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656Y1 - 매트형 신발창 자동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매트형 신발창 자동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656Y1
KR960005656Y1 KR2019960005588U KR19960005588U KR960005656Y1 KR 960005656 Y1 KR960005656 Y1 KR 960005656Y1 KR 2019960005588 U KR2019960005588 U KR 2019960005588U KR 19960005588 U KR19960005588 U KR 19960005588U KR 960005656 Y1 KR960005656 Y1 KR 960005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aring
fixed
brush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래
Original Assignee
박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래 filed Critical 박중래
Priority to KR2019960005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6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6Mat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 Brush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매트형 신발창 자동세척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신발창 자동세척장치가 현관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신발창자동세척장치에서 케이스를 분리해 놓은 사시도
제 3 도는 매입상자 및 배수통내에 설치되어지는 본 고안의 신발창자동세척장치밑에 부러쉬 세척탈수기와 오물제거기가 설치되는 도면
제 4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신발창 자동세척장치의 밑부분이 투시되는 도면
제 5 도는 본 고안의 신발자동세척장치내에 설치된 회전사프트부를 도시해 놓은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일틀판 2, 3 : 부러쉬벨트
4, 5 : 회전사프트부 6 : 케이스
7 : 날 8 : 고정롤러
9 : 베어링롤러 10, 10' : 회전봉
11, 11' : 고정받침틀
본 고안은 매트형 신발창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틀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일정 길이 2개의 부러쉬벨트를 매트형으로 형성시켜 밑부분 양쪽의 회전샤프트부 작동에 의해 예컨대 구도 및 각 신발의 밑바닥에 붙은 흙먼지, 오물, 진득이 또는 압착된 눈등을 상기 레일틀판의 부러쉬벨트상에 자동으로 잘 닦아주어 항상 현관 및 실내를 깨끗하게 조성해주는 신발창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회가 복잡해지고 생활의 의식주도 시대와 환경에 맞게 여러종류의 생활용품을 다기능, 사용편리 및 휴대간편하도록 만들어지고 있다. 그런데, 4계절의 빌딩공간에서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 예컨대 현관에 PVC매트나 카펫트등으로 많이 설치되어 있어 해당 계절이나 일기상태에 따라 외출후 신발밑바닥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이는 건물옥내에서 사용되는 여러종류의 매트형태로서 실내환경을 위해 많이 쓰여지고 있지만 실내환경에는 여러가지 문제로 인하여 불편을 주고 있다.
즉, 일례로 청명한 날에 대형빌딩의 현관로비가 깨끗하게 청소된 상태에서 많은 사람들이 매트위로 출입하게 되면, 처음 매트가 세척탈수된 상태로 놓여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잘 닦아지겠지만 출입통행수가 많아짐에 따라 출입자의 신발에 상기 매트상의 흙먼지 및 오물등을 실내로 옮기게 되었고, 또 상기 매트에 쌓인 흙먼지등은 그 이후의 출입자신발에 의해 먼지가 실내공기에 날려 실내의 사람들이 이를 호흡하여 건강상 나쁠 뿐만 아니라 쉽게 청소할 수 없는 곳에 붙어 있게 되었다.
또 우절기의 비나 동절기의 눈이 올때에는 출입자신발창에 흙탕물 또는 붙은 압착눈, 기타 여러가지 현상으로 인하여 해당 매트는 물론 실내바닥은 흙탕물얼룩등으로 청결하지 못하게 되고, 흙탕물이 말라 각 신발의 밑바닥에 비벼진 먼지는 실내공기와 함깨 사람이 숨쉬게 될 뿐만 아니라 아무데나 붙어 있게 된다는 결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축 및 기존건물의 현관에 간편히 매입설치가 능하고 출입시의 신발창에 의해 들어오는 각종오물을 억제하고 실내공기를 청결하게 함으로 청소인력을 줄이고 청결한 실내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레일틀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이동되고 매트형으로 형성되며 일정길이로 이어지도록 2개의 부러쉬벨트를 설치하여 밑부분 양쪽의 회전샤프트부작동에 따라 예컨대 구도 및 각 신발의 밑바닥에 붙은 흙먼지, 오물 또는 압착된 눈등으로 상기 부러쉬벨트의 매트상에서 자동으로 잘 세척해주는 신발창자동세척장치를 제공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신발창자동세척장치가 현관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도로서, 본 고안의 신발창자동세척장치는 신축 및 기존건물의 현관에 간편이 매입설치가능하고 케이스(6)내의 레일틀판(1)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일정길이의 2개의 부러쉬벨트(2, 3)를 매트형으로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한 내부양측 회전샤프트부(4, 5)의 작동(제 5 도 참조)에 따라 예컨대 구두 및 각 신발의 밑바닥에 붙은 흙먼지, 오물진득이 또는 압착된 눈등을 상기 레일틀판(1)의 부러쉬벨트(2, 3)상에서 자동으로 잘 닦아주고 밑부분에서 일괄적으로 해당 부러쉬세척 및 오물을 보관 처리할 수 있음으로 언제나 현관 및 실내환경을 청결하게 해주게 된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신발창자동세척장치에서 케이스(6)를 분리해 놓은 것으로, 예컨대 구두나 각 신발의 밑바닥이 밟게 되는 부러쉬 레일틀판(1)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알루미늄 금속철로 된 것을 열처리하여 강도를 높혀서 일정간격의 날(7) 표면에 강철 스파이크를 매설하여 신발창에 미끄러움과 그 사이 부러쉬벨트(2, 3)의 부러쉬 눌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압착된 눈을 깨는데 사용한다.
