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507B1 - 연질 안내렌즈 - Google Patents

연질 안내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507B1
KR960003507B1 KR1019870006856A KR870006856A KR960003507B1 KR 960003507 B1 KR960003507 B1 KR 960003507B1 KR 1019870006856 A KR1019870006856 A KR 1019870006856A KR 870006856 A KR870006856 A KR 870006856A KR 960003507 B1 KR960003507 B1 KR 960003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element
support
tissue contact
contact portion
tac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024A (ko
Inventor
엠. 스미스 그레고리
Original Assignee
아이오랩 코포레이션
도날 비. 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오랩 코포레이션, 도날 비. 토빈 filed Critical 아이오랩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8000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질 안내렌즈
제1도는 천공된 촉각형 지지체(fenestrated haptic)를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렌즈를 확대시킨 배면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렌즈의 정면투시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렌즈의 측입도면이다.
제4도는 제1도의 렌즈의 배면입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선5-5를 따라 취한 부분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4도의 선6-6을 따라 취한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렌즈형 낭형백(bag)속에 삽입시킨 안구의 단면도이다.
제8도는 낭형백속의 본 발명의 렌즈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렌즈의 측입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렌즈를 모양체에 이식시킨 안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안내렌즈(intraocular lens)에 관한 것이며, 특히 천공된 촉각형 지지체(fenestrated haptics)를 갖는 연질의 안내렌즈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으로 알려진 시력손상 질병은 안구의 천연렌즈(natural lense)를 인조 안내렌즈로 외곽적으로 대체함으로써 경감시킬 수 있다는 점은 현재 통상적으로 안정되고 있다.
제7도에는 눈의 해부학적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막(2)는 안구의 천방 표면을 형성하며, 홍채(4)가 뻗어 있는 모양 체근(3)에 연결되어 있다. 홍채(4)는 안구의 앞부분을 홍채(4) 앞쪽의 안전수방(5)(anterior chamber)과 홍채(4) 뒤쪽의 안후수방(6)(posterior chamber) 두 부분으로 나눈다. 동공(7)은 안후수방(6) 및 안구의 뒷면(도시하지 않음)으로 나아가는 빛이 통과하는 홍채(4)의 중심부에 위치한 구경(口徑)이다.
백내장은 안구의 천연렌즈의 혼탁 또는 불투명에 의해 안구의 상형성능 또는 상 컨트라스트 민감도가 감소되는 질환이다. 안구의 천연렌즈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홍채(4)의 기부 근처의 모양체근(3)(모양체구라고도 함)으로부터 제인대 또는 소대(9)에 의해 지지되는 낭형백(8)속에 쌓여 있다.
안내렌즈를 외과수술하는 동안, 안구의 천연렌즈를 본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잘 알려진 여러 방법으로 제거한다. 낭형백의 전방표면을 제거한다. 제7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안구의 천연렌즈를 가지며 낭형백(8)의 전방표면를 제거하여 안내렌즈를 삽입할 준비를 한다.
제7도를 참조하면, 렌즈를 삽입할 안구의 가장자리에서의 절개부(12)가 도시되어 있다. 환자는 통상적으로 등져 눕고 의자는 환자의 머리끝을 향해선다. 절개부는 안구의 상부라 불리우는 위치에 해당되며, 안내렌즈는 안구의 상부로부터 안구의 하부를 향해 삽입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란 용어는 전문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하부는 절개 시작부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진 부분이고 상부는 절개시작부에 밀접한 부분이다.
안내렌즈는 광학소자(optic)라 불리우는 중간 광촛점체(medial light focusing body) ; 및 광학소자로부터 안구의 주위를 따라 뻗은 하나이상의 촉각형 지지체(haptics)로 된 두 부분을 이루어진다. 촉각형 지지체는 안구에서 광학소자를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광학소자는 각막에 대해 전방에 향하는 전방표면 및 망막을 향하는 후방표면을 갖는다. 광학소자는 광학소자의 평면에 대해 통상적으로 수직을 뻗은 광학축을 갖는다.
