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677B1 - 전전자교환기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 Google Patents

전전자교환기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677B1
KR960008677B1 KR1019930029182A KR930029182A KR960008677B1 KR 960008677 B1 KR960008677 B1 KR 960008677B1 KR 1019930029182 A KR1019930029182 A KR 1019930029182A KR 930029182 A KR930029182 A KR 930029182A KR 960008677 B1 KR960008677 B1 KR 960008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test
bits
signal
signa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413A (ko
Inventor
강경훈
김화숙
조영소
이윤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30029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677B1/ko
Publication of KR95002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5Provisions for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전자교환기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제1도는 CCITT No.7 신호방식의 계층적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CCITT No.7 신호링크시험 메시지의 구조도.
제3도는 공통선 신호 방식을 실현하는 전전자교환기의 신호링크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신호단말장치 12 : 속도정합장치
13 : 교환장치 14 : 중계선 정합장치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1970년대 이후 급격하게 발달한 디지틀 교환기술과 향후 도래할 종합정보통신망(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에 적합한 신호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의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급변하는 통신망내에서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한 No.7 신호방식이 대두되었다.
제1도는 CCITT No.7 신호방식의 계층적 구조도를 도시한다.
No.7 신호방식은 크게 메시지 전달부(Message Transfer Part)와 사용자부(User Parts)로 구성되며 사용자부는 사용 용도에 따라 전화호의 제어 신호를 담당하는 전화 사용자부와 종합정보 통신망에서 음성 또는 비음성 응용을 위한 사용자의 편이와 교환 서비스를 위한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신호망에서 국간의 비회선관련 통신을 설정하는 수단이 되는 문답처리기능 사용자부등 여러 종류로 구분되고 메시지 전달부(1)는 교환기내의 모든 사용자부에 공통으로 메시지 전송기능을 담당한다. 이중 본 발명은 메시지 전달부에 관련되며 이는 신호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전기적, 기능적 특성들과 이의 억세스 수단을 제공하는 신호데이터링크기능(레벨 1)(4), 두 신호점 사이에서 신호데이터 링크를 통해 신호메시지를 신뢰성 있게 전달하는 신호링크기능(레벨 2)(3) 및 신호메시지 처리와 망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망 기능(레벨 3)(2)으로 정의한다.
레벨 2이하 신호망 설비들을 간략히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신호데이터 링크 : 동일한 전송속도로 동작되는 두개의 데이터 채널로 구성된 양방향 신호 전송로이다.
-신호단말 : 하나의 신호데이터 링크상에 신호링크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신호링크 : 전송매체로서의 하나의 신호데이터 링크와 그 신호데이터 링크를 통해 접속되는 신호단말로 정의된다.
개개의 신호데이터 링크에 대한 관리는 신호단말에서 제공되나, 실질적인 신호망 설비들의 종합적인 관리는 레벨 3중 신호망관리 기능에서 담당한다. 신호데이터링크 상에서 일어나는 고장은 일차적으로 신호단말에서 검출되지만, 신호단말에서 검출을 못하였거나 시스팀 고장감시 기능에서 검출되지 못한 신호단말 자체의 문제등을 적시에 검출하기 위하여 신호망 관리기능에서 주기적으로 신호링크시험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링크 시험은 주기적인 시도외에 신호링크가 서비스 상태가 될 경우와 운용자의 요구에 의해서도 실시된다.
CCITT 메시지 전달부의 신호링크 시험절차는 특정 신호링크를 통해 특정 시험형태를 지닌 신호링크시험 메시지를 상대국으로 송출한 후 일정한 시간(T1) 이내에 시험될 링크상으로 신호링크시험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어야 하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거나 확인 메시지의 시험형태가 송출된 메시지의 형태와 다른 경우 시험 실패로 간주하고 한번 더 시험 메시지를 송출한다. 반복 시험도 실패할 경우 고장으로 간주하고 고장 처리를 위한 절차가 수행된다. 신호링크시험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점은 즉시 동일한 형태를 지닌 확인 메시지를 그 링크상으로 송출한다.
