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797B1 - 플러그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회로의 히스테리시스 - Google Patents

플러그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회로의 히스테리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797B1
KR0159797B1 KR1019940008174A KR19940008174A KR0159797B1 KR 0159797 B1 KR0159797 B1 KR 0159797B1 KR 1019940008174 A KR1019940008174 A KR 1019940008174A KR 19940008174 A KR19940008174 A KR 19940008174A KR 0159797 B1 KR0159797 B1 KR 0159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relay
pow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 크레인 버크
에스. 존즈 가쓰
엘. 넬슨 케빈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2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having light-sensitive inp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10)은 플러그(P)를 수용 가능한 아웃릿 리셉터클(12)를 구비한다. 릴레이(30)는 리셉터클(12)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전력 리셉터클(12)과 전원(35) 사이에 접속된다. 리셉터클(12)에 근접 배치된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28)는 리셉터클(12) 내의 플러그(P)의 존재 유무를 감지한다.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28)는, 광원(36) 및 광센서(38)을 포함하는데, 이 광권(36) 및 광센서(38)은 리셉터클(12)에 삽입되는 플러그(P)의 이동 경로(48)의 대향측에 배치된다. 자동 제어 회로(18)은 플러그(P)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28)에 따라 리셉터클(12)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릴레이930)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릴레이(30)와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28) 사이에 접속된다.

Description

플러그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회로의 히스테리시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의 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리셉터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전력 리셉터클을 제어하기 위해 제2도의 논리 제어기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력 리셉터클 12, 14 : 아웃릿 리셉터클
16 : 하우징 22 : 논리 제어기
24 : H-브리지 회로 26 : 스위치 제어 회로
29 : 히스테리시스 회로 32 : 릴레이 코일
본 발명은 자동 전력 리셉터클(receptacle)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사용하여 자동 전력 리셉터클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가정과 같은 시설물에 전기 회로를 제공시 아웃릿 리셉터클(플러그 삽입 구멍을 갖춘 리셉터클; outlet receptacle) 또는 조명기구와 같은 부하 장치에 전력을 분배하도록 하나 이상의 분기 회로가 배선된다. 통상, 리셉터클 또는 조명 기구는 분기 회로에 직접 하드웨어적으로 배선되므로 장치로의 전력이 그 장치 자체에서 턴 온 또는 톤 오프된다. 예를 들면, 어떤 조명 기구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풀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형 전기 기구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예컨대 원격 또는 시간 설정 스위칭을 제공하도록 부하장치를 자동적으로 유리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모든 통신 기능을 시스템 제어기로 지향시킨다. 이것은 제어반(control panel) 또는 스위치를 갖추고 있는 가정의 어느 곳에서나, 또는 자동차 또는 사무실과 같이 전화를 갖추고 있는 어느 곳에서나 집주인이 편리하게 통신 및 전원 제어를 하게끔 한다. 인텔리젼트 아웃릿 리셉터클은 필요에 따라 또는 요구시 개개의 전기 기구가 자동적으로 분리 제어되게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인 아웃릿 리셉터클에 대한 전력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몇몇의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실용가능한 스위칭 장치는 값이 싸고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래칭 릴레이(latching relay)가 이러한 응용에 적합하다고 판명되고 있다. 래칭 릴레이는 정극성 전압원에 접속될 때 래치되고 부극성 전압원에 접속될 때 언래치(unlatch)된다.
단지 사용중일 때만 아웃릿 리셉터클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몇몇 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아웃릿 리셉터클은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 전원으로부터 분리되고 리셉터클에 플러그가 삽입될 대 전원에 접속된다. 상술한 특징과 관련하여 이러한 제어 회로는 플러그의 존재 여부 및 외부 사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제어 기능에 따라 특정한 아웃릿 리셉터클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 제어는 플러그의 삽입이 검출되어야 하고 플러그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도록 제어 회로에 전자 신호가 전달되어야함을 필요로 한다. 플러그의 삽입 또는 제거 동안, 감지 시스템이 사이클할 가능성이 있어서 릴레이가 소리를 내기 쉽다(chatter). 따라서 릴레이의 소리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신규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상술한 여러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히스테리시스 제어를 포함하는 자동 전력 리셉터클이 제공된다.