미합중국 특허 제4,573,998호(출원인 : Thomas R. Mazzocco, 발명의 명칭 : Method for Implantation of Deformable Interaocular Lenses)에 기술된 특정 안내렌즈는 매우 연질의 유연성 실리콘 형태의 물질로 제조되었다. 이러한 렌즈는 만족할만한 안내렌즈로 제조되었으나, 이러한 렌즈를 인접한 조직에 고정시 안정성에 관한 관심이 문헌에 표명되어 왔다. 고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섬유성 반응이 실리콘 촉각형 지지체에 인접한 곳에서 일어나는가에 대한 의문점도 제기되었다[참조 : pathologic Findings of an Extended Silicone Intaocular Lens, donald A. Newman et al., Journal of the Cataract Refract. surg., Vol. 12, May 1986]. 상기 문헌에는 또한 이식조직편의 백속 배치(in-thje-bag placement)를 피함으로써 특정의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다고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기술된 렌즈를 낭형백에 이식시키지 않았으나 합병증은 여전히 발생하였다. 다른 임상 연구가들은 실리콘 이식조직편을 백속에 이식시키지 말도록 권장하였다. 문헌[참조 : “Early Experience with STAARTMSilicone Elastic Lens Implants” by Gerald D. Faulkner, M.D., Journal of Cataract Refract. surg., Vol. 12, January 1986, pp. 36-39]에는 후방낭에 대한 전방나아형 피부판(flap)의 섬유유착증은 이식조직편보다 짧은 낭형백 공간을 만들므로, 이식조직편이 촉각형지지체-광학소자의 접합점에서 휘게 된다고 설명되어 있다. 그 결과로 생성된 광학소자의 편향 및 비공축현상(decentration)은 근시성 난시의 증가를 야기시킨다. 상기 문헌은 눈에서의 동일한 합병증이 기술된 마조코(Dr. Maxxocco) 및 다른 의사들의 문헌에는 이식조직편이 낭형백속에 위치하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파울크너(Dr. Faulkner)는 실리콘 렌즈가 낭형백속에 위치하면 대부분의 경우 외과적 조정을 요하는 편향 및 비공축 현상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를 피해야만 하다고 권장하고 있다. 파울크너는 이 탄성 이식조직편의 유연성은 장점이 될 수 있고 단점이 될 수도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보다 적은 절개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며 보다 적은 외상의 삽입을 가능케하나, 몇몇 경우 안구에서 발생하는 수술후 섬유증에 의해 야기된 힘에 의해 이식조직편은 상처를 입기 쉽다.
본 발명자는, 백속 또는 모양체구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몇몇 경우 안구에서 발생하는 섬유증이 이식조직 편과의 합병증을 야기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이식조직편을 그 위치에 고정되도록 돕는 연질 안내렌즈가 유용한 것으로 생각한다.
본 발명은 광학소자, 및 광학소자의 서로 마주보는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뻗은 두개의 천공된 촉각형 지지체를 갖는 하나로된 연질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렌즈는 백속에 위치한 완전한 렌즈 또는 모양체구와 접촉하면서 뻗은 렌즈는 촉각형 지지체를 안정수방 배치 또는 안후수방 배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파울크너의 문헌에 기술된 이와 유사한 형태의 선행기술의 렌즈는 실리콘으로 제조되었으며, 렌즈를 안구에 이식시켰을 때 렌즈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견고한 플랜지(flange)-형의 촉각형 지지체에 의해 제공된 가외의 경도를 필요로할 정도로 유연하다. 본 발명 렌즈의 천공된 촉각형 지지체는 촉각형 지지체의 말단을 따라 뻗으며 천공을 한정하는 특별히 제작된 부재를 갖는다. 이 부재는 조직접촉 부분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로부터 광학소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뻗으며 점점 작아져 조직접촉 부분으로부터 광학소자를 향해 나아가는 경우에 천공에 평면에서 측정한 방향이 넓어지며, 또한 광학축에 대해 통상적으로 평행하게 측정한 방향이 넓어지는 광학 제1 및 제2 빔(beam)부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초직 접촉부분을 포함하여 3개의 기본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빔 부분은 지지체 부분에 의해 광학소자에 연결되며, 이때 지지체부분이 빔 부분으로부터 광학소자를 향해 나아가는 경우에, 이는 천공의 평면에서는 넓어지나 광학축의 방향에서는 좁아진다. 조직접촉 부분은 안구 조직과의 접촉을 위해 매우 연질의 유연한 영역을 제공한다. 