먼저 부러쉬 레일틀판(1)은 현관의 설치면적에 따라 내부에서 일정크기로 다수개의 부러쉬가이드레일틀로 이루어져 있어 틀받침대(20, 20' : 제 5 도(b))로 고정되는데, 이는 예컨대 4개의 부러쉬가이드레일틀로 구성된 레일틀을 설치하고 하부 양쪽에 틀받침대(20, 20')를 가로질러 비스볼트를 고정하면 하나의 부러쉬 레일틀판(1)이 형성된다.
상기 부러쉬 레일틀판(1)내의 날(7)사이에 지그재그로 계속되게 설치되는 각각의 부러쉬벨트(2, 3)는 원형의 우레탄 소재로서 탄력 및 경도가 강하고 잘 마모되지 않고 늘림이 적어 동력 전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부러쉬벨트(2, 3)는 예컨대 직경 5 m/m, 벨트에 1.5 m/m, 넓이 4.5 m/m 깊이로 구멍을 일정하게 맞쳐 뚫고 그 곳에 부러쉬 모장을 꺽어 금속핀 조각으로 밀어 끼워박는 순서로 부러쉬(21, 21')를 심고 상기 부러쉬(21, 21')의 간격은 4m/m로 하여 반복적으로 조립한다.
상기 부러쉬벨트(2, 3)의 부러쉬(21, 21')는 여러가지의 색상과 모질성을 혼잡하여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말총 흙색으로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부러쉬벨트(2, 3)가 상기 부러쉬레일틀판(1)내의 다수날(7)사이에 채워지면서 제 5 도(a)에 도시된 회전사프트부(4, 5)의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에도 지그재그 순서대로 연결되는데, 이는 예컨대 회전샤프트부(4, 5)의 회전봉(10)에 번갈아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를 베어링고정철구(22) 사이에 조립하여 양쪽으로 설치되는 한편 선두에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가 나오게 된다. 즉, 회전사프트부(4)의 한 회전봉(10)에 스넵링(23)을 끼우고 처음부터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 다시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를 끼우는 순서로 하여 회전봉(10)의 1/3길이 되는 곳에서 베어링롤러(9)를 끼운 다음 베어링고정철구(22)를 끼우고, 다시 고정롤러(8)를 끼우고 베어링롤러(9)와 고정롤러(8)와 같이 연속적으로 끼워 77번째에 고정롤러(8)와 베어링고정철구(22)를 끼운 다음, 베어링롤러(9)로 시작하여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와 같은 순서로 조립하여 마지막 고정롤러(8)를 끼우고 스넵링(23)을 끼워맞춘다.