보다 광의적으로, 본 명세서는 플러그 수용형의 아웃릿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릴레이는 리셉터클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아웃릿 리셉터클과 전원 사이에 접속된다. 리셉터클에 근접 배치된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는 리셉터클에 플러그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자동 제어 회로는 플러그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에 따라 리셉터클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릴레이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릴레이와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 사이에 접속되며, 릴레이의 사이클링을 방지하도록 히스테리시스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릴레이가 래칭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가 광원 및 광 센서를 구비하는 것인데, 이 광원 및 광센서는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이동 경로의 대향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릴레이가 활성화될 때 히스테리시스 회로가 광원을 디밍하기 위한(diming)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광원이 LED를 포함하고, 광 센서가 감광성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플러그 수용형의 아웃릿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이 개시된다. 릴레이는 리셉터클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 리셉터클과 전원 사이에 접속된다. 리셉터클에 근접 배치된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는 리셉터클 내에서 플러그의 존재 유무를 감지한다.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는 광원 및 광센서를 구비하는데, 이 광원 및 광센서는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이동 경로의 대향측에 배치된다. 자동 제어 회로는 플러그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에 따라 리셉터클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릴레이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릴레이와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 사이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플러그 수용형의 아웃릿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이 개시된다. 릴레이는 리셉터클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아웃릿 리셉터클과 전원사이에 접속된다. 리셉터클에 근접 배치된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는 리셉터클 내에서 플러그의 존재 유무를 감지한다.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는 광원 및 광센서를 구비한다. 광원 및 광센서는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이동 경로의 대향측에 배치된다. 광 센서는 선택 레벨 이상 또는 이하인 감지된 광에 따라 제1 또는 제2 상태를 취한다. 자동 제어 회로는 제2상태의 광 센서에 따라 리셉터클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릴레이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키기 위해 릴레이와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 사이에 접속된다. 이 제어 회로는 릴레이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릴레이가 활성화된 경우 광원을 디밍되도록 광원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판단 수단이 광센서에 따라 광원을 제2상태로 디밍되는데 있다.
특히,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는 리셉터클 내에서 플러그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포토트랜지스터 형태의 LED 및 광센서를 구비한다. 이 센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릴레이의 래칭을 제어하도록 모니터된다.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는 릴레이가 비활성화되므로 리셉터클에 전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플러그가 삽입되면, 전력을 제공하도록 릴레이가 활성화된다. 릴레이의 소리 방지를 위해,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이 광 센서의 상태, 즉 플러그의 존재 또는 비존재의 상태를 나타낸다. 플러그가 존재할 때 플러그의 프롱(prong)이 LED로 부터 광을 차단한다. 히스테리시스는 궤환 신호를 향상시킴으로써 제공된다. 특히,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을 때, 감지된 광의 양이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플러그의 존재를 나타낼 정도로 충분히 광이 감소되는 지점에서 릴레이가 활성화된다. 이것은 LED를 디밍되도록 LED에 접속되는 릴레이 구동 출력을 턴온한다. 이와 반대로, 플러그가 제거되는 경우 릴레이를 턴 오프되도록 플러그가 완전히 제거되었다고 간주되는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부가적인 광이 감지된다. 이 때에, 릴레이 구동 출력은 로우로 세트되어 감지된 광이 증가하도록 LED로부터의 출력광이 밝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장점은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10)을 나타내고 있다.
이 스위칭형 전력 리셉터클(10)은 하우징(16)에 각각 제1의 아웃릿 리셉터클(12) 및 제2의 아웃릿 리셉터클(14)을 포함한다. 각 아웃릿 리셉터클(12, 14)은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상의 3개의 프롱 플러그를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도시한 전력 리셉터클(12, 14)는 본 발명과 관련이 적어 상세한 기술을 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다른 리셉터클 구조를 포함한다.
제2도는 전력 리셉터클(10)에 대한 제어 회로(18)를 블록도의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이 제어 회로(18)은 전력 공급 회로(20), 논리 제어기(22), H-브리지 스위칭 회로(24), 스위치 제어 회로(26),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28) 및 히스테리시스 회로(29)를 구비한다. 이 제어 회로(18)는 제1 아웃릿 리셉터클(12)와 연관하여 도시되어 있다. 제2의 아웃릿 리셉터클(14)용으로 유사한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양자의 제어 회로는 일반적인 논리 제어기(22) 및 전력 공급 회로(20)를 사용할 수 있다.
