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775Y1 - 모뎀(Modem)의 선로차단회로 - Google Patents

모뎀(Modem)의 선로차단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775Y1
KR960008775Y1 KR2019930029303U KR930029303U KR960008775Y1 KR 960008775 Y1 KR960008775 Y1 KR 960008775Y1 KR 2019930029303 U KR2019930029303 U KR 2019930029303U KR 930029303 U KR930029303 U KR 930029303U KR 960008775 Y1 KR960008775 Y1 KR 960008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signal
line
output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873U (ko
Inventor
김용갑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9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775Y1/ko
Publication of KR9500218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8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 H04M1/74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with means for reducing interference;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뎀(Modem)의 선로차단회로
제1도는 본 고안 선로차단회로의 상세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뎀상태표시부 20 : 릴레이구동부
30 : 시간지연회로부 40 : 카운터
50 : 전송부 C1 : 캐패시터
LD1, LD2 : 발광다이오드 I1∼I8 : 인버터
N1∼N3 : NAND 게이트 R1∼R6 : 저항
본 고안은 모뎀의 선로차단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 컴퓨터등과 같은 데이터단말장치(DTE)들이 직접 데이터등을 송수신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특히 전송망을 통해서 데이터등을 송수신할때에는 모뎀과 같은 데이터회선-종단장치(DCE)의 중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송신측의 데이터단말장치(DTE)와 데이터회선-종단장치(DCE)간에는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싱(Interfacing)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DTE와 DCE 사이는 신호선과 제어선이 케이블로 묶여 끝단의 단자 플러그로 접속되는 물리적인 연결을 하고 있고, 또한 수신측의 DTE와 DCE사이도 상기 연결과 같다.
상기 DTE-DCE쌍은 효율적으로 상호작용됨을 물론 상호보완적인 인터페이스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하므로 DTE와 DCE간 인터페이스의 정확한 성질을 기술할 수 있는 표준안이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으로 232-C, RS-449, X-21등이 있음은 주지와 같다.
그러나 DTE와 DCE(모뎀)간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노후되어 감도가 저하되면 이상 캐릭터(Character)들이 발생하고 이것으로 인해 인터페이싱이 중단되거나 잘못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뎀자체에러, 데스트 및 재동기시에 발생하는 이상 캐릭터에 의하여 입출력 단자가 행업(Hang up)되거나 입출력 시스템이 다운(Down)되는 등 전체 전송시스템이 빈번하게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존의 모뎀내부회로에 시간지연회로부와 릴레이구동부 등을 상호연결하여 이상 캐릭터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모뎀의 선로차단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뎀내부회로인 모뎀상태표시부(10)와 연결된 전송부(50)에 연결되어 클럭신호(CLK1)의 입력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카운터(40)에 의하여 릴레이구동부(20)로 신호를 출력하는 시간지연회로부(30)와, 상기 시간지연회로부(30)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DTE와 모뎀간 입출력단자(Rx, Tx)서로 연결을 개폐하는 릴레이구동부(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선로차단회로의 상세회로도인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뎀상표시부(10)는 통상의 모뎀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로 발광다이오드(LD1, LD2)와 인버터(I1, I2)로 구성되며, 즉, 상대측 모뎀이 정상적으로 작동중이며, 선로상태등 모든 조건이 정상일 때 발생되는 캐리어신호를 모뎀에서 검출하게 되면 DCD(Data Carier Detector)신호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LD1)을 온(ON)시키게 되고, 정상적인 전송이 이루어지면 CTS(Clear To Send)신호를 발생하여 발광다이오드(LD2)를 온(ON)시키게 되므로서 동작중인 모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CTS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모뎀의 경우 제1도의 점퍼(j2)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CTS신호를 사용하여 모뎀을 제어(Control)하고자 할때는 제1도의 점퍼(j2)를 제거하고 점퍼(j1)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즉, 모뎀상태표시부(10)의 발광다이오드(LD1, LD2)는 모뎀자체의 상태표시를 위해 기존모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모뎀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선로가 비정상(단선 및 감도저하등)일 경우 또는 모뎀상호간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오프(OFF)되고, 모든 조건이 정상적인 통신중이거나 통신이 가능한 상태일 때 온(ON)되는 것이다.
