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449Y1 - 배관 이음용 커플링 - Google Patents

배관 이음용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449Y1
KR960007449Y1 KR2019940007451U KR19940007451U KR960007449Y1 KR 960007449 Y1 KR960007449 Y1 KR 960007449Y1 KR 2019940007451 U KR2019940007451 U KR 2019940007451U KR 19940007451 U KR19940007451 U KR 19940007451U KR 960007449 Y1 KR960007449 Y1 KR 960007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rimping piece
coupling
gaske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7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886U (ko
Inventor
이동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일
유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일, 유기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일
Priority to KR2019940007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449Y1/ko
Publication of KR950030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8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16L23/028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the shoulder not being formed from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배관 이음용 커플링
제1도는 본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착편2 : 외측경사면
3 : 절결부4 : 내측경사면
4' : 나사부5 : 플랜지
6 : 접촉경사면7 : 결합공
8 : 가스케트9 : 삽입홈
10 : 배관11 : 보울트
12 : 너트
본 고안은 배관과 배관을 이음할수 있는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착편에 방사상으로 절결되어 있는 절결부에 의해 플랜지를 보울트로 죄면, 플랜지의 접촉경사면의 압지력에 의해 압착편이 오무려지면서 배관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압착하는 상태가 되고, 아울러 압착편의 내측경사면은, 배관과의 이음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스케트의 외측부를 견고하게 눌러주면서 결합되는 것이므로, 견고한 조립상태의 관이음을 얻을수 있고, 이음부의 밀폐력을 우수하게 할수 있는 동시에 양호한 시공을 얻을수 있는 배관 이음용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플링은 배관과 배관의 관이음을 할때 사용되는 기구로서 상, 하측의 커플링 몸체로 나뉘어져 있고, 조립시에는 배관의 이음부에 가스케트를 위치시킨뒤 보울트 및 너트로 체결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커플링의 내면 즉, 가스케트가 접촉되는 면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배관이음부위로 가스케트를 위치시킨뒤 사각단면형상으로된 가스케트의 외면을 압지하여 배관의 이음부를 밀폐시키었기 때문에 측면으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면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커플링이 이동되면서 이음부가 노출되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가스케트를 양쪽배관의 이음부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 하측 커플링 몸체를 결합한뒤 보울트나 너트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가스케트의 결합위치가 상당히 중요한 몫을 차지하게되고, 보울트를 체결함에 있어서도, 양쪽의 체결력을 균등하게 맞추어야 가스케트의 편중현상에 의한 누수가 없게 되는바, 이러한 까다로운 작업과정에 의해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이음부위의 잦은 누수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커플링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수 있고, 커플링이 배관의 이음부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없게 하는 동시에 이음부의 밀폐력을 우수하게 할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달성을 위해 본고안은, 여러개의 연결부에 의해 오무려지면서 배관 및 가스케트의 외주면을 압착할수 있는 압착편을 구비하고, 상기의 압착편을 오무리기 위한 플랜지와, 배관의 이음부에 결합되어 양쪽의 삽입홈으로 배관의 끝단부를 결합시킬수 있는 가스케트를 구비하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도는 본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압착편(1)이 오무려지면서 나사부(4)에 배관(10)의 외주면을 압착시킬수 있도록 여러개의 절결부(3)를 형성하고 있는 압착편(1)과 상기 압착편(1)의 외측면에 형성된 외측경사면(2)에는 플랜지(5)의 접촉경사면(6)이 삽입되면서 압착편(1)이 오무릴수 있도록 하고, 양측배관의 끝단을 삽입홈(9)으로 결합시켜 밀폐할수 있는 가스케트(8)의 외주 양측에는 압착편(1)의 내측경사면(4)에 의해 압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결합공, 11은 보울트, 12는 너트이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모방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관(10)의 외주면으로 압착편(1)과 플랜지(5)를 끼워놓은 상태에서 양측배관(10)의 단부를 맞대고, 이 배관(10)과 배관(10)의 사이에는 가스케트(8)를 끼우게 되는데, 가스케트(8)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9)으로 양측배관(10)의 관부가 삽입되도록 한뒤, 이미 끼워져 있는 압착편(11)을 가스케트(8)가 결합된 이음부로 이동시킨다. 