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224Y1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224Y1
KR960005224Y1 KR2019940019517U KR19940019517U KR960005224Y1 KR 960005224 Y1 KR960005224 Y1 KR 960005224Y1 KR 2019940019517 U KR2019940019517 U KR 2019940019517U KR 19940019517 U KR19940019517 U KR 19940019517U KR 960005224 Y1 KR960005224 Y1 KR 960005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ever
actuator
doo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312U (ko
Inventor
김창학
Original Assignee
김창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학 filed Critical 김창학
Priority to KR2019940019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224Y1/ko
Publication of KR9600083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3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45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with combination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31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외부 하우징의 배면도.
제4도는 내부하우징의 장치도.
제5도는 설치상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턴조작부 11 : 보턴
20 : 수동조작부 21 : 단속편
30 : 키이조작부 31 : 키이홀더
32 : 레버 40 : 연동부
41 : 승강체 42 : 탄지편
본 고안은 비밀번호에 의한 버턴식과, 해당키이를 동시에 만족할 때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어의 잠금장치로는 보턴식과 키이식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보턴식은 해당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키이의 분실 염려없이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비밀번호가 누출되거나 또는 그 번호를 찾기 위한 반복되는 작업 등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위험이 뒤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또, 키이를 이용한 잠금장치는 해당 키이를 소지해야만 잠금이 해제될 수 있어 번호의 누출등에 의해 쉽게 도어를 해제시킬 수 없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절도 전문가의 경우에 있어서는 해당 키이 없이도 여러 도구를 이용해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어 이 또한 도난의 염려가 많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비밀번호와 해당 키이를 동시에 만족해야 도어를 해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함을 줄 수 있도록 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비밀번호에 의한 보턴식과 키이에 의한 잠금효과중 어느 하나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외부하우징(13)의 전면으로 배치되는 보턴(11)들의 조작으로 그 해당번호와 순서가 일치될 때 작동체(12)의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보턴조작부(10)와; 이 외부하우징(13) 외측으로 노출된 핸들(21)의 회동으로 작동체(12)에 회동 단속되는 단속편(22)으로 부터 연결편(23)이 연장되어, 내측하우징(29)에 힌지 결합된 회동체(24)를 회전시켜 괘정간(1)의 상부측 요홈(2)에 위치되는 작동편(25)의 위치 전환으로 물틀(4)로 괘정간(1)이 결합 및 분리토록 수동으로 위치를 조작토록 하는 수동조작부(20)와; 상기 외부하우징(13)에 노출되는 키이홀더(31)에 해당 키이(K)를 끼워 회동하는 것에 의해 그 단부에 형성된 레버(32)가 키이(K) 회동으로 함께 회전토록 하는 키이조작부(30)와; 이 키이조작부(30)의 레버(32) 회동위치로 상기 보턴조작부(10)로부터 작동체(12)와 횡바(46)로 연결된 승강체(41)를 설치하여, 이 승강체(41)에 핀(44)으로 힌지 설치되며 걸림홈(43)이 레버(32)의 걸림위치로 파여지고, 코일스프링(45)으로 탄지편(42)을 탄력 설치하여 상기 보턴조작부(10)와 키이조작부(30)의 조작에 의해 연동되게 괘정간(1)의 잠금 및 해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동부(40)가 구비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보턴조작부(10)는 도어(5)의 실외측에서 보턴(11)들을 해당 번호와 순서에 맞추어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작동체(12)의 승강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괘정간(1)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턴에 의한 잠금 조작부이다.