렌즈를 압착하기위해 안구조직을 변형시키는 경우에, 촉각형 지지체의 조직접촉 부분은 쉽게 변형되어 넓게 뻗어 안구조직과의 보다 넓은 접촉영역을 형성한다. 한편으로, 빔 부분은 그대로 견고하게 남아있는 경향이 있다. 조직접촉 부분으로 부터 광학소자를 향해 나아가는 경우에 확장시키기 위한 빔의 점점 작아지는 현상은 렌즈에 강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빔은 주로 뒤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므로, 렌즈를 압착하면 광학소자는 뒤로 둥들게 굽는 경향이 있다. 지지체부분은 다른 방향으로 점점 작아져 빔으로부터 광학소자를 향해 나아가는 경우에 광학축에 통상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한 지지체 부분의 두께를 감소한다. 이는 촉각형 지지체의 천공 평면에서의 넓은 면적 및 우선 결합점을 제공하기 위한 광학축에 대해 통상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한 좁은 면적을 갖는 지지체부분을 제공한다. 이 렌즈의 촉각형 지지체를 압착하는 경우에, 렌즈는 뒤로 둥글게 굽으며 빔은 그대로 견고하게 남아있는 경향이 있다.
천공은 조직접촉 부분을 둘러쌓아 렌즈를 제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섬유증식을 가능케한다. 백속 배치의 경우에, 낭의 전방피부판 부분이 조직접촉 부분상에 가까이 위치하여 렌즈를 제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모양체구 배치의 경우에, 섬유증식이 조직접촉부분을 포획하여 렌즈를 제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과 기타의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할 경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제1도에는 광학소자(22) 및 촉각형 지지체(24) 및 (26)을 갖는 본 발명의 안내렌즈(20)의 배면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광학소자(20)은 광학축(28)을 갖는다.
촉각형 지지체(24) 및 (26)은 광학소자(22)의 서로 마주보는 말단 부분으로부터 뻗어있다. 각각의 촉각형 지지체(24) 및 (26)은 천공되어 있어, 이들이 개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촉각형 지지체(24)의 천공은 3개의 기본단편을 포함하는 아치형 부재(30)에 의해 한정된다. 제1단편은 광학소자(22)로부터 멀리 떨어진 조직접촉부분(32)이며, 이는 각각(34) 및 (36)을 참조로 하여 대략 도시한 제1말단 및 제2말단을 갖는다. 촉각형 지지체 부재(30)은 하나의 재료로된 연속부재이므로, 조직접촉부분(32)의 제1 또는 제2말단을 구성하는 분리점이 없다. 조직접촉부분(32)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촉각형 지지체부재(30)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접착된다.
빔부분(38) 및 (40)은 각각 조직접촉부분(32)의 제1말단(32) 및 제2말단(36)으로부터 광학소자(22)를 향해 뻗는다. 빔부분(38)은 본질적으로 빔부분(40)의 거울상이다.
지지체부분(42) 및 (44)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광학소자(22)의 말단부분으로부터 뻗어 빔부분(38) 및 (40)을 광학소자(22)에 연결시킨다.
제8도를 참조하면, 조직접촉 부분(32)는 광학축(28)에 대해 통상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의 보다 두꺼운 두께(46) 및 천공평면에 대해 통상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한 두꺼운 두께(48)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제4도를 참조하면, 천공평면에서 측정한 빔부분(38) 및 (40)의 두께는 조직접촉 부분을부터 광학소자를 향해 나아갈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제3도를 참조하면, 광학축(28)에 대해 통상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한 빔부분(38) 및 (40)의 두께도 유사하게 조직접촉 부분(32)로부터 광학소자(22)를 향해 나아갈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제3, 4 및 6도 및 특히 제6도를 참조하면, 광학축(28)에 대해 통상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한 지지체분(42)의 두께는 빔부분(38)로부터 광학소자(22)를 향해 나아갈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제4도를 참조하면, 천공 평면에서의 지지체부분(42)의 두께는 빔부분(38)로부터 광학소자(22)로 나아갈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촉각형 지지체(26)은 본질적으로 촉각형 지지체(24)의 거울상이며, 조직접촉 부분(50), 빔부분(52) 및 지지체부분(56) 및 (58)을 포함하는 상응하는 아치형 부재(31)을 갖는다.
