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941Y1 - 철망 울타리 - Google Patents

철망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941Y1
KR960005941Y1 KR2019930008772U KR930008772U KR960005941Y1 KR 960005941 Y1 KR960005941 Y1 KR 960005941Y1 KR 2019930008772 U KR2019930008772 U KR 2019930008772U KR 930008772 U KR930008772 U KR 930008772U KR 960005941 Y1 KR960005941 Y1 KR 960005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wire mesh
vertical
support
vertica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8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979U (ko
Inventor
손창현
Original Assignee
손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현 filed Critical 손창현
Priority to KR2019930008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941Y1/ko
Publication of KR940026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9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9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04H17/1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the wire being placed in slots, groov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철망 울타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철망 울타리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부분 종단면도.
제3도(가)는 상부커버판의 사시도.
제3도(나)는 조임판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철망 울타리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주 20a,20b: 덮개판
21a,21b: 덮개판의 수평부 22a,22b: 덮개판의 수직부
30a,30b: 가로대 31a,31b:가로대의 수평부
32a,32b: 가로대의 수직부 40a,40b,: 누름판
41a,41b: 누름부 50a,50b: 고정볼트
51a,51b: 너트 60: 철망
61a,61b: 철망 고정볼트 62a,62b: 너트
본 고안은 철망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울타리를 구성하는 지주와 철망의 결합설치릍 간편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철망 울타리는 일정 간격으로 세위지는 지주사이에 상하부에 U자형 볼트와 너트로 가로대를 고정설치하고 이 가로대에 절취절곡형성된 철망고리에 철망의 상하 가장자리부를 걸어서 고정설치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망 울타리에서는 지주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대와의 접촉면적이 적어져서 지주와 가로대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가로대를 U자형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특별히 설계제작된 U자형 볼트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하나의 지주에 대하여 2개의 너트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철망을 가로대에 절취절곡형성된 철망고리에 걸어서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가로대와 철망의 결합상대가 취약하게 되어 작은 충격에도 철망이 가로대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지주와 가로대의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지주와 가로대가 견고하게 고정결합되며 고정작업이 간편하고 가로대와 철망의 결합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철망울타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세워지는 지주의 상하부에 수평부와 수직부를 가지는 덮개판을 내고, 상, 하 가로대의 수평부를 덮개판의 수평부와 밀착시키며, 일측 수직부를 덮개판의 수직부와 밀착시키고, 이들 수직부를 누름판의 상하단에 절곡형성된 누름부와 밀착시키며, 누름판의 덮개판의 수직부 및 지주를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너트를 체결하고, 가로대의 수직부사이에는 철망의 상하단부를 삽입하여 가로대의 수직부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어 너트가 체결되는 철망고정볼트에 걸어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지주는 가로대가 고정되는 폭을 평면부로 형성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철망 울타리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철망 울타리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부분 종단면도, 제3도(가)는 상부커버판의 사시도, 제3도(나)는 조임판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철망 울타리의 설치상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세워지는 지주(10)의 상하부에 수평부(21a,21b)와 수직부(22a,22b)를 가지는 덮개판(20a,20b)을 내고, 상,하 가로대(30a,30b)의 수평부(3la,31b)를 덮개판(20a,20b)의 수평부(21a,21b)와 밀착시키며, 일측 수직부(32a,32b)를 덮개판(20a,20b)의 수직부(22a,22b)와 밀착시키고, 이들 수직부(22a,22b),(32a,32b)를 누름판(40a,40b)의 상하단에 절곡형성된 누름부(41a,41b)와 밀착시키며, 누름판(40a,40b)과 덮개판(20a,20b)의 수직부(22a,22b) 및 지주(1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50a,50b)에 너트(51a,51b)를 체결하고, 가로대(30a,30b)의 수직부(32a,32b)사이에는 철망(60)의 상하단부를 삽입하여 가로대(30a,30b)의 수직부(32a,32b)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어 너트(62a,62b)가 체결되는 철망고정볼트(61a,61b)에 걸어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지주(10)는 가로대(20a,20b)가 고정되는 쪽을 평면부로 한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상부덮개판(20a)은형으로, 하부덮개판(20b)은형으로 대칭설치되고,상부가로대(30a)는형으로, 하부가로대(30b)는형으로 대칭설치된다.
상기 상부 누름판(20a)의 상단부는 상부 가로대(30a)의 수평부(31a) 저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가로대(30a)가 밑으로 처지는 일이 없도록 하며, 하부 누름판(20b)의 하단부는 하부 가로대(30b)의 수평부(31b) 상면에 밀착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지부(10)와 덮개판(20a,20b)의 수직부(22a,22b)와 누름판(40a,40b) 및 지주에는 고정나사(50a,50b)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11a,11b),(23a,23b), (42a,42b)이 천공되어 있으며, 가로대(20a,20b)의 수직부(22a.22b)에는 철망고정볼트(61a,61b)가 관통되는 볼트관통부(부호없음)가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철망 울타리는 지면에 지주(10)를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이 지주(10)의 상, 하부에 상, 하부 덮개판(20a,20b)의 수직부(22a,22b)을 밀착시키면서 이 수직부(22a,22b)에 상, 하부 가로대(30a,30b)의 일측 수직부(32a,32b)을 밀착시키고 이들 수직부(22a,22b),(32a,32b)에 상,하부 누름판(40a. 40b)의 누름부(41a,41b)를 대고 누름판(40a,40b)과 덮개판(20a,20b)의 수직부(22a.22b) 및 지주(10)에 고정볼트(50a,50b)를 관통시킨 다음 이에 너트(51a,51b)을 체결하면 누름편(40a,40b)의 누름부(41a, 41b)가 가로대(30a,30b)의 수직부(32a,32b)와 덮개판(20a,20b)의 수직부(22a,22b)를 지주(10)에 대하여 압착시키게 되어 가로대(30a,30b)가 지주(10)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덮개판(20a)는 고정볼트(50a)에 의하여 상하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되며 상부 가로대(30a)의 수평부(31a)의 저면은 덮개판(20a)의 상단부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가로대(30a)가 밑으로 처지는 일이 없게 된다.
지주(10)에 고정된 가로대(30a,30b)의 수직부(32a,32b)사이에는 철망(60)의 상하 단부를 삽입하여 가로대(30a,30b)의 수직부(32a,32b)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되는 철망고정볼트(61a,61b)에 걸쳐지도록 한 다음 너트(62a,62b)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철망(60)이 가로대(30a,30b)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지주가 일측에 평면부를 가지는 반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 평면부에 가로대를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이므로 지주에 대한 가로대의 고정이 견고하게 되며, 밀도로 특수 제작된 U자형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볼트를 사용하면서도 지주에 대한 가로대의 고정이 간편하게 되고. 철망을 고정함에있어 철망고정볼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가로대에 대한 철망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세워지는 지주(10)의 상하부에 수평부(21a.21b)와 수직부(22a,22b)를 가지는 덮개판(20a,20b)을 대고, 상, 하 가로대(30a,30b)의 수평부(1a,31b)를 덮개판(20a,20b)의 수평부(21a,21b)와 밀착시키며. 일측 수직부(32a,32b)를 덮개판(20a,20b)의 수직부(22a,22b)와 밀착시키고. 이들 수직부(22a,22b)(32a,32b)를 누름판(40a.40b)의 상하단에 절곡형성된 누름부(41a.41b)와 밀착시키며, 누름판(40a,40b)과 덮개판(20a,20b)의 수직부(32a,32b)사이에는 철망(60)의 상하단부를 삽입하여 가로대(30a,30b)의 수 직부(22a,22b)및 지주(1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50a,50b)에 너트(51a,51b)를 체결하고, 가로대(30a,30b)의 수직부(32a,32b)에 일정간격으로 관통되어 너트(61a,62b)가 체결되는 철망고정볼트(61a,61b)에 걸어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가로대(20a,20b)가 고정되는 쪽을 평면부로 하는 지주(10)와 가로대(20a,20b)가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KR2019930008772U 1993-05-22 1993-05-22 철망 울타리 KR960005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772U KR960005941Y1 (ko) 1993-05-22 1993-05-22 철망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772U KR960005941Y1 (ko) 1993-05-22 1993-05-22 철망 울타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979U KR940026979U (ko) 1994-12-09
KR960005941Y1 true KR960005941Y1 (ko) 1996-07-18