이 보턴(11)들은 외부하우징(13)의 외측으로 표면에 번호들이 표식된 상태로 배열되는데, 도면에서는 예로서 1-8까지 8개가 배열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보턴(11)들을 실외측에서 해당 비밀번호에 맞추어 조작하게 되면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외부하우징(13)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작동체(12)의 승강이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체(12)의 승강이 자유롭도록 보턴조작부(10)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은, 이 작동체(12)와 승강체(41)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한 연결부위에 위치된 단속편(22)가 핸들(21)의 조작으로 회동될때 이 작동체(12)가 승강 가능한 것에 의해, 작동체(12)와 승강체(41)를 연결하고 있는 횡바(46)에 맞닿게 위치된 단속편(22)이 횡바(46) 및 작동체(12)를 들어 올리면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단속편(22)으로부터 연결핀(23)으로 연결되어 내측하우징(29)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 회동체(24)가 작동편(25)과 회전되며, 괘정간(1)의 요홈(2)에 위치된 상태에서 해제방향으로 이동되어 문틀(4)에 결합된 괘정간(1)이 분리되며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보턴조작부(10)의 조작으로 작동체(12)의 홀딩작용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수동조작부(20)의 핸들(21) 회동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문틀(4)에 잠겨진 괘정간(1)을 인위적으로 이동시키며 도어 개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키이조작부(30)의 위치에서 해당 키이(K)의 조작으로 키이홀더(31)와 그 단부에 위치되는 레버(32)를 해제위치로 조작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보턴조작부(10)에 의한 해제조작으로는 도어(5)를 개방시킬 수 없다.
즉, 상기 보턴조작부(10)에 의해 작동체(12)의 상강은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키이조작부(30)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32)가 탄지편(42)의 걸림홈(43)에 걸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작동체(12)로부터 연결되는 승강체(41)를 강제적으로 승강시킬 때 레버(32)에 걸려져 승강체(41)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턴조작부(10)의 비밀번호만을 아는 타인등은 도어를 개방시킬 수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키이조작부(30)에 해당 키이(K)를 넣어 회전시킬때 키이홀더(31)의 단부에 위치된 레버(32)가 제3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수직한 상태로 위치 전환되는 것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면, 위보턴조작부(10)와 동시에 해제되는 결과로 상기 연동부(40)가 동작되어, 작동체(12)와 횡바(46)로 연결된 승강체(41)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21)의 회동에 의한 단속편(22)의 회전에 아무런 걸림이 없게 되므로 괘정간(1)을 문틀(4)로부터 분리시켜 도어(5)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32)가 키이홀더(31)에 의해 함께 회전될 때는 코일스프링(45)으로 탄력 설치되며, 핀(44)으로 승강체(41)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탄지편(42)이 제3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퇴되며 레버(32)의 수직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또, 다시 도어의 잠금을 위하여 레버(32)를 수평하게 위치시킬 경우에는 탄지편(42)이 후퇴되며 레버(32)가 걸림홈(43)에 결합되도록 하여, 승강체(41)가 승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횡바(46)에는 탄력스프링(47)을 설치하여 승강체(41) 및 작동체(12)에 승강하려는 힘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항상 하부를 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 레버(32)에 상기 수동조작부(20)의 구성과 같이 핸들(21)의 조작으로 괘정간(1)을 수동 회동시키기 위한 연결막대(33)와 회전체(34)를 키이홀더(31)의 위치로 내측하우징(29) 하부에 설치하고, 이 회전체(34)에 작동막대(35)를 요홈부(3)에 위치시켜 상기 보턴조작부(10)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키이조작부(30)를 조작할 때 키이홀더(31)가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괘정간(1)을 문틀(4)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내측하우징(29)에는 로크레버(50)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 로크레버(50)를 실내에서 하강시킨 상태에서는 문틀(4)로 결합되어진 괘정간(1)이 후퇴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턴조작부(10) 및 키이조작부(30)를 동시에 각각 외부에서 해제시킨다 하더라도 외부에서는 도어(5)를 개방시킬 수 없도록 안전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턴조작부(10)와 키이조작부(30)들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에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어 그 안전도가 매우 높다.