전송부(50)는 인버터(13, 14, 15)와 NAND게이트(N1)로 구성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LD1, LD2)의 동작상태 즉, 온, 오프상태를 시간지연회로부(30)로 전송한다.
시간지연회로부(30)는 신호입력부 소정거리만큼 지연시키는 카운터(40)와 논리소자등으로 구성되는 클럭신호(CLK1)의 입력여부에 따라 릴레이구동부(20)로 신호를 출력한다.
릴레이구동부(20)는 상기 시간지연회로부(30)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모뎀의 입출력단자(Rx, Tx)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하, 본 고안은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모뎀의 선로차단회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모뎀의 연결선로 이상(선로단선, 케이블 노화로 감도저하 등)으로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모뎀자체 에러 발생으로 모뎀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때에 모뎀자체에서 모뎀상태 표시를 위해 설치된 모뎀상태표시부(10)의 발광다이오드(LD1, LD2)는 오프되어 정상이 아님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발광다이오드(LD1, LD2)중 어느하나가 오프되거나 2개 모두 오프되면 즉, 모뎀상태표시부(10)의 인버터(11,12)입력이 로우(LOW)레벨 상태가 되고, 그 출력이 하이(HIGH)레벨 상태가 되어 발광다이오드(LD1, LD2)가 오프되며, 전송부(50)의 인버터(13,14)와 NAND게이트(N1)를 거쳐 인버터(15)의 입력이 하이레벨 상태가 되어 그 출력이 로우레벨상태로 된다.
인버터(15)의 로우레벨 출력은 시간지연회로부(30)의 NAND게이트(N2)의 한 입력단자로 전송되어 모뎀자체의 클럭신호(CLK1) NAND 게이트(N3)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고, NAND 게이트(N2)의 출력은 무조건 하이레벨 세트(SET)하여 NAND 게이트(N3)를 액티브 상태로 한다.
또한 상기 인버터(15)의 출력은 인버터(16)를 통해 카운터(40)의 CLR단자를 하이레벨로 세트(SET)하여 카운터(40)가 카운터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카운터(40)의 출력(Q)은 로우레벨 상태가 되어 인버터(17)을 통해 하이레벨 상태로 변한다음 NAND 게이트(N3)에 의한 입력단자를 하이레벨로 세트하여 액티브 상태로 만듬과 더불어 릴레이구동부(20)의 인버터(18)로 전송되어 인버터(18)의 출력을 로우레벨로 세트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킴으로서 릴레이를 오프시켜 모뎀과 DTE(데이타 단말장치)간의 입출력단자(Rx, Tx)라인을 즉시 차단한다.
또한 모뎀의 모드조건이 정상으로 복구되어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서, 발광다이오드(LD1, DL2)가 모두 온 상테일 경우, 즉, 모뎀상태표시부(10)의 인버터(11,12)입력이 하이레벨상태가 되고 그 출력이 로우레벨상태가 되어 발광다이오드(LD1, DL2)가 온되어 전송부(50)의 인버터(13, 14), NAND 게이트(N1)를 거쳐 인버터(15)의 출력을 하이레벨상태로 세트하면, 시간지연회로부(30)의 인버터(16)의 출력이 로우레벨이 되면서 카운터(40)를 액티브 상태로 만들어준다.
또한 클럭신호(CLK1)는 NAND 게이트(N2)의 한 입력이 하이레벨이므로 NAND 게이트(N3)를 통해 카운터(40)의 CLK단자로 전송되어 카운터(40)는 카운터를 시작하게 된다.
일정시간경과 후 카운터(40)의 출력(Q)이 하이레벨로 세트하게 되면, 출력(Q)의 하이레벨신호가 인버터(17)를 거쳐 로우레벨 신호로 되고, NAND 게이트(N3)의 한단자를 로우레벨로 세트함으로서 클럭신호(CKL1)를 차단하고 NAND 게이트(N3)의 출력이 항상 하이레벨이 되도록하여 카운터(40)가 카운터를 중단하고 출력(Q)을 하이레벨 상태로 유지시킨다.
