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048B1 -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 - Google Patents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048B1
KR960004048B1 KR1019930016829A KR930016829A KR960004048B1 KR 960004048 B1 KR960004048 B1 KR 960004048B1 KR 1019930016829 A KR1019930016829 A KR 1019930016829A KR 930016829 A KR930016829 A KR 930016829A KR 960004048 B1 KR960004048 B1 KR 96000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oint
body portion
point marker
concrete
slab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178A (ko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 주식회사
이내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 주식회사, 이내흔 filed Critical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048B1/ko
Publication of KR95000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
제 1 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 2 도의 (a)는 제 1 도의 l평면도, (b)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시도를 나타낸 것임.
10 : 몸체부 11 : 걸림턱
12 : 날개편 12a : 양광도료
13 : 끼움부 14 : 손잡이부
본 발명은 건축물들의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시에 타설면이 일정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층별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시에 균등한 충고를 유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타설면이 일정하게 시공되도록 하는 것이 공정상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와같은 건축물의 각층별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시 종래에는 청테이프나, 붉은천을 이용하여 옹벽 철근등에 묶어 타설면 기준점을 표시하였으나 이는 작업이 번거로우며 코크리트타설시 청테이프나 붉은천등이 손실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건축물의 슬라브면이 요구되는 두께로 일정하게 시공되지 못하여 다음층의 형틀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균등한 충고를 유지할 수 없게되고 각종 바닥 배관 높이를 확보할 수 없으며, 또한, 야간콘크리트 시공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레이져빔을 이용한 계측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정확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에 고가인 계측기기의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것이 현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주간은 물론이고 야간에도 콘크리트 타설면 위치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동시에, 간단한 구조로서 재사용이 가능한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시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리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내면에 수개의 걸림턱(11)을 가지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외주면 둘레에 일정한 간견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날개편(12)들과, 상기 몸체부(10)와 날개편(12)들의 익측이 트여지는 끼움부(13)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끼움부(13)로 철근(20)의 일측에서 밀어 끼워져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독 함을 기 수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일정한 탄력성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그 원통형의 몸체부(10) 내벽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턱(11)이 형성도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철근(20)의 오주면에 형성된 돌출부(21)에 몸체부(10)의 걸림턱(11)이 걸려지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충격으로 기준점 표식구가 위치이동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어느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고무재로 성형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날개편(1)들은 몸체부(10)의 외주면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하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날개편(12)들은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등간격으로 형성함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콘크리트 타설시 기준점 표식구에 콘크리트가 부어질 경우 날개편(12)들의 상이롤 콘크리트가 흘러내기게 하여 하중을 덜어주는 작용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 2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또는 구무로 성형되는 날개편(12)에 야광도료(12a)가 일정한 비율로 배합되도록 하여 주간은 물론이고, 야간에도 식별가능 하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날개편(12)의 내 외벽에 형광체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10)와 날개편(12)의 일측이 트여지도록 하여 끼움부(13)를 형성하여 철근(20)의 일측으로 밀어 끼워지도록 하면서도 탄력성을 가지는 몸체부(10)로 철근(20)의 직경에 구애됨이 없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 설치되도록 하고,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후에는 손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13)의 다른 일측의 몸체부(10)에는 기준점 표식구의 결합, 해체가 편리하도록 날개편(12)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부(14)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는 제 3 도에 도시된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1)를 잡고 몸체부(10)의 일측의 끼움부(13)으로 철근(20)의 설정된 위치의 일측에서 밀어 끼워지도록 하여 철근(20)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동시에, 철근(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21)에 몸체부(10)의 걸림턱(11)이 걸려지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압력을 기준점 표식구가 확실히 고정하게 됨으로써, 기준점 표식구가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 가능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날개편(12)들은 야광도료(12a)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발광하게 하여 주간은 물론이고 야간의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면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게 슬라브 콘크리트의 시공을 할수 있도록 하는작용 및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그 내면에 수개의 걸림턱(11)을 가지는 몸체(10)와, 상기 몸체부(10)의 외주면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날개편(12)들과, 상기 몸체부(10)와 날개편(12)들의 일측이 트여지는 끼움부(13)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끼움부(13)로 철근(20)의 일측에서 밀어 끼워져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
  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다른 일측에는 날개편(12)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14)를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
  3.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 날개편(12)에 야광도료(12a)가 일정한 비율로 배합되도록 하여 야간에도 식별가능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
KR1019930016829A 1993-08-27 1993-08-27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 KR96000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829A KR960004048B1 (ko) 1993-08-27 1993-08-27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829A KR960004048B1 (ko) 1993-08-27 1993-08-27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178A KR950006178A (ko) 1995-03-20
KR960004048B1 true KR960004048B1 (ko) 1996-03-25

Family

ID=1936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829A KR960004048B1 (ko) 1993-08-27 1993-08-27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827B1 (ko) * 2000-04-19 2003-02-19 동영금속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면 레벨포인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178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7843A (en) Recess plug for precast concrete panels
US7222460B2 (en) Cover for a concrete construction
US4932818A (en) Anchor bolt positioning system for concrete foundations
US6964115B2 (en) Levelling r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6401406B1 (en) Retainment device for concrete block inspection plates
AU2011221365B2 (en) Blockouts for concrete moulds
CN208396321U (zh) 一种可拆卸式预制立柱钢筋定位装置
US20090146043A1 (en) Modular form for casting concrete highway barriers
KR960004048B1 (ko)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표식구
US3205634A (en) Post sleeve apparatus
CN206071050U (zh) 一种管道管根封堵吊模
JPH05118093A (ja) 建築用要素
KR100372827B1 (ko) 콘크리트 타설면 레벨포인터
KR960004049B1 (ko)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면 기준점 위치고정구
CN205843561U (zh) 分层控制标尺杆
CN106289930B (zh) 一种可准确固定节理剪切试验试件的模具及试块制作方法
US20180298624A1 (en) Assembly of profiles for sustaining, molding and finishing the concrete of slab, beam and column
CN210389624U (zh) 一种手持式预制构件脱模工具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KR200445586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CN210767850U (zh) 一种可快速拆除的混凝土墙体内预埋模板结构
DE59709752D1 (de) Abstandhalter für Schalungen
CN216766831U (zh) 一种内置式精准定位套管固定工具
JP3135695B2 (ja) 軽量標識
CN210659680U (zh) 一种人防设备分体式吊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