그리고 이 보턴조작부(10) 및 키이조작부(30)중에서 어느 하나는 항상 해제시킨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조작부만을 이용하여 종래와 같이 잠금 및 해제토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그 선택의 경우를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어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외부하우징(13)의 전면으로 배치되는 보턴(11)들의 조작으로 그 해당번호와 순서가 일치될 때 작동체(12)의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보턴조작부(10)와; 이 외부하우징(13) 외측으로 노출된 핸들(21)의 회동으로 작동체(12)에 회동 단속되는 단속편(22)으로 부터 연결편(23)이 연장되어, 내측하우징(29)에 힌지 결합된 회동체(24)를 회전시켜 괘정간(1)의 상부측 요홈(2)에 위치되는 작동편(25)의 위치 전환으로 물틀(4)로 괘정간(1)이 결합 및 분리토록 수동으로 위치를 조작토록 하는 수동조작부(20)와; 상기 외부하우징(13)에 노출되는 키이홀더(31)에 해당 키이(K)를 끼워 회동하는 것에 의해 그 단부에 형성된 레버(32)가 키이(K) 회동으로 함께 회전토록 하는 키이조작부(30)와; 이 키이조작부(30)의 레버(32) 회동위치로 상기 보턴조작부(10)로부터 작동체(12)와 횡바(46)로 연결된 승강체(41)를 설치하여, 이 승강체(41)에 핀(44)으로 힌지 설치되며 걸림홈(43)이 레버(32)의 걸림위치로 파여지고, 코일스프링(45)으로 탄지편(42)을 탄력 설치하여 상기 보턴조작부(10)와 키이조작부(30)의 조작에 의해 연동되게 괘정간(1)의 잠금 및 해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동부(40)가 구비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41)와 작동체(12)를 연결하는 횡바(46)에는 탄력스프링(47)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조작부(30)의 레버(32)에는 연결막대(33)로 회전체(34)를 내측하우징(29)에 설치하고, 이 회전체(34)에 작동막대(35)를 요홈부(3)에 위치시켜 키이홀더(31)가 회전될때 괘정간(1)을 문틀(4)로부터 분리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하우징(29)에는 괘정간(1)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로크레버(5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2019940019517U 1994-08-01 1994-08-01 도어 잠금장치 KR960005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517U KR960005224Y1 (ko) 1994-08-01 1994-08-01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517U KR960005224Y1 (ko) 1994-08-01 1994-08-01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312U KR960008312U (ko) 1996-03-15
KR960005224Y1 true KR960005224Y1 (ko) 1996-06-24

Family

ID=1938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517U KR960005224Y1 (ko) 1994-08-01 1994-08-01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2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7787B (zh) * 2020-07-25 2021-09-14 温州市奥得锁业有限公司 一种钥匙密码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312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0215B2 (en) Tilt latch mechanism for hung windows
US4583382A (en) Reversible latch assembly with integrated function
US6126212A (en) Anti-panic vehicle door latch device
KR910006592A (ko) 미닫이문의 이중래치 및 자물쇠
KR960005224Y1 (ko) 도어 잠금장치
KR102031721B1 (ko)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JP4654222B2 (ja)
JP4462625B2 (ja) 両開きドア
KR100361338B1 (ko) 모티스 록킹장치
US20030030289A1 (en) Lock link mechanism
KR100278848B1 (ko) 도어록장치
US6283513B1 (en) Locking device for a two-door unit of swinging type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200180200Y1 (ko) 도어록용 래치작동장치
KR102183383B1 (ko)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950001116Y1 (ko) 도어용 잠금장치
JP3936028B2 (ja) 引戸錠
KR200495519Y1 (ko) 디지털 도어락
KR960000122Y1 (ko) 금고문의 비상 조치 장치
US3234764A (en) Thumbpiece actuated lock mechanism
KR200208015Y1 (ko) 현관문에 부설되는 보조키겸용 자동개폐기
JP2000054703A5 (ko)
GB2268970A (en) Casing and fastening in particular for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with a closure door
JPH0452391Y2 (ko)
KR0178503B1 (ko)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