이와 마찬가지로 회전사프트부(5)의 회전봉(10')에 스넵링(23)을 끼고 전술한 바 있는 회전사프트부(5)의 회전봉(10)과 반대로 베어링롤러(9)와 고정롤러(8), 다시 베어링롤러(9)와 고정롤러(8)를 연속적으로 끼우면서 회전봉(10)과 같이 고정롤러(8)와 베어링고정철구(22), 베어링롤러(9)를 끼우고, 다시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를 조립하여 77번째 베어링롤러(9), 베어링고정철구(22)와 고정롤러(8)를 끼운 다음, 베어링롤러(9)와 고정롤러(8)와 같이 조립을 하여 마지막 베어링롤러(9)를 끼우고 스넵링(23)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제 5 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러쉬 레일틀판(1)의 밑면 양쪽에서 회전사프트부(4, 5)의 회전봉(10, 10')에 전술한 바와 같은 순서대로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를 다수개 끼워 완성시켜 사용하게 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틀판(1)과 받침대(20, 20')를 조립한 것에 고정받침틀(11, 11')과 회전사프트부(4, 5)의 회전봉(10, 10')에 각각의 베어링고정철구(22), 고정롤러(8), 베어링롤러(9), 스넵링(23)으로 조립된 것을 결합하게 된다.
먼저 고정받침틀(11) 홈이 나열된 곳을 상면으로 하여 회전샤프트부(4)의 회전봉(10)에 조립된 베어링고정철구(22)를 고정받침틀(11)에 결합시켜 비스볼트로 고정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고정받침틀(11')과 회전샤프트부(4)의 회전봉(10')이 조립된 베어링고정철구(22)를 동일 결합방법으로 비스볼트로 고정하고, 레일틀판(1)의 밑면을 상판으로 하여 양쪽 틀날(7)에 고정받침틀(11)과 베어링고정철구(22)를 레일틀판(1)에 받침틀(11)의 홈이 나열된 곳을 결합하여 레일틀판(1)과 베어링고정철구(22)를 비스볼트로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나머지도 레일틀판(1)의 날(7)에 고정 받침틀(11')의 홈을 결합하여 베어링고정철구(22)를 레일틀판(1)의 날(7)에 맞쳐 비스볼트로 고정한다.
한편, 제 4 도에 도시된 레일틀판(1)은 날이 순차적으로 여기서 2번, 4번, 5번, 7번, 8번, 9번, 10번, 38번, 40번, 41번이 결합된 곳에 각각의 베어링받침틀(24, 24')을 회전봉(10, 10')이 조립되어 있는 레일틀판(1)의 양쪽에 먼저 한 베어링받침틀(24)를 한 레일틀쪽 회전봉(10, 10')의 2열과 조립하여 비스볼트를 고정하고, 다른 레일쪽도 동일 방법으로 베어링받침틀(24')을 다른 레일틀쪽 회전봉(10, 10')의 2열과 조립하여 비스볼트로 고정한다.
전술한바 있는 고정받침틀(11, 11')은 고정베어링틀(24, 24') 사이의 감속모터(13), 물통(14), 오물통(15)자리에 고정하여 비스볼트로 조이므로 외형적 완성 모양을 형성하고, 예컨대 강선가이드틀(25, 25')을 받침대롤러(20, 20')쪽에 3개의 강선가이드를 받침대롤러(20) 쪽에 고정하고, 나머지 3개의 강선가이드도 다른 받침대롤러(20')쪽으로 비스볼트로 고정한다.
위의 레일틀판(1)이 조립되어 있는 곳에 한 평형기어(16, 16')의 2개 베어링롤러축, 다른 평형기어(17)의 베어링축, 또 다른 평형기어(18)의 이중베어링롤러삼각철구축(19, 19'), 이중파이프롤러(26), 2개의 브러쉬받침판(27) 및 앵글샤우드축(28)으로 레일틀판(1)의 밑면을 상면으로 하여 상기 이중롤러 삼각철구축(19, 19')을 레일틀판(1)의 양쪽공간에 부착하여 2개의 고정 베어링틀(24, 24')과 비스볼트로 고정한다. 상기 파이프롤러(26)는 한 삼각철구(19)옆에 고정하고 반대쪽 다른 삼각철구(19)의 상단에 앵글샤우드축(28)과 또 다른 평형기어(18)를 조립하여 파이프스패샬 및 비스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평형기어(18)의 아래 다른 평형기어(17)의 베어링축 아래 한 평형기어(16, 16')의 2개 베어링롤러를 배열하고 비스볼트로 고정시킨다.