카운터(40) 출력(Q)의 하이레벨 신호는 인버터(17,18)를 거쳐 릴레이구동(20)의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킴으로서 릴레이가 구동되어 DET와 모뎀측 입력단자(Rx, Tx)라인을 연결시켜 정상적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시간지연회로부(30)는 NAND 게이트의 출력특성을 이용하여 카운터(4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카운터(40)의 동작중 소정시간이 경과하기전에 다시 이상 요인에 의해 모뎀상태표시부(10)의 발광다이오드(LD1, LD2)중 어느 하나가 오프되면, 즉시 카운터(40)의 CLR단자가 하이레벨상태가 되어 상기 카운터(40)가 클리어 되어 선로연결이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선로이상, 모뎀의 비정상 작동시 또한 모뎀이 오프되었다가 재기동 즉 온 되었을때 기존 모뎀에 부착된 상태표시 발광다이오드 온/오프 동작을 이용하여 DTE, DCE와 모뎀의 입출력단자와의 선로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전체 전송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여, 정상동작으로 변환시에 소정의 시간지연을 통해 불완전한 선로연결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모뎀내부에 간단히 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등 모뎀과 DTE간의 인터페이싱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데이타단말장치(DTE)와 데이타회선-종단장치(DCE)간에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모뎀회로에 있어서, 인버터(13, 14, 15)와 NAND 게이트(N1)로 구성되어 상기 모뎀회로에 있는 발광다이오드(LD1, LD2)의 온, 오프상태를 시간지연회로부(30)로 전송하는 전송부(50)와, 상기 전송부(50)에 연결되어 클릭신호(CKL1)의 입력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카운터(40)에 의하여 릴레이구동부(20)로 신호를 출력하는 시간지연회로부(30)와, 상기 시간지연회로부(30)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데이타단말장치(DTE)와 모뎀간의 입출력단자(Rx, Tx)선로연결을 개폐하는 릴레이구동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의 선로차단회로.
KR2019930029303U 1993-12-23 1993-12-23 모뎀(Modem)의 선로차단회로 KR960008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303U KR960008775Y1 (ko) 1993-12-23 1993-12-23 모뎀(Modem)의 선로차단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303U KR960008775Y1 (ko) 1993-12-23 1993-12-23 모뎀(Modem)의 선로차단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73U KR950021873U (ko) 1995-07-28
KR960008775Y1 true KR960008775Y1 (ko) 1996-10-09

Family

ID=1937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303U KR960008775Y1 (ko) 1993-12-23 1993-12-23 모뎀(Modem)의 선로차단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7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73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0693B2 (ja) 接続装置
CA2081102C (en) Diagnostic hardware for serial datalink
US4019172A (en) Central supervisory and control system generating 16-bit output
KR20000005107A (ko)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스 시스템
US5999389A (en) Repeater for bus with bus fault isolation
EP28756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bsea optical can buses
CN1156126C (zh) 用于总线系统的去耦合单元
US6438285B1 (en) Facility for intializing a fiber optic data link in one mode of a plurality of modes
JP5490112B2 (ja) 監視システム
KR960008775Y1 (ko) 모뎀(Modem)의 선로차단회로
US6493351B1 (en) Collision detection on a differential bus
EP0166915B1 (en) Communication system
JPS62226271A (ja) Posル−プ自動切換装置
US7200510B2 (en) Measurement control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circuits
US5353286A (en) Configuration controller for a communications network
EP1535425A2 (en) Control circuit
CN217985103U (zh) 一种双总线防尾随联动互锁控制装置
CN211731318U (zh) 边沿型电子开关、装置、远程锁车系统、电子车锁装置及车辆
JPH11284551A (ja) 複数の送信器から単一の受信器への単方向通信方法
US5736889A (en) Duplexing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 time division switching device
KR19990053405A (ko)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KR20220144693A (ko)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0157862B1 (ko)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
KR200245069Y1 (ko) 직렬통신선로 연결점검회로
KR0151910B1 (ko) 시스템 자동 절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