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611Y1 - 관이음구 - Google Patents

관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611Y1
KR960004611Y1 KR2019930026392U KR930026392U KR960004611Y1 KR 960004611 Y1 KR960004611 Y1 KR 960004611Y1 KR 2019930026392 U KR2019930026392 U KR 2019930026392U KR 930026392 U KR930026392 U KR 930026392U KR 960004611 Y1 KR960004611 Y1 KR 960004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itting
rubber
pip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706U (ko
Inventor
박실상
Original Assignee
박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실상 filed Critical 박실상
Priority to KR2019930026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611Y1/ko
Priority to EP93310636A priority patent/EP0638752A1/en
Priority to CA 2112780 priority patent/CA2112780A1/en
Priority to CN 94204781 priority patent/CN2209747Y/zh
Priority to JP1994000016U priority patent/JP3000037U/ja
Publication of KR9500197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7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관이음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별도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1'' : 나사부
2 : 압축부 2' : 끼움홈
2 : 링홈 2A, 2B, 2B' : 조임링
2C : 수지피복층 2C' : 수지피복층
2E : 트임부 3 : 돌출판
3' : 끼움부 4 : 패킹
4' : 턱 5 : 너트
5' : 나사부 5 : 만곡경사부
6 : 합성관
본 고안은 합성수지가 피복된 금속판을 주로 이음하는데 사용하는 관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금속과 수지의 함성관을 이음하는 관이음구가 있기는 하였으나, 이는 관이음구의 돌출관 외주벽에 다수의 링홈을 형성하여 이에 고무패킹(오링)을 끼움한 상태에서 관끼움부에 합성관을 끼움할 때는 관체의 선단 외주면에 먼저 조임링을 끼움한 후 이음구 몸체의 나사부에 조임너트를 끼움하여 나사 조임하면 조임링이 압착되면서 관체를 수밀되게 협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배관작업이 불편함은 물론 작업 과정 조임링의 분실 우려가 있고, 또한 조임링은 관체에 헐겁게 끼움된 관계로 관체에 잘못 끼우면 이의 균형을 잃고 비틀림된 상태에서 조임되어 누수현상이 생기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이음구 몸체의 나사부 외단에 링홈을 개재시켜 관체를 압축하는 조임링 형상의 압축부를 형성하고, 압축부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에는 고무 또는 탄력성 있는 합성수지로 된 양단에 턱이 있는 패킹이 끼움되어진 상태에서 관끼움부에 관체를 끼움하여 너트로 나사 조임하면 너트의 나사부 내단에 형성된 만곡 경사부가 이음구 몸체에 형성된 압축부를 압착함에 따라 압축부는 내향 압축 되면서 끼움된 관체를 긴밀히 조임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속제로된 관이음구의 몸체(1)의 좌우측에는 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나사부(1')의 선단에는 링홈(2)을 개재한 압축부(2)가 형성되고, 이 압축부(2)의 내주벽에 형성된 끼움홈(2')에는 양단에 턱(4')이 있는 패킹(4)이 끼움되고 패킹(4)과 돌출관(3)과의 사이에는 합성관(6)을 끼움하는 끼움부(3')가 형성되어 지며 나사부(1')에 나사 조임되는 너트 (5)의 나사부(5') 내측단에는 만곡 경사부(5)를 형성하여 너트(5)의 나사부(5')가 관이음구(1)의 나사부(1')에 나사 조임될 때 전기한 만곡 경사부(5)는 압축부(2)를 압축할 수 있게한 것이다.
그리고 제3도는 나사부(1')의 내측단에 끼움홈(2')을 형성하여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된 조임링(2A)을 끼움걸림되게하고, 돌출관(3)의 내주면에는 양단에 턱(4')이 있는 고리형의 패킹(4)이 끼움된 것이고, 제4도 및 제5도는 몸체(1)의 나사부(1')내측단에 끼움홈(2')을 형성하여 굼속제심판의 주면에 데플론 수지 피복층(2C)이 형성된 종임링(2A)(2B)이 각각 끼움홈(2')에 끼움 걸림되게한 조임링(2B')의 금속심판 내측면에는 고무 또는 합성 데플론 수지 피복층(2C')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호우스 또는 합성 수지와 금속의 합성관을 이음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관이음구인바, 이를 관이음구조로 사용할 시는 관이음구 몸체(1)의 끼움부(3')에 패킹(4)이 끼움된 상태에서 너트(5)를 먼저 합성관(6)의 단부에 끼움하여 나사 조임하면 합성관(6)의 선단부는 패킹(4)의 내측단에 형성된 척(4')에 걸림됨과 동시 외측단에 형성된 턱(4')과 압축부(2)는 너트 (5)의 나사부(5')내측단에 형성된 만곡 경사부(5)에 접지되어 압축부(2)를 압축한다. 이때 압축부는 링홈(2)에 의해 조절되어 균일하게 압축되어지면서 패킹(4)을 종방향에서 동시에 압축하면서 끼움부(3')에 끼움된 합성관(6)을 압착 조임하게 된다.
따라서 관끼움부에 끼움된 합성관(6)은 수밀성이 보장되고, 또한 외부에서 충격을 받아도 끼움상태가 이완되지 않게됨은 물론 합성관(6)의 내선단은 비금속재료된 패킹(4)의 턱(4')에 의해 이음구 몸체(1)와 이격되어 있어 정전기 발생이 없기 때문에 정전기 발생에 의한 부식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3도와 같이 나사부(1')의 내측단 끼움홈(2')에 직선 또는 경사상의 트임부(2E)가 있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된 조임링(2A)을 끼움하고 돌출관(3)의 내주면에 패킹(4)을 끼움하거나 제4-5도와 같이 나사부 내측단에 형성된 끼움홈(2') 금속심판의 전주면에 고무 또는 데플론 수지 피복층(2C)을 가진 조임링(2B)을 끼움하여도 되고, 제6도와 같이 관이음구 몸체(1)의 나사부(1')내측단에 형성된 끼움홈(2')에 금속심판의 내측 또는 외측 어느 일측에 고무 또는 탄력성 수지피복층(C')을 형성한 조임링(2B')을 끼움하여 너트(5)를 조으면 조임링(2)은 너트(5)의 경사부(5)에 의해 압축되면서 합성관(6)을 긴밀히 협지하여 주므로 외부의 심한 충격을 받아도 이음된 합성관(6)의 이음상태가 이완되거나 탈리되는 일이 생기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광이음구 몸체(1)의 나사부(1')외단부에 조임링 구실을 하는 압축부(2)를 형성하거나 패킹(4)을 개재시켜 조임링(2A)이 몸체에 결합하거나 그 내측단에 끼움홈(2')을 형성하여 이에 금속심판의 전주면에 고무 또는 데플론 수지 피복층(2C)이 형성된 조임링(2B)을 끼움하여 몸체(1)와 결합된 상태에서 끼움부(3')에 합성관(6)을 끼움판 후 너트(5)를 이음구 몸체(1)의 나사무(1')에 나사조임하면 너트(5)의 만곡경사면(5)이 조임링(2A)(2B) 및 압축부(2)가 균등히 압축되면서 합성관을 수밀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작업성 제고는 물론 합성관(6)의 조임 상태가 확실하여 누수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4)

