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900B1 - 광 픽업 - Google Patents

광 픽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900B1
KR960007900B1 KR1019930025866A KR930025866A KR960007900B1 KR 960007900 B1 KR960007900 B1 KR 960007900B1 KR 1019930025866 A KR1019930025866 A KR 1019930025866A KR 930025866 A KR930025866 A KR 930025866A KR 960007900 B1 KR960007900 B1 KR 960007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splitter
optical
recording medium
light spl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248A (ko
Inventor
최양오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30025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900B1/ko
Publication of KR95001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6Double or multiple prisms, i.e. having two or more prisms in co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 픽업
제1도는 종래 광 픽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레이저 다이오드 22 : 홀로그램 소자
30 : 빔 스프리터 31 : 광 분할면
32 : 광 반사면 40 : 반사막
본 발명은 광 픽업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양면용 광 기록매체에 정보를 광학적으로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광학적으로 재생하는 광 픽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픽업은 광기록 매체에 빔을 주사하고 광 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빔을 검출하여 정보의 광학적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LDP(laser disk player), CDP(compact disk player), MODD(magnetic optical disk driver) 등에 사용된다.
제1도는 이러한 광 픽업중 양면 광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광 픽업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11)와, 레이저 다이오드(11)로부터 회절격자(12), 콜리메이터 렌즈(13), 상호 소정간격이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1,2빔 스프리터(14),(15)가 동일 광축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빔 스프리터(14)의 상하부에는 각각 광 검출수단인 포토 다이오드(16)와 대물 렌즈(1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빔 스프리터(15)의 수직 상하부에는 각각 대물렌즈(18)와 포토 다이오드(16')가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광 픽업 광기록 매체(100)가 하부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11)로부터 조사된 광이 회절격자(12)를 통과하면서 0차, ±1차의 광으로 분리되고 제1빔 스프리터(14)에 의해 반사 및 투과되게 되는데, 반사된 레이저 광은 제1빔 스프리터(14)의 하부에 설치된 대물렌즈(17)에 의해 접속되어 광기록 매체(100)에 포커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기록 매체(100)로부터 반사된 광은 제1빔 스프리터(14)를 투과하여 광 검출 수단인 포토다이오드(16)에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광기록 매체가 수직 상부에 위치한 경우 즉, 광기록 매체(100)의 하면으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11)로부터 조사되어 제1빔 스프리터(14)를 투과한 광이 제2빔 스프리터(15)에 의해 반사된 후 그 상부에 설치된 대물렌즈(18)에 의해 집속되어 광기록 매체(100)에 포커싱되고 광기록 매체(10)의 하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제2빔 스프리터(15)를 통과하여 광 검출 수단인 포토 다이오드에 접속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기록 매체의 상하면으로부터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광 픽업은 두 개의 빔 스프리터(14),(15)가 동일 광축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광 픽업 헤드를 구성함에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여지고 나아가서는 헤드 자체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빔 스프리터를 동일 광축상에 설치하기가 어렵고 광의 반사에 따른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광의 반사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조립이 간단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광 픽업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 발생수단과, 이 광 발생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 분할수단과, 이 광 분할 수단에 의해 경로가 변경된 광을 집속하여 광 기록매체에 주사하는 집속수단을 구비하여 된 광 픽업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이 소정각도의 광 분할면의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광 분할면과 법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광반사면에 형성된 반사막을 구비하여 된 빔 스프리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프리터는 소정각도의 광분할면이 형성된 제1프리즘과, 상기 광 분할면에 대해 법선방향의 경사면에 반사막이 형성된 제2프리즘을 접합하여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은 제2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광 발생수단인 레이저 다이오드(21)의 전면에 홀로그램 소자(22)와 광 분할 수단인 빔 스프리터(30)가 동일한 광축상에 설치되는데, 상기 빔 스프리터(3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광축에 대해 45도의 광분할면(31)이 형성되고 이 광 분할면(31)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광반사면(32)이 형성되는데, 이 광 반사면(32)에는 반사막(40)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빔 스프리터는 소정각도의 광 분할면이 형성된 제1프리즘과, 상기 광 분할면에 대해 법선방향의 경사면에 반사막이 형성된 제2프리즘을 접합하여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빔 스프리터(30)의 수직 상하부에는 광 집속 수단인 대물렌즈(23),(23')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홀로그램 소자(22)와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광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포토 다이오드(24)가 설치된다. 미설명부호(100)는 광기록 매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광 픽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을 이용하여 광기록 매체(100)의 상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21)로부터 조사된 광이 홀로그램 소자(22)를 통과하면서 0차, ±1차의 광으로 분리되고 빔 스프리터(30)의 광분할면(31)에 의해 반사된 후 대물렌즈(23')에 의해 집속되어 광기록 매체(100)에 포커싱되게 된다.
그리과 상기 광기록 매체(100)로부터 반사된 광은 빔 스프리터(30)의 광 분할면(31)에 의해 반사되어 홀로그램 소자(22)를 통과한 후 광 검출 수단인 포토 다이오드(24)에 집속된다.
그리고 광기록 매체(100)의 하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21)로부터 조사되어 빔 스프리터(30)의 광 반사면(32)에 형성된 반사막(40)에 의해 반사된 후 그 상부에 설치된 대물렌즈(23)에 의해 집속되어 광기록 매체(100)에 포커싱되고 광기록 매체(100)의 하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상기 반사막(40)에 의해 반사되어 광 검출 수단이 포토 다이오드(24)에 집속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광 픽업은 광기록 매체의 상하면으로부터 기록 정보를 얻기 위한 빔 스프리터가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광축의 정열이 용이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Claims (2)

