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801B1 - 차량용 통기 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기 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801B1
KR960008801B1 KR1019890011242A KR890011242A KR960008801B1 KR 960008801 B1 KR960008801 B1 KR 960008801B1 KR 1019890011242 A KR1019890011242 A KR 1019890011242A KR 890011242 A KR890011242 A KR 890011242A KR 960008801 B1 KR960008801 B1 KR 960008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d
ventilation
roof
loop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387A (ko
Inventor
쉬라이터 토마스
푸에르스트 아르파트
패츠 베르너
Original Assignee
베바스토 아게 파르조이그테히니크
베.포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바스토 아게 파르조이그테히니크, 베.포겔 filed Critical 베바스토 아게 파르조이그테히니크
Priority to KR101989001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801B1/ko
Publication of KR910004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차량용 통기 루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 루프를 구비한 차량의 부분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 루프의 필수 부품과 구조 부품의 분해도.
제3도 내지 제6도는 덮개의 각기 다른 작동 위치에 있는 통기 루프의 종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루프의 한 측면에 대해 제3도의 선 VI-VI을 따른 단면도.
제9도 내지 제11도는 각각 다른 위치에 있는 덮개 조절기구를 예시한 통기 루프의 종단면도.
제12도는 제9도의 선 XI-XI을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이용된 스탑 기구의 확대 종단면도.
제14도 내지 제17도는 덮개와 조절 가능한 전면 차폐부의 각각 다른 작동위치에 있는 전방 루프 구역의 확대종단면도.
제18도 내지 제22도는 본 발명의 변경된 실시예에 따른 통기 루프의 도시적 종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 루프의 또 다른 변경된 실시예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의 부분 내측 사시도.
제24도 내지 제26도는 각각 다른 작동 위치에 있는 제23도에 따른 통기 루프의 종단면도.
제27도는 제23도의 선 XVII-XVII을 따른 확대단면도.
제28도 및 제29도는 통기구의 변경 실시예에 대한 제27도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덮개 21 : 드립 주형체
23 : 덮개 금속시이트 24 : 밀봉체
25 : 연부 플랜지 26 : 덮개 조절기구
27 : 연결부재 28 : 안내레일
29 : 구동케이블 30 : 횡부재
32 : 구동모터 34 : 힌지
36 : 측방보호 부재 40 : 루프개구
42 : 후연부 45 : 틈새
47 : 밀봉체 60, 61 : 안내롤러
63, 64 : 플랜지 67 : 스탑부재
71, 72 : 연결부재 트랙 83 : 레버
86 : 노치 90 : 캠 표면
102 : 통기 틈새 105, 106 : 스탑
본 발명은 후연부에서 또는 후연부 근처에서 피봇 축선 주위로 피봇시킴에 의해 선회되어 통기 위치로 이동되는 단일의 덮개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고정된 루프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루프개구를 지닌 차량용 통기 루프에서 덮개 전연부는 상기 고정된 루프 표면 아래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있고 덮개 후연부는 고정된 루프 표면 높이에 적어도 근접하게 유지되어 있는 차량용 통기 루프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통기 루프로는 독일연방공화국 실용신안 제81 19 662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서 루프개구는 고정된 루프 표면의 후부에 형성되어 있고 덮개는 루프개구를 개방하도록 들어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 공지의 통기 루프는 공기 역학적으로 특히 고속도에 적당한 배기 위치에서 고정된 루프 위로 어떠한 부품도 상부로 돌출하지 못하게 한다. 하지만 덮개가 통기 위치로 선회한 후에 형성되어 있고, 루프의 중앙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통기 틈새(차량 방향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는 통기에 관한 공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통기 특성은 바람직하게 되어야 한다. 더욱이 덮개가 제거된다해도 운전사와 승객은 콘버터블(convertible)에서의 운행감을 느끼지 못한다.
공지의 방법(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개 제31 49 977호)인, 즉 통기 위치로 선회될 수 있는 후덮개 앞에 후덮개가 통기 위치로 피봇된 후에 운전자와 승객위의 루프개구 일부를 개방하도록 후덮개를 통해 후방으로 밀릴 수 있는 제2덮개가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단점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같은 2개의 덮개를 설치하면 값비싸고 신경이 많이 쓰이는 구동 및 조절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루프개구는 그 전체 크기의 반 이하로만 개방될 수 있다.
다른 종래의 활주-상승식 루프는 고정된 루프 셀 아래에서 외부 또는 후방으로 선택적으로 밀릴 수 있게 되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24 54 723호 및 이에 대응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4,070,607호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덮개는 루프개구를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개방할 수 있으며 이 루프개구는 양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이같은 형태의 루프에서, 덮개는 통기 위치로 선회되어야만하면 그로인해 차량의 공기학적 특성 특히 고속 주행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더욱이 이 경우 통기 특성도 바람직한 상태로 되어야 한다.