래칭 릴레이(30)는 제1의 아웃릿 리셉터클(12)를 제어한다. 래칭 릴레이(30)는 릴레이 코일(32) 및 이 릴레이 코일(32)에 의해 스위치되는 전기 접점(34)를 갖는다. 이 릴레이 코일(32)는 정극성 전압원에 접속될 때 래치되고, 부극성 전압원에 접속될 대 언래치된다. 이러한 래칭 릴레이(30)는 비교적 높은 정극성의 전류에 의해 작동될 때 포함된 플런저(plunger)가 접점(34)를 폐쇄하도록 작동 위치에서 자기적으로 유지되도록 영구적으로 자화된다. 반대의 극성 전력이 릴레이 코일(32)에 연결되면,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접점(34)를 개방하는 언래치 위치로 플런저가 복귀되므로 자계가 감소된다. 래칭 릴레이(30)는 임의의 종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회로는 릴레이(30)가 래칭 릴레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그 대신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 명백한 바와 같이 통상의 비래칭형 릴레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력 공급 회로(20)은 고전력에 대해 H, 중간전력에 대해 N 그리고 접지전력에 대해 G라 불리는 입력 라인에 의해 표시되는 전원(35)에 접속된다. 전기접점(34)은 전력을 동일하게 선택적으로 인가하기위해 고전력 단자 H와 아웃릿 리셉터클(12)의 고전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중간 전력 단자 및 접지 전력 단자는 아웃릿 리셉터클(12)의 대응 단자에 직접 접속된다.
전력 공급 회로(20)은 논리 제어기(22), H-브리지 회로(24) 및 스위치 제어 회로(26)을 동작시키기 위해 규정된 직류 전력을 발생시킨다. 논리 제어기(22)는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배선된 게이트 및 래치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또는 특정한 장치에 필요한 논리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프로그램된 통상의 마이크로콘트롤러일 수 있다. 논리 제어기(22)는 SWCON으로 불리는 스위치 제어라인 및 PWREN으로 불리는 전력 인에이블 궤환 라인을 통해 스위치 제어 회로(26),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 회로(28) 및 히스테리시스 회로(29)와 교신한다.
H-브리지 스위치 회로(24)는 릴레이 코일(32)에 인가되는 전력의 극성을 제어하는 종래 구성의 H-브리지 회로를 구비한다. 나머지 해칭 형태로된 릴레이 코일(32)은 동작하기 위해 미세 조정 펄스를 필요로 한다. H-브리지 회로(24)의 펄스화는 스위치 제어 회로(26)에 의해 제어된다. 특히, 스위치 제어 라인 SWCON이 하이로 되는 경우 정극성 전력으로 릴레이 코일(32)를 접속하도록 H-브리지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1펄스가 발생된다. 스위치 제어 라인 SWCON이 로우로 되는 경우, 릴레이 코일(32)에 부극성 전력을 제공하도록 H-브리지 회로(24)를 제어하기 위한 제2펄스가 발생된다. 언래칭 동안 과자화(over-magnetization)를 방지하도록 H-브리지 회로(24)에 전류 제한이 포함된다.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28)는 LED(36) 및 포토트랜지스터(38)를 구비한다.
LED(36)는 VCC로 불리는 공급 노드와 저항기(40),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포토트랜지스터(38)의 콜렉터는 공급 노드에 접속되고, 그 에미터는 저항기 (44)와 접지를 통해 접속된다. 저항기(44) 및 포토트랜지스터(38)의 에미터 간의 결합부는 전력 인에이블 라인 PWREN에 궤환으로서 접속된다.
포토트랜지스터(38)의 대안으로서,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광감지 스위칭 장치 및 적절한 증폭 회로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숙지된 사항이다.
