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580Y1 - 과일세척 및 왁스코팅기의 브러쉬롤러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과일세척 및 왁스코팅기의 브러쉬롤러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580Y1
KR960004580Y1 KR2019930023406U KR930023406U KR960004580Y1 KR 960004580 Y1 KR960004580 Y1 KR 960004580Y1 KR 2019930023406 U KR2019930023406 U KR 2019930023406U KR 930023406 U KR930023406 U KR 930023406U KR 960004580 Y1 KR960004580 Y1 KR 960004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roller
shaft
bearing
brush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030U (ko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화기공사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화기공사, 김봉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화기공사
Priority to KR2019930023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580Y1/ko
Publication of KR950013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6Device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 e.g. marking, maturing, pol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과일세척 및 왁스코팅기의 브러쉬롤러 착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실시된 상태를 예시한 일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해 브러쉬롤러를 착탈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3 : 축수부 4 : 축봉
5 : 손잡이 6 : 베어링
7 : 동력전달축 10 : 브러쉬롤러
11, 12 : 축공
본 고안은 감귤등의 과일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세척하고 왁스코팅하는 기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브러쉬롤러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브러쉬롤러의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귤 등의 과일들을 생산지에서 채취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할 때에는 과일의 표피에 묻은 농약의 제거 및 왁스를 코팅시키고 크기별로 선별한 후 포장하여 출하를 하고 있으며, 상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과일세척 및 왁스코팅 기계장치는 물세척 라인, 물기건조 라인, 왁스코팅 라인을 수개의 브러쉬롤러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작업라인중 과일의 표피에 왁스를 코팅하는 라인을 설치한 것은 과일속에 함유된 수분의 자연 증발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과일의 유통과정중 과일에 함유된 수분이 자연 증발되면 수분함유량이 미달되어 과일의 신선함과 그 특유의 맛을 잃게되고 이에 따라 상품가치가 떨어지므로, 현재 생산업계에서는 과일의 표피에 왁스를 코팅한 후 출하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왁스를 코팅하면 과일속의 수분증발이 잘안됨에 따라 과일의 맛과 신선함을 장기간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과일표피에 왁스를 코팅하는 작업을 작업자들이 일일이 과일을 낱개로 들고서 하려면 작업시간과 비싼 인력소모가 많이 소요됨에 따라 생산원가가 상당히 상승하게 되므로 왁스의 코팅작업은 주로 브러쉬롤러를 이용한 이송장치에 의해 과일을 물세척하는 라인 다음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작업라인중 특히 왁스가 코팅되는 라인의 브러쉬롤러는 작업중에 왁스가 다량 묻게 되므로 왁스코팅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즉시 브러쉬롤러를 깨끗이 닦아 주어야만 한다.
이는 왁스가 다량 묻어 있는 브러쉬롤러를 깨끗이 세척하지 않을 경우 브러쉬가 딱딱하게 굳어버려서 다음날 왁스코팅 작업을 원활히 할 수가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브러쉬롤러를 설치함에 있어서 브러쉬롤러의 양측면에 축을 돌설시킨 후 양측 프레임의 배어링이 내설된 축수부에 끼워 축설하였다.