소위 스포일러식 로프는 공기학적으로 더욱 좋지 않는데 여기서 고정된 루프 셀 위의 통기 위치로 선회된 후 덮개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독일연방공화국 특허 공개 제33 11 452호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양호한 공기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통기에 관한 공학적 관점으로 볼 때 향상된 전술한 형태의 통기 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같은 목적은 통기 위치에서의 작동이 개시된 덮개는 고정된 루프의 표면 아래의 후연부와 함께 하강될 수 있고 대체로 루프 셀 아래의 후방으로 활주될 수 있으며 그로인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루프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있게 되는, 고정된 루프 셀의 전면부에 루프개구를 형성하므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 루프에서 통기 틈새는 고정된 루프셀의 전단부 근처에 형성되어 방풍부재 내측에 있는 용착물을 녹이고 제거하는 통기 공학적인 면에서 유리하다. 더욱이 차량의 운전자와 승객은 통기 위치에 있는 덮개의 통기 틈새를 통한 공기 유동으로 귀찮아 지지는 않게 된다. 또한 덮개를 활주시킴으로서 루프개구의 개방 정도가 어떤 원하는 위치에서도 양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활주될 수 있다. 덮개가 완전히 되돌아가면 운전자는 콘버터블에서의 운전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덮개의 가능한 모든 위치에서, 루프의 어느 부분도 고정된 루프표면 위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차량 운행중 특히 고속 운행중에 공기 역학적으로 양호하게 운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스포일러식 루프와 비교해 보면 차량의 종래의 외양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단지 하나의 덮개를 사용해도 본 발명에 따른 통기 루프는 비교적 단순한 구동 및 조절기구에 의해 충분히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의 후연부가 하향 이동되고 전연부가 먼저 통기 위치로 하향 이동됐을때 그 이후 덮개 전연부는 통기위치와, 승객 머리와 천장 사이의 거리(headroom)에 대해 특히 적당한 폐쇄 위치사이의 중간 위치로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덮개는 그 주위 모든 방향으로 연장하는 고정된 드립 주형체를 지지하며, 이 고정된 드립 주형체는 덮개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덮개의 외측 연부와 루프개구의 연부사이의 연부 틈새 아래에 끼워 맞춰지게 된다. 이 방법으로 종래의 활주식 루프에 필요하고 덮개에서 분리되어 있지만 활주운동과 연결되어 있는 후측 드립 주형체는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덮개에는 또한 덮개 주위의 모든 방향으로 연장하는 밀봉체 또는 밀봉면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덮개의 크기는 폐쇄 위치에서 고정된 루프에 대해 덮개를 밀봉하도록 루프개구와 덮개에 관련된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체, 즉 밀봉면은 루프개구의 연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하부에서 충분히 가압되어 덮개를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밀봉하고 고속 주행시 밀봉 효과를 증가시킨다.
더욱이 덮개가 공기 유동의 영향으로 빠질 수 없게 된다. 또한 통기 루프 외부로 가압될 덮개에 대한 더 큰 안정성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루프를 통한 차량의 파손등에 의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외측 덮개 크기 및/또는 루프개구의 내측 크기의 큰 틈새 또는 덮개 전연부의 작은 곡률은 루프를 적절히 밀봉하지 못하게 할 것이다. 밀봉 틈새는 비교적 좁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덮개 후연부에서 루프개구와 접하고 있는 한 위치의 고정된 루프 표면 아래에는 하강될 수 있는 강성 루프 패널의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강성 루프 패널은 그 후단부에 의해 루프와 고정된 부재로 선회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덮개 위치의 모든 방향으로 하부로부터 덮개에 대해 접하도록 상부로 탄성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향 이동될 수 있는 강성 루프 패널은 상부로 이동되어 그로 인해 뒤 좌석의 승객에 대한 천장과의 거리를 넓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덮개는 고정된 루프 셀 아래의 루프개구의 양측상에 구비되어 있는 덮개 조절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해도 덮개 조절 기구는 승객 머리와 천장과의 거리를 감소시키지 않게 된다. 덮개 조절기구는 그 자제가 보호 위치에 배치된다.
하나의 단순한 덮개 조절 기구는 루프의 양측상에 배치된 연결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연결부재는 루프에 고정된 안내 레일을 따라 차량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안내된다. 상기 연결 부재는 각 연결부재의 연결부재 트랙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연결 볼트 및 후면 연결 볼트에 의해 덮개에 연결된다. 연결 부재 트랙을 적당히 설계함으로써 비교적 길게 잘 작동되는 통기 기능용 작동 통로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통로의 높이간의 거리는 적게 유지될 수 있다.
사전에 조립될 수 있는 통기 루프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면구역 및 후면 구역에 있는 2개의 안내레일은 횡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방법에서 전면 횡부재는 풍편향기(wind deflector)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하향될 수 있는 강성 루프패널은 예를 들면 힌지에 의해 후면 횡부재로 선회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안내레일은 압출 부분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이 레일이 기계적 마무리를 기껏해야 조금만 해도 되기 때문이다. 통기 루프를 작동시키려면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형태가 바람직한 구동 케이블에 의해 각각의 연결 부재에 작동 연결되는 단일 구동체면 충분하다.
안내롤러는 연결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된 안내 레일의 안내 채널에서 안내되며 차량 종방향으로 주행되어 안내레일에 대해 연결부재를 확고하고 매끈하게 활주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연결부재 트랙은 연결부재가 폐쇄된 덮개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밀릴 때 덮개가 먼저 통기 위치에 있게 되고 이어서 덮개 후연부가 하향 이동되어 후방으로 지지되는 위치에 있게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조된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 후연부가 하향 이동된 후 덮개는 루프개구 앞의 고정된 루프 셀의 일부 아래에 있는 덮개 전연부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 트랙은 연결부재가 폐쇄된 덮개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때 덮개가 먼저 그 전연부에서 하향 이동되고 이어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그리고 연결부재가 폐쇄된 덮개 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될 때 덮개의 전·후연부에서 하향이동된 후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탑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부재는 덮개의 선회중에 덮개 및 안내레인간의 활주 이동을 못하게 하고 덮개 후연부가 상기 활주 이동하는데 필요한 위치로 하향 이동될 때에만 후방으로 활주할 수 있게 릴리이스 된다.
덮개 조절기구를 덮고 이와 동시에, 덮개 주위로 연장되고 물배출구를 갖고 있는 덮개 드립 주형체의 측면부 아래에 도달하는 추가의 드립 주형체를 형성하기 위해 루프개구의 양측면에는 측방 보호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의 하측에는, 덮개의 중앙구역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측방 보호부재와 같은, 루프에 견고하게 연결된 측방 라이닝부에 대해 탄성 가압하도록 부착 구역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덮개 내측의 탄성 라이닝이 구비되어 있다.
루프개구의 전연부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전면 보호부재는 충격 보호체로써 만들어져 있고, 이 보호부재는 탄성적인 상부로 미리 인장되고 덮개가 뒤로 당겨질 때 풍편향기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통기 루프는 고정될 시이트 금속 또는 플라스틱 프레임 없이도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어서 중량을 절감하고 승객 머리와 천장과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루프개구는 비교적 큰것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덮개 자체는 승객 머리와 천장과의 거리(이후 헤드룸으로 지칭함)를 고려하여 얇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 루프는 하나의 키트(kit)로 될 수 있어서 주형 유니트로써 대부분 사전에 조립될 수 있다. 조립 및 승강 조절은 하나의 작동으로 달성될 수 있다. 루프를 자동 조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된 부가 헤드라이닝 부재는 적어도 루프개구 앞의 구역에 있는 고정된 루프 아래에 맞물려 있다. 이 고정된 헤드 라이닝 부재는 루프개구의 전연부 영역으로부터 덮개의 폐쇄위치에서 덮개의 앞부분 아래의 한정까지 후방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기 격자창을 구비하고 있다.