히스테리시스 회로(29)는 LED(36)의 결합부와 저항기(40)으로부터 스위치 제어 라인 SWCON까지의 사이에 결합된 다른 저항기(42)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36) 및 포토트랜지스터(38)는 아웃릿 리셉터클(12)에 삽입되는 플러그(P)의 프롱 중의 하나의 이동 경로의 대향측에 놓이도록 하우징(16)내에 위치 설정된다. 특히, LED(36)는 포토트랜지스터(38)을 구동하도록, 화살표(46)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을 유도하는 광원으로서 작용한다. 플러그(P)가 아웃릿 리셉터클(12)에 삽입되면, 점선(48)으로 나타낸 이동 경로를 따라 플러그를 이동시킴에 의해, 플러그(P)의 프롱이 광 빔을 차단하므로 포토트랜지스터(38))에 의해 감지된 광의 양이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광의 양이 감소되면 트랜지스터(38)가 턴 오프 된다. 포토트랜지스터(38)의 상태는 전력 인에이블라인 PWREN을 통해 논리 제어기(22)로 다시 복귀된다.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28)는 광의 반사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플러그 날의 존재는 포토트랜지스터에 의해 감지되도록 광을 반사한다. 따라서, 광의 부재가 아닌 광의 존재에 의해 작동이 행해진다.
제3도와 관련하여, 제어 회로(18)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논리 제어기(22)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플로우챠트로 도시되어 있다. 논리 제어기(22)는 래칭 릴레이(30)의 원격 제어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많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플로우챠트는 플러그의 존재에 따라 아웃릿 리셉터클(12)에 대한 자동 제어에 특히 관련되는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제어는 노드(50)에서 개시되며 전력 인에이블 라인 PWRER에서 논리 제어기까지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 블록(52)이 판단한다. 변화가 없으면 이 루틴은 종료된다. 플러그(P)가 삽입되거나 아웃릿 리셉터클(12)로부터 플러그가 제거되는 경우에 변화가 발생되므로 포토트랜지스터(38)의 상태가 변화한다. 특히, 포토트랜지스터(38)는 LED(36)로부터 감지된 방출된 광의 결과로써 플러그(P)가 존재하지 않으면 통상 온 ON 상태이다. 플러그(P)가 삽입되면, 포토트랜지스터(38)를 스위치하도록 광이 차단되어 오프OFF상태로 된다. 상태의 변화가 PWREN 라인을 통해 감지되면, 그 변화가 소켓에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인지, 즉 전력 인에이블 라인이 로우 상태인지를 판단 블록(54)이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스위치 제어 라인 SWCON이 블록(56)에서 하이로 설정되어 루틴이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스위치 제어 라인 SWCON이 블록(58)에서 로우로 설정되어 루틴이 종료한다.
스위치 제어 라인 SWCON이 하이로 되는 경우, 스위치 제어 회로(26)가 릴레이 코일(32)에 정극성 펄스를 발생하도록 H-브리지 회로(24)를 제어하여 아웃릿 리셉터클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접점(34)를 폐쇄한다. 이와 달리, 스위치 제어 SWCON이 로우로 되는 경우, 스위치 제어회로(26)에 의해 변위가 감지되므로, H-브리지 회로(24)가 릴레이 코일(32)에 부극성 펄스를 발생시켜 접점(34)를 개방하고 아웃릿 리셉터클(12)을 디스에이블한다.
