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291Y1 -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 화일 - Google Patents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 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291Y1
KR960004291Y1 KR2019940003329U KR19940003329U KR960004291Y1 KR 960004291 Y1 KR960004291 Y1 KR 960004291Y1 KR 2019940003329 U KR2019940003329 U KR 2019940003329U KR 19940003329 U KR19940003329 U KR 19940003329U KR 960004291 Y1 KR960004291 Y1 KR 960004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unching
pressing
fixedly installed
pun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3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726U (ko
Inventor
정운태
Original Assignee
정운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태 filed Critical 정운태
Priority to KR2019940003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291Y1/ko
Priority to JP6157848A priority patent/JP2587387B2/ja
Priority to US08/267,538 priority patent/US5429445A/en
Priority to TW083106135A priority patent/TW241226B/zh
Priority to DE4429775A priority patent/DE4429775A1/de
Priority to CN94115101.8A priority patent/CN1115723A/zh
Publication of KR950024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7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2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4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combined or formed with other articles, e.g. punches, stands
    • B42F13/404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combined or formed with other articles, e.g. punches, stands with pu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2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Landscapes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 화일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펀칭작업전과 펀칭작업상태를 동시에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압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철구 1' : 지철고리
10 : 가이드관체 20 : 다이부재
21 : 다이홀 22 : 지류투입구
30 : 펀칭부재 31 : 펀칭
40 : 압압부재 41 : 누름버튼
42 : 압압판재 50 : 탄발부재
60 : 펀칭구조부
본 고안은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화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16931호를 개량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출원 고안에서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 지철구의 하부에 별도의 펀칭구조를 결합시킨 구조로써 지철구의 두께에 펀칭구조의 두께가 추가되어 자연히 높이가 높아져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제품의 외형이 커져 상품성이 없었으며, 외관이 미려하지 못해 구매의욕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원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일들이 지철고리에 끼워지더라도 중앙부위에는 미사용되는 일정공간부가 남게되는 것에 착안하여 그 미사용 공간부에 펀칭구조를 설치하도록 하므로써 전체적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지철구와 펀칭구조를 결합구성시킬 수 있게 하므로써 설치공간의 축소와 전체적인 균형미를 추구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구매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갯수의 지절고리(1')가 구비된 통상 구조의 지철구(1)와; 상기 지철고리(1')와 동일 횡축선상에서 지철구(1)의 중간내부에 고정설치되며 펀치(31)를 안내시켜 주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관체(10)와, 상기 지철구(1)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전면에 지류투입구(22)가 형성됨과 동시에 가이드관체(10)와 수직선상으로 다수의 다이홀(21)을 구비시킨 다이부재(20)와, 상기 가이드관체(10)에 삽설되는 다수의 펀치(31)를 구비한 펀칭부재(30)와, 이 펀칭부재(30)에 압압력을 부여키위하여 누름버튼(41)과 꺽임부(43)가 형성되고 내측단이 축설된 압압판재(42)로 구성되는 압압부재(40)와, 상기 압압부재(40)를 상향 탄발시켜 주기 위한 탄발부재(50)로 각각 결합 구성되며 지철구(1) 상면의 지철고리(1')내에 고정설치되는 펀칭구조부(60)를 각각 결합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지철고리(1')를 오픈시키기 위해 레버(L)를 지철구(1)내부에 설치하고 누름버튼(41)을 이용하여 펀칭과 동시에 지철고리(1')가 오픈되도록 구성시킨 것이며 제5도는 본 고안의 압압부재(4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다이부재(30)의 양측단부를 연장시키고 이에 누름버튼(41)을 설치시킨 것으로 별도의 압압부재(40)를 이용치않고 다이부재(30)를 직접 압압토록 구성시킨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70)는 천공시킬 저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지류(70)를 펀칭하는 펀칭구조부(60)의 동작은 선원에서와 동일한 것으로 제2도의 좌반부와 같이 다이부재(20)의 지류투입구(22)에 지류(70)를 밀어 삽입시킨 뒤 누름버튼(41)를 누르게 되면 제2도의 우반부와 같은 상태로써 압압판재(42)가 펀칭부재(30)를 눌러 하강시키면 각 펀치(31)들은 다이홀(21)을 지나 지류(70)를 뚫게 되는 것이다.
