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086Y1 - 신발밑창 성형틀용 지지케이스 - Google Patents

신발밑창 성형틀용 지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086Y1
KR960008086Y1 KR2019930005775U KR930005775U KR960008086Y1 KR 960008086 Y1 KR960008086 Y1 KR 960008086Y1 KR 2019930005775 U KR2019930005775 U KR 2019930005775U KR 930005775 U KR930005775 U KR 930005775U KR 960008086 Y1 KR960008086 Y1 KR 960008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se
cases
mold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5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938U (ko
Inventor
서재근
Original Assignee
서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근 filed Critical 서재근
Priority to KR2019930005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086Y1/ko
Publication of KR940023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신발밑창 성형틀용 지지케이스
제1도 본고안의 사시도.
제2도 본고안의 일측 지지케이스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제3도 본고안의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22', 32, 32', 48, 48' : 돌부54, 56 : 좌우케이스
24, 24', 34, 34', 36, 36', 44, 44', 46, 46' : 지지돌편
본 고안은 신발밑창을 성형하는 성형틀용 지지케이스에 관한것으로서 케이스를 알루미늄재나 내열성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함으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며 특히 성형틀이 지지케이스에 견고히 고정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밑창을 성형함에 있어서는 신발밑창의 특성에 따라 상, 하단 또는 상, 중, 하단으로 분리제작한뒤 상하로 결합하여서 된 한쌍의 성형틀용 지지케이스 내부에 모래와 응고용 혼합용액을 섞어 성형틀을 제작하되 성형틀의 부분별로 상, 하단 또는 상.중.하단으로 각각 분리고정되게 한뒤 성형홈에 성형물을 주입시켜 상, 하단 또는 상.중.하단으로된 케이스를 고정시켜 제2작업대로 옮긴뒤 외면에 일정열을 가하여 신발밑창이 성혀되게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 성형틀용 지지케이스는 철판을 절단한뒤 절단뒤 철판의 각 모서리를 용접하여 제작함으로서 작업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능률이 떨어짐은 물론 사용시에는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며 특히 지지케이스 내부에 성형틀을 제작 고정함에있어서는 케이스 내면에 성형틀을 지지토록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작업시 케이스에 충격을 가하게 되며 성형틀이 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됨으로 케이스 내부에 성형틀을 재 고정시켜 주어야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는것이었다.
본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케이스를 알루미늄재나 내열성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되 지지케이스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돌부를 형성하고 상.하단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돌편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체로 사각형상으로된 상.중.하부 지지케이스(2)(2')(4)(4')(6)(6')를 알루미늄재나 내열성 합성수지로 각각 사출성형하되 그 외형이 동일하게 구성하여 좌우 한 조를 나란히 배열 시키고 상.중.하부지지케이스(2)(2')(4)(4')(6)(6')의 배면에는 내부에 금속재링(8)이 일체로 고정되게 각각 연결편(10)(10')을 돌출성형한뒤 연결공(14)(16)을 통하여 축핀(18)(20)을 끼워 고정하되 하부케이스(6)(6')의 축핀(20)은 길게 형성하여 하부케이스(6)(6')의 연결공(16)에 일체로 끼워지게 하였다.
하부케이스(6)(6')의 내면에는 상하로 형성된 돌부(22)(22')를 일정간격으로 배열시키되 하단의 각 모서리부와 중앙부에는 지지돌편(24)(24')을 내측으로 돌출성형되게 하였다.
중앙부케이스(4)(4')는 전면에 통상의 지지케이스고정체(26)(26')를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편(28)(28')을 형성하고 케이스(4)(4')의 일측에는 상부 바깥쪽으로부터 일정길이의 손잡이(30)가 전면으로 돌출성형되게 하고 그 내면에는 상하로 다수의 돌부(32)3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게하고 각 모서리부의 상.하단과 저부 중앙에는 지지돌편(34)(34')(36)(36')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게 하였다.
상부케이스(2)(2')의 일측상단에는 일정 길이의 손잡이(38)를 전면으로 돌출형성 되게하고 전면 내측 중앙에는 고정체(26)(26')의 눌름부(40)(40')와 접하도록 지지편(42)(42')을 돌출 형성하고 내면에는 상하로 다수의 돌부(48)(48')을 형성하고 각 모서리부의 상.하단과 하단중앙부에는 각각 지지돌편(44)(44')(46)(46')을 형성하여서 된것이다.
미설명부호 (50)50')는 고정체(26)(26')의 손잡이, (52)(52')는 고정볼트(54)(54')는 좌우케이스, (56), (58), (60)은 상.중.하부 성형틀 (62)는 성형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신발밑창 성형틀용 좌우케이스(54)(54')를 알루미늄재이나 내열성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므로 좌우케이스(54)(54')를 단시간에 대량생산할 수 있고 또한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할뿐아니라 좌우케이스(54)(54')내부에 성형틀(56)(58)(60)을 제작 고정함에 있어서도 좌우케이스(54)(54')의 내면에 돌부(22)(22')(32)(32')(48)(48')와 지지돌편(24)(24')(34)(34')(36)(36')(44)(44')(46)(46')이 성형되어있어 성형틀(56)(58)(60)이 돌부와 지지돌편 사이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작업시 좌우케이스(54)(54')에 충격을 가하여도 좌우케이스(54)(54')로부터 성형틀(56)(58)(60)이 분리될 염려가 없어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는것이다.
또한 본고안의 좌우케이스(54)(54')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신발밑창의 특성에 따라 좌우케이스(54)(54')를 상.하단으로만 구성하여 사용하여도 그 작용효과는 같다.