스위치 제어 라인 SWCON은 히스테리시스 회로(29)를 통해 LED(36)에 접속된다. 특히 스위치 제어 라인 SWCON이 로우 상태로부터 하이 상태로 변위하면 LED(36)을 통해 전류가 감소되므로, LED가 디밍된다. 스위치 제어 라인 SWCON이 하이 상태로 부터 로우 상태로 변위하면, LED(36)를 통해 전류가 증가함으로 LED가 밝게 된다. 이와 같이 LED(36)로 부터의 밝기를 제어함으로 인해 플러그(P)의 삽입 또는 제거의 결과에 따른 포토트랜지스터(38)을 통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래칭 릴레이(30)의 사이클링을 방지하도록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하는데, 이는 플러그(P)가 천천히 삽입 또는 제거되었을 때 나타나는 결과이며, 포토트랜지스터(38)에 의해 수신된 광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특히, 플러그(P)가 삽입되는 경우, 포토트랜지스터(38)에 의해 감지된 광의 양이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플러그의 존재를 나타낼 정도로 충분히 광이 감소되는, 즉 전력 인에이블라인 PWPEN이 로우로 되는 것을 나타내는 점에서 래칭 릴레이(30)가 래치된다. 이것은 LED(36)를 어둡게 하는 SWCON 출력을 턴온함으로써 행해진다. LED의 디밍은 플러그(P)가 약간 제거되었을 때, 이러한 제거가 포토트랜지스터(38)의 상태의 역 변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포토트랜지스터(38)에 의해 감지된 광을 더 감소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플러그가 제거되는 경우, 포토트랜지스터(38)가 턴 온되도록 플러그(P)가 완전히 제거되었다고 간주되는 점에 도달할 때까지 부가적인 광이 포토트랜지스터(38)에 의해 감지된다. 이것이 전력 인에이블 라인 PWREN을 하이로 설정함으로써 스위치 제어 라인 SWCON이 로우로 되어 LED(36)로부터의 출력이 밝게 된다. LED(38)을 밝게 하면 포토트랜지스터(38)에 의해 감지된 광이 증가하므로 플러그(P)가 아주 빠르게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경우 포토트랜지스터(38)가 다시 턴 오프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회로는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제공하도록 광의 강도를 변화시키는 히스테리시스 회로를 가진 전자식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를 사용한다. 또한, 전기 접점은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히스테리시스는 시간 지연을 포함시킴으로써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자동 전력 리셉터클 회로에서 래칭 릴레이(30)의 사이클링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적 히스테리시스 회로가 제공된다.

Claims (6)

  1.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에 있어서, 플러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아웃릿 리셉터클(outlet receptacle)과; 상기 리셉터클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아웃릿 리셉터클과 전원 사이에 접속된 릴레이와; 상기 리셉터클 내의 플러그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에 근접 배치된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는 광원 및 광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 및 광센서는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이동 경로의 대향측에 배치되며; 플러그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상기 센서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릴레이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릴레이와 상기 플러그 존재 감지 센서 사이에 접속된 자동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래칭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릴레이의 사이클링을 방지하도록 히스테리시스 회로(hysteresis circui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 회로는 상기 릴레이가 활성화될 때 상기 광원을 디밍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를 포함하고, 상기 광 센서는 감광성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릴레이의 사이클링을 방지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치형 전력 리셉터클.
KR1019940008174A 1993-04-20 1994-04-19 플러그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회로의 히스테리시스 KR0159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49,885 1993-04-20
US08/049,885 US5621256A (en) 1993-04-20 1993-04-20 Hysteresis in a circuit for sensing presence of a pl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9797B1 true KR0159797B1 (ko) 1998-12-15

Family

ID=2196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174A KR0159797B1 (ko) 1993-04-20 1994-04-19 플러그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회로의 히스테리시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21256A (ko)
EP (1) EP0621659B1 (ko)
JP (1) JP2602477B2 (ko)
KR (1) KR0159797B1 (ko)
DE (1) DE6940514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0409U1 (de) * 1996-06-13 1996-09-05 Siemens A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19722922A1 (de) * 1997-05-31 1998-12-03 Lufthansa Technik Ag Spannungsversorgungsvorrichtung
US6176718B1 (en) * 1998-12-31 2001-01-23 Power-Off Products, Llc Adaptive/reactive safety plug receptacle
US6599141B2 (en) 2001-04-27 2003-07-29 General Dynamics Ots (Aerospace), Inc. Apparatus for providing AC power to airborne in-seat power systems
KR100419224B1 (ko) * 2002-01-19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절약 모드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JP4401758B2 (ja) * 2003-12-18 2010-01-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特定周波数成分減衰装置および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
US20080055024A1 (en) * 2006-08-31 2008-03-06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unplanned state changes of a magnetic latching relay
US7575467B2 (en) 2006-12-27 2009-08-18 Thomas Wilmer Ferguson Electrically safe receptacle
GB2448861A (en) * 2007-05-04 2008-11-05 Tana Leonardus Wondergem Light switch controlled socket isolator
GB0723313D0 (en) * 2007-11-28 2008-01-09 Balfour Beatty Plc Electrical safety device
IT1394174B1 (it) * 2009-05-12 2012-06-01 Adf Work & Service S R L Prese meccatroniche per serie civile/industriale con relativi sistemi di commutazione di utenze elettriche tramite potenziale di terra.