신호링크 시험은 시험 형태를 포함한 시험 메시지를 상대국으로 송신하여 상대국으로부터 수신된 확인 메시지내의 동일한 시험 형태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데 만약 신호링크 고장을 적시에 검출하지 못한다면 그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많은 트래픽의 손실을 가져와 시스팀 보전 능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 공통선 신호장치와 전전자교환기 구조에 적합한 메시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호단말장치, 속도정합장치, 교환장치, 중계선 정합장치를 구비하는 신호링크 장치에 적용되는 메시지 구조에 있어서, n×8(1n15)비트로 할당되는 시험 형태비트; 상기 시험 형태 비트의 다음에 위치하며 4비트로 할당되는 길이표시비트; 상기 길이표시비트의 다음에 위치하며 4비트로 할당되는 예비비트; 상기 예비비트의 다음에 위치하며 4비트로 할당되는 머리부호 H1 비트; 상기 머리부호 H1 비트의 다음에 위치하며 4비트로 할당되는 머리부호 H2 비트; 및 상기 머리부호 H2 비트의 다음에 위치하며 32비트로 할당되는 루팅 레이블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2도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링크시험 메시지의 구성도이다.
신호링크시험 메시지의 각 부분중 루팅레이블(10)은 이 시험메시지를 송신하는 신호점부호(14비트)과 수신하는 신호점 부호(14비트) 및 이 시험메시지를 전송할 신호링크부호(4비트)로 이루어지며, 머리부호 H0(9)은 시험메시지 그룹임을 식별하기 위해 1(이진수)을 가진다. 머리부호 H1(8)은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또는 신호링크 시험 확인 메시지임을 나타내기 위해 1 또는 10(이진수)를 할당한다. 길이 표시(6)는 시험형태를 구성하는 바이트의 수를 나타낸다.
신호링크시험 메시지내의 시험형태(5)는 CCITT 규격으로 정의된 사항이 아니며 각 교환기내에서 자체적으로 최적의 고장 검출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한다. 따라서 신호링크시험 메시지의 시험형태에 시스팀 장치나 전송방식에 기인하여 일어날 수 있는 가능한 문제점들을 검출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이 신호링크 시험의 목적에 부합하며 시스팀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제3도는 신호링크를 구성하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각 장치에서 신호 메시지의 전송과 관련하여 기능 및 메시지 구성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신호단말장치(11) : CCITT No.7 레벨 2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신호 메시지의 변형은 없으나 플래그의 모사 방지를 위해 송신측에서 연속 5개 이상의 비트 1에 대해 비트 0을 삽입하고 수신측에서 이를 제거한다.
속도정합 장치(12) : 신호단말과 교환장치 사이의 정합을 제공하며 신호링크가 T1 전송로일 경우 56Kbps, CEPT일 경우 64Kbps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또한 T1 56Kbps 전송의 경우 1바이트중 7비트의 신호 데이터 전송 후 마지막 1비트를 1로 채워 전송한다.
교환장치(13) : 기본적으로 T(Time Switch)-S(Space Switch)-T(time Switch) 통로를 제공하며 한 슬롯에 8비트를 기준으로 교환한다. 각 8비트는 교환장치내에서 주로 병렬 처리기며, 각 교환장치간의 연결을 직렬 고속 처리된다.
중계선 정합장치(14) : 대국과 연결된 중계선 장치와 교환기간의 정합 기능을 제공하며, T1 및 CEPT 전송방식에 따른 정합 및 라인 코딩을 제공한다. 중계선 정합장치에서 메시지 내용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AMI 라인 코딩을 사용할 경우 1바이트가 모두 0일 경우 7번째 비트를 강제로 1로 채워서 전송하며, 수신측에서는 변형없이 받아들인다. 따라서 AMI 코딩의 No.7 데이터 전송에서는 한 바이트가 모두 0인 비트열이 중계선 정합장치로 전달되는 경우가 없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에서 기술된 각 장치들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신호링크 시험형태가 고안되어야만 신호링크상에서 일어나는 고장을 적시에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신호링크시험 메시지의 시험형태내에 각 장치별로 최적의 고장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다음과 같은 바이트를 포함한다.