제3도 및 4도를 참조하면, 촉각형 지지체(24)은 평평한 부분(60) 및 (62)를 갖는데, 평평한 부분(60)의 경우는 빔부분(40)과 지지체부분(44) 사이의 영역에서의 후방표면상에 있으며, 평평한 부분(62)의 경우는 빔부분(38)과 지지체부분(42) 사이의 영역에서의 후방표면상에 있다. 촉각형 지지체(26)도 유사한 평평한 부분(64) 및 (66)을 갖는다.
제3도를 참조하면, 촉각형 지지체(24) 및 (26)이 광학축(28)에 대해 수직인 평면과 0 내지 15
Figure kpo00001
의 작은 각을 형성하면서 앞으로 구부러짐을 알 수 있다.
제7도에서는 본 발명의 렌즈(20)을 낭형백(8) 속에 삽입시킨 직후의 안구가 도시되어 있다. 제8도에는 본 발명의 렌즈(20)과 함께, 렌즈(20)의 고정수단으로 작용하기 위해 천공을 통해 렌즈상에 부착된 낭형백(8)의 전방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촉각형 지지체 부재(30) 및 (31)은 마찰, 겹눈질 및 기타 다른 동작에 의해 야기된 안구조직의 변형에 의해 이들이 광학소자를 향해 압착되는 경우에, 조직접촉부분(32) 및 (50)이 안구의 조직과 접촉하여 보다 넓게 뻗도록 특별히 고안되었다. 빔부분(38), (40), (52) 및 (54)가 점점 좁아지는 현상은 렌즈를 압착시킴으로써 가해지는 힘의 영향에서도 이들 빔부분이 상당히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빔부분으로부터 광학소자를 향해 나아갈때 천공평면이 보다 넓어지도록 하고 광학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이 보다 좁아지도록 하기 위한 지지체 부분의 좁아지는 현상은 우선적으로 굽는 영역을 제공하므로 광학축에 대해 통상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압착하는 경우에 렌즈가 뒤로 굽도록 하는 지지체부분의 좁은 부분에 힘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제9도에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렌즈가 도시되어 있다. 렌즈(20')은 촉각형 지지체(24') 및 (26')이 앞으로 구부러지기 보다는 오히려 광학축의 평면에 대해 통상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3도 및 4도에서 도시한 렌즈(20)의 촉각형 지지체(24) 및 (2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사한 촉각형 지지체(24') 및 (26')을 갖는다.