이 통기용 격자창에 의해 덮개가 통기 위치에 있을 때 진행되는 공기유동은 한편에서 상기 격자창이 양호한 통기 효과를 달성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바람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내될 수 있다.
덮개 전연부와 고정된 헤드 라이닝 부재 또는 루프개구의 전연부 사이의 틈새는 차량 내부에서는 더 이상 볼 수가 없다. 그래서 덮개의 모든 위치에서 차량 내부에 미학적으로 쾌적한 환경이 제공되게 된다.
또한 루프개구 전연부에는 정지 및 작동위치 사이에서 덮개의 활주 이동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풍편향기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고정된 헤드라이닝 부재가 풍편향기 아래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풍편향기는 차량 내부에서는 볼 수가 없다. 덮개의 폐쇄위치, 덮개 통기위치 및 이들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풍편향기는 덮개와 고정된 헤드라이닝 부재사이에서 보호된다.
통기용 격자창은 루프개구의 전연부 앞에 위치하는 고정된 루프의 부분 아래에 맞물리는 고정된 헤드라이닝 부재의 일부에 있는 것이 적당하며 풍편향기가 있을 때 통기용 격자창은 상기 편향기 앞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서 통기 위치에 있을 때 풍편향기 및/또는 덮개 전연부에 의한 통기용 공기 유동의 분헐 영향은 방지된다.
통기용 격자창은 수직방향으로 주행되거나 전방으로 볼록하게 굽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덕트를 형성하며, 이 덕트는 루프개구의 폭중 적어도 75%에 상당하는 거리 이상 루프개구의 전연부와 평행하게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는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어서 유리 루프를 포함하게 되며 활주 헤드라이닝 부재는 유리 덮개 아래에서 루프개구 아래에 놓여 있는 루프 프레임의 개구를 덮게되는 밀폐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활주되기 시작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개구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고 전술하였고 후술한 전 및 후라는 용어는 루프가 결합되어 있는 차량의 통상적인 전방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과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에 기술하는 도면을 참조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해 질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따르면 하나의 덮개 통기구 활주 루프는 덮개(20) 주위를 완전히 연장하는 돌출해 있는 고정된 드립 주형체(21)를 구비한 단일의 덮개(20)를 갖고 있으며 이 드립 주형체(21)는 (22)에 도시되어 있는 통로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시이트 금속 덮개의 경우 이 드립 주형체(21)는 내측의 덮개 금속시이트(23)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제12도 및 제15도 참조).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에는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덮개(20)의 하방으로 오프셋 된 연부 플랜지(25)로 활주될 수 있는 덮개 주위로 연장하는 밀봉체(24)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부재(27)를 포함하는 덮개 조절기구(26)는 덮개(20)의 각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27)는 루프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레일(28)을 따라서 활주 가능하게 안내된다.
상기 레일(28)에 대해 연결부재(27)을 변위시키기 위해 구동케이블(29)이 이용된다. 2개의 안내레일(28)은 횡부재(30)에 의해 전면 구역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횡부재(30)는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듯이 중앙부에서 구동모터(32)를 지지한다.
피니언기어는 구동모터(32)에의 종래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 피니언기어는 쓰러스트 베어링에 의해 횡부재(30)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니언은 외측에 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구동케이블(29)과 맞물리게끔 설계된다. 안내레일(28)의 후단부에서 안내 레일은 피봇 가능한 강성 루프 헤드라이너(35)용 힌지(34)를 지지하는 또 다른 횡부재(3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과 후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루프를 이용하고 있는 차량의 전방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제2도에 따른 통기구-활주 루프에는 2개의 측방보호부재(36)(제2도에는 단 1개만이 도시), 보강레일(38), 각 보강부재(39) 및 전면보호부재(37)가 구비되어 있다.
제3도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듯이 덮개(20)는 고정된 루프피막(41)에 만들어져 있는 루프개구(40)를 폐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덮개 조절기구(26)에 의해 덮개(20)는 그 후연부(42) 또는 근처의 피봇축선(가상선) 주위를 선회하여 제3도의 폐쇄위치에서 제1도 및 제4도에 따른 통기 위치로 이동한다. 통기 위치에서 덮개(20)의 전연부(43)는 고정된 루프 피막(41)의 표면 아래에 위치하지만 후연부(42)는 적어도 고정된 루프 피막의 높이로 유지된다. 차량 운행중에 루프 피막의 외측상에 차량 내부의 전반적인 압력에 대한 부분 진공압이 발생됐을 때 제4도의 (44)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동이 생기게 된다. 차량 내부는 덮개 전연부(43)와 고정된 루프 피막(41)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배기된다.
고정된 루프 피막(41)의 앞부분에 형성된 루프개구(4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어서 덮개(20)는 그 후연부에서 제4도에 따른 통기 위치로부터 고정된 루프셀(41)의 표면 아래의 위치로 하향이동될 수 있다. 후연부(42)는 전연부(43)가 통기 위치(제4도 및 제5도 비교)로 하향 이동되는 양보다 작은 양만큼 하향 이동된다. 이 방법에서 먼저 통기 위치로 하향된 덮개 전연부(43)는 제4도의 통기 위치 및 제3도의 폐쇄위치 사이의 중간위치로 동시에 상승된다. 그래서 덮개(20)는 제5도에 도시한 대로 고정된 루프피막(41)에 대해 필히 평행하게 배치된 활주 위치에 있게 된다. 이후 제6도에 도시한대로 덮개(20)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루프개구(4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있게 된다.
