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872Y1 - 탄화된 쑥관을 갖는 쑥뜸구 - Google Patents

탄화된 쑥관을 갖는 쑥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872Y1
KR960006872Y1 KR2019930020731U KR930020731U KR960006872Y1 KR 960006872 Y1 KR960006872 Y1 KR 960006872Y1 KR 2019930020731 U KR2019930020731 U KR 2019930020731U KR 930020731 U KR930020731 U KR 930020731U KR 960006872 Y1 KR960006872 Y1 KR 960006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carbonized
tube
long hol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928U (ko
Inventor
유태우
Original Assignee
유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우 filed Critical 유태우
Priority to KR2019930020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872Y1/ko
Publication of KR950010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9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8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없슴

Description

탄화된 쑥관을 갖는 쑥뜸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제5도는 본 종태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 쑥뜸구2 : 풀막
3, 3', 22' : 장공4 : 탄화된 쑥관
5, 23 : 상부원판6, 24 : 하부원판
5', 6' : 타원형의 장공22 : 쑥관
22 : 얇은 종이막
본 고안은 쑥뜸구 상부에 복수개의 장공을 갖는 탄화된 쑥관과 그 하부에 접착된 상, 하부원판 중앙에 타원형의 장공이 통공되어진 탄화된 쑥관을 갖는 쑥뜸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쑥뜸구(21) 상부에 장공(22')을 갖는 쑥관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을 얇은 종이막(22')으로 감싸며, 상기 쑥관(22) 하부에 접착된 상, 하부원판(23)(24) 중앙에 구멍(25)을 통공시켜 구성된 종래에 쑥뜸구에 있어서, 특히 상기 쑥관(22)에 대하여 제조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 같으면, 건조된 약쑥을 미세하게 분쇄한 뒤 얇은 종이막(22')으로 감싸 원하는 쑥관(22)을 형성하되 그 중심부에 장공(22')이 통공되도록 삽, 탈이 용이한 장봉(도시하지 않았음)을 끼워 형성된 쑥관(22)인 것으로, 이를 연소할 경우, 건조된 약쓱 그 자체라서 연기가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쑥의 성분에 있는 티네올 이라고 하는 일명 쑥진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소하기 때문에, 이의 독한 냄새에 의하여, 시력장애나, 호흡기 질환까지 발병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 하부원판(23)(24) 중앙에 통공된 구멍(25)이 협소하여 쑤관(22) 연소시에 발생되는 훈김력이 약화된 상태로 하향되므로서 치료의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쑥진을 제거한, 탄화된 쑥관을 뜸을 할 경우 연기가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신체적인 발병등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 하부원판 중앙에 타원형 장공을 통공하여 탄화된 쑥관 연소시에 발생되는 훈김력이 강화되어 하향됨으로서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솥(도면 생략)내에 건조시켜서 미세한 입자로 분쇄된 약쑥을 주입하여, 110℃의 이상의 온도로 제1차 가열하면, 약쑥의 생리적 유해물질은 완전히 제거되어 검은 숯으로 탄화된 상태로 얻게되고, 이어 탄화된 약쑥의 약 70%와 분말로된 목탄 약 30% 및 소량의 접착제를 혼합하여, 원하는 형상의 쑥뜸구(1)로 성형하고, 100℃ 이상의 온도에서 끊인 쑥물과 곡물 분말을 합성하여, 만든 풀내에 성형된 뜸구를 회석하여 그 표면에 풀막(2)이 형성되게 한 다음 다시 진공솥내에 주입하여 110℃ 이상의 온도로 2차 가열하면 쑥뜸구(1)표면에 강력하게 흡착되어진 풀막(2)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쑥뜸구(1) 상부에는 복수개의 장공(3)(3')을 갖는 탄화된 쑥관(4)과 그 하부에 순차적으로, 접착된 상, 하부원판(5)(6) 중앙에 타원형의 장공(5')(6')을 통공하되 상기 복수개의 장공(3)(5')의 횡의 크기가 일치되게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여과필터, 8은 이형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로서 일단의 이형재(8)를 하부원판(6)으로부터 벗겨낸 다음 인체의 혈액에 접착시킨 상태에서, 탄화된 쑥관(4) 상부에 불을 점화하게 되면 이미 혼합되어 있는 목탄에 의해 점화가 급속하게 번지는 것이다.
한편, 복수개의 장공(3)(3')은 탄화된 쑥관(4)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훈김력을 사웁 원판(5)의 타원형의 장공(5')에 까지 하향시켜 유입되게 하면 그 하부에 접착된 여과필터(7)는 훈김력내에 간헐적으로 잔재된 쑥진을 제거하고 이어 하부원판(6)의 타원형의 장공(6')으로 쑥진을 제거한 훈김력이 하향되어 인체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쑥진을 제거한 탄화된 쑥관 및 풀막을 연소함으로서 연기가 전혀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신체적인 발병등을 일으키지 않으며, 탄화된 쑥관에 혼합되어 있는 목탄에 의해 점화가 급속하게 번지는 것이다.
또한, 탄화된 쑥관 연소시에 발생되는 훈김력이 타원형 장공으로 강화되어 하향됨으로서,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진공솥(도면생략)내에 건조시켜서 미세한 입자로 분쇄된 약쑥을 주입하여 110℃ 이상의 온도로 1, 2차 가열하여 탄화된 쑥관을 얻어내어 원하는 형상의 쑥뜸구(1)를 형성하고 그 표면에 풀막(2)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쑥뜸구(1) 상부에는 복수개의 장공(3)(3')을 갖는 탄화된 쑥관(4)과 그 하부에 순차적으로 접착된 상, 하부원판(5)(6)의 중앙에 타원형 장공(5')(6')을 통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된 쑥관을 갖는 쑥뜸구.
KR2019930020731U 1993-10-11 1993-10-11 탄화된 쑥관을 갖는 쑥뜸구 KR960006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731U KR960006872Y1 (ko) 1993-10-11 1993-10-11 탄화된 쑥관을 갖는 쑥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731U KR960006872Y1 (ko) 1993-10-11 1993-10-11 탄화된 쑥관을 갖는 쑥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928U KR950010928U (ko) 1995-05-15
KR960006872Y1 true KR960006872Y1 (ko) 1996-08-08