제10도에는 백(8) 속보다는 모양체구의 접촉하여 이식시킨 볼 발명의 렌즈(20)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광학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을 압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렌즈의 촉각형 지지체가 기울거나 비공축되기 보다는 오히려 붕괴되는 것처럼 뒤로 둥글게 굽는 경향이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렌즈를 매우 연질의 실리콘형태의 물질, 또는 하이드로겔과 같은 대등한 물질로 만들었으나, 렌즈가 안구의 통상적인 변형을 매우 유연한 광학소자에 전달함이 없이 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으며, 매우 연질의 유연한 렌즈를 고안하였다. 안구의 통상적인 변형은 특별히 고안된 천공된 촉각형 지지체에 전달되어 광학소자는 단지 최소의 변형을 갖고 안구의 적절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양태와 관련하여 기술하였다. 본 분야의 전문가들은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과 변형들이 바람직한 양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술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중앙 광 촛점부분 및 주위 말단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전방표면, 후방표면 및 광학축을 갖는 광학소자(optic) 및 광학소자를 안구내의 제위치에 지지시키기 위한, 광학소자의 대응 말단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천공된 촉각형 지지체 부재(fenestrated haptic support members)를 포함하며 ; 촉각형 지지체 각각에서 천공은 외부 말단 가장자리 및 내부 말단 가장자리를 갖고 제1 및 제2말단과 제1굴곡반경을 가지며 상기 광학소자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아치형의 조직 접촉 부분 ; 조직 접촉 부분의 제1말단으로부터 상기 광학소자를 향한 방향으로 전개된 통상 아치형의 제1빔(beam) 부분 ; 제1빔 부분을 상기 광학소자의 말단에 연결시키는 제1지지체 부분 ; 조직 접촉 부분의 제2말단으로부터 상기 광학소자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빔 부분의 호를 실질적으로 반사하는 통상 아치형의 제2빔 부분 ; 및 제1지지체 부분이 상기 광학소자의 말단에 연결된 지점과 별도로 원주방향으로 일정거리에 있는 지점에서 제2빔 부분을 광학소자의 말단에 연결시키는 제2지지체 부분을 포함하는 부재에 의해 한정되며 촉각형 지지체의 가장자리 주위에 연장되어 있으며 ; 광학축에 대해 통상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한, 제1 및 제2빔 부분 각각의 두께는 조직 접촉 부분으로부터 광학소자를 향해 뒤로 갈수록 증가하며 ; 촉각형 지지체에서의 천공평면에 통상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한 빔 부분 각각의 폭은 상기 조직 접촉 부분으로부터 광학소자 방향으로 향할수록 또한 증가하고 ; 광학축에 대해 통상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한 조직 접촉 부분의 두께는 촉각형 지지체의 천공평면에 대해 통상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한 조직 접촉 부분의 폭보다 큰 안내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천공평면에서 측정한 지지체 부분 각각의 폭이 광학소자의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빔 부분을 향할수록 좁아지며, 광학축에 대해 통상 평행한 방향에서 측정한 지지체 부분 각각의 두께는 광학소자로부터 상기 빔 부분으로 향할수록 증가하는 안내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부재중의 빔 부분 각각의 외부 말단 가장자리의 굴곡반경이 부재중의 지지체부분의 외부 말단 가장자리의 굴곡반경과 동일한 안내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부재중의 빔 부분 각각의 내부말단 가장자리의 굴곡반경과 외부말단 가장자리의 굴곡반경이 동일하나 각각은, 광학소자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조직 접촉 부분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천공평면에서 측정한 빔 부분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이한 굴곡중심으로부터 퍼지는 안내렌즈.
  5. 중앙 광 촛점부분, 주위 말단부분 및 광학축을 갖는 광학소자 및 광학소자의 대응 말단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천공된 촉각형 지지체 부재를 포함하며 ; 각각의 촉각형 지지체는 광학소자로부터 원거리에 있으며 제1 및 제2말단을 갖는 아치형 조직 접촉 부분(이때, 아치형 조직 접촉 부분은 제1굴곡반경을 갖는다) ; 조직 접촉 부분의 제1말단으로부터 광학소자 방향으로 연장된 통상 아치형의 제1빔 부분 ; 제1빔 부분을 광학소자의 말단에 연결하는 제1지지체 부분 ; 조직 접촉부분의 제2말단으로부터 광학소자를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제1빔 부분의 호를 실질적으로 반사하는 통상 아치형의 제2빔 부분 및 제1지지체 부분이 광학소자의 말단에 연결된 지점과 별도로 원주를 따라 일정거리에 위치한 지점에서 제2빔 부분을 광학소자의 말단에 연결시키는 제2지지체 부분을 포함하는 통상 아치형의 주위를 가지며 ; 지지체 부분과 빔 부분 부근의 아치형 주위의 반경이 동일하고 ; 조직 접촉 부분 부근이 아치형 주위 반경은 빔 부분 부근의 반경보다 실질적으로 작으며 ; 천공의 가장자리는, 조직 접촉 부분 부근의 촉각형 지지체 주위의 제1굴곡반경과 동일한 조직 접촉 부분 부근의 제1굴곡반경을 포함하며 천공평면에서 측정한 방향에서 조직접촉 부분을 가로지른 일정한 두께치수를 제공하도록 촉각형 지지체 말단의 굴곡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굴곡중심을 갖는 화합물 굴곡에 의해 형성되고 ; 빔 부분 부근의 천공측면의 굴곡반경은 빔 부근의 촉각형 지지체 주위의 굴곡 반경과 서로 동등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조직접촉 부분으로부터 상기 광학소자를 향해 진행함에 따라 천공평면에서 측정한 빔 부분을 가로지른 면적이 증가하도록, 조직 접촉 부분으로부터 광학소자 방향으로 갈수록 촉각형 지지체의 주위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만곡하며 ; 지지체 부분 부근의 천공의 굴곡반경은 조직 접촉 부분에서의 굴곡반경보다 매우 작거나 동등하며 빔 부분과 광학소자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며 ; 광학소자 부근의 천공의 굴곡반경은 상기 광학소자의 굴곡에 따르는 안내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촉각형 지지체 둘 모두가 광학소자로부터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되며, 이때 평면은 광학소자의 광학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안내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촉각형 지지체 각각이 광학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 대해 각이지게 연장된 안내렌즈.
