설치되고, 회전축(66)이 베어링부(56)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57)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64); 그리고 모터 회전축(66)과 축 결합되는 축(74)가 아래로 돌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분쇄용 회전판(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분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분쇄실(52)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외연부가 하우징(14)의 내면에 끼워 맞춰서 분쇄실(52)를 밀폐하고, 상면에 호퍼(32)의 원통형 배출구(38)과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가 위로 돌출형성된 분쇄실 덮개판(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분쇄기.
  3. 제1항에 있어서, 호퍼(32)의 원통형 배출구(38)이 상부 하우징(12)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분쇄기.
KR1019930015893A 1993-08-17 1993-08-17 화장지 분쇄기 KR960009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893A KR960009559B1 (ko) 1993-08-17 1993-08-17 화장지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893A KR960009559B1 (ko) 1993-08-17 1993-08-17 화장지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378A KR950005378A (ko) 1995-03-20
KR960009559B1 true KR960009559B1 (ko) 1996-07-20

Family

ID=1936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893A KR960009559B1 (ko) 1993-08-17 1993-08-17 화장지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2205A (zh) * 2013-02-01 2014-08-06 蒋仙保 智能卫生巾处理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140A (ko) * 1998-12-04 2000-07-05 송인택 섬유원단 건조기의 열풍순환장치
KR102167179B1 (ko) 2020-02-19 2020-10-16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원단 수축 건조기의 노즐구조체
KR102234321B1 (ko) 2020-12-01 2021-03-3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선택적 건조 기능을 갖는 원단 수축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2205A (zh) * 2013-02-01 2014-08-06 蒋仙保 智能卫生巾处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378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7021B2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US2442812A (en) Garbage disposal device
US2594250A (en) Waste material disposal apparatus
US2832546A (en) Fluid-actuated waste disposal unit
KR91000423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960009559B1 (ko) 화장지 분쇄기
US2629558A (en) Garbage disposal device
KR20100070454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US3163371A (en) Splash guard for food waste disposer
US4433444A (en) Toilet with mechanical drainage comprising a draining chamber accessible and dismountable from inside the toilet bowl
US2828084A (en) Garbage disposer
US4271540A (en) Sewage system with comminutor
US2715735A (en) Grinding unit for disposal devices
US2707080A (en) Comminuting units
KR101187147B1 (ko) 오물처리분쇄기
KR20220112919A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US3142448A (en) Combined stopper and control means for waste disposal apparatus
JPH0238260B2 (ko)
US3361370A (en) Waste disposal apparatus
KR10039745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2739270U (zh) 一种厕所用垃圾桶的自清洁结构
US3344997A (en) Convertible waste disposal unit
JP2005021769A (ja) ディスポーザー
JPS5921876Y2 (ja) 厨芥処理機
KR20220163104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