Family

ID=1935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8772U KR960005941Y1 (ko) 1993-05-22 1993-05-22 철망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9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904A (ko) * 2016-12-20 2018-06-28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용접철망 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904A (ko) * 2016-12-20 2018-06-28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용접철망 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979U (ko)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627B2 (en) T-post fence bracket
KR101024655B1 (ko) 건축용 비계 안전발판과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101113785B1 (ko) 랙 구조물용 로드빔
DE102013207827A1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Solarmodulen und Dach
GB1576263A (en) Shelving structure
KR101683968B1 (ko) 띠장 브래킷
KR960005941Y1 (ko) 철망 울타리
KR20100128220A (ko) 조립식 휀스
US6412536B1 (en) Window awning system
JP2882988B2 (ja) 雪庇発生防止装置
DE20211167U1 (de) Plattentragegerät
CN213297431U (zh) 一种木护栏及木栈道用护栏
JPS6140854Y2 (ko)
KR830000800Y1 (ko) 철망울타리
JPH1181751A (ja) メッシュフェンス
KR0128705Y1 (ko) 휀스망 체결장치
MXPA02009186A (es) Proteccion anti-granizo.
KR200367716Y1 (ko) 알루미늄제 다목적 휀스
CN220336419U (zh) 爬架网扣结构
CN210537755U (zh) 一种农业大棚水槽托件
JP3168459B2 (ja) 仮設建築物の組立屋根装置
GB2202262A (en) Securing scaffolding boards
JP3214333U (ja) 防獣フェンス
JPH0440355Y2 (ko)
JP3068483U (ja) 防護柵の補助レ―ル取り付け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