상기 2개의 부러쉬벨트받침판(27)은 이중파이프롤러(26)로부터 흐르는 부러쉬벨트(2, 3)에 다른 장애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한 부러쉬벨트받침판(27)을 파이프롤러(26)의 하단층롤러에 맞쳐 한 평형기어(16)의 베어링롤러축까지 파이프스패샬 및 비스볼트로 고정하고, 다른 부러쉬벨트받침판(27)도 파이프롤러(26)의 상단부터 한 평형기어(16')의 베어링롤러까지 맞쳐 파이프스패샬 및 평면각스패샬을 비스볼트로 고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일틀판(1)에 감긴 부러쉬벨트(2, 3)가 원활히 회전과 장력을 평형유지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의 레일틀판(1)의 밑면을 상면으로 하여 6가지형의 강선가이드를 가이드틀 롤러쪽상 구멍열과 레일틀날고정받침틀(11, 11')의 날홈이 나열된 곳에 첫번째 강선가이드를 끼워 맞쳐 나가고 반대쪽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첫번째 강선가이드를 끼워 맞쳐 교정한다.
두번째 강선가이드는 양쪽의 가이드를 사이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끼우는 순서는 위에 3번째 구멍밑에 1번째 구멍이 되게 왼쪽의 끼워 맞쳐 나가면서 교정한다.
세번째 강선가이드는 가이드를 왼쪽끝 아래에서 이중롤러삼각철구(19')까지 설치하고, 4번째 강성가이드는 가이드틀 오른쪽 상단에서 파이프롤러(26)까지 설치하고, 5번째 강선가이드는 2개의 평형기어베어링롤러(16, 16') 사이에 흐르는 부러쉬벨트(2, 3)가 기어에 집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고, 6번째 강선가이드는 평형기어베어링롤러(16')에 부러쉬벨트(2, 3)의 흐름을 위하여 설치한다. 브러쉬벨트가이드판은 다른 삼각철구(19')에 고정축 상단에 부착 고정하여 부러쉬(21)의 흐름을 유지하고, 써보트롤러틀(28)은 한 롤러삼각철구(19)의 상단에 레일틀판(1)과 고정베어링틀(24)사이에 ㄱ자로 설치고정하여 레일틀판(1)에서 감아도는 부러쉬벨트(2, 3)들을 받쳐주는 역할로 브러쉬(21, 21')들끼리 닫지않고 잘 흐를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상기 써보트롤러틀(28')도 같은 방법으로 다른 삼각철구(19')의 상단위치에 레일틀판(1)과 고정베어링틀(24)에 설치고정한다.
제 2 도에 도시된 레일틀판(1)의 좌우측에는 2개의 제 1 체인기어(50, 50'), 제 2 체인기어(51, 51'), 제 3 체인기어(52, 52'), 제 4 체인기어(53), 제 5 체인기어(54, 54'), 부라켓트, 체인(20), 감속모터(13)등을 조립한다. 먼저 상기 감속모터(13)를 고정베어링틀(24)에 볼트너트로 고정하여 감속기축에 제 1 체인(50)을 결합하여 스넵핀을 끼워 고정하고, 제 2 체인기어(51, 51')는 고정베어링틀(24)에 끼워있는 회전봉(10, 10')에 1개씩 끼워 스넵핀을 끼우고, 제 3 체인기어(52, 52')는 제 2 체인기어(51)의 양쪽으로 설치하여 체인(20)을 제 1 체인기어(50)의 상단에서 왼쪽으로 제 3 체인기어(52)의 상단→제 2 체인기어(51)의 하단→제 3 체인기어(51')의 상단→다른 제 2 체인기어(51')의 상단으로 뉴턴하여 부라켓트로 하여 제 1 체인기어(50)의 하단에 있는 체인(20)과 체인을 조인트로 체인(20)을 연결하고 부라켓트로 장력을 주고 비스볼트로 고정한다.