  1. 관끼움부(3')와 돌출판(3)이 내부에 형성된 관이음구 몸체(1)의 일측 나사부(1')에는 경사부(5)를 가진 너트(5)가 나사 조임되게 한 것에 있어서 나사부(1')의 외단에 링홈(2)을 개재한 압축부92)를 형성하고, 이 압축부(2)의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에는 양단에 턱(4')이 있는 고무 또는 탄력성 합성수지로된 패킹(4)이 끼움되어진 관이음구.
  2. 제1항에 있어서 나사부(1')의 내측단에 형성된 끼움홈(2')에 트임부(2E)가 있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된 조임링(2A) 또는 트임부(2E)가 없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된 조임링(2A)이 끼움되게하고, 돌출관(3)의 내주면에는 양단에 턱(4')이 있는 고무 또는 탄력성 수지로 된 패킹(4)이 끼움되어진 관이음구.
  3. 제1항에 있어서 나사부(1)의 선단 내측에 형성된 끼움홈(2')에 금속제심판의 전주면에 고무 또는 데플론수지 피복층(2C)을 가진 트임부(2E)가 있는, 또는 트임부(2E)가 없는 고리형상의 조임링(2B)이 끼움 걸림되어지게한 관이음구.
  4. 제1항에 있어서 나사부(1')내측단에 형성된 끼움홈(2')에 금속재료된 심판의 내측 또는 외측 어느 일측면에만 고무 또는 데플론 수지 피복층(2C')이 형성된 고리 형상의 조임링(2B')이 끼움걸림되어지게 한 관이음구.
KR2019930026392U 1993-08-11 1993-12-02 관이음구 KR960004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392U KR960004611Y1 (ko) 1993-12-02 1993-12-02 관이음구
EP93310636A EP0638752A1 (en) 1993-08-11 1993-12-31 Pipe connector
CA 2112780 CA2112780A1 (en) 1993-08-11 1994-01-04 Pipe connector
CN 94204781 CN2209747Y (zh) 1993-08-11 1994-01-06 管连接件
JP1994000016U JP3000037U (ja) 1993-08-11 1994-01-06 パイプ連結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392U KR960004611Y1 (ko) 1993-12-02 1993-12-02 관이음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706U KR950019706U (ko) 1995-07-24
KR960004611Y1 true KR960004611Y1 (ko) 1996-06-03

Family

ID=1936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392U KR960004611Y1 (ko) 1993-08-11 1993-12-02 관이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6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706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9212A (en) Hose end fittings
US4508374A (en) Tube connection fittings
US4036513A (en) Pipe fitting
CN210034688U (zh) 一种卡压快速接头
US4614372A (en) Device for joining a pipe and a connection piece
US5390965A (en) Pipe connectors
US3630548A (en) Hose-fitting system
KR960004611Y1 (ko) 관이음구
US3088755A (en) Bracket mounting of tube fittings
JPH0426775Y2 (ko)
JPH1019176A (ja) 管継手
JP2003240169A (ja) 管継手
KR930004986Y1 (ko) 관 연결구
JPH05196027A (ja) パッキングスリーブ及びそれを用いたネジ結合部のシール方法
KR0124705Y1 (ko) 합성 수지파이프연결구
KR950007039Y1 (ko) 관 이음구
FR2280851A1 (fr) Garniture pour extremite de tuyau
SE9801087D0 (sv) Klämringskoppling
KR960009112Y1 (ko) 파이프 이음구
KR100803556B1 (ko) 배관 연결구
KR930002508Y1 (ko) 합성파이프의 이음쇠
KR200142598Y1 (ko) 관연결구용 원통형 보조패킹
JPH0222546Y2 (ko)
KR970000541Y1 (ko) 박육관의 연결장치
KR910008561Y1 (ko) 관체의 접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