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169Y1 - 이중조작 버튼구조 - Google Patents
이중조작 버튼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5169Y1 KR960005169Y1 KR2019930022228U KR930022228U KR960005169Y1 KR 960005169 Y1 KR960005169 Y1 KR 960005169Y1 KR 2019930022228 U KR2019930022228 U KR 2019930022228U KR 930022228 U KR930022228 U KR 930022228U KR 960005169 Y1 KR960005169 Y1 KR 9600051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ration button
- cover
- outer cover
- microcomputer
- phototransis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1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controlled member by movement of the controlling member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도.
제2도는 발광다이오드(LED)의 점등에 따라 구동하는 포토트랜지스터(PT)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타임챠트.
제3도는 각기 다른 기능의 키 매트릭스가 형성된 이중덮개로 구성되어진 리모콘의 구성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제4도는 제3도의 이중덮개에 구성되어진 조작버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반사경 10 : 마이콤
20 : 키 매트릭스 30 : 리모콘
40 : 조작버튼 45 : 조작버튼
50 : 외측덮개 55 : 내측덮개
60 : PCB 기판 65 : 접점
70 : 접점 PC : 포토카플러
LED : 발광다이오드 PT : 포토프랜지스터
R1~R2: 저항
본 고안은 키 매트릭스가 구성되어진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버튼을 이중덮개에 각각 설치하고 조작버튼 입력을 포토카플러 구동상태에 따라 달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이중조작 버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은 전자제품 자체에 구성되어진 키 매트릭스를 조작하여 전자 제품의 동작상태를 선택하거나 전자제품과는 별도로 구성되어진 리모콘(전자제품 자체에는 리모콘에서 송출하는 송출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져 있어 상기 리모콘에서 송출한 송출신호를 수신하여 마이콤에 입력시키게 된다)을 이용하여 전자제품의 동작상태를 선택하였었다.
이같은 전자제품 자체에 구성되어진 키 매트릭스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전자제품의동작을 선택하는데 전자제품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조작버튼의 수가 증가하여 리모콘 상에서 키 매트릭스를 구성하기 위한 공간에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즉 전자제품의 기능이 다양, 복잡해짐에 따라 이같은 기능을 선택하는 조작버튼의 수는 증가하게 되나 전자 제품에 조작 버튼이 구성되어지는 공간이나 리모콘에 조작버튼이 구성되어지는 공간이 증가하여 전자제품이나 리모콘 상에서 조작버튼이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전자제품에 다수의 조작버튼을 구성시켜 미관상 수려하지 못함은 물론이고 원격조정을 위해 구성되어진 리모콘의 부피가 커져 본래 기능에 비해 리모콘 자체를 하나의 제품과 같이 다루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중으로 형성된 덮개마다 각기 다른 동작상태를 선택하는 조작버튼을 구성시켜 각 덮개에 구성된 각기 다른 버튼을 동작시킬 때마다 다른 기능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조작 버튼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각기 다른 동작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버튼이 구성되어진 이중덮개와 상기 이중덮개의 조작버튼 동작상태를 각기 다른 기능 선택값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마이콤에 선택신호를 인가시키는 포토카플러와 상기 포토카플러의 동작상태에 따라 이중덮개에 구성되어진 조작버튼의 기능 선택값을 달리 인식하여 전자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각기 다른 기능을 선택하는 조작버튼(40)(45)이 형성된 내측덮개(55)와 외측덮개(50)를 구성하고 상기 조작버튼(40)(45)의 동작을 포토카플러(PC)의 동작에 따라 다른 기능 선택값으로 인식하는 마이콤(10)으로 구성되어 진 것이다.