제3도에 도시한 대로 덮개(20)를 둘러싸는 고정된 드립 주형체(21)는 덮개의 폐쇄 위치에서, 루프개구(40)를 형성하는 고정된 루프 피막의 연부 및 덮개의 주연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연부틈새(46) 아래에 결합된다. 더욱이 덮개의 폐쇄 위치에서 밀봉체(24)는 루프개구(40)의 연구 구역에서 고정된 루프피막(41)에 대해 상부로 가압된다. 이 방법에서 탄성적으로 굽히는 플랩(48)을 갖는 드립 주형체(21)의 외연부에 위치하는 밀봉체(47)(제5도 참조)는 루프셀(41)의 하부측과 접하게 될 것이다(제17도 참조).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강성 헤드라이너 패널(35)은 후측면에서 루프개구(40)와 접하는 고정된 루프피막(41)의 부분 아래에 놓여 있다. 강성 헤드라이너 패널(35)은 그 전단부(49)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활주표면(50)을 지지하며 이 표면의 양측면상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레그(51)(제2도 참조)가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래그(51)는 그 전단부(49) 영역에서 상부 방향으로 강성 헤드라이너 패널(35)을 탄성 인장하도록 루프에 고정된 부분(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강성 헤드라이너 패널(35)의 전단부는 덮개(20)이 폐쇄위치(제3도) 또는 통기위치(제4도)에 있을 때마다 상기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드립 주형체(20)의 부분 또는 덮개(20)의 후단부에 대해 가압된다. 덮개 후연부(42)는 제5도에 따른 활주 위치로 하향 이동될 때 헤드라이너 패널(35)의 전단부(49)는 덮개(20)로부터 하향 가압되며 그로 인해 후단부(52) 영역에 있는 힌지(34) 주위에서 선회된다. 이 방법으로 공간(53)은 루프셀(41)의 후부와 덮개(20)가 이동된 강성 헤드라이너 패널(35)(제6도 참조)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7도, 제8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대로 덮개(20)의 하측에는 내측의 덮개 라이닝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라이닝은 횡방향 중앙구역에 잇는 덮개(20)에 단단히 연결되어 잇다.
상기 내측 덮개 라이닝(54)은 탄성을 갖고 있고 그 측면에서 덮개와 분리되어 있으며 측방연부(55)는 측방보호부재(36)에 대해 탄성 가압된다.
루프의 한측면상에 있는 덮개 조절기구(26)의 구조는 제9도 내지 제1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루프의 다른 측면상에 덮개 조절기구는 도시된 측면의 경상(mirror image)로써 만들어진다. 압출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 안내레일(28)은 루프개구(40)의 측면쪽으로 측방으로 오프셋이 되어 있는 고정된 루프피막(41)의 일부분 아래에 연결되어 있다.
이 안내레일(28)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방법, 예를 들면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종래의 수단에 의해 루프 지지부재(56)에 연결된 조인트판(57)에 고정된다.
연결부재(27)는 안내레일(28)과 변하는 측면상에서, 연결부재(2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안내롤러(60,61)용 전면롤러 케이지(58)와 후면롤러 케이지(59)를 지지한다. 이 안내롤러(60,61)는 상부플랜지(63)와 하부플랜지(64)에 의해 접하게 되는 차량 종방향으로 주행되고 연결부재쪽으로 개방하는 안내레일(28)의 안내채널(62)내에서 안내된다.
제13도에 도시한대로 안내롤러(60)는 하부플랜지(64) 위에 놓여 있으며 안내롤러(61)는 상부플랜지(63)위에 놓여 있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할 스탑장치(68)의 스탑부재(67)용 트랙(66)과 케이블 덕트(65)는 안내레일(28)에서 안내채널(62)과 평행하게 주행된다. 2개의 구동케이블 중 하나는 루프의 각 측면상의 케이블덕트(65)내에서 종방향으로 활주 안내된다. 각각의 구동 케이블(29)은 안내레일(28)을 따라서 연결부재(27)를 이동시키도록 2개의 롤러 케이지(58,59)중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덮개(20)는 각 측상에서 전면 및 후면덮개 연결볼트(69,70)에 의해 연결부재(27)에 연결된다.
이 덮개 연결볼트(69,70)는 드립 주형체(21)의 외측에서 측방향 외부로 돌출해 있으며 연결부재(27)의 전면 연결부재 트랙(71)과 후면 연결부재 트랙(72)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전면 연결부재 트랙(71)은 안내채널(62)과 평행하게 주행하는 비교적 짧은 다수의 세그먼트(73,74,75)를 포함한다. 세그먼트(73,74)는 그 세그먼트(74,75) 사이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세그먼트(77)가 연장되는 동안 후방으로 하강하는 세그먼트(77)가 연장되는 동안 후방으로 하강하는 세그먼트(76)에 의해 연결된다. 후면 연결부재 트랙(72)은 안내채널(62)과 평행하게 주행하는 세그먼트(78,79,80)를 포함한다. 세그먼트(78,79) 사이에는 후방으로 상승하는 세그먼트(81)가 구비되어 있으며 세그먼트(79,90)은 후방으로 상승하지만 그 경사각이 세그먼트(81)의 경사각보다 작은 세그먼트(82)에 의해 연결된다.
덮개(20)에 대해 각각의 연결부재(27)를 활주시킴으로써 덮개(20)의 후연부(42)와 전연부(43)는 고정된 루프피막(41)에 대해 바람직한 높이로 조절되도록 가압된다. 제9, 10 및 11도를 보면 연결부재 트랙(71), (72)은 연결부재(27)가 제9도에 도시한 폐쇄된 덮개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할 때 덮개(20)가 먼저 통기 위치(제10도)에 있도록 만들어진다. 그 직후 연결부재(27)의 추가 후방 이동으로 후연부(42)는 하강되고 전연부(43)는 약간 상승된다. 연결부재(27)의 추가 이동으로 덮개(20)는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루프피막(41) 아래의 한 위치로 이동된다.
전술한 선회 및 높이 조절하기 위해 이동되는 동안 고정된 루프피막(41)에 대해 활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탑장치(68)가 구비되어 있다. 즉, 스탑장치(68)는 제11도에 도시한 대로 덮개 후연부(42)가 덮개가 활주하는데 필요한 위치로 하강된 후에만 덮개가 후방으로 활주하도록 릴리이스 된다. 이 스탑장치(68)는 덮개(20)에 고정되는 조인트(84) 주위로 선회하도록 덮개(20) 아래에 연결되어 있는 차단레버(83)를 갖고 있다. 이 차단레버(83)는 루프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축선 주위로 선회하며 그 전방으로 또한 자유단에서 스탑부재(67)를 지지한다. 상기 스탑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위로부터 상기 트랙(66)과 접하는 안내레일(28)의 플랜지(85)는 상기 안내레일(28)상에 구비되어 있는 스탑부품(87)에 의해 덮히는 스탑노치(86)를 갖고 있다.