Claims (1)

  1. 알루미늄재로 대체로 사각의 상.중.하부 지지케이스(2)(2')(4)(4')(6)(6')를 사출성형하여 좌우한쌍을 상하로 나란히 배열시킨뒤 좌우케이스(54)(54') 내면에 상하로 돌부(22)(22')(32)(32')(48)(48')을 일정간격으로 배열시키고 좌우케이스(54)(54')의 상.하단에는 다수의 지지돌편 (24)(24')(34)(34')(44)(44')(46)(46')을 형성하여 좌우케이스(54)(54')의 내부에 성형틀(56)(58)(60)이 보다 견고히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성형틀용 지지케이스.
KR2019930005775U 1993-04-10 1993-04-10 신발밑창 성형틀용 지지케이스 KR960008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775U KR960008086Y1 (ko) 1993-04-10 1993-04-10 신발밑창 성형틀용 지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775U KR960008086Y1 (ko) 1993-04-10 1993-04-10 신발밑창 성형틀용 지지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938U KR940023938U (ko) 1994-11-16
KR960008086Y1 true KR960008086Y1 (ko) 1996-09-23

Family

ID=1935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5775U KR960008086Y1 (ko) 1993-04-10 1993-04-10 신발밑창 성형틀용 지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0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938U (ko)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086Y1 (ko) 신발밑창 성형틀용 지지케이스
ATE239609T1 (de) Mehrfach-spritzgiessform mit oberflächenkrümmung hergestellt aus einem kunststoff-stuck
KR900012748A (ko) 타이어 주형의 작은 부분을 주조하기 위한 스플릿 다이
KR102106494B1 (ko)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JPS6486908A (en) Pattern making method for kitchen tools
KR102208543B1 (ko) 수직으로 세워둘 수 있는 콘택트 렌즈 하부몰드
KR920003980Y1 (ko) 신발창의 성형 금형
KR200205904Y1 (ko) 목형주조용 금형의 가이드핀
JPS54156063A (en) Monolithic molding of metal with resin
KR930001075Y1 (ko) 안경테 제조장치
CN220482415U (zh) 车载蓝牙耳机后盖的成型模具
KR102386866B1 (ko) 일체형 손잡이를 갖는 용기의 프리폼 사출금형
JP2916976B2 (ja) 異なるタイプのゴルフ用靴底を同一型を用いて製作する方法
JPH03357Y2 (ko)
JPS6222343Y2 (ko)
JP2606573Y2 (ja) 金型構造
KR200190537Y1 (ko) 다리미판
KR0119672Y1 (ko) 멀티비젼 적층용 조립대
KR880001622Y1 (ko) 인조잔디
JPH0698649B2 (ja) スティックの製造法
KR970006184Y1 (ko) 합성수지제 패리트
JPH0735021U (ja) 射出成形金型
JPH0168815U (ko)
JPH0443975Y2 (ko)
JPH06312432A (ja) ゴム用トランスファー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