  8. 제1항에 있어서, 빔 부분 각각의 두께가, 조직 접촉 부분으로부터 광학소자를 향해 뒤로 갈수록 광학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안내렌즈.
KR1019870006856A 1986-07-02 1987-07-01 연질 안내렌즈 KR960003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1,163 1986-07-02
US881163 1986-07-02
US06/881,163 US4704123A (en) 1986-07-02 1986-07-02 Soft intraocular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024A KR880002024A (ko) 1988-04-28
KR960003507B1 true KR960003507B1 (ko) 1996-03-14

Family

ID=2537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856A KR960003507B1 (ko) 1986-07-02 1987-07-01 연질 안내렌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04123A (ko)
EP (1) EP0255759B1 (ko)
JP (1) JP2588531B2 (ko)
KR (1) KR960003507B1 (ko)
AU (1) AU595338B2 (ko)
BR (1) BR8703346A (ko)
CA (1) CA1283503C (ko)
DE (1) DE3773293D1 (ko)
MX (1) MX169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S274829B2 (en) * 1988-08-04 1991-11-12 Ustav Makromolekularni Chemi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US4990159A (en) * 1988-12-02 1991-02-05 Kraff Manus C Intraocular lens apparatus with haptics of varying cross-sectional areas
US6197059B1 (en) * 1990-04-27 2001-03-06 Medevec Licensing, B.V. Accomodating intraocular lens
US6692525B2 (en) 1992-02-28 2004-02-17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US5405385A (en) * 1992-04-02 1995-04-11 Clemson University Intraocular lens with integrated means of fixation
FR2693649B1 (fr) * 1992-07-16 1994-10-14 Corneal Implant intra-oculaire souple.
US6322589B1 (en) * 1995-10-06 2001-11-27 J.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es with fixated haptics
US5366501A (en) * 1993-05-12 1994-11-22 Langerman David W Intraocular lens with dual 360 degree haptics
ATE454107T1 (de) 1993-08-27 2010-01-15 Nice Trust Akommodationsfähige intraokularlinse
EP1477138B1 (en) * 1995-02-15 2008-05-07 Medevec Licensing B.V.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having T-shaped haptics
US5800530A (en) * 1995-08-18 1998-09-01 Rizzo, Iii; Joseph Intra-ocular lens system including microelectric components
US20060149369A1 (en) * 1997-05-20 2006-07-06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Accommodating arching lens
US20050107875A1 (en) * 1997-05-20 2005-05-19 Eyeonics, Inc. Accommodating lens with haptics
US6129759A (en) * 1997-12-10 2000-10-10 Staar Surgical Company, Inc. Frosted haptic intraocular lens
US6324429B1 (en) 1998-05-08 2001-11-27 Massachusetts Eye And Ear Infirmary Chronically implantable retinal prosthesis
US6468306B1 (en) 1998-05-29 2002-10-22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OL for inhibiting cell growth and reducing glare
US6884262B2 (en) * 1998-05-29 2005-04-26 Advanced Medical Optics, Inc. Enhanced intraocular lens for reducing glare
US6461384B1 (en) * 1999-06-17 2002-10-08 Bausch & Lomb Incorporated Intraocular lenses
US6451056B1 (en) * 1999-08-09 2002-09-17 J. Stuart Cumming Lens for increased depth of focus
US6849091B1 (en) * 2000-05-19 2005-02-01 Eyeonics, Inc. Lens assembly for depth of focus
FR2819713B1 (fr) * 2001-01-25 2004-01-23 Corneal Ind Implant intraoculaire monobloc souple
ATE530144T1 (de) * 2002-03-15 2011-11-15 Ophtec Bv Intraokularlinse
US7179292B2 (en) 2002-03-15 2007-02-20 Ophtec B.V. Intraocular lens for implantation in an eye and instrument and methods for insertion of such a lens
US20040243232A1 (en) * 2002-09-13 2004-12-02 Eyeonics, Inc Lens for increased depth of focus
US20050125058A1 (en) * 2003-12-03 2005-06-09 Eyeonics, Inc. Accommodating hybrid intraocular lens
