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347Y1 - 공기관을 이용한 충격흡수식 안전모 - Google Patents

공기관을 이용한 충격흡수식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347Y1
KR960005347Y1 KR2019940026965U KR19940026965U KR960005347Y1 KR 960005347 Y1 KR960005347 Y1 KR 960005347Y1 KR 2019940026965 U KR2019940026965 U KR 2019940026965U KR 19940026965 U KR19940026965 U KR 19940026965U KR 960005347 Y1 KR960005347 Y1 KR 960005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arc
cross
hard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103U (ko
Inventor
최원철
Original Assignee
최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철 filed Critical 최원철
Priority to KR2019940026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347Y1/ko
Publication of KR9600131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1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3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1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 A42B3/122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inflatabl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공기관을 이용한 충격흡수식 안전모
제1도는 본 고안이 안전모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저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전모 101 : 돌출부
2 : 원호형교차공기관 3 : 테두리공기관
4 : 에어펌프 401, 402 : 공기배출변
5, 5a : 연결관 6, 6a : 조립단추
7 : 접착제 8 : 돌턱
본 고안은 공기관을 이용한 충격흡수식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에어펌프(4)를 이용하여 원호형교차공기관(2)과 테두리공기관(3)에 탄력있게 공기를 주입하면 통상의 안전모의 내피역할을 하면서 사방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양호하게 흡수하여 줌으로서 종래의 안전모보다 충격에 안전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리단추(6)(6a)를 이용하여 안전모(1)와 본 고안의 분리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는 등의 여러 장점을 갖는다.
종래의 안전모는 그 내피를 노끈이나 가죽, 비닐등을 엮어서 리벳으로 고정시키되 그것들과 안전모의 내면사이에 약간의 이격이 생기도록 하여서 외부의 충격을 흡수토록 되어 있는데 내피의 형상이 끈타입으로서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오래 쓰고 있으면 두부의 피부에 배겨서 통증이 유발되며 머릿결이 쉽게 헝클어지는 등의 사용상 단점이 있고 바로 위에서부터 가해지는 수직충격에는 어느정도 안전성이 있으나 측방이나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는 취약한 문제가 있다.
즉, 끈이나 가죽이 거치되어 있는 내피는 유동되기 쉬워서 충격이 가해지면 안전모의 내면이 두부를 감싸고 있는 끈이나 가죽에 직접 닿아서 충격이 거의 그대로 두부에 전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다지 큰 충격이 아니면 안전모자체의 재질이 강하기 때문에 두부에 손상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다소 큰 충격이 가해지면 두부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오는 폐단이 잠재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수직충격은 물론이고 사방으로부터의 충격에도 안전하며 여러가지 이로운 효과를 가지는 안전모를 제공키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한다.
그물형태를 가지면서 반원형태로 된 원호형교차공기관(2)의 하단 외측으로 각각 조립단추(6)를 부착한 다음 그 내측으로는 접착제(7)로 접착되도록 테두리공기관(3)을 부착하고 원호형교차공기관(2)의 하방과 테두리공기관(3)에 각기 연결된 연결관(5)(5a)을 공기배출변(401)(402)이 있는 에어펌프(4)에 연결한 다음 안전모(1) 내측의 돌턱(8)에 부착된 조립단추(6a)와 원호형교차공기관(2)의 조립단추(6)를 조립하고 에어펌프(4)의 바닥면을 안전모(1)의 돌출부(101) 저면에 부착시켜서 에어펌프(4)를 눌러 공기를 원호형교차공기관(2)과 테두리공기관(3) 내부로 주입시키고 공기배출변(401)(402)을 통해 주입되었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본 고안은 에어펌프(4)를 이용하여 원호형교차공기관(2)과 테두리공기관(3)에 공기를 주입하면 훌륭한 내피가 되어 착용에 지장이 없으며 탄력이 좋아 착용감이 좋고 장시간 착용하여도 두부에 통증을 느끼거나 머릿결이 헝클어지는 단점이 없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방 어느곳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안전모(1)가 쏠리지 않아 두부에 안전모의 내면이 직접 닿지 않으므로 안전성이 월등하다.
공기배출변(401)(402)은 원호형교차공기관(2)과 테두리공기관(3) 내부의 공기를 따로 배출시킬 수 있어 상황에 따라 공기압을 다르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융통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조립단추(6)(6a)를 간단히 탈리시키면 본 고안이 안전모 내부로부터 빠져 나와 청소하기가 용이한 잇점이 있다.
그리고 머리의 크기에 따라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어 따로이 내피의 직경을 조절해야 하는 종래 안전모의 단점을 해결하면서 전체 무게가 가벼워지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원호형교차공기관(2)과 테두리공기관(3)의 내측면에 부직포를 부착하거나 그 자체에 돌기를 형성하여 착용감을 더욱 부드럽게 하고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며 원호형교차공기관(2)의 갈래수를 증가시켜 간격이 조밀한 그물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고 에어펌프(4)를 분리시켜 휴대하거나 공동으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원호형교차공기관(2)과 테두리공기관(3)에 체크밸브식 공기주입변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아예 에어펌프(4)를 부착치 않고 원호형교차공기관(2)과 테두리공기관(3)을 관통부착시켜서 공기압이 고정주입된 형태등으로도 응용할 수 있는데 이들 변형기술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하는 것임을 자명한 것이다.
본 고안은 더욱 안전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위생적이고 가벼운 등의 여러가지 실용적 효과를 갖는 안전모로서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나아가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를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그물형태를 가지면서 반원형태로 된 원호형교차공기관(2)의 하단 외측으로 각각 조립단추(6)를 부착한 다음 그 내측으로 접착제(7)로 접착되도록 테두리공기관(3)을 부착하고 원호형교차공기관(2)의 하방과 테두리공기관(3)에 각기 연결된 연결관(5)(5a)을 공기배출변(401)(402)이 있는 에어펌프(4)에 연결한 다음 안전모(1) 내측의 돌턱(8)에 부착된 조립단추(6a)와 원호형교차공기관(2)의 조립단추(6)를 조립하고 에어펌프(4)의 바닥면을 안전모(1)의 돌출부(101) 저면에 부착시켜서 에어펌프(4)를 눌러 공기를 원호형교차공기관(2)과 테두리공기관(3) 내부로 주입시키고 공기배출변(401)(402)을 통해 주입되었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공기관을 이용한 충격흡수식 안전모.
KR2019940026965U 1994-10-12 1994-10-12 공기관을 이용한 충격흡수식 안전모 KR960005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965U KR960005347Y1 (ko) 1994-10-12 1994-10-12 공기관을 이용한 충격흡수식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965U KR960005347Y1 (ko) 1994-10-12 1994-10-12 공기관을 이용한 충격흡수식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103U KR960013103U (ko) 1996-05-17
KR960005347Y1 true KR960005347Y1 (ko) 1996-06-28