반대쪽 고정베어링틀면(24')은 제 1 체인기어(50')를 회전봉(10')에 결합하고 스넵핀을 끼운다. 제 4 체인기어(53)는 앵글샤우드육각봉에 결합하여 스넵핀을 끼우고 바로옆 하단에 제 5 체인기어(54')와 부라켓트를 설치하여 체인(20)를 제 1 체인기어(50')-, 제 4 체인기어(53)에 걸어 체인(20) 양쪽 끝에 조인트 연결하고, 제 5 체인기어(54'), 부라켓트를 설치하여 체인(20)의 장력을 주고 비스볼트로 고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창자동세척장치는 조립된 회전샤프트부(4, 5)의 회전봉(10, 10')에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를 레일틀날(7)사이에 부러쉬벨트(2, 3)가 잘 감길 수 있고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를 교정하고 상기 고정롤러(8)를 육각랜치로 조여 고정한다. 상기 부러쉬벨트(2, 3)를 감는 순서는 먼저 고정받침틀(11, 11')면을 상으로 세워 지지하고, 감속모터(13), 도시되지 않는 전원 플러그, 콘덴서, 토글스위치, 버튼스위치들을 결선하여 모터기동 및 정역전 실험을 하여 부러쉬벨트(2)를 밑면 오른쪽 첫번째 레일틀판(1)의 홈에 있는 롤러 홈을 타고 레일틀을 따라 상부를 롤러홈으로 나와 기계밑면 중앙에 롤러삼각철구(19) 밑에 롤러와 파이프롤러(16) 밑으로 끼워나와 부러쉬벨트 받침판(27)의 밑으로하여 베어링롤러축(16)밑에 롤러홈을 끼우고 돌아 롤러삼각철구(19') 밑에 롤러를 돌아 다시 레일틀판(1)의 왼쪽아래 레일틀날(7) 끝 홈에 있는 롤러를 통하여 레일홈 타고 올라가 위에 홈 롤러를 통하여 나와 밑에 3번째 틀홈 롤러에 끼워 올려 위롤러를 타고 나와 다시 밑에 틀날홈 5번째 롤러 밑에 밀어끼워 위 5번째 롤러를 타고 나와 다시 밑에 7번째로 끼우는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감아준다. 상기 부러쉬벨트(2)의 장력은 위치에서 예컨대 100m/m를 당겨 무게 1kg으로 유지하고 부러쉬벨트(2) 끝 맞닫는 부분을 절단하여 양쪽끝을 녹여 연결하여 연결부위에 녹아 부푼 것을 칼로 벨트모양과 같게 오려낸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레일틀날(7)의 오른쪽 밑에 2번째홈 롤러에 다른 부러쉬벨트(3)를 밀어끼워 동일 방법으로 롤러삼각철구(19)→파이프롤러(26)→부러쉬벨트 받침판(27) 밑으로→베어링롤러(16')→롤러삼각철구(19)를 돌아 왼쪽밑에 2번째 틀날홈에 롤러부터 시작하여 부러쉬벨트(2)를 감는 것과 같이 감아 장력 1kg으로 유지하여 부러쉬(21') 끝을 절단하고 양쪽끝을 녹여 연결하고 부푼 부위를 벨트모양과 같게 칼로 오려낸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기계레일부러쉬틀을 상면으로 하여 레일틀몰딩태를 기계 표면에 부착한다.
제 3 도는 매입상자 및 배수통내에 설치되어지는 본 고안의 신발창자동세척장치 밑에 부러쉬세척탈수와 오물제거기가 설치된 것으로, 오물제거기틀(34)내에 장착되는 부러쉬세척특(32)는 탈수봉(31)과 스폰지(39)가 결합된 본 고안의 신발창자동세척장치 밑면에서 부러쉬벨트(2, 3)의 부러쉬(21, 21')와 마찰이 되도록 설치하여 세척틀(32)의 볼트고정구와 고정받침틀(11, 11')면에 비스볼트로 고정하고, 세척액 받침물통(14)를 세척액통 넣는 곳에 설치하고, 물주입구 붓싱과 파이프연결배관을 하여 솔레노이드벨브와 수분감지기를 설치하여 코드선과 다른 코드선을 감속모터(13)까지 배선하고 물받이통에 세척액통을 넣어준다.
상기 부러쉬세척틀(32)를 설치하여 레일틀판(1)에 부러쉬벨트(2, 3)가 동작하여 신발창에서 털려지는 먼지 오물 흙등을 탈수봉(31)이 털어주고 세척틀(32)에 스폰지 세척액(39)으로 부러쉬세척이 되고, 다시 탈수봉(31)의 부러쉬(21, 21')에 배어있는 수분을 털어주는 연속동작으로 부러쉬 세척을 한다. 솔레노이드밸브는 수분감지기가 수분을 감지하여 수분이 없으면 솔레노이드밸브가 동작하여 세척액을 스폰지(39)에 공급하고, 수분이 많으면 솔레노이드밸브가 닫쳐 세척공급을 줄이는 방법으로 부러쉬(21, 21')에 수분을 주어 신발의 밑바닥에 먼지, 오물, 흙등을 잘 닦아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룰제거기틀(34)은 레일틀판(1)에 부러쉬벨트(2, 3)의 부러쉬(21, 21')가 동작을 하여 신발창에 오물, 먼지, 흙등을 청소하여 내부의 탈수봉(31)에 부딪쳐 털어지는 것을 내부의 평벨트가 받아 회전하여 내부의 스쿠루 전달장치(35)에 옮겨진 오물은 수쿠루 전달장치가 회전하여 오물받침통(15)안 오물통에 오물이 쌓이게 된다.