신호단말 장치 : 비트 모사 방지 기능 수행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가를 검출하기 위해 연속 6개 이상의 1을 포함하는 비트열을 가진 바이트; 예) FF, FE, 7E, 7E(16진수)
속도정합장치 및 중계선장치 : 속도정합 장치가 T1에서 마지막 비트의 1 삽입시 제대로 수행되고, 따라서 중계선 정합장치에서 AMI 정합을 할 경우 강제로 1이 채워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가를 검사하기 위하여 모든 비트가 0인 바이트, 또한 56Kbps 전송을 고려할 경우 2바이트가 연속되는 것이 정확함. ; 예) 00, 0000(16진수)
교환장치 : 바이트를 기준으로 각 비트가 직렬 처리될 경우 인접 비트와의 간섭이 발생하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교차한 비트열을 갖는 바이트, 또한 병렬 처리될 경우 각 비트에 관련된 장치가 정상 동작되는지를 점검하기 위하여 한 바이트의 각 비트와 교차한 값을 갖는 한 바이트; 예) aa55, 55aa(16진수)
56Kbps를 고려할 경우 2바이트가 연속되는 것이 정확함. ; 예)aaaa5555, 5555aaaa(16진수)
이상에서 고안된 비트열을 포함하는 각 바이트를 신호링크시험 메시지내의 시험형태에 포함시킴으로서 신호링크 장치들의 기능이 제대로 동작되는가를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시에 고장 탐지에 의해 이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메시지의 손실을 방지하고 시스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신호단말장치(11), 속도정합장치(12), 교환장치(13), 중계선 정합장치(14)를 구비하는 신호링크 장치에 적용되는 메시지 구조에 있어서, n×8(1n15)비트로 할당되는 시험형태비트(5); 상기 시험형태비트(5)의 다음에 위치하며 4비트로 할당되는 길이표시비트(6); 상기 길이표시비트(6)의 다음에 위치하며 4비트로 할당되는 예비비트(7); 상기 예비비트(9)의 다음에 위치하며 4비트로 할당되는 머리부호 H1 비트(8); 상기 머리부호 H1 비트(8)의 다음에 위치하며 4비트로 할당되는 머리부호 H2 비트(9); 및 상기 머리부호 H2 비트(9)의 다음에 위치하며 32비트로 할당되는 루팅 레이블 비트(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형태비트(5)는, 상기 신호단말장치(11)를 진단하기 위해 연속 6개 이상 '1'을 가진 비트열을 포함한 바이트를 포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형태비트(5)는, 상기 속도정합장치(12) 및 중계선 정합장치(14)를 진단하기 위해 연속 8개 전부 '0'을 가진 바이트를 포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형태비트(5)는, 상기 교환장치(13) 및 중계선 정합장치(14)를 진단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0'과 '1'을 교차한 바이트를 포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의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KR1019930029182A 1993-12-22 1993-12-22 전전자교환기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KR960008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182A KR960008677B1 (ko) 1993-12-22 1993-12-22 전전자교환기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182A KR960008677B1 (ko) 1993-12-22 1993-12-22 전전자교환기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413A KR950022413A (ko) 1995-07-28
KR960008677B1 true KR960008677B1 (ko) 1996-06-28

Family

ID=1937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182A KR960008677B1 (ko) 1993-12-22 1993-12-22 전전자교환기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6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413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1510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network of modems
EP02464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ing and controlling a network of modems
JP3691532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位置識別装置
FI76229B (fi) Datakommunikationssystem.
US4055808A (en) Data communications network testing system
JPH0687569B2 (ja) 端末アダプタ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EP02031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oping around a digital transmission line at a channel unit
US5636260A (en) Telecommunication customer interface
CA1248604A (en) Loop around data channel unit
US4534023A (en) Plural communication channel protocol support systems
KR920003264B1 (ko) 양방향 복수 채널 통신 시스템용 전송 보존 장치 및 전송 유지 방법
KR960008677B1 (ko) 전전자교환기 공통선신호망 신호링크시험 메시지 구조
WO1989011190A1 (en) Isdn traffic generator adaptor
KR100476793B1 (ko) 원격통신네트워크에서사용하기위한메시징프로토콜
US6590870B1 (en) Transmission of alternating delimiter code to achieve byte alignment when using in-band digital code sequences to remotely provision network interface device terminating local loop
KR920007101B1 (ko) 전자교환기의 데이터 링크속도 정합장치
KR100273964B1 (ko) 개인 휴대통신 시스템에서 터레스트리얼 회로의 링크별 상태 보고 방법
JP2814497B2 (ja) 信号リンク制御装置
JP2841559B2 (ja) 二重化デジタルトランク試験方式
JP2773572B2 (ja) データ監視機能付き通信装置
Nel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n optical fibre-based rural telecommunication system
JPH0525415B2 (ko)
GB2119604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Boait et al. Physical Layer—Layer 1
JPH06261383A (ja) 回線障害識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