Family

ID=1939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965U KR960005347Y1 (ko) 1994-10-12 1994-10-12 공기관을 이용한 충격흡수식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3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067B1 (ko) * 2016-01-29 2016-10-27 탄탄안전 주식회사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168B1 (ko) * 2011-11-04 2013-03-25 주식회사 오토스윙 에어쿠션패드가 장착된 헤드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067B1 (ko) * 2016-01-29 2016-10-27 탄탄안전 주식회사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103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168B1 (ko) 에어쿠션패드가 장착된 헤드밴드
JP2853850B2 (ja) ヘルメットの内装体用パッド及びその内装体
JP6715846B2 (ja) スポーツ用、特にスキーをするときに使用する保護ヘルメット
JP5878202B2 (ja) 産業用安全帽
JPH026606A (ja)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KR20050045804A (ko) 3차원 구조 마스크
KR200327892Y1 (ko) 방탄 헬멧용 내피
KR101609043B1 (ko) 조립식 모자
KR960005347Y1 (ko) 공기관을 이용한 충격흡수식 안전모
KR960005346Y1 (ko) 공기튜브를 이용한 충격흡수식 안전모
KR100406219B1 (ko) 헬멧
KR20150128363A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헬멧
KR200441737Y1 (ko) 안전모의 착장체
KR200477060Y1 (ko) 안전모자
KR100424200B1 (ko) 유아용 머리 보호대
CN206576371U (zh) 一种加强下颌保护强度的越野摩托车头盔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KR200245249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고리
CN217170025U (zh) 一种泡棉转动缓冲结构及其安全帽
KR200282667Y1 (ko) 안전모의 내피 완충패드
KR101417584B1 (ko) 통풍과 충격 흡수가 가능한 안전모
KR200493012Y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헬멧
CN216983798U (zh) 一种具有减震效果的安全帽
CN218589537U (zh) 一种工业面罩便摘取及复位的易扣机构
KR200272408Y1 (ko) 안전모용 헤어밴드와 라이너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