US7553327B2 (en) * 2003-12-04 2009-06-30 The Nice Trust, A Trust Of The Isle Of Man Accommodating 360 degree sharp edge optic plate haptic lens
US7794498B2 (en) * 2003-12-05 2010-09-14 Innolene Llc Ocular lens
US7615073B2 (en) 2003-12-09 2009-11-10 Advanced Medical Optics, Inc. Foldabl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king
JP4842835B2 (ja) 2003-12-09 2011-12-21 アボット・メディカル・オプ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り畳み式眼内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87621A1 (en) * 2004-02-24 2005-08-25 Brady Daniel G. Foldable unitary intraocular lens
US7771471B2 (en) 2005-05-13 2010-08-10 C & 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Floating opt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70093892A1 (en) * 2005-10-20 2007-04-26 Alcon Manufacturing, Ltd. Maintaining preoperative position of the posterior lens capsule after cataract surgery
US20080294254A1 (en) * 2005-12-06 2008-11-27 Cumming J Stuart Intraocular lens
US20070129803A1 (en) * 2005-12-06 2007-06-07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US7985253B2 (en) * 2005-12-07 2011-07-26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Hydrol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70129800A1 (en) * 2005-12-07 2007-06-07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Hydrol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981155B2 (en) * 2005-12-07 2011-07-19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Hydrol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837730B2 (en) * 2006-02-21 2010-11-23 C & C International Limited Floating opt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8377125B2 (en) * 2006-04-05 2013-02-19 Anew Optics, Inc. Intraocular lens with accommodation
US8163015B2 (en) 2006-07-25 2012-04-24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W”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763070B2 (en) * 2006-07-25 2010-07-27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W”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27539A1 (en) * 2006-07-25 2008-01-31 Cumming J Stuart "W"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27538A1 (en) * 2006-07-27 2008-01-31 Cumming J Stuart Polyspher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27540A1 (en) * 2006-07-31 2008-01-31 Cumming J Stuart Stabilize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46077A1 (en) * 2006-08-15 2008-02-21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Multiocular Intraocular Lens Systems
US20080281415A1 (en) * 2007-03-13 2008-11-13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Second elastic hing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90005866A1 (en) * 2007-03-13 2009-01-01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First elastic hing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288066A1 (en) * 2007-05-16 2008-11-20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Toric sulcus lens
US8480734B2 (en) 2007-12-27 2013-07-09 Anew Optics, Inc. Intraocular lens with accommodation
JP2010135732A (ja) 2008-08-01 2010-06-17 Asahi Glass Co Ltd Euvマスクブランクス用基板
JP5538420B2 (ja) 2008-11-26 2014-07-02 アニユー・オプテイ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眼内レンズ用ハプティックデバイス
US10010405B2 (en) 2008-11-26 2018-07-03 Anew Aol Technologies, Inc. Haptic devices for intraocular lens
US8734512B2 (en) 2011-05-17 2014-05-27 James Stuart Cumming Biase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8523942B2 (en) 2011-05-17 2013-09-03 James Stuart Cumming Variable focus intraocular lens