  1. 광 발생수단과, 이 광 발생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 분할수단과, 이 광 분할수단에 의해 경로가 변경된 광을 집속하여 광 기록매체에 주사하는 접속수단을 구비하여 된 광 픽업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이 소정각도의 광 분할면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광분할면과 법선방향으로 형성된 광 반사면에 형성되는 반사막을 구비하여 된 빔 스프리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프리터가 소정각도의 광 분할면이 형성된 제1프리즘과, 상기 광 분할면에 대해 법선방향의 경사면에 반사막이 형성된 제2프리즘이 접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KR1019930025866A 1993-11-30 1993-11-30 광 픽업 KR960007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5866A KR960007900B1 (ko) 1993-11-30 1993-11-30 광 픽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5866A KR960007900B1 (ko) 1993-11-30 1993-11-30 광 픽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248A KR950015248A (ko) 1995-06-16
KR960007900B1 true KR960007900B1 (ko) 1996-06-15

Family

ID=1936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866A KR960007900B1 (ko) 1993-11-30 1993-11-30 광 픽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9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248A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51953A3 (en) Optical head with a tilt correction servo mechanism
US5787058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utilizing a polygonal prism
EP0379363A3 (en) Optical head device for use in optical disk system
KR100213270B1 (ko) 양면 디스크용 광 픽업
KR950004127A (ko) 광자기 디스크의 광픽업 장치
KR960007900B1 (ko) 광 픽업
KR100230227B1 (ko) 광픽업
JPH0478029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1069681A (ja) 光磁気記録/再生装置
KR970017245A (ko) 듀얼 포커스 광 픽업장치
KR100200828B1 (ko) 포커스에러 검출장치
KR960007899B1 (ko) 광 픽업
KR970003491Y1 (ko) 광픽업
KR0144874B1 (ko) 광픽업장치
KR930009680B1 (ko) 광기록 재생장치의 주사방법 및 장치
JPH09171633A (ja) 集積光ピックアップシステム
KR100438290B1 (ko) 광픽업 장치
JPH0668849B2 (ja) 光学的再生方法
KR19990011289A (ko) 광픽업장치
KR100269162B1 (ko) 빔스프리터및이를이용한기록재생용광픽업
KR940000676B1 (ko) 광 테이프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0224891B1 (ko) 광픽업 장치
KR100234313B1 (ko) 광픽업 장치
KR0134842B1 (ko) 재생전용 광픽업 광학계
KR970002940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