또 오물제거기틀(34)은 본 고안의 신발창자동세척장치의 외형틀과 같이 조립된 것에 제 1 롤러 샤우드고정틀을 먼저 스프링 3개를 끼우고 제 2 롤러 샤우드고정틀을 제 1 롤러 샤우드고정틀과 결합하여 제 2 고정틀이 제 1 고정틀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한다. 제 1 롤러 샤우드고정봉과 2개의 롤러를 제 1 고정틀쪽에 조립을 하고 스넵링을 끼우고 롤러에 볼트로 고정한다. 동일 방법으로 샤우드봉과 롤러를 샤우드봉쪽에 조립하여 스넵링을 끼운다. 조립된 고정틀판(1)에 벨트핀을 씌워서 오물제거기틀(34)에 맞쳐 조립하고, 내부의 수쿠루 전달장치(35)를 롤러샤우드봉쪽에 결합하여 오물제거기틀(34)를 조립하여 비스볼트로 고정한다. 오물제거기틀(34)의 외형이 조립된 것을 본 고안의 신발창자동세척장치의 외형밑에 부착하여 비스볼트로 고정하고, 오물제거기틀(34)에 회전동력을 주기 위하여 샤우드봉축에 평기어를 고정하고, 오물 스쿠루전달장치(35)축에 평형기어와 원형벨트롤러를 고정하고, 앵글기어(58)를 오물수쿠루전달장치(35)축에 설치된 원형롤러(57) 위에 받침틀면에 앵글기어(58)와 맞쳐 고정하고, 다른 앵글기어(58')는 앵글기어(58)에 맞쳐 체인(20)쪽으로 고정하고 체인(20)을 풀어 체인(20)을 연장하여 앵글기어(58)에 체인기어에 감아 체인을 연결하고, 원형벨트롤러(57)와 앵글기어(58)에 원형벨트를 걸어주면 오물제거기틀(34)에 동력전달장치가 완료된다.
한편, 매입상자인 외형박스(60)은 상기와 같이 제작된 것을 매입하기 전에 외형박스(60)를 기계 설치할 곳에 미리 매설하여 배수구와 하수도에 배관을 하여 기계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구를 설치한다. 전기설치는 건물내 분전반에서 외형박스(60)까지 전선과 내경 예컨대 22m/m이상으로 배관을 하여 관내에 전선을 입선하고, 공간감지기 배관배선은 출입문 상단에 출입자를 감지할 수 있는 곳에서부터 외형박스(60)까지 배관선을 한다.
상기 외형박스(60)은 평면중앙에 배수구가 설치되어 물 흐름을 배수구로 향하게 하고 박스평면 구석 감속모터(13) 자리에 전원선 파이프구와 감지기 전원 및 회로선 파이프구이다. 외형박스(60) 둘레에 철판을 수평으로 둘러 용접하여 박수틀턱을 보강한다. 외형박스(60) 밑면에 8개의 볼트가 설치되어 외형박스배수구배관을 할 수 없는 곳에 배수통(61)을 외형박스밑면 배수구와 배수통구(61)에 맞쳐 8개 볼트로 고정하고, 배수통(61)에 설치된 파이프를 세척액 받침틀통 구성에 올려 고정하여 사용중 세척액을 보충할 때 호스를 준비하여 배수통 파이프에 밀어끼워 점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신축 및 기존건물의 현관에 간편히 매입설치가능하고 출입시의 신발창에 의해 들어오는 각종 오물을 억제하고 실내공기를 맑게함으로 청소인력을 줄이고 청결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레일틀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이동되고 매트형으로 형성되는 일정길이로 이어지는 2개의 부러쉬벨트를 설치하여 양쪽의 회전샤프트부 작동에 따라 예컨대 구두 및 각 신발의 밑바닥에 붙은 흙먼지 오물 또는 압착된 눈등을 상기 부러쉬벨트의 매트상에서 자동으로 잘 세척해주는 신발창 자동세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신축 및 기존건물의 현관에 배수통(61)이 부착되는 외형박스(60)가 매입 설치되고, 오물제거기틀(34)내에 스쿠루 전달장치(35), 탈수봉(31)과 스폰지(39)가 결합된 부러쉬 세척틀(32)이 설치되며, 레일틀판(1)의 윗면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일정길이 2개의 부러쉬벨트(2, 3)를 매트형으로 설치하고 양측의 회전샤프트부(4, 5)로 작동시켜 상기 부러쉬벨트(2, 3)의 부러쉬(21, 21')가 엇갈려 이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형 신발창자동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사프트부(4, 5)는 회전봉(10, 10')에 번갈아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를 베어링고정철구(22) 사이에 조립하여 양쪽으로 설치되고 선두에 고정롤러(8)와 베어링롤러(9)가 나오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형 신발창자동세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틀판(1)이 조립되어 있는 곳에 한 평형기어(16, 16')의 2개 베어링롤러축, 다른 평형기어(17)의 베어링축, 또 다른 평형기어(18)의 이중베어링롤러삼각철구축(19, 19'), 이중파이프롤러(26), 2개의 부러쉬받침판(27) 및 앵글샤우드척(28)으로 레일틀판(1)의 밑면을 상면으로 하여 상기 이중베어링롤러삼각철구축(19, 19')을 레일틀판(1)의 양쪽공간에 부착하여 2개의 고정베어링틀(24, 24')과 비스볼트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형 신발창자동세척장치.