또한 트랙(66)내의 스탑노치(86) 앞에는 또 다른 스탑 부품이 구비되어 있다. 스탑부품(87,88)과 스탑노치(86)는 안내레일(28)에 의해 루프에 고정되어 있고 전체가(89)로 표시되는 스탑을 형성한다. 스탑부재(67)는 연결부재(27)의 상부측 상의 캠표면(90)(제9도 참조)에 의해 스탑(89)와 결합이 유지되어 있으며 덮개는 폐쇄위치와 통기위치 사이에서 이동하여 제11도에 표시된 덮개 위치에 도달하기 바로 전까지 이동한다.
제9도의 덮개의 폐쇄위치에서 연결부재(27)는 최전방 위치에 있게 된다. 덮개 연결볼트(69,70)는 연결부재트랙(71,72)의 각각의 후상부 세그먼트(75,80)에 위치한다. 덮개(20)는 그 밀봉체(24)로 하부로부터 루프개구(40)의 연부에 대해 가압된다. 덮개(20)에 고정된 전면 연결볼트(69)와 연결부재 트랙 세그먼트(77)의 상호 작용에 의해 덮개 전연부(43)는 하방으로 끌리게 되어 루프개구(40)의 전연부 아래로 하강한다. 이와 동시에 연결부재 트랙 세그먼트(82)에 있는 후면 루프 연결볼트(70)의 보상 하강에 의해 덮개 후연부(42)는 루프 높이에 유지된다. 루프개구(40)의 전연부와 덮개 전연부(43) 사이의 통기틈새(45)는 덮개 연결볼트(69,70)가 각각의 연결부재 트랙(71,72)내에서 수평으로 주행하는 각각의 세그먼트(74,79)에 위치하게 충분할 정도로 제10도에 도시한 연결부재(29)가 재이동될 때 최대치를 갖도록 만들어진다.
밸브틈새(45)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연결부재(27)는 제9도의 폐쇄위치와 제10도의 통기위치 사이의 어떤 중간 위치에 멈추게 될 수 있다.
연결부재(27)의 추가의 후방 이동으로 인해 덮개 연결볼트(69,70)가 각각의 연결부재 트랙(71,72)내에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각각의 세그먼트(76,81)로 유입되게 된다. 전면 연결볼트(69)와 연결부재 트랙 세그먼트(76)의 상호작용에 의해 덮개(20)의 전연부(43)는 통기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중간위치로 상승되지만 이와 동시에 후면 연결볼트(70)와 연결부재 트랙 세그먼트(81)의 상호작용에 의해 덮개 후연부(42)는 하강된다. 이 방법으로 연결부재(27)의 캠표면(90)은 루프와 고정되어 있는 스탑(89)과 결합된 스탑부재(67)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그후 연결부재(27)의 추가 후방 이동에 의해 덮개 연결볼트(69,70)는 각각의 연결부재 트랙(71,72)의 각각의 전면 세그먼트(73,78)에 도달하지만 캠표면(90)상의 리세스(91)는 스탑부재(67)을 릴리이스시킨다. 조인트(84) 주위로 차단레버(83)를 선회시킴으로써, 스탑부재(67)은 세그먼트(86)을 정지시킴으로써 안내레일(28)에 있는 트랙(66)의 하방향으로 유입한다.
각각의 덮개 연결볼트(69,70)상에 있는 연결부재 트랙(71,72)의 전단부를 침으로써 루프 표면과 안내채널(62)에 대체로 평행한 덮개(20)는 연결부재(27)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루프개구(40)에 후방으로 인접하는 고정된 루프피막(41) 아래로 활주될 수 있다(제6도 참조).
반대방향의 작동을 보면, 제6도의 개방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연결부재(27)는 연결된 안내레일(28)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고 스탑부재(67)와 트랙(66) 사이의 연결로 인해 덮개(20)의 원하지 않는 선회를 방지하게 된다. 덮개(20)는 그것이 루프개구(40) 아래에 있을 때까지 연결부재(27)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점에서 스탑부재(67)는 스탑부품(88)의 경사진 단부를 치게 되고 앞면에서 캠표면(90)과 접하는 연결부재(27)상에 있는 캠 베벨(92)은 스탑개구(86)를 통해 스탑부재(67)를 상부로 밀어내어 스탑(89)과 연결하게 한다. 그래서 덮개(20)는 고정된 루프에 대해 활주하지 못하게 되며 연결부재(27)는 덮개(20)에 대해 상대적인 활주 운동을 하도록 릴리이스 된다. 제11도의 위치에서 시작된 연결부재(27)가 전방으로 추가 이동하면 전술한대로 덮개(20)가 결국 제9도의 폐쇄위치에 이를 때까지 반대 순서 및 방향으로 조절 작동이 이루어진다.
아래 및 제12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덮개 조절기구(26)를 덮는 측방보호 부재(36)는 탄성 후크(93,94)에 의해 릴리이스 될 수 있게 안내레일(28)에 연결된다. 또한 측방 보호부재는 덮개(20)의 드립 주형체(21)에 의해 포획된 물을 수용하여 이 물은 양단부(제2도 참조)에 있는 배수구(96)에 의해 배출시키도록 루프개구(40)의 측연부 아래로 연장하는 드립 주형체(95)를 형성한다.
측방 보호 부재(36)의 내측연부(97)는 내측의 탄성 덮개 라이닝(54)의 측연부와 활주 연결되어 있다.
제14 내지 제17도에 도시한 전면보호부재(37)는 루프개구(40)의 전연부(98) 영역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4봉기구(four-bar mechaninsim)(99)에 의해 점선으로 도시된 루프에 고정된 부재, 바람직하게는 횡부재(3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종래의 방법으로 상부로 이동되도록 가압 조정된다.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은 점선으로 도시된 기구(99)의 1개 이상의 링크를 가압 조정한다.
