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567Y1 - 주 회로와 격리된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 - Google Patents

주 회로와 격리된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567Y1
KR960007567Y1 KR2019910025749U KR910025749U KR960007567Y1 KR 960007567 Y1 KR960007567 Y1 KR 960007567Y1 KR 2019910025749 U KR2019910025749 U KR 2019910025749U KR 910025749 U KR910025749 U KR 910025749U KR 960007567 Y1 KR960007567 Y1 KR 960007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lay
decoder
batter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030U (ko
Inventor
김응조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5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567Y1/ko
Publication of KR930016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주 회로와 격리된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
제1도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TV 또는 다른 전자기기 세트의 스탠바이파워 스위치의 구성도.
제2도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TV 또는 다른 전자기기 세트의 본 고안에 따른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프리엠프2,12 : 코드 디코우더
3,13 : 릴레이 구동회로5,15 : 마이콤
19 : 배터리6,16 : 릴레이
20 : 캐패시터
본 고안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온 및 오프되는 TV 또는 전자기기 세트의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리모콘으로 작동 제어되는 TV 등의 가전 세트등을 대개의 경우 세트가 전원 코드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모콘을 이용하여 그 세트를 온시키거나 오프시키고 있다. 이 경우 세트가 오프되었지만 전원코드가 세트에 연결되어 AC 라인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인 스탠바이 상태시에 드롭 레귤레이터 또는 메인 파워 레귤레이터의 서브 기능에 의해 수와트 정도의 전력이 소모되고 있다.
제1도에는 상기 설명된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세트는 전원 코드에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세트내의 마이콤(5)은 AC 전원으로부터 변압기 및 정류회로(8)를 통하여 항시 작동 전원을 공급받고 있다. 사용자가 리모콘(도시안됨)을 작동시켜 TV 세트 등을 온/오프시킬 때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되는 온 또는 오프 코드 신호를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가 발생된다. 이 신호는 TV 세트 등에 내장된 프리엠프(1)에서 수신되어 전기 신호로 바뀐다음 코드 디코우더(2)로 전달한다. 코드 디코우더(2)는 이 신호를 해독하여 현재의 리모콘 신호가 온 신호라고 판단하고 마이콤(5)으로 전달한다. 마이콤(5)은 이 신호에 응답하여 릴레이 구동회로(3)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릴레이(6)가 구동되게 한다. 릴레이(6)가 온되므로써 비로소 변압기 및 정류 회로(7)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세트는 사용가능 상태로 만들어진다. 제1도에서 코드 디코우더(2)의 기능은 통상적으로 마이콤(5)에서 수행되고 있다.
이렇게 세트가 전원 코드에 연결되어 있는 스탠바이 상태시에는 AC 라인으로부터 전류가 계속 흐르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마이콤(5) 등의 주 회로가 외부에서 발생하는 과전압 등의 악영향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한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조작 행위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항시 대기 상태에 있으므로 수와트 정도의 전력이 소모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탠바이 상태시 AC 라인으로부터 세트를 분리시켜 주 회로를 보호하며, 소비되는 전력을 줄이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프리앰프와, 프리앰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세트의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디코우드하는 코드 디코우더와, 상기 디코우더의 출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릴레이 구동회로와, 상기 디코우더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충전되어 상기 디코우더에 의해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가 동작할 때 상기 구동 회로를 통해 방전 전력을 발생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방전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AC 라인을 세트로 연결시켜주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태양은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AC라인으로부터 격리된 본 고안에 따른 파워 스위치의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프리앰프(11)와, 코드 디코우더(12)와, 릴레이 구동 회로(13)와, 릴레이(16)와, 상기 코드 디코우더(12)로 작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19)와, 상기 배터리(19)에 의해 충전되어 방전시 상기 릴레이(16)로 순간 전력을 인가 해주는 캐패시터(20)가 도시된다. 상기 코드 디코우더(12)는 상기 프리앰프(11)의 파워 온 및 오프 신호만을 구분하도록 디지탈 논리 회로로 구성된다. 다이오드(D1)는 배터리(19)로부터 세트로 흐르는 역전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 작동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세트가 동작할 때, 충전 가능한 배터리(19)는 AC 라인으로부터 정류회로(17), 다이오드(D1)를 통해 충전된다. 세트가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베터리(19)는 코드 디코우더(12)로 충전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세트를 선행기술과 유사한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또한 캐패시터(20)는 다이오드(D2)를 통하여 배터리(19)로부터 충전된다.
사용자가 리모콘(도시안됨)을 사용하여 세트 온 버튼을 누르게 되면, 프리앰프(11)는 리모콘으로부터 전달된 세트 온 코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코드 디코우더(12)로 출력한다. 현재 배터리(19)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유지되는 디코우더(12)는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디코우드된 출력 신호를 릴레이 구동회로(13)로 전달한다. 이때, 배터리(19)의 대부분의 전력이 디코우더의 릴레이 구동회로(13)에서 소모되기 때문에 베터리(19)로부터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충전된 캐패시터(20)가 순간 방전을 일으킨다. 따라서, 캐패시터(20)에서 발생된 전력이 릴레이 구동회로(13)를 통해 릴레이(16)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 결과, 릴레이가 온되므로써 세트는 AC 라인을 통해 정류 회로(17)를 통해 메인 전원을 공급 받게 되고, 마이콤(15)을 포함하는 주 회로가 동작을 개시하게 되며 배터리(19)는 또다시 충전된다.
한편, 세트를 오프시키기 위하여 리모콘으로부터 세트 오프 신호가 제공되면 프리엠프(11)는 오프 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코드 디코우드(12)로 출력한다.
코드 디코우드(12)는 프리엠프(11)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디코우드된 신호를 릴레이 구동회로(13)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구동회로(13)는 구동 신호를 발생하여 릴레이(16)를 오프시켜 AC 라인으로 부터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세트를 오프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세트가 오프되면, 마이컴(15)을 포함하는 세트의 주회로는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AC 라인과 완전히 격리된다. 또한 세트가 오프된 시점부터 캐패시터(20)는 세트가 온되어 있는 동안 AC 전원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19)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된다.
또한, 이러한 세트 오프는 기존의 마이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주 회로로서 스탠바이 기능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스탠바이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즉 회로를 AC 라인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써 부터의 과전압, 번개 등에 의한 영향에 대한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리모콘을 이용하여 온 및 오프되는 TV또는 전자기기 세트에 있어서, 프리엠프(11)로부터 수신된 상기 세트의 작동신호를 디코우드 하는 코드 디코우더(12)와 ; 상기 디코우더(12)의 출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릴레이 구동 회로와 ; 상기 디코우더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19)와 ; 상기 베터리로부터 충전되어 상기 디코우더에 의해 상기 릴레이 구동 회로가 동작할 때 상기 구동 회로를 통해 방전 전력을 발생하는 캐패시터(20)와 ; 상기 방전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AC 라인을 세트로 연결시켜 주는 릴레이(16)를 포함하는 세트와 격리된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
KR2019910025749U 1991-12-31 1991-12-31 주 회로와 격리된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 KR960007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749U KR960007567Y1 (ko) 1991-12-31 1991-12-31 주 회로와 격리된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749U KR960007567Y1 (ko) 1991-12-31 1991-12-31 주 회로와 격리된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030U KR930016030U (ko) 1993-07-28
KR960007567Y1 true KR960007567Y1 (ko) 1996-08-30