US9351825B2 (en) 2013-12-30 2016-05-31 James Stuart Cumming Semi-flexible posteriorly vaulted acrylic intraocular lens for the treatment of presbyopia
US9918830B2 (en) 2010-06-21 2018-03-20 James Stuart Cumming Foldable intraocular lens with rigid haptics
US10736732B2 (en) 2010-06-21 2020-08-11 James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 with longitudinally rigid plate haptic
US9295545B2 (en) 2012-06-05 2016-03-29 James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
US9585745B2 (en) 2010-06-21 2017-03-07 James Stuart Cumming Foldable intraocular lens with rigid haptics
US9295544B2 (en) 2012-06-05 2016-03-29 James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
US9295546B2 (en) 2013-09-24 2016-03-29 James Stuart Cumming Anterior capsule deflector ridge
US9615916B2 (en) 2013-12-30 2017-04-11 James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
TW201927263A (zh) 2017-12-18 2019-07-16 瑞士商諾華公司 觸覺力分佈得到改善的眼內透鏡平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714A (en) * 1877-12-25 Geoege uibel
US122556A (en) * 1872-01-09 Improvement in row-locks
US110848A (en) * 1871-01-10 Improvement in names-fastenings
US3711870A (en) * 1971-12-07 1973-01-23 R Deitrick Artificial lens implant
DE2556665C3 (de) * 1975-12-16 1978-08-03 Titmus Eurocon Kontaktlinsen Kg, 8750 Aschaffenburg Intraokulare künstliche Augenlinse
US4122556A (en) * 1977-03-23 1978-10-31 Stanley Poler Intra-ocular lens
US4110848A (en) * 1977-05-06 1978-09-05 Ronald P. Jensen Intraocular lens for implantation into the posterior chamber of a human eye
US4198714A (en) * 1977-05-06 1980-04-22 Jensen Ronald P Intraocular lens for implantation into the posterior chamber of a human eye
DE2725219A1 (de) * 1977-06-03 1978-12-14 Titmus Eurocon Kontaktlinsen K Intraokulare kuenstliche augenlinse
US4257130A (en) * 1979-08-27 1981-03-24 Bayers Jon Herbert Intraocular lens mechanism
US4573998A (en) * 1982-02-05 1986-03-04 Staar Surgical Co. Methods for implantation of deformable intraocular len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55759A1 (en) 1988-02-10
MX169099B (es) 1993-06-22
JP2588531B2 (ja) 1997-03-05
US4704123A (en) 1987-11-03
DE3773293D1 (de) 1991-10-31
EP0255759B1 (en) 1991-09-25
AU7501787A (en) 1988-01-07
CA1283503C (en) 1991-04-30
JPS6324937A (ja) 1988-02-02
AU595338B2 (en) 1990-03-29
BR8703346A (pt) 1988-03-15
KR880002024A (ko) 198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507B1 (ko) 연질 안내렌즈
EP0865261B1 (en) Single piece foldable intraocular lens
CA2361855C (en) Iris fixated intraocular lens and instrument for attaching same to an iris
US6454801B1 (en) Primary and supplemental intraocular lens system
US7462193B2 (en) Intraocular ring assembly and artificial lens kit
US6200342B1 (en) Intraocular lens with accommodative properties
US7354451B2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implant
US5476512A (en) Anterior capsular fixating lens for posterior capsular ruptures
US4215440A (en) Intraocular lens
US20060149369A1 (en) Accommodating arching lens
KR20040105813A (ko) 직조된 햅틱부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US20030204257A1 (en) Intraocular lens
US20020103535A1 (en) Intraocular lens for double-fold implantation
US20040034417A1 (en) Intraocular lens
KR0162655B1 (ko) 인공수정체
JP4198886B2 (ja) 前眼房内への眼内インプラント
US4664667A (en) Deformable intraocular lens
US4932967A (en) Intraocular lens implant
JP2011520573A (ja) 薄型眼球内レンズ
EP1502560B1 (en) Iris fixated intraocular lens
EP1303233A1 (en) Anatomically compatible posterior chamber phakic refractive lenses
KR100332235B1 (ko) 인공수정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