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394Y1 - 에어 호스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에어 호스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394Y1
KR960006394Y1 KR2019940001343U KR19940001343U KR960006394Y1 KR 960006394 Y1 KR960006394 Y1 KR 960006394Y1 KR 2019940001343 U KR2019940001343 U KR 2019940001343U KR 19940001343 U KR19940001343 U KR 19940001343U KR 960006394 Y1 KR960006394 Y1 KR 960006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air
tube
connecto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597U (ko
Inventor
강명규
Original Assignee
강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규 filed Critical 강명규
Priority to KR2019940001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394Y1/ko
Publication of KR950023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에어 호스용 연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작용 표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작용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호스 연결구 2 : 통체
3 : 육각부 4 : 긴체나사관
5 : 나사관 6 : 결합공
7 : 볼 8 : 심관
9 : 경사면 10 : 스프링링
11 : 패킹 12 : 요환부
13 : 호스
본 고안은 각종 에어를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는 장비에 있어서, 에어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 에어 공급용 연결구의 연결 방법을 매우 간편하게 하여 호스를 연결할 경우 호스를 심관과 통체 사이에 결합한 후 긴체 나사관으로서 긴체하면 호스의 결합이 매우 긴밀하고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여 각종 에어를 이용한 장비의 사용을 매우 편리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에어를 이용한 장비의 에어 공급노즐과 호스간을 연결할 경우는 공급노즐과 호스를 결합한 후 이의 외주연에 에어밴드나 철사등으로 감아서 상호 연결하였던바 이는 외관이 매우 지저분하고 사용수명이 극히 제한적이며 특히 장기 사용시 에어밴드나 철사가 감겨진 부분이 노후되어 에어가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의 에어 호스용 연결구를 구성하므로서 호스와 연결구의 상호 연결을 원터치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하고 별도의 공구없이 손으로 연결할 경우도 에어호스의 긴체가 매우 긴밀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각종 에어호스의 연결구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 호스용 연결구(1)를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부에 육각부(3)가 형성되고 상하 동형의 나사관(5)을 각각 관출한 통체(2)를 형성하여 각 나사관(5)의 내단측에는 복수개의 결합공(6)을 각각 천설하여 볼(7)을 결합하고 양측 나사관(5)의 내단에는 요환부(12)를 갖는 심관(8)을 나사조립하며 나사관(5)의 상부 외측에 스프링링(10)을 결합하고 이의 외주연에는 경사면(9)이 내향으로 형성된 긴체 나사관(4)을 상호 결합할 수 있게한 것이다.
도면중 부호 11은 밀폐성 패킹을 나타내고, 13은 연결호스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된 본 고안은 주로 에어의 공급이 필요한 호스(13)를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인바 즉 에어호스(13)를 상호 결합할 경우는 제4도와 같이 먼저 심관(8)과 나사관(5) 사이에 호스(13)를 밀어 넣으면 긴체 나사관(4)의 경사면(9)에 의해 결합공(6)에 결합된 볼(7)이 경사면(9)측으로 밀려나와 심관(8)과 나사관(5)의 공간이 넓어져 호스(13)가 용이하게 삽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호스(13)를 통체(2)의 양단측 나사관(5)과 심관(8) 사이에 결합하여 긴체 나사관(4)을 잡고 회전을 시키면 제3도와 제4도의 하부측 그리고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긴체 나사관(4)이 체결됨과 동시에 경사면(9)에 의해 볼(7)이 결합공(6)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어 나사관(5)의 내단에 삽지된 호스(13)에 긴밀하게 협지가 되고 계속적으로 긴체 나사관(4)을 긴체하면 결합공(6) 내부의 볼(7)이 호스(13)의 외단을 밀어 넣으면서 협지하는 상태가 되어 긴체 나사관(4)을 완전히 긴체하면 각 결합공(6)에 결합된 볼(7)이 호스(13)의 외단을 협지하여 눌러 주므로 호스(13)는 각 볼(7)에 의해 매우 긴밀한 상태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각 심관(8)의 외주연에는 다단계의 요환부(12)가 요설되어 있으므로 외단의 볼(7)이 긴밀하게 협지되면 호스(13)자체의 신축성에 의해 각 요환부(12) 사이에 호스(13)가 밀려 들어가 호스(13)의 협지 상태는 더욱 양호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호스(13)와 연결구(1)의 접속이 끝나는 것으로 이때 긴체 나사관(4)의 높이는 이동거리 즉 해리하였을 경우는 긴체 나사관(4)의 상단부가 스프링링(10)에 걸리게 되어 외부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로는 경사면(9)에 의해 볼(7)을 