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310Y1 - 종광틀과 도비기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종광틀과 도비기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310Y1
KR960008310Y1 KR2019950006566U KR19950006566U KR960008310Y1 KR 960008310 Y1 KR960008310 Y1 KR 960008310Y1 KR 2019950006566 U KR2019950006566 U KR 2019950006566U KR 19950006566 U KR19950006566 U KR 19950006566U KR 960008310 Y1 KR960008310 Y1 KR 960008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buckle
wire
heald frame
dobby
connec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6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505U (ko
Inventor
정정식
Original Assignee
정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식 filed Critical 정정식
Priority to KR2019950006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310Y1/ko
Publication of KR960031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505U/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종광틀과 도비기의 연결장치
제1도 종래의 일실시예에따른 턴버클과 와이어의 연결상태도.
제1A도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과 와이어의 연결편.
제2도 본 고안에 다른 종광틀과 도비기의 연결장치.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25 : 턴버클6, 7 : 턴버클의 고리
29 : 연결관30 : 나사봉
11, 31 : 와이어15, 35 : 연결편
본 고안은 북직기에 있어서 도비기와 종광틀(heald frame)의 연결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턴버클과 와이어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역직기(power loom)에서는 직물을 만들기 위한 기본 운동의 하나로, 종광(heald)으로 경사를 위와 아래로 구분해서 북이 지나갈 수 있도록 개구(開口, shed)를 만드는 운동을 한다. 직물을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개구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특히 직물의 조직이 복잡하고 종광을 8매이상 필요로 할 경우에는 도비(dobby)식 개구장치를 사용한다. 이때 도비기(dobby機)의 도비 레버와 종광틀은 턴버클과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다.
제1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턴버클과 와이어의 연결상태도이다. 종광틀의 상단에 고정된 턴버클 브라켓(1)의 중앙부에 걸림핀(3)을 고정하여 상기 걸린핀에 턴버클(5)의 일측고리(6)을 끼워 고정하고, 상기 턴버클의 타측고리(7)는 와이어(11)의 일단에 끼워 고정하고, 상기 턴버클의 타측고리(7)는 와이어(11)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편의 걸림핀(13a)에 끼워지면, 상기 와이어 타측의 연결편(15)은 도비기에 걸려 고정된다.
제1A도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과 와이어의 연결편을 나타낸 것으로서, 턴버클의 타측고리(7)가 와이어(11)의 일단에 형셩된 천공부(13b)끼워져 연결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도 및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턴버클의 양쪽에 연결고리(6,7)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부위가 2곳이나 된다. 이에따라 직기의 개구운동 및 고속회전시 걸림핀과 턴버클의 연결고리(7)가 서로 마찰 마모되어 턴버클 브라켓 핀의 지탱력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격렬한 운동에 의하여 그 요동이 심하게 되어 바람직한 개구운동을 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직기의 성능과 직물의 품질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요동이 아주 심할 경우에는 고리가 이탈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턴버클과 와이어가 고리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마찰마모와 요동 및 이탈 방지를 위한 종광틀과 도비기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비기측에 연결되는 턴버클의 상단에 나사봉과 일체로 연결관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에 와이어를 삽입한 후 프레스로 펀칭고정함으로써 턴버클과 와이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다른 연결장치로서, 턴버클(25)의 일측단부에는 고리(26)가 내삽(內揷)되고 그 타측에는 조정볼트(27) 및 스프링(28)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고 그 일측단부에 연결과(29)을 갖는 나사봉(30)을 삽입하여 상기 나사봉(20)내에 와이어(31)를 삽입한 후 프레스로 펀칭고정한다. 한편 도비기에 연결되는 와이어측은 연결편(35)내에 형성된 중공부로 와이어를 삽입한 후 상기 연결편(35)의 측면으로부터 고정볼트(33)를 죄어 상기 와이어(31)를 연결편(35)에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고안은 직기의 고속회전운동시 운동의 영향을 가장 심하게 받는 턴버클과 와이어의 연결부위를 고리가 아닌, 연결관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마찰에 의한 마모와 운동에 따른 요동 및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턴버클의 일측단부에는 고리가 내삽되고 그 타측에는 조정볼트 및 스프링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고 그일측단부에 연결관을 갖는 나사봉을 소정 길이로 삽입하여 상기 나사봉내에 와이어를 삽입한 후 프레스로 펀칭고정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은 도비기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편내에 형성된 중공부로 와이어를 삽입한 후 상기 연결편의 측면으로부터 고정볼트를 죄어 상기 와이어를 연결편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틀과 도비기의 연결장치.
KR2019950006566U 1995-03-31 1995-03-31 종광틀과 도비기의 연결장치 KR960008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566U KR960008310Y1 (ko) 1995-03-31 1995-03-31 종광틀과 도비기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566U KR960008310Y1 (ko) 1995-03-31 1995-03-31 종광틀과 도비기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310Y1 true KR960008310Y1 (ko) 1996-09-25
KR960031505U KR960031505U (ko) 1996-10-22

Family

ID=1941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6566U KR960008310Y1 (ko) 1995-03-31 1995-03-31 종광틀과 도비기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3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505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4782A (en) Connecting member for securing pull elements to lifting wires of a jacquard machine
JPH0835143A (ja) 織機のスプリングの端を他の部材に組付け又は接続するための装置
KR960008310Y1 (ko) 종광틀과 도비기의 연결장치
CS259871B2 (en) Glider for needle guiding with gripper in shed of looms
CN1026714C (zh) 综丝
US4682634A (en) Lifting beam for shed forming device in a weaving loom
US2552487A (en) Heddle
US3055400A (en) Neck cords for jacquards
CA1048901A (en) Selvage forming device for a weaving loom
JPS5994646A (ja) ヘルド制御装置
US4635685A (en) Detachable bifurcated center brace loom harness
KR200314778Y1 (ko) 레노조직을 제직하기 위한 쟈카드직기용 종광
JPH0361778B2 (ko)
US3736962A (en) Harness connector for jacquard machines
KR20040088150A (ko) 레노조직을 제직하기 위한 쟈카드직기용 종광 및 그 장치
CA1108509A (en) Harness for looms
EP0133966A2 (en) Heald frames control linkage in weave machines
US4593724A (en) Guide for a weft-picking projectile in a weaving machine
US3385325A (en) Jackeye and connector assembly
US3187780A (en) Weight for a jacquard heddle
EP0090249A1 (en) Warp beam with inner torsion bar for weaving looms
US1644573A (en) Doup heddle
US3315706A (en) Treadle hook insert
KR200205239Y1 (ko) 도비 직기의 종광 복귀용 스프링 장력 조정장치
EP0116907A2 (en) Improved arrangement for mounting the clamp arm of the drawing gripper in weaving looms with continuous weft f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