Family

ID=1932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749U KR960007567Y1 (ko) 1991-12-31 1991-12-31 주 회로와 격리된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5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030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6515B1 (en) Remotely controlled power supply apparatus
KR100378813B1 (ko) 전기 기기의 대기 전력 절감 회로
US6995807B2 (en) Micro-power stand-by mode
EP1223752A2 (en) Automatic mains switch device
KR100862640B1 (ko) 전원 제어 기능 내장형 셋탑박스
US4788618A (en) High voltage protecting circuit
KR960007567Y1 (ko) 주 회로와 격리된 스탠바이 파워 스위치
US20040056533A1 (en) Power supply circuit
KR20110024764A (ko) 콘센트 및 그 운용 방법
JP3716863B2 (ja) 無停電電源装置
JP4006910B2 (ja) 電源装置
KR960001549B1 (ko) 초절전 스탠바이(stand-by)회로
KR20000014766A (ko) 전력공급 제어장치
KR20010088360A (ko) 전기기기의 대기전력을 저감하는 장치
KR910008725Y1 (ko) 리모콘 전원 안정화 회로
RU2125770C1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включ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10077058A (ko) 리모콘 사용 가전기기의 절전제어회로
JP2000013998A (ja) リモコン待機電源
KR960003380Y1 (ko) 텔레비젼의 정전 대비용 회로
KR970024441A (ko) 광 에너지를 이용한 소비전력 저감장치
KR930006136Y1 (ko) 원격 조정기를 이용한 메인 스위치 단속회로
KR100285251B1 (ko) 전원회로
KR0120474Y1 (ko) 텔레비젼의 전원플러그 오픈경고장치
KR20030062550A (ko) 스탠바이전원을 갖는 전기장치
KR970073046A (ko) 스탠바이상태에서의 티브이(tv) 전력소모 절감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