상기와 같이 축설되는 종래의 비러쉬롤러는 마모 및 파손되어 교체하고자 할때는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왁스코팅 작업을 완료한후 브러쉬롤러에 묻어 있는 왁스를 보다 깨끗이 세척하기 위해 브러쉬롤러를 축수부로부터 분리하고자 할때 이를 신속히 행할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브러쉬롤러는 양측에 돌설된 축이 양측의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축수부에 끼워져 있으므로 브러쉬롤러를 분리하려면 프레임에 고정시킨 축수부와 동력전달을 위해 브러쉬롤러의 일측 축에 축설시킨 체인기어, 체인 등을 전부 일일이 분해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려서 대부분의 농장에서는 브러쉬롤러가 심하게 마모되거나 파손되어 교체하여야 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브러쉬롤러의 분리작업은 엄두를 못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브러쉬롤러가 축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대로 물을 뿌려 세척하였는바 이와 같이 물세척을 하면 브러쉬롤러가 전체적으로 깨끗이 세척되지 않음은 물론, 축수부의 베어링 등의 기계적 부품과 프레임등에 물이 묻게 되어 쉽게 부식되므로 기계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브러쉬롤러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일실시예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측 프레임(1)에 고정설치되는 축수부(2)(3) 사이에 브러쉬롤러를 축설함에 있어서 일측 축수부(2)에는 선단에 베어링(6)이 부착된 축봉(4)을 전후진되게 설치하고 타측 축수부(3)에는 체인기어(8)가 축설된 동력전달축(7)을 설치한 후 이와 부합되는 축공(11)(12)이 양단에 형성된 브러쉬롤러(10)를 결합하여 된 것이다.
이때 축수부(2)에 결합된 축봉(4)을 전후진시키는 구체적인 기술로는 축봉(4)을 나선봉으로 형성한후 손잡이(5)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전후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설치비 및 유지보수비가 저렴하고 작동이 간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한 축봉(4)의 선단에 설치되는 베어링(6)은 베벨형으로 설치하고 이에 결합되는 브러쉬롤러(10)의 축공(11)은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브러쉬롤러(10)의 착탈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동력전달축(7)은 동력전달이 보다 효율적으로 될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다각형의 동력전달축(7)에 결합되는 브러쉬롤러(10)의 축공(12) 또한 다각형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9)는 체인기어(8)들을 연결하고 있는 체인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브러쉬롤러(10)를 양측 축수부(2)(3)의 동력전달축(7)과 축봉(4) 사이에 축설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왁스코팅 라인에서 과일표피에 왁스코팅작업을 완료한 후 브러쉬롤러(10)에 묻은 왁스를 세척하고자 할때, 본 고안은 축수부(2)에 결합된 축봉(4)을 간편히 후진시켜 브러쉬롤러(10)를 빼낼수가 있는 것이다.
즉, 제2도에서와 같이 축봉(4)을 나선봉으로 형성하였을 경우 손잡이(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축봉(4)을 후진시키면 축봉(4) 선단의 베어링(6)이 브러쉬롤러(10)의 경사진 축공(11)에서 점차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이며, 이때 축봉(4)의 전후진 작동은 축봉(4)을 나선봉 대신 직선봉으로 형성한 후 실린더나 레버에 의해 전후진되게 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시켜 축봉(4)을 최대한 후진시키면 브러쉬롤러(10)의 축공(11)과 축봉(4)의 베어링(6) 사이에는 상당한 간격이 벌어지게 되며, 이 간격을 이용하여 브러쉬롤러(10)를 베어링(6)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타측 축수부(3)의 동력전달축(7)에 끼워져 있던 브러쉬롤러(10)의 타측이 쉽게 빠짐에 따라 브러쉬롤러(10)를 양측의 축수부(2)(3)로부터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빼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체인(9)과 체인기어(8)가 설치된 축이나 축수부(3)를 일일이 분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브러쉬롤러(10)의 착탈작업이 매우 신속 용이하면서도, 브러쉬롤러(10)만을 손쉽게 빼내어 세척하므로 보다 깨끗이 세척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브러쉬롤러(10)가 양측 축수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물세척을 하는 종래에 비해 철제 프레임(1)과 이에 설치된 축수부의 베어링등 물에 취약한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어 기계장치의 수명을 