전면보호부재(37)는 보강된 연성재료부품, 예를 들면 박판강 보강 폴리우레탄 폼(foam) 부분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보호부재(37)는 덮개가 루프개구(40)와 정열된 위치, 예를 들면 제14도에 따른 통기위치 또는 제17도에 따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덮개 전단부 아래에 결합된다.
이 방법에서, 전면보호부재(37)로 인해 편평한 덮개(20)와 횡부재(30)의 비교적 높은 브래킷 부분(100)사이에서 조화전이(harmonic transition)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전면보호부재(37)는 덮개(20)가 되돌아갈 때(제16도 참조) 루프개구(40)의 전연부(98)를 덮는 충격 보호체를 제공한다. 전면보호부재(37)가 완전히 선회한 위치에서 이 보호부재의 단부표면(101)은 풍편향기(제16도 참조)로써의 역할을 하기 위해 루프표면 위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한다. 종래의 풍편향기로 알려져 있는 것(미합중국특허 제4,630,859호 참조)과 같은 덮개(20) 또는 연결부재(27)상의 캠에 의해 전면보호부재가 조절될 수 있다.
제8도 내지 제22도에는 여러작동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의 덮개통기-활주식 루프의 수정된 실시예가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7)가 덮개의 폐쇄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덮개(20)가 그 전연부(43)에서 먼저 하강되도록 연결부재(27)의 연결부재트랙(71,72)이 만들어진다.
루프개구(40)의 전연부와 덮개(20)의 전연부(43) 사이의 틈새(45)를 통해 차량 내부는 통기될 수 있다. 연결부재(27)를 안내레일(28)을 따라 전방으로 추가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전연부(43)에서 하방으로 선회하는 덮개(20)은 각각의 덮개 연결볼트(69,70)와 접하는 연결부재트랙(71,72)의 후단부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며 덮개(20)는 루프개구(40)의 앞에서 고정된 루프셀(41)의 부분 아래로 그 전단부(43)와 함께 밀리게 된다.
이 방법에서 통기틈새(102)는 루프높이에 유지되어 있는 덮개(20)의 후연부(42)와 루프개구(40)의 후연부(10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제20도 참조).
연결부재(27)를 제18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 덮개(20)는 고정된 루프표면(제21도 참조)과 평행한 위치로 하강되며 루프개구(40)에 후방으로 인접한 고정된 루프피막(41)의 일부분 아래의 연결부재(27)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체가(68)로 표시된 스탑장치는 루프에 고정되어 덮개 연결볼트(69,70)와 직접 상호 작용한다. 트랙(104)은 안내레일(28)의 일부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위치(제18도)에서, 덮개 연결볼트(69,70)는 트랙(104) 상부로 나가 있으며 각각의 스탑(105,106)에 대향 배치되어 있어서, 덮개(20)가 활주하지 못하게 된다. 덮개 전연부(43)가 하강되면 덮개 연결볼트(69)는 덮개 통기위치의 트랙(104)에 유입될 때까지 스탑(105)을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방법에서 덮개는 전방으로 활주 운동하도록 릴리이스 된다. 덮개(20)의 후방 활주 이동은 상기 위치에서 후방 스탑(106)과 접하는 덮개 연결볼트(70)에 의해 방지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덮개(20)가 제21도에 따른 중간 위치로 하강되면 2개의 볼트(69,70)는 트랙(104)으로 유입된 후 후방 활주하도록 덮개(20)를 릴리이스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다양하게 개조할 수 있다. 그래서 덮개(20) 주위로 연장하는 밀봉체(24) 대신에 덮개의 폐쇄위치에서 루프개구(40)의 연부 하측상에 구비되어 있는 밀봉체에 대해 하부로부터 가압되는 돌출하는 하나의 밀봉 표면이 구비될 수도 있다.
헤드룸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덮개(20)를 삽입하기 위해 앞에서 하강될 수 있는 강성 헤드라이너 패널(35) 대신에 단단하게 설치 고정되어 있는 헤드라이너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헤드라이너는 횡부재(33) 및/또는 안내레일(28)과 적당히 연결된다. 상기 단단히 고정된 헤드라이너는 선택적으로 횡부재(33)를 대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헤드룸을 최소화하기 위해 뒤로 밀린 덮개(20) 아래에서는 헤드라이너 패널 없이도 사용될 수 있다.
단일의 덮개 통기 활주식 루프의 또 다른 개조된 실시예가 제23도 내지 제27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덮개(20)는 투명물질 또는 반투명물질로 만들어지며 덮개 지지체(110)상에 지지되어 있다. 덮개 지지체(110)의 외부로 돌출한 연부상에는 덮개(20)를 둘러싸는 탄성중합부재(1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부재(111)에는 중공실 밀봉부(24')와, 덮개의 폐쇄위치에서 루프피막(41)의 하측에 대해 결합하는 탄성 플랩(48') 및 상기 플랩(48')과 밀봉부(24') 사이에 배치된 드립 주형부(21')과 형성되어 있다.
덮개(20)에 의해 고정된 루프피막(41)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루프개구(40)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낭 또는 폐쇄될 수 있다.
고정된 루프피막(41) 아래에서 루프프레임(112)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루프프레임에 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13)은 루프개구(40) 아래에 놓여 있다. 상기 개구(113)의 종방향 크기는 루프개구(40)의 종방향 크기보다 작으며 개구(113)을 형성하는 루프프레임(112)의 전연부(114)은 루프개구(40)를 형성하는 전연부(98)의 후방으로 돌출한다. 루프프레임(112)의 전면부는 고정된 헤드라이닝 부재(115)에 의해 하부로부터 덮혀 있다.