여기서 포토카플러(PC)는 내측덮개(55)에 설치되어져 있고 그에 대응되는 외측덮개(50) 일면에는 반사경(5)이 설치되어져 있어 외측덮개(50)가 개폐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온오프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외측덮개(50)와 내측덮개(55)에는 조작버튼(40)(45)을 각각 설치하되 내측덮개(550에 설치된 조작레버(40)은 PCB 기판(60)상의 키 매트릭스(20)의 각 접점(65)(70)을 직접 접속시키고 외측덮개(50)에 설치된 조작버튼(45)은 내측덮개(55)에 설치된 조작버튼(40)과 더불어 구동하여 키 매트릭스(20)의 각 접점(65)(70)을 간접 접속시키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마이콤(10)은 발광다이오드(LED)에서 방출된 빛이 반사경(5)에 반사되어 포토트랜지스터(PT)를 구동시킬 때에는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온되기 때문에 마이콤(10)의 입력단자(P1)에 로우(Low) 레벨이 인가되어 외측덮개(50)와 내측덮개(55)에 설치된 조작버튼(40)(45)중 외측덮개(50)에 설치된 조작버튼(45)의 기능 선택값으로 인식하게 되고, 외측덮개(50)의 반사경(5)이 포토카플러(PC)로부처 분리되어 발광다이오드(LED)에서 방출된 빛이 포토트랜지스터(PT)에 전달되지 않아 저항(R2)를 통한 전원(B+)이 마이콤(10)의 입력단자(P1)에 하이(High) 레벨로 직접 인가될 때에는 외측덮개(50)와 내측덮개(55)에 형성된 조작버튼(40)(45)중 내측덮개(55)에 형성된 조작버튼(40)의 기능 선택값으로 인식하게 된다.
즉 외측덮개(50)와 내측덮개(55)에 형성된 조작버튼(40)(45)에는 각기 다른 기능 선택값을 표기하여 기능을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된 R1은 저항이다.
이같은 구성된 본 고안은 이중덮개(50)(55)중 외측덮개(5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점등되어지기는 하나 외측덮개(50)에 설치된 반사경(5)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에서 송출된 빛을 포토트랜지스터(PT)에 반사시키지 못하여 저항(R2)을 통한 전원(B+)이 마이콤(10)에 하이 레벨로 인가되어 마이콤(10)에서는 이에 따라 조작버튼(40)(45)의 구동을 내측덮개(55)에 형성된 조작버튼(40)의 구동으로 인식하여 마이콤(10)에 연결되어진 전자제품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는 포토카플러(PC)의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포토카플러(PC)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예시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카플러(PC)의 발광다이오드(LED)에 하이레벨의 전압이 입력되고 있는 동안 발광다이오드(LED)에서 발광작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반사경(5)이 포토카플러(PC)에 인접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사경(5)에서 반사되는 빛이 수광부인 포토트랜지스터(PT)로 입력되게 되어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온됨으로써 그 출력단에서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는 달리 발광다이오드(LED)에 하이레벨의 전압이 입력되어도 반사경(5)이 없는 경우 즉 외측덮개(50)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포토트랜지스터(PT)로 빛이 입사되지 않게 되어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오프됨으로써 그 출력단에서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다시 말해서 제2도에 도시된 파형은 반사경(5)이 포토카플러(PC)에 인접해 있을 때 포토카플러(PC)의 입출력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제로 포토트랜지스터(PT)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간(tr)과 하강시간(tf)이란 시간지연을 가지고 턴온 턴오프되므로 저항(R2)을 통하여 포토트랜지스터(PT)의 콜렉터측에 인가되던 전원(B+)이 마이콤(10)이나 접지로 유입하게 된다.
이번에는 이중덮개(50)(55)중 외측덮개(50)가 내측덮개(55)에 접쳐진 상태(반사경(5)이 포토트랜지스터(PT)와 발광다이오드(LED)에 밀착된 상태를 말한다)에는 발광다이오드(LED)에서 송출된 빛이 반사경(5)에 반사되어 포토트랜지스터(PT)에 인가되므로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여 저항(R2)을 통한 전원(B+)이 접지로 흘러 마이콤(10)에 로우 레벨로 유입되므로 마이콤(10)에서는 전자제품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이중덮개(40)(45)의 구동은 제4도에서와 같이 내측덮개(55)에 설치되어진 조작버튼(40)의 구동에 따라 각 접점(65)(70)이 접속되어지는 한편 외측덮개(50)에 설치되어진 조작버튼(45)이 구동되어지면 내측덮개(55)에 설치되어진 조작버튼(40)이 같이 구동하여 각 접점(65)(70)을 접속시키게 된다.