이때 탄발부재(50)는 펀칭부재(30)를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은 선원과 동일한 동작상태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펀칭구조부(60)가 선원과는 달리 지철고리(1')의 미사용되는 공간부에 설치하게 되므로 펀칭구조부(60)와 지철구(1)를 결합시키더라도 두께 증가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선원과 같은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보다 균형있고 심플한 형상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4도에서와 같이 구성하면 레버(L)를 지철구(1)의 외부에 설치하지 않아도, 지철고리(1')를 손으로 잡고 오픈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외관을 심플하게 구성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공간의 축소효과를 기대되는 것이며 지철고리(1')를 펀칭과 동시에 오픈시킬 수 있어 별도의 2중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간편한 잇점이 있는 것이며 제5도와 같이 구성하면 압압판재(42)의 구성을 배제시킬 수 있어 부품수가 절감되고 압압판재(42)을 설치공간만큼 전체두께를 축소시킬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소정갯수의 지철고리(1')가 구비된 통상 구조의 지철구(1)와; 상기 지철고리(1')와 동일 횡축선상에서 지철구(1)의 중간내부에 고정설치되며 펀치(31)를 안내시켜 주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관체(10)와; 상기 지철구(1)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전면에 지류투입구(22)가 형성됨과 동시에 가이드관체(10)와 수직선상으로 다수의 다이홀(21)을 구비시킨 다이부재(20)와; 상기 지철구(1) 상면의 지철고리(1')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관체(10)에 삽설되는 다수의 펀치(31)를 구비한 펀칭부재(30)와; 이 펀칭부재(30)에 압압력을 부여키 위하여 누름버튼(41)과 꺽임부(43)가 형성되고 내측단이 축설된 압압판재(42)로 구성되는 압압부재(40)와; 상기 압압부재(40)를 상향탄발시켜 주기 위한 탄발부재(50)로 각각 구성되는 펀칭구조부(60)를 각각 결합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 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철구(1)에 내부에 지철고리 오픈용 레버(L)를 설치시키고 누름버튼(41)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하므로써 펀칭과 동시에 지철고리(1')가 오픈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 화일.
KR2019940003329U 1993-08-30 1994-02-23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 화일 KR960004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329U KR960004291Y1 (ko) 1994-02-23 1994-02-23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 화일
JP6157848A JP2587387B2 (ja) 1993-08-30 1994-05-20 紙パンチ器具を具備するリングバインダー
US08/267,538 US5429445A (en) 1993-08-30 1994-06-29 Ring binder having paper punch mechanism
TW083106135A TW241226B (en) 1993-08-30 1994-07-05 Paper binder with punching mechanism
DE4429775A DE4429775A1 (de) 1993-08-30 1994-08-22 Ringbinder mit Papierlochungsmechanismus
CN94115101.8A CN1115723A (zh) 1993-08-30 1994-08-24 带有纸片冲孔器的环圈式活页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329U KR960004291Y1 (ko) 1994-02-23 1994-02-23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 화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726U KR950024726U (ko) 1995-09-13
KR960004291Y1 true KR960004291Y1 (ko) 1996-05-23

Family

ID=1937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3329U KR960004291Y1 (ko) 1993-08-30 1994-02-23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 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2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726U (ko) 199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506175A (en) Hydroformed hose fitting and die for preparation
EP1138958A3 (en) Fluid-operated circuit for setting the top and bottom dead center location of the punch actuation cylinder in punching machines
KR960004291Y1 (ko)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 화일
CN208555627U (zh) 一种fpc补强片的高效冲压模具
CN107570581A (zh) 一种方管自动冲孔装置
WO2001087511A8 (de) Tiefziehverfahren und tiefziehwerkzeug
CN208555649U (zh) 一种快速冲孔模具
CN101710762A (zh) 具有可调式弹性收紧装置的电机铁芯模具
JPS56136245A (en) Formation of frame pipe for bicycle
CN207911023U (zh) 柱状音箱网罩功能键安装治具
PL365833A1 (en) Sliding sleeve
SU1123765A1 (ru) Штамп,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 пробивки пазов в заготовках вкладышей подшипников скольжени
KR950004877Y1 (ko)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화일
KR960001702Y1 (ko) 와이샤쓰칼라 정형기
KR930002862Y1 (ko) 브라인드 리벳트
EP0315190A3 (en) A punch
JPS6448627A (en) Composite die assembly
SU1333447A1 (ru) Штамп дл многопереходной выт жки
KR100200154B1 (ko) 트렁크리드 밴딩장치
JPS6127521U (ja) 打抜装置
RU2001130133A (ru) Прессов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бивки отверстий в стальном листе
UA33132A (uk) Пуансон брикетного преса
KR960008527Y1 (ko) 연속제작이 용이한 스팽글 펀칭 금형
JPS589731A (ja) プレス型上下駆動方法
DE20010810U1 (de) b'-Mechanik für Klarinetten und Bassetthö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