상당히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물세척을 완료한 후 다시 브러쉬롤러(10)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동력전달축(7)에 부합되는 브러쉬롤러(10)의 축공(12)을 먼저 동력전달축(7)에 끼운후 축봉(4)의 손잡이(5)를 회전시켜서 축봉(4)을 전진시키면 축봉(4) 선단의 베어링(6)이 브러쉬롤러(10)의 축공(11)에 끼워지면서 체결되는 것인데, 이때 베어링(6)은 베벨형이고 축공(11)은 경사져 있으므로 보다 손쉽게 착탈이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왁스가 묻은 브러쉬롤러(10)를 손쉽게 착탈하여 세착할 수 있도록 왁스코팅라인에 적용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나, 이는 물세척 라인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브러쉬롤러의 브러쉬가 심하게 마모되거나 파손되어 사용을 할수가 없을 경우 브러쉬롤러를 손쉽게 빼내 교체할 수가 있으므로 보수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이 신속하여 인력손실은 최대한 줄이면서도 작업능률을 상당히 높일수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정정) 양측 프레임(1)에 고정설치되는 축수부(2)(3) 사이에 브러쉬롤러를 축설함에 있어서 일측 축수부(2)에는 선단에 베어링(6)이 부착된 축봉(4)을 전후진되게 설치하여 브러쉬롤러(10)의 축공(11)에서 착탈되게 결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세척 및 왁스코팅기의 브러쉬롤러 착탈장치.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축봉(4)은 나선봉으로 형성하고 그 선단에 설치되는 베어링(6)은 베벨형으로 설치하며 이에 결합되는 브러쉬롤러(10)의 축공(11)은 경사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세척 및 왁스코팅기의 브러쉬롤러 착탈장치.
KR2019930023406U 1993-11-09 1993-11-09 과일세척 및 왁스코팅기의 브러쉬롤러 착탈장치 KR960004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406U KR960004580Y1 (ko) 1993-11-09 1993-11-09 과일세척 및 왁스코팅기의 브러쉬롤러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406U KR960004580Y1 (ko) 1993-11-09 1993-11-09 과일세척 및 왁스코팅기의 브러쉬롤러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030U KR950013030U (ko) 1995-06-15
KR960004580Y1 true KR960004580Y1 (ko) 1996-06-03

Family

ID=1936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406U KR960004580Y1 (ko) 1993-11-09 1993-11-09 과일세척 및 왁스코팅기의 브러쉬롤러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5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368U (ko) * 2016-06-16 2017-12-27 전수봉 계란 세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368U (ko) * 2016-06-16 2017-12-27 전수봉 계란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030U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571B1 (ko) 구근류 세척기
US20190282062A1 (en) Shoe scrubber and method of scrubbing shoes
CN106766690A (zh) 周转筐脱水装置及周转筐清洗脱水机
KR960004580Y1 (ko) 과일세척 및 왁스코팅기의 브러쉬롤러 착탈장치
KR200321630Y1 (ko) 과일세척장치
WO2020209706A1 (es) Sistema de limpieza de bandas modulares
CA2206678C (en) Automated crustacean cleaning and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DE4408079C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Schuhen und Stiefeln
CN108177740B (zh) 一种运输船甲板清洁小推车
CN214717823U (zh) 一种自动水文缆道钢丝绳涂油器
CN209788177U (zh) 蛋类挑选机
CN208758137U (zh) 一种自动刷洗去污装置
KR200430764Y1 (ko) 긴 근채류의 세정장치
CN208353992U (zh) 机械链轮的除杂防缠绕装置
KR200193390Y1 (ko) 단무지용 무 세척장치
EP1317885B1 (en) Improved leek peeling machine
JP2001204446A (ja) 大根、長芋などの長物根菜類用自動洗浄装置
CN211645449U (zh) 一种铲板机器人清洁刮除机构
US1423421A (en) Machine for skinning and coring tomatoes
CN220906295U (zh) 一种鸡蛋输送机
CN217576806U (zh) 一种清洗输送装置
CN109197400A (zh) 一种园林草皮刨除设备
CN213476741U (zh) 一种排球场用清洁刮水一体化装置
CN208850619U (zh) 自清洁甜菜除土装置
CN113135407A (zh) 一种除尘输送带可旋转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