또한 플랜지(5)를 이동시켜서 압착편(1)의 외측경사면(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측의 플랜지(5)에 형성된 결합공(7)으로 보울트(11)를 결합하여 너트(12)로 죄이게 된다. 이때, 플랜지(5)의 접촉경사면(6)은 압착편(1)의 외측 경사면(2)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상태가 되고, 아울러 압착편(1)은 여러개의 절결부(3)에 의해 오무려지면서 배관(10)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되며, 동시에 압착편(1)에 형성된 나사부(4') 에 의해 압착편(1)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게되며 견고한 상태의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압착편(1)의 내측경사면(4)은 이음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가스케트(8)의 외부 양측부를 지속적으로 눌러주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스케트(8)의 삽입홈(9)으로 결합되어 있는 배관(10)의 단부를 ㄷ자형으로 감싸고 있기 때문에 상당한 기밀을 유지할수 있는 것이며, 완벽한 밀폐력을 발휘할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든 부위가 압착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순간적인 충격이 커플링에 가해지거나 은은한 진동이 계속 작용하여도 커플링 및 가스케트가 이음부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없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이음부의 배관단부에 넓은 접촉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가스케트와, 여러개의 절결부에 의해 압착작용을 하는 압착편 그리고 압착편을 압착시킬수 있는 플랜지등에 의해 이음부의 밀폐효과를 매우높게 향상시킬수 있고 충격이나 진동등에도 커플링의 유동이 발생치 않게 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킬수 있게 되며 시공이 매우 간편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압착편(1)이 오무려지면서 나사부(4') 에 의해 배관(10)의 외주면을 압착시킬수 있도록 여러개의 절결부(3)를 형성하고 있는 압착편(1)과, 상기 압착편(1)의 외측면에 형성된 외측경사면(2)에는 플랜지(5)의 접촉경사면(6)이 삽입되면서 압착편(1)이 오무려질수 있도록 한것과, 양측배관(10)의 끝단을 삽입홈(9)으로 결합시켜 밀폐할수 있는 가스케트(8)의 외주양측에는 압착편(1)의 내측경사면(4)에 의해 압착되어질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19940007451U 1994-04-11 1994-04-11 배관 이음용 커플링 KR960007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451U KR960007449Y1 (ko) 1994-04-11 1994-04-11 배관 이음용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451U KR960007449Y1 (ko) 1994-04-11 1994-04-11 배관 이음용 커플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886U KR950030886U (ko) 1995-11-22
KR960007449Y1 true KR960007449Y1 (ko) 1996-08-28

Family

ID=1938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7451U KR960007449Y1 (ko) 1994-04-11 1994-04-11 배관 이음용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4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886U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1957A (en) Fixing construction for pipe joint
US7025393B2 (en) Pipe coupler with tongue and groove sealing sleeve
JPS6124593B2 (ko)
JP2001165366A (ja) 管継手
KR960007449Y1 (ko) 배관 이음용 커플링
KR200177937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258823Y1 (ko) 배관파이프의연결구조
US5562313A (en) Threadless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its
KR200157562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KR200157563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100535577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 구조
JP3820612B2 (ja) 排気管継手及びこれに用いて好適なガスケット
JPH045832Y2 (ko)
KR200237730Y1 (ko) 관이음용 커플링밴드
KR19990069482A (ko) 파이프 연결장치
JPH0139983Y2 (ko)
KR100298152B1 (ko) 링조인트
KR890001694Y1 (ko) 합성수지 파이프 연결장치
KR19990039440U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184491Y1 (ko) 관 연결구
JP4229246B2 (ja) 可撓性の管継手
KR920000957Y1 (ko) 엘보(elbow) 연결장치
KR880000490Y1 (ko) 관 이음쇠
KR850002929Y1 (ko) 강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