루프 헤드라이닝 부재(115)는 덮개의 폐쇄 위치에서 덮개(20)의 전면부 아래에서 후방으로 연장한다. 여기서 루프 헤드라이닝 부재(115)는 제27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정지 위치와 점선으로 도시한 작동위치 사이에서의 덮개 활주 운동에 응답하여 선회될 수 있고 루프개구(40)의 전연부(98)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풍편향기(117)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풍편향기(117)의 조절기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종래의 풍편향기와 같이, 전면보호부재(37)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기 격자창(118)과 브래킷(120)은 단일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브래킷(120)은 통상적으로 힌지되는 차양판(121) 사이의 한 위치에서의 하측의 루프와 접하며 통기용 격자창(118)은 차양판(121)의 상부로 선회된 위치 뒤쪽에 배치되므로 차양판(121)은 통기덕트(119)로의 공기 유동의 접근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통기용 격자창(118)의 모든 주위로 돌출하는 플랜지(122)의 상부측은 제27도의 (123)에 도시되듯이 루프프레임(112)의 하측과 접착되어 있다. 통기용 격자창(118)의 러그(124)는 상기 통기용 격자창(118)을 수용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헤드라이닝 부재(115)의 연부 하측과 접하도록 상기 플랜지(122)로부터 외부로 연장한다. 여기서 통기용 격자창과 헤드라이닝 부재(115) 사이의 틈새는 덮히고 헤드라이닝 부재(115)는 루프프레임(112)과 결합이 유지되어 있다.
활주형 루프 헤드라이너(125)는 그 전단부에 흠이난 그립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활주형 헤드라이너(125)는 프레임개구(113)를 덮는 폐쇄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루프프레임(112)의 후단부를 통해 개구(11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위치로 후방으로 활주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작동은 제24도에 도시한 폐쇄위치에서 시작하여 기술된다. 덮개(2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조절기구에 의해 후연부(42)나 그 근처의 피봇축선(가상) 주위로 선회한다. 여기서 덮개(20)는 제25 및 27도에 도시한 통기 위치로 이동되며, 덮개 전연부(43)는 고정된 루프피막(41)의 표면 아래에 배치되고 덮개 전연부(42)는 거의 루프 높이로 유지된다. 그래서 차량의 운행중에 루프셀(41)의 외축에는 차량내부의 압력에 대해 부분 진공압이 생기게 되어 제25 및 제27도에 도시한 공기 유동이 발생된다. 이후 차량 내부는 공기덕트(119) 및 덮개 전연부와 고정된 루프 피막 사이의 틈새(45)에 의해 의도적이고 효과적으로 통기될 수 있다.
더욱이 폐쇄위치(제24도)와 통기위치(제25도) 사이에서 덮개(20)가 이동하는 것을 차량 내부에서는 볼 수 없게 된다.
원한다면 루프개구(40)는 고정된 루프셀(41)의 표면 아래에 있는 덮개 후연부(42)를 하강시킴으로써 제24도에 도시한 통기 위치에서 덮개(20)는 이동시킨 후 루프피막(41)과 덮개프레임(112) 사이의 중간(53)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공지된 방법으로 덮개(20)는 뒤로 이동될 때 그것을 따라서 후방으로 활주형 루프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각 부재에는 후방으로 작용하는 접촉 표면이 구비될 수 있다.(미합중국특허 제4,320,921호 참조). 활주형 루프 헤드라이너(125)는 공간(53)에 수용될 수 있다.(제63도 참조) 그러나 원한다면 상기 루프 헤드라이너(125)는 덮개(2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라도 덮개(20)에 관계없이 홈이 난 그립(126)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덮개(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풍편향기(117)는 자동적으로 그 작동위치(제26도)로 이동된다.
제28도 및 제29도에는 통기용 격자창(118',118)에 대한 2개의 수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통기용 격자창(118',118)는 각각 전방으로 블록하게 만곡되는 통기덕트(119',119)를 형성한다. 제28 및 제29도에 도시한 통기루프의 구조와 기능은 제23도 내지 제27도에 따른 것과 동일하다.
덮개 변위 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구동모터(32)는 제24도 내지 제26도에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통기용 격자창(118) 앞에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단일의 통기용 격자창(118,118',118)가 구비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분리된 통기용 격자창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을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와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개조될 수 있다.

Claims (38)

  1. 루프개구를 내포하는 고정된 루프셀과, 폐쇄위치에서 상기 루프개구를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단일의 덮개 및 상기 덮개를 폐쇄위치에서 덮개의 전연부가 상기 고정된 루프셀 아래에서 일정거리로 이격되고 덮개 후연부가 상기 고정된 루프셀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되는 통기위치로 선회시키고 상기 루프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상기 덮개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로서, 상기 루프개구는 고정된 루프셀의 전방부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통기 위치로 선회하도록 상기 덮개의 후연부 근처의 상기 조절 수단에 의해 피봇 축선 둘레로 선회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덮개의 후연부를 상기 고정된 루프셀 아래로 하강시킨 후 상기 덮개를 상기 루프셀 아래측에 후방으로 활주시킴으로써 상기 덮개를 상기 통기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덮개를 통기 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때 덮개의 후연부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덮개의 전연부를 상기 통기위치와 상기 폐쇄위치 사이의 중간위치로 상승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의 모든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덮개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덮개의 외연부와 루프개구의 연부 사이에 형성된 연부틈새 아래로 연장하는 고정된 드립 주형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그 주위로 완전히 연장하는 밀봉 표면을 제공하는 밀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표면은 상기 루프개구의 크기보다 큰 외부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상기 밀봉 표면이 덮개의 폐쇄위치에서 아래로부터 상기 루프개구의 연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후방에 있는 상기 고정된 루프셀 아래에 하강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강성 헤드라이닝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헤드라이닝 패널은 덮개의 모든 위치에서 아래로부터 덮개에 대해 상기 강성 헤드라이닝 패널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된 루프셀과 상기 강성 헤드라이닝 패널사이의 상부 방향으로 탄성 인장되는 전단부와, 상기 고정된 루프셀에 고정된 부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후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고정된 루프셀 아래의 루프개구의 양측상에 구비되어 있는 덮개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개구의 양측상에 있는 덮개 조절기구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이 연결부재는 고정된 루프셀에 부착된 안내레일을 따라 차량의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부재 트랙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덮개의 적어도 하나의 전후 연결 볼트에 의해 양측으로 상기 덮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안내 레일의 전방 단부는 동시에 풍편향기로서 작용하는 횡부재에 의해 다른 안내레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안내레일은 그 후단부에서 하강될 수 잇는 강성 헤드라이닝 패널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횡부재에 의해 다른 안내레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부재는 구동 케이블에 의해 공동의 구동 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부재에는 차량 종방향으로 주행하는 각각의 안내레일의 안내채널내에서 안내되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도니 안내롤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트랙은 덮개의 폐쇄위치로부터 각 연결부재가 활주 귀환함에 따라 덮개가 먼저 상기 통기 위치로 이동되고 그후 덮개 후연부에서 하강되어 각 