Family

ID=1936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731U KR960006872Y1 (ko) 1993-10-11 1993-10-11 탄화된 쑥관을 갖는 쑥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8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409A (ko) * 2001-05-08 2002-11-16 배찬석 뜸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928U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5521B2 (en) Acupressure type moxa treatment device
US5282737A (en) Candle snuffing apparatus and method
WO2007024060A1 (en) Vessel for cauterizing with moxa
JPH11500344A (ja) ヨモギモグサ灸装置
KR960006872Y1 (ko) 탄화된 쑥관을 갖는 쑥뜸구
KR960006875Y1 (ko) 쑥뜸구
JPH0469344A (ja) 無煙無臭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US6083591A (en) Moxibusting implement
KR100227816B1 (ko) 쑥뜸기
KR0119108Y1 (ko) 쑥뜸구
KR200212263Y1 (ko) 황토쑥뜸구
KR900006232Y1 (ko) 쑥뜸구
CN208388998U (zh) 一种艾灸装置
KR960003913Y1 (ko) 흡연용 쑥뜸구
CN213311647U (zh) 一种艾灸器
KR200150129Y1 (ko) 쑥뜸용 점화기
KR200304263Y1 (ko) 쑥뜸구
JP2524318B2 (ja) 灸よもぎの製造方法
Hirshkowitz et al. Nocturnal penile tumescence and EEG asymmetry.
KR910002273B1 (ko) 세봉형(細捧形) 뜸쑥
JP3022687U (ja) 台座付き間接灸
KR900007006B1 (ko) 권련용 여재 및 그 제조방법
KR0119107Y1 (ko) 쑥뜸구
KR200336028Y1 (ko) 양생뜸 쑥뜸장치
CN211512661U (zh) 一种麦粒灸施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