US9946230B2 (en) * 2010-05-28 2018-04-17 Ronen Apelker Automated load control system and method
CA2774364C (en) 2011-04-18 2014-01-28 Norman R. Byrne Electrical system with circuit limiter
TWM422823U (en) * 2011-09-15 2012-02-11 Delta Electronics Inc Power distribution unit and power input module compatible therewith
EP2656805B1 (de) * 2012-04-26 2017-03-15 Erbe Elektromedizin GmbH Buchsenanordnung für ein elektromedizinisches Gerät
US9155173B2 (en) * 2012-10-01 2015-10-06 Creston Electronics, Inc. Dual-mode dimmable receptacle
WO2017205252A1 (en) * 2016-05-24 2017-11-30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receptacle
US10541557B2 (en) 2016-10-07 2020-01-21 Norman R. Byrne Electrical power cord with intelligent switching
CN106654737B (zh) 2016-11-16 2019-06-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排插的通电方法及装置
US10734769B2 (en) 2017-07-19 2020-08-04 Western Technology, Inc. Safety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11271384B2 (en) 2017-07-27 2022-03-08 Western Technology, Inc. Power supply interlock
FR3078171B1 (fr) * 2018-02-22 2020-09-11 Sagemcom Energy & Telecom Sas Equipement electrique comportant une premiere partie et une deuxieme partie isolee electriquement de la premiere partie
CN109407560B (zh) * 2018-10-24 2021-05-11 苏州金迪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远程控制家电工作的装置
US11424561B2 (en) 2019-07-03 2022-08-23 Norman R. Byrne Outlet-level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0623A (en) * 1988-12-29 1990-11-13 Hewlett-Packard Company Peripheral device power activation circuit and method therefor
EP0409226A3 (en) * 1989-07-21 1993-01-13 Hitachi, Lt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US5164609A (en) * 1990-06-08 1992-11-17 Donnelly Corporation Controlla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US5281859A (en) * 1991-06-13 1994-01-25 Molex Incorporated Automatically switched power receptacle
CA2099336A1 (en) * 1992-07-14 1994-01-15 Domenico Bosatelli Electrical distribution device with preventive checking of the state of the load, particularly for civil and industrial users
US5222164A (en) * 1992-08-27 1993-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ly isolated optical connector identification system
US5418679A (en) * 1993-04-06 1995-05-23 Molex Incorporated Circuit for overriding the cripple mode so that the relay remains latch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21659B1 (en) 1997-08-27
JPH06309983A (ja) 1994-11-04
DE69405145D1 (de) 1997-10-02
DE69405145T2 (de) 1998-02-12
JP2602477B2 (ja) 1997-04-23
US5621256A (en) 1997-04-15
EP0621659A1 (en) 1994-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9797B1 (ko) 플러그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회로의 히스테리시스
CA3002900C (en) Multiple location load control system
AU2006255105B2 (en) Dimmer switch for use with lighting circuits having three-way switches
US7772724B2 (en) Load control device for use with lighting circuits having three-way switches
CA2607559C (en) Dimmer for use with a three-way switch
US5477113A (en) Apparatus for applying a variable voltage to an electric load
JPH07106026A (ja) スイッチ式電源リセプタクル
MX2007014287A (es) Circuito indicador de estado para un interruptor atenuador.
US5418679A (en) Circuit for overriding the cripple mode so that the relay remains latched
CN113473663A (zh) 一种带感应夜灯的智能开关
CN210781462U (zh) 一种光电门位开关控制的机柜照明灯
US5077484A (en) Light controlled extension socket
US9287708B2 (en) Actuator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uch actuators
GB2236025A (en) Dimmer switches
KR100355401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전자 기기 원격 조정 장치
CN115769677A (zh) 响应于非接触致动的负载控制装置
KR100347095B1 (ko) 가스연소기기의점화장치
CN216491130U (zh) 一种带感应夜灯的智能开关
KR960015670B1 (ko) 냉장고의 고내등 제어장치
EP0606444B1 (en) Series circuit provided with by-pass circuits
KR950002898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안전 장치
JP3380154B2 (ja) 蛍光灯調光装置
KR100563618B1 (ko) 센서를 이용한 방전등 점등 제어장치
KR20000004240U (ko) 광 감지를 이용한 스위치
JPH1120201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故障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