연결부재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통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루프개구 전방의 일부분에서 그 전단부가 고정된 루프셀보다 낮은 상태로 후방으로 활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트랙은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가 덮개의 폐쇄위치로부터 전방으로 활주함에 따라 상기 덮개가 먼저 덮개 전연부에서 하강된 후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덮개의 폐쇄위치에서 후방으로 활주함에 따라 상기 덮개가 덮개 후연부에서 하강된 후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통기 위치로 선회되는 도중에 활주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탑 수단을 또한 구비하며, 상기 스탑 수단은 덮개 후연부가 상기 개방위치로 활주하도록 하강될때 상기 덮개를 후방으로 활주하도록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 수단은 스탑 부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레버는 덮개의 후연부가 상기 개방위치로 하강될때까지 상기 스탑부재를 고정된 루프셀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스탑과 결합된 채 유지되도록 상기 차단 레버와 같은 측면에 있는 덮개의 연결 부재상에서 상기 덮개의 측면 및 캠표면 수단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안내 레일은 그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탑부재용 트랙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상의 상기 캠표면 수단은 상기 스탑 부재를 해제하여 덮개 후연부가 상기 개방 위치로 후방 활주 이동되도록 하강될때 상기 스탑부재를 상기 트랙에 집어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20. 제9항에 있어서, 측방 보호부재는 하부로부터, 상기 루프개구에 양측면상의 덮개 조절기구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21.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방 보호부재는 덮개 주위로 연장하는 드립 주형체의 측방 부품 하부에 결합되는 추가의 드립 주형체를 동시에 형성하며, 상기 추가의 드립 주형체에는 배수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방 보호부재는 상기 안내레일중 하나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방 보호부재에는 내부등과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용 리세스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방 보호부재의 내연부는 상기 덮개의 하부표면과 탄성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하측상에서 탄성 내측 덮개 라이닝이 중앙위치에 있는 상기 덮개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내측 덮개 라이닝은 상기 측방 보호부재에 대해 탄성 가압되는 측방으로 돌출한 측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개구의 전연부 영역에는 상기 덮개가 폐쇄위치와 통기 위치에 있을때 상기 덮개의 전단부 아래와 결합되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면 보호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보호부재는 덮개가 후방으로 활주될때 풍편향기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보호부재는 상기 전면 보호부재를 전방으로 탄성 인장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보호부재는 동시에 충격 보호부재로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3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안내레일은 압출부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31.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루프개구 앞의 영역에 있는 고정된 루프셀 하부에는 고정된 헤드라이닝 부재가 구비되며, 이 부재는 상기 루프 개구의 전연부 앞의 영역에서 폐쇄위치에 있는 덮개의 전연부 아래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기용 격자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개구의 전연부 영역에는 덮개의 활주 운동에 응답하여 정지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풍편향기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된 헤드라이닝 부재는 상기 풍편향기 아래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 격자창은 루프개구의 전연부 앞에 위치한 고정된 루프셀의 일부 아래로 연장하는 상기 고정된 헤드라이닝 부재의 일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 격자창은 상기 풍편향기 수단 앞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 격자창은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 격자창은 전방으로 블록하게 만곡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 격자창은 상기 루프개구 폭의 적어도 75%에 상당하는 거리에 걸쳐 상기 루프개구의 전연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3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투명재 또는 반투명재로 구성되며, 덮개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덮개 하측면에 활주형 루프 헤드라이너가 구비되며, 상기 루프 헤드라이너는 상기 루프개구 하부의 루프 프레임에 형성된 내부 개구를 덮으며, 상기 루프 헤드라이너는 후방으로 활주가능하여 상기 내부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게 되는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기루프 구조물.
KR1019890011242A 1989-08-05 1989-08-05 차량용 통기 루프 KR960008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242A KR960008801B1 (ko) 1989-08-05 1989-08-05 차량용 통기 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242A KR960008801B1 (ko) 1989-08-05 1989-08-05 차량용 통기 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387A KR910004387A (ko) 1991-03-28
KR960008801B1 true KR960008801B1 (ko) 1996-07-05

Family

ID=1928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242A KR960008801B1 (ko) 1989-08-05 1989-08-05 차량용 통기 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8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387A (ko) 199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1497A (en) Ventilator roof for motor vehicles
US4978165A (en) Motor vehicle roof with a roof opening that can be closed by a cover
EP2069157B1 (en) Targa roof system with a buttress
US20010019217A1 (en) Motor vehicle sunroof
US4685724A (en) Sliding roof for vehicles
US6086146A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EP2657054A1 (en) Sunroof apparatus
US20010033099A1 (en) Motor vehicle roof with two covers
JPH07172185A (ja) 乗用車の上部構造
JP2001191796A (ja) 開放可能な車両ルーフの範囲内の空気流に影響を与える装置
US4089557A (en) Upwardly pivotable vent or sliding roof panel for automobiles
US5306069A (en) Sliding roof for an automobile
CA1305204C (en) Convertible vehicle having dual rear quarter window assembly
US5803534A (en) Passenger car with a transparent top assembly
US6457770B1 (en) Motor vehicle roof with two covers and a headliner for one such motor vehicle roof
KR960008801B1 (ko) 차량용 통기 루프
US7229126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two openable covers
US6779837B1 (en) Mesh side shield for vehicle sunroof
JPH01229785A (ja) 自動二輪車のウインドスクリーン装置
US7222908B1 (en) Automotive open air system
JPH01195116A (ja) 幌式サンルーフ装置
US6565149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two covers and a headliner for one such motor vehicle roof
US3910628A (en) Retractable roof closure
US10800236B2 (en) Soft top convertible wind deflector
EP3590747B1 (en) Roof cover 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