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581Y1 - 개폐칠판 - Google Patents

개폐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581Y1
KR960004581Y1 KR2019940008811U KR19940008811U KR960004581Y1 KR 960004581 Y1 KR960004581 Y1 KR 960004581Y1 KR 2019940008811 U KR2019940008811 U KR 2019940008811U KR 19940008811 U KR19940008811 U KR 19940008811U KR 960004581 Y1 KR960004581 Y1 KR 9600045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frame
education
open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8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855U (ko
Inventor
장창호
Original Assignee
장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호 filed Critical 장창호
Priority to KR2019940008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581Y1/ko
Publication of KR950029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8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5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5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2Slid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개폐칠판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절결 사시도.
제3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장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칠판 20 : 회전형 교육부재
30 : 레일부재 40 : 롤
50 : 고정수단 51 : 영구자석
52 : 케이싱 53 : 지지편
본 고안은 학습용 칠판의 좌우 이동이 가능한 여닫이식 개폐칠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메인 칠판의 일측 내지 양측에서 회전개폐되는 보조교육부재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 고정토록 하여 수강자의 시각 확보가 유리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칠판은 주로 교육시에 판서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메인칠판의 일측 내지는 양측에 교육에 필요한 보조용 교육부재를 구비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교육부재는 예로서 각종 도표나, 지도 음계등이 표식되어 필요한 해당내용을 즉시 교육할 수 있는 결과로 그 교육효과가 증대되어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부조 교육부재의 설치는 메인 교육부재의 일측 내지는 양측에 측변의 상하단으로 현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전면과 배면으로 각각 서로 다른 내용이 표식된 것을 회전시키며 해당 내용을 교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수강실의 전면에 주로 설치되는 경우 보조 교육부재가 양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위치되는 결과로, 그 반대측 전방에 위치되는 수강자는 시야각도를 확보하지 못하거나, 반사등에 의해 내용을 파악치 못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식 보조 교육칠판을 필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누구나 정상적인 시각 상태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개폐칠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위치로 보조 교육칠판를 이동시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개폐칠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강의실등의 전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상하좌우측벽이 틀체(1)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칠판(10)과; 상기 메인칠판(10)의 일측 내지 양측에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교육부재(20)와; 상기 틀체(11)의 상하부에 안내공(31)의 길이 방향으로 트여지게 설치되는 레일부재(30)와; 이 레일부재(30)의 안내공(31)에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21)의 상, 하에 회전 자유롭게 구름설치되는 롤(40)과; 상기 교육부재(20)가 회전된 위치에서 틀체(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0)이 구비되어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칠판(10)은 그 전면으로 백묵등의 필기구로 판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로써, 상하, 좌우로는 지지를 위한 틀체(11)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틀체(11)의 일측 내지 양측에는 회전형 교육부재(20)가 메인칠판(10)의 양측으로 펼쳐지거나, 전면으로 회전된 상태로 그 양면에 표식된 소정 내용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바 이는 통상적이다.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상기 회전형 교육부재(20)가 틀체(11)를 따라 좌, 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수강자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상태에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회전형 교육부재(20)를 이동 안내하기 위한 레일부재(30)가 틀체(11)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며, 이 레일부재(30)에는 힌지축(21)에 구름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롤(40)에 끼워져 원활한 좌우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레일부재(30)는 틀체(11)를 따라 길게 조립되어 내부에 롤(40)이 이동뢰 수 있는 안내공(31)이 길이 방향으로 성형된다.
상기 롤(40)은 회전형 교육부재(20)의 일단 측변에 결합된 힌지축(2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그 사이에는 베어링(41)이 끼워져 저항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형 교육부재(20)의 일단 상, 하단에서 레일부재(30)에 끼워진 롤(40)에 의해 틀체(11)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보다 부드럽고 저항없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어, 필요시 메인칠판(10)의 끝단에 위치되어 있던 상태에서 중앙측으로 회전형 교육부재(20)를 이동시켜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형 교육부재(20)가 중앙측으로 이동되면 수강자의 전면으로 위치되는 결과로 시야가 가려지거나, 시야 각도가 적어 보이지 않는 현상 및 조명에 표면이 반사되어 내용을 볼 수 없었던 현상등이 미연에 방지되어 최적의 상태로 회전형 교육부재(20)의 표식 내용을 관찰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회전형 교육부재(20)가 임의의 위치로 레일부재(30)를 따라 이동된 후 그 양면에 각각 표식된 내용을 전면으로 향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50)이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형 교육부재(20)를 이동시키게 되면 롤(40)이 레일부재(30)의 안내공(31)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이동이 이루어 진후, 어느 한 표면을 전면으로 위치시키고자 회전시키면 힌지축(21)을 축으로 회전형 교육부재(20)가 회전된 후 틀체(11)와 회전형 교육부재(20)의 상단 내지는 하단이 고정수단(5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자유로운 위치 이동을 위해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0)은 착탈이 가능한 것을 고려해야 하므로, 그 사용이 영구적인 측면을 감안하여 영구자석(51)을 이용한 부착방법이 좋다.
제3도는 이 고정수단(5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특체(11)에는 케이싱(52)에 내장된 영구자석(51)을 일부 매립되게 고정 설치하고, 이 영구자석(51)에 의해 자착되는 자성체인 금속테(53)를 회전형 교육부재(20)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도 자착되어 임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4도는 이와는 반대로 영구자석(51)이 회전형 교육부재(20)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틀체(11)를 따라 레일부재(30)에 일체로 지지편(54)이 길게 연장되어 임의의 위치에서도 케이싱(52)에 감싸지는 영구자석(51)이 지지편(54)에 자착되는 것에 의해 회전형 교육부재(20)를 임시 고정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정상적으로 메인칠판(10)을 사용하고자 할때는 전면으로 이동되어 있던 회전형 교육부재(20)를 당기는 방향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면, 고정수단(50)인 영구자석(51)이 지지편(54) 또는 금속테(53)로 부터 분리되어 롤(40)이 회전되며 양끝단으로 이동된 후 다시 영구자석(51)의 자착력에 의해 틀체(11)와 회전형 교육부재(20)가 밀착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 상기 메인칠판(10)은 그 형상이 평면형과, 중앙이 오목이 만곡지게 성형되는 곡면형으로 구분되는데, 이들중 어떠한 형상의 것을 선택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회전형 교육부재(20)의 이동이 자유로워 모든 수강자의 시야 상태가 양호한 위치에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 교육효과가 증대됨과 아울러 모든 수강자가 정상적인 교육에 임할 수 없는 경우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형 교육부재(20)의 이동이 부드럽고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고정 작업이 용이하여 그 이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강의실등의 전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상하 좌우측벽이 틀체(11)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칠판(10)과; 상기 메인칠판(10)의 일측 내지 양측에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교육부재(20)와; 상기 틀체(11)의 상하부에 안내공(31)이 길이 방향으로 트여지게 설치되는 레일부재(30)와; 이 레일부재(30)의 안내공(31)에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21)의 상, 하에 회전 자유롭게 구름 설치되는 롤(40)과; 상기 교육부재(20)가 회전된 위치에서 틀체(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0)이 구비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칠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40)과 힌지축(21)의 사이에는 베어링(4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칠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0)은 회전형 교육부재(20)의 양측면으로 금속테(53)를 부착하고, 영구자석(51)이 틀체(11)에 매립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자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칠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0)은 회전형 교육부재(20)의 양측면으로 영구자석(51)을 부착하고, 틀체(11)에 설치된 레일부재(30)로부터 자착이 가능한 재질의 지지편(54)이 일체로 연장 성형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자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칠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51)은 그 외부가 케이싱(52)으로 감싸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칠판.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이서, 상기 메인칠판(10)은 그 형상이 평면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칠판.
  7.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칠판(10)은 그 형상이 곡면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칠판.
KR2019940008811U 1994-04-25 1994-04-25 개폐칠판 KR9600045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811U KR960004581Y1 (ko) 1994-04-25 1994-04-25 개폐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811U KR960004581Y1 (ko) 1994-04-25 1994-04-25 개폐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855U KR950029855U (ko) 1995-11-20
KR960004581Y1 true KR960004581Y1 (ko) 1996-06-03