이탈하지 않는 정도를 배려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호스(13)의 연결이 끝나면 각종 에어를 이용한 장비의 작업을 할 수 있고 작업이 끝난후 에어호스용 연결구(1)를 호스(13)로부터 분리할 경우는 연결 순서의 반대로 각 긴체 나사관(4)을 해리하여 긴체 나사관(4)이 스프링링(10)까지 올라오게 되면 결합공(6)의 볼(7)이 경사면(9)측으로 이탈되어 호스(13)는 나사관(5)과 심관(8) 사이에서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어 호스(13)를 분리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각 볼(7)을 외부에서 결합공(6)을 통해 밀어 넣을 수 있게 하되 나사관(5) 내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공을형으로 천설하므로서 사용 도중 볼(7)이 이탈되어 분실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에어 호스(13)의 연결용 뿐만 아니라 각종 에어장비의 에어 공급노즐 대신에 본 고안의 장치를 결합하므로서 결합후 외관 장식미가 크게 개선되고 또한 사용 수명이 일층 연장됨은 물론 에어 호스(13)의 연결을 별도의 공구에 의존하지 않고 손으로 긴체 나사관(4)을 돌리기만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견고하고 양호한 접속이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접속시에는 좀더 견고한 밀폐성을 요구할 경우 육각부(3)를 렌치나 스패너를 이용하므로서 고압을 요하는 접속시 매우 효과적으로 할 수도 있고 각 연결부위는 패킹(11)을 개재하므로서 밀폐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각종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구를 구성하므로서 상호 결합을 매우 간단하게 하고 연결후 외관 장식미가 개선되며 연결작업을 별도의 공구없이 손으로 조여도 매우 긴밀한 접속이 이루어지고 특히 종래와 같이 외주연에 에어밴드나 철사등으로 감아서 호스의 사용 수명이 저하되어 에어 호스에서 에어가 유출되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그 실용성이 매우 현저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정정)중앙 육각부(3) 양측으로 나사관(5)을 관출하고 볼(7)을 내설하여 긴체 나사관(4)으로서 연결결합토록 한 통상의 에어 호스용 연결구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양측 나사관(5) 내단에 다단계의 요환부(12)를 갖는 심관(8)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나사관(5)의 상부 외측에는 스프링링(10)을 결합하며, 외주연에는 경사면(9)이 내향으로 형성된 긴체 나사관(4)을 결합토록 하여서 된 에어 호스용 연결구.
KR2019940001343U 1994-01-21 1994-01-21 에어 호스용 연결구 KR960006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343U KR960006394Y1 (ko) 1994-01-21 1994-01-21 에어 호스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343U KR960006394Y1 (ko) 1994-01-21 1994-01-21 에어 호스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597U KR950023597U (ko) 1995-08-23
KR960006394Y1 true KR960006394Y1 (ko) 1996-07-24

Family

ID=1937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343U KR960006394Y1 (ko) 1994-01-21 1994-01-21 에어 호스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3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900B1 (ko) * 2021-05-12 2021-09-13 (주)지여이앤씨 소방용 소방호스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597U (ko)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1982A (en) Plastic fitting assembly
US3142881A (en) Hose clamp
CA2277455A1 (en)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grip ring to be used in such a coupling device
US4722559A (en) Spray hose assembly
KR960006394Y1 (ko) 에어 호스용 연결구
US20030173777A1 (en) Clamp used in branching a soft hose
US3586056A (en) Pipe plug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US3129022A (en) Coupling
CN2280194Y (zh) 软管接头
KR200259927Y1 (ko) 농업용 고압호스의 연결관
KR200197249Y1 (ko) 복합관 배관용 연결구
ITMI940392U1 (it) Raccordo tubolare, a dado girevole perfezionato, particolarmente per tubi flessibili oleodinamici e simili
KR200234269Y1 (ko) 커플링용 연결관 조임장치
KR0120330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200339779Y1 (ko) 배관연결구조
JPH0112073Y2 (ko)
CN215981425U (zh) 一种快接螺纹堵头
KR200350791Y1 (ko) 약액분사대의 꼬임방지용 연결구
JPH0112071Y2 (ko)
KR20230000760U (ko) 관이음 장치
KR200318981Y1 (ko) 신속 결합관
KR910008561Y1 (ko) 관체의 접관장치
KR0132375Y1 (ko) 편수관
KR800000605B1 (ko) 배관 연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