따라서 내측덮개(55)에 형성되어진 조작버튼(40)은 혼자서 각 접점(65)(70)을 접속시키는 한편 외측덮개(50)에 형성되어진 조작버튼(45)은 내측덮개(55)의 조작버튼(40)과 연동하여 각 접점(65)(70)을 접속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조작버튼을 형성시킨 이중덮개를 구성하여 적은 공간에 다수의 기능을 가진 조작버튼을 구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각기 다른 기능을 선택하는 조작버튼(40)(45)이 형성된 내측덮개(55)와 외측덮개(50)를 구성하고 상기 조작버튼(40)(45)의 동작을 포토카플러(PC)의 동작에 따라 다른 기능 선택값으로 인식하는 마이콤(10)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조작 버튼구조.
- 제1항에 있어서, 포토카플러(PC)의 동작을 외측덮개(50)의 개폐에 대응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조작 버튼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외측덮개(50)의 조작버튼(45)은 내측덮개(55) 조작버튼(40)과 연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조작 버튼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22228U KR960005169Y1 (ko) | 1993-10-27 | 1993-10-27 | 이중조작 버튼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22228U KR960005169Y1 (ko) | 1993-10-27 | 1993-10-27 | 이중조작 버튼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2352U KR950012352U (ko) | 1995-05-17 |
KR960005169Y1 true KR960005169Y1 (ko) | 1996-06-22 |
Family
ID=1936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22228U KR960005169Y1 (ko) | 1993-10-27 | 1993-10-27 | 이중조작 버튼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5169Y1 (ko) |
-
1993
- 1993-10-27 KR KR2019930022228U patent/KR96000516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2352U (ko) | 1995-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15856B2 (en) | Digital, touchless electrical switch | |
KR0159797B1 (ko) | 플러그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회로의 히스테리시스 | |
CN115103477A (zh) | 具有照亮的按钮的小键盘 | |
EP1511050A3 (en) | Control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US20070165406A1 (en) | Display with an illuminating light | |
US20160353547A1 (en) | Control device having an integral reflecting structure for a sensing circuit | |
US7335845B2 (en) | Air-gap switch | |
CN102474941A (zh) | 发光模块装置、装置中使用的发光模块以及具有该装置的照明设备 | |
KR960005169Y1 (ko) | 이중조작 버튼구조 | |
JP3826671B2 (ja) | リモコン送信機 | |
CN105737024A (zh) | 操作面板的背光模块 | |
US5495385A (en) | Fully automatic, photosensor-controlled time switch device | |
JP2002243251A (ja) | 冷暖房器用リモコン送信機 | |
US12093482B2 (en) | Control device with tactile and touch sensing button combination to increase button configurations | |
KR100721610B1 (ko) | 차량용 실내등 조명장치 | |
US10757788B2 (en) | Illuminating lamp | |
KR200167261Y1 (ko) | 텔레비젼 장치의 발광 컨트롤 패널 | |
JPH0718882Y2 (ja) | 高周波加熱装置 | |
JP3099224B2 (ja) | レンジフード装置 | |
JP2905571B2 (ja) | 遠隔監視制御用端末器 | |
KR0127393Y1 (ko) | 스위치조작노브의 조명구조 | |
KR0146741B1 (ko) | 리모콘 점멸기 및 그의 작동방법 | |
JPH0644284U (ja)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の照光装置 | |
KR19990050095A (ko) | 터치형 리모트 콘트롤러 | |
KR20040037691A (ko) | 키패드 조명색 변경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906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