KR2019960005588U 1994-03-05 1996-03-22 매트형 신발창 자동세척장치 KR960005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588U KR960005656Y1 (ko) 1994-03-05 1996-03-22 매트형 신발창 자동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317A KR950026482A (ko) 1994-03-05 1994-03-05 매트형 신발창 자동세척장치
KR2019960005588U KR960005656Y1 (ko) 1994-03-05 1996-03-22 매트형 신발창 자동세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4317U Division KR200147429Y1 (ko) 1994-03-07 1994-03-07 전자렌지의후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656Y1 true KR960005656Y1 (ko) 1996-07-11

Family

ID=194523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317A KR950026482A (ko) 1994-03-05 1994-03-05 매트형 신발창 자동세척장치
KR2019960005588U KR960005656Y1 (ko) 1994-03-05 1996-03-22 매트형 신발창 자동세척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317A KR950026482A (ko) 1994-03-05 1994-03-05 매트형 신발창 자동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500264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884B1 (ko) * 2013-07-15 2013-09-30 허춘구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34Y1 (ko) * 2009-04-08 2009-10-05 대한민국 취사장 입구용 수세식 세척장치
KR200452828Y1 (ko) * 2009-06-11 2011-03-25 김대수 자동 신발 세척·살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884B1 (ko) * 2013-07-15 2013-09-30 허춘구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482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7688A (en) Shoe cleaning device
CN104826824B (zh) 布辊式塑料大棚棚顶清洗装置
DE1972076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Schuhen sowie Rädern und Rollen aller Art
CN108245119B (zh) 一种鞋底清洗机
KR960005656Y1 (ko) 매트형 신발창 자동세척장치
CN201316254Y (zh) 踏板式鞋底清洁装置
CN2132482Y (zh) 电动鞋底洗刷机
CN110080546B (zh) 适用于较大清洗宽度的刷盘式洗墙机
KR101312884B1 (ko)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
CN208973785U (zh) 具有喷洒消毒的安全型鞋底清洗机
CN111418411A (zh) 一种智慧农业大棚灌溉系统
KR200246157Y1 (ko) 구근류 농산물의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KR200274939Y1 (ko) 신발 털이 장치
CN108567397A (zh) 多用鞋底清洁器
KR19980064920A (ko) 건물외벽 청소기
CN2252600Y (zh) 一种全自动刷型净鞋机
CN207341721U (zh) 一种体育用室内场地清洗装置
CN207236756U (zh) 鞋底清洁装置及净鞋设备
CN108903892B (zh) 一种具有独立消毒单元的超薄型鞋底清洁机
CN2276327Y (zh) 鞋底清洁器
CN217998646U (zh) 一种大棚集水槽清理工具
CN112868571A (zh) 一种鸭蛋清洗机
CN220000328U (zh) 一种自清洁猪圈
CN217353251U (zh) 一种温室大棚自动除雪装置
CN219803310U (zh) 一种间距可调的多辊水果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