Family

ID=1938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8811U KR960004581Y1 (ko) 1994-04-25 1994-04-25 개폐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5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855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ulman Ways of seeing, ways of knowing: Ways of teaching, ways of learning about teaching
US6053741A (en) Flash card holder and learning method
KR960004581Y1 (ko) 개폐칠판
KR200416989Y1 (ko) 열고 닫기가 가능한 칠판
WO2006046083A1 (en) Multipurpose mobile demonstration device
KR970000544B1 (ko) 승하강 개폐칠판
US4313727A (en) Educational frame device having a rotatable body and rotatable symbol-bearing inserts
KR960006837A (ko) 교육용 보드의 각도조절장치
US3570145A (en) Teaching aid
JPH08216594A (ja) 教育用ボード
CN218616024U (zh) 一种教学用板书绘图尺
KR0136813B1 (ko) 개폐칠판의 보조부재 구동장치
US4842521A (en) Visual aid ruler
JP4801128B2 (ja) 研修用教室
KR960021562A (ko) 칠판용 교육용 부재의 각도 조절장치
White et al. Sharpening up on angles
KR200416990Y1 (ko) 교육용 보드의 각도조절장치
Johnson Learning skills instruction improves student reten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KR890001699Y1 (ko) 색인(索引)기능을 갖춘 교재판
London A pilot study on the career advancement of Black graduates of predominantly Black versus predominantly White colleges
US2817159A (en) Question and hidden answer device
Barratt Notes from the underground: A descriptivist’s journey into the land of prescriptivists
Fox Providing effective inservice education
JPH08472Y2 (ja) 提示窓付き扉
Garant EFL testing and university admission in Finland and Ja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