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890Y1 - 이형철근의 연결관 - Google Patents

이형철근의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890Y1
KR960006890Y1 KR2019930012472U KR930012472U KR960006890Y1 KR 960006890 Y1 KR960006890 Y1 KR 960006890Y1 KR 2019930012472 U KR2019930012472 U KR 2019930012472U KR 930012472 U KR930012472 U KR 930012472U KR 960006890 Y1 KR960006890 Y1 KR 960006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screw
deformed
reinforcing bar
turn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924U (ko
Inventor
노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
이일쇄
한성정밀 주식회사
노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 이일쇄, 한성정밀 주식회사, 노상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
Priority to KR2019930012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890Y1/ko
Publication of KR9500039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8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이형철근의 연결관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형철근1A, 1B : 양쪽단부
1A' : 긴나사부1B' : 짧은나사부
3 : 턴버클형커플러
본 고안은 이형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연결관을 턴버클형 커플러로 만들어서 커플러의 회전에 의하여 이형철근이 커플러의 양쪽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해서 나입되게 하는 이형철근의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철근의 접속단부에 형성하여 있는 숫나사에 안쪽둘레에 암나사가 형성하여 있는 커를러를 나사붙임을 함고 동시에, 숫나사와 암나사가 끼워붙임되어 있는 틈 사이에 생긴 간극에 내화성과 내열성이 있는 그라우트재를 강제적으로 충전하여 경화시켜서된 철근연결구조(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소 59-108025호)가 알려져 있으나, 커플러의 안쪽둘레에 형성하여 있는 나사와 철근의 접속단부에 형성하여 있는 나사는 암나사와 숫나사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의 철근을 서로 접속하고져 할 경우에는 커플러의 양쪽단부에서 철근을 각각 회전하면서 나사붙임을 하거나 또는 한쪽철근에 먼저 커플러를 회전하면서 나사붙임을 한 다음 커플러의 다른쪽 단부에는 또 다른 철근을 회전하면서 나사붙임을 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게다가 암나사와 숫나사사이에 그라우트재로 충전하고 경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된 두개의 철근을 이탈시키고져 할 경우에는 그라우트재를 제거하여야 함은 물론 커플러에 나사붙임이 되어 있는 어느 한쪽의 철근을 먼저 나사풀기를 한 연후에야 커플러를 회전하여 두개의 철근을 접속상태에서 해탈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접속과 해탈작업이 매우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이와같은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연결관의 나사를 턴버클형으로 만들고 이에 나사붙임이 되는 이형철근의 단부에도 터너클형 커프러의 나사와 상응하게 형성하므로서, 커플러의 회전에 의해 두개의 이형철근을 손쉽게 나사붙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첨부도면에 의하여 구조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이형철근(1)의 양쪽 단부(1A)(1B)를 각각 열처리로 압축해서 그 직경이 다른 쪽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한 그 바깥둘레에는 긴나사부(1A')와 짧은 나사부(1B')를 형성하되, 그 나사의 형태는 턴버클형 커플러(3)에 형성하여 있는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상응하도록 형서한 다음 긴나사부(1A')에는 조임너트(2)를 먼저 나사끼움하고, 턴버클형 커플러(3)의 한쪽 단부에는 긴나사부(1A')를 약간 나사끼움함과 동시에 턴버클형 커플러(3)의 다른쪽 단부에는 짧은 나사부(1B')를 약간 나사끼움해서 턴버클형 커플러(3)를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두개의 이형철근(1)은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분 1은 끝단부이고, 4는 구축물이다.
따라서 이형철근(1)의 양쪽 단부에는 압축작용에 의한 직경이 다른 부위에 비하여 다소 크게 형성하여 있을뿐만 아니라, 그 나사부(1A')(1B')의 길이 역시 상이하게 형성하는 한편, 나사의 형태도 커플러(3)에 형성하여 있는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상응하도록 형성하여 있기 때문에 커플러(3)의 일방향 회전만으로도 두개의 이형철근(1)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특징과 아울러 커플러(3)의 역회전으로 두개의 이형철근(1)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특징도 구비되어 있다.

Claims (1)

  1. (정정) 이형철근(1)의 양쪽단부(1A)(1B)를 각각 압축하여서 그 직경을 다른 부위의 직경보다 크기 형성한 다음 그 외주면에는 긴나사부(1A')와 짧은 나사부(1B')를 형성하되, 그 나사의 형태는 턴버클형의 커플러(3)에 형성하여 있는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상응하도록 형성하여 커플러(3)의 한쪽단부에는 긴나사부(1A')가 다른쪽 단부에는 짧은 나사부(1B')가 서로 나사붙임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된 이형철근의 연결판.
KR2019930012472U 1993-07-07 1993-07-07 이형철근의 연결관 KR960006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472U KR960006890Y1 (ko) 1993-07-07 1993-07-07 이형철근의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472U KR960006890Y1 (ko) 1993-07-07 1993-07-07 이형철근의 연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24U KR950003924U (ko) 1995-02-17
KR960006890Y1 true KR960006890Y1 (ko) 1996-08-08

Family

ID=1935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472U KR960006890Y1 (ko) 1993-07-07 1993-07-07 이형철근의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8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43B1 (ko) * 2011-10-12 2012-04-18 오환상 콘크리트보강용 이형철근 연결단부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056B1 (ko) * 1997-09-12 2000-02-15 김헌출 철근콘크리트기둥용 기성철근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기둥의 시공방법
KR100245057B1 (ko) * 1997-09-12 2000-02-15 김헌출 P.c기둥재 및 그를 이용한 기둥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43B1 (ko) * 2011-10-12 2012-04-18 오환상 콘크리트보강용 이형철근 연결단부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24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5389A (en) Joined concrete bodies and method of joining same
JPH01158158A (ja) コンクリート補強棒用連結具
KR960006890Y1 (ko) 이형철근의 연결관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JPH08319696A (ja) 棒鋼のねじ継手および継手金具
JPH0782841A (ja) 鉄筋継手装置
KR100355494B1 (ko) 철근이음장치
KR200327348Y1 (ko) 철근 연결구
KR102547671B1 (ko) 철근연결구
KR101160532B1 (ko) 철근 연결구
KR20210075660A (ko) 내진용 철근 커플러
KR19980025340A (ko) 철근 연결구
KR200210602Y1 (ko) 슬리브결합형 철근이음쇠
JPH10325213A (ja) 鉄筋カプラー
KR200265990Y1 (ko) 철근 이음장치
JPH0213630A (ja) ねじ付き棒状体と長ナットの継手構造
JPH0524730Y2 (ko)
JPS63122852A (ja) 間隔をおいて固定されているねじ鉄筋の接合方法
KR0116605Y1 (ko) 철근이음용 슬리브
KR200227284Y1 (ko) 교량 및 구조물 철근 연결구
KR200265991Y1 (ko) 철근 이음장치
JPH0435442Y2 (ko)
KR200207138Y1 (ko) 철근이음장치
JPH0978766A (ja) 棒鋼のねじ継手
KR19980062473U (ko) 철근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O061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