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450Y1 - 다용도 자 - Google Patents

다용도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450Y1
KR960003450Y1 KR2019930021828U KR930021828U KR960003450Y1 KR 960003450 Y1 KR960003450 Y1 KR 960003450Y1 KR 2019930021828 U KR2019930021828 U KR 2019930021828U KR 930021828 U KR930021828 U KR 930021828U KR 960003450 Y1 KR960003450 Y1 KR 960003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ine
main body
ruler
dott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181U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김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국 filed Critical 김진국
Priority to KR2019930021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450Y1/ko
Publication of KR9500111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1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9/00Circular curve-drawing or like instruments
    • B43L9/007Circular curve-drawing or like instruments with perforated or marked ru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L13/20Curve rulers or temp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9/00Circular curve-drawing or like instruments
    • B43L9/16Features common to compasses, dividers, and callipers
    • B43L9/24Means for mounting points or writing appliances on leg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용도 자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장공
3 : 장홈 4 : 비닐판
4a : 구멍 5 : 핀
6 : 중심공 6a : 구멍
7 : 탄성부재
본 고안은 다용도 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점선 또는 일점쇄선 및 이점쇄선을 빠른 시간내에 정확히 그릴 수 있음은 물론 작도시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을 그릴때는 자의 일측면에 필기구를 대고 필기구를 이동하여 선을 그리게 되는데, 종래에 점선을 그리고자 할때는 종이위에 자를 올려 놓고 필기구(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해서 작업자가 선의 길이와 간격 (점선, 일점쇄선, 이점쇄선인 경우)을 경험에 의해 작도하였다.
또한, 원을 그리고자 할때는 반드시 콤파스를 이용하여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가 선의 길이와, 선과 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서는 많은 숙련도 및 시간을 필요로 하였으므로 작업자의 눈이 쉽게 피로하게 되었으며, 원을 그리려고 할때는 작업도구가 많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점선 또는 일점쇄선 및 이점쇄선을 그릴때 필기구를 종이에서 떼지않고 한번에 그릴 수 있고 콤파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원을 그릴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의 일측에 일정간격의 구멍을 형성하여 구멍의 일직선상에 핀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본체의 다른 일직선상에는 장공을 형성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회전축 역할을 하는 핀을 복수개의 구멍중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고 본체의 일측 저면에는 장공보다 넓은 장홈을 장공과 중첩되게 길게 형성하여 상기 장홈에 일정간격의 구멍이 형성된 비닐판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자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 도면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 평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본체(1)의 상부면에 장공(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2)의 저면에는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장공보다 넓은 장홈(3)이 장공과 중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홈(3)에는 점선을 그리기 위한 다수개의 구멍(4a)이 형성된 비닐판(4)이 고정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제1도 및 제2도에서는 비닐판(4)에 점선을 그리기 위한 구멍(4a)을 형성하였으나, 상기 장홈(3) 및 장홈에 고정되는 비닐판(4)을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점선, 일점쇄선, 이점쇄선을 그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콤파스를 이용하지 않고 필기구를 이용하여 원을 그릴때 중심축역할을 하는 핀(5)을 삽입하기 위한 중심공(6)이 본체(1)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6a)중 중앙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중심공(6)의 상부에는 양면에 접착력을 갖는 탄성부재(7)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7)의 상부에는 핀(5)이 중심공(6)을 통해 본체(1)의 하부로 출몰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핀(5)을 자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한 이유는 제도시 핀을 손잡이로 하여 자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때 자의 무게중심이 일치되도록 하여 자를 보다 편리하게 위치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첨부도면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각도를 재는데 사용하는 분도기의 본체(1)상에 중심공(1a)을 기준으로 일정반경을 갖는 장공(2)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의 저면에는 장홈(3)을 형성하며 상기 장홈내에는 일정간격의 구멍(4a)이 형성된 비닐판(4)을 고정하면 콤파스를 이용하지 않고도 일정간격의 점선을 빠른시간내에 정확히 그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비닐판(4)에 형성되는 구멍(4a)을 점선이 아닌 일점쇄선이나 이점쇄선을 그릴 수 있게 형성할 경우에는 일점쇄선이나 이점쇄선을 그릴 수 있게 됨은 이해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체(1)의 기준선상에 형성된 중심공(1a)에 콤파스의 축(도시는 생략함)을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장공(2)의 길이방향 폭내에서 임의의 반지름을 갖는 점선, 일점쇄선, 이점쇄선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정확히 그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점선을 그리고자 할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에 형성된 장공(2)의 일측 끝단에 필기구를 위치시키고 길이 방향으로 선을 그으면 비닐판(4)에 형성된 구멍(4a)의 위치에만 선이 그어지고, 비닐판으로 폐쇄된 부분에는 선이 그어지지 않게 되므로 점선이 그려진다.
일점쇄선과 이점쇄선은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제4도와 같은 자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필기구를 해당 장공(2)에 위치하여 그어주기만 하면 된다.
또한, 자를 이용하여 원을 그리기 위해서는 그리고자 하는 종이(8)위의 중심점에 핀(5)의 중심을 위치시키고 핀(5)을 제3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핀(5)의 끝부분이 종이(8)에 꽂히게 되어 원의 작도시 중심축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그리고자 하는 원의 직경에 맞는 구멍(6a)에 필기구를 삽입하고 상기 필기구를 회전시키면 일정반지름(중심공으로 부터 필기구가 삽입된 구멍까지의 거리)을 갖는 원이 그려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원을 그리고 난 후 핀(5)으로 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7)의 복원력에 의해 핀(5)이 상승하여 중심공(6a)의 내부로 수용되므로 자의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에 형성된 장공(2)을 반원형상으로 하고, 상기 장공(2)의 저면에 위치된 장홈(3)내에 복수개의 구멍(4a)이 형성된 비닐판(4)을 부착하면 반지름이 다른 점선 또는 일점쇄선 및 이점쇄선을 그릴 수 있으며, 상기 장공(2)의 중심점에 형성된 중심공(1a)에 콤파스(도시는 생략함)의 축을 꽂은 다음 본체를 지지하고 회전시켜 반원을 그린 후 본체의 위치를 180° 변경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콤파스를 회전시키면 임의의 반지름을 갖는 점선 또는 일점쇄선 및 이점쇄선의 원을 그릴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점선 또는 일점쇄선 및 이점쇄선을 그릴때 필기구를 종이에서 떼지 않고도 빠른 시간내에 정확히 그릴 수 있게 됨을 물론 콤파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원을 그릴 수 있으며, 자의 위치이동시 자의 중심에 위치된 핀을 이용하게 되므로 자의 위치변동이 편리해지게 되는 등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정정) 본체(1)의 일측에 일정간격의 구멍(6a)을 형성하여 구멍의 일직선상에 핀(5)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본체의 다른 일직선상에는 장공(2)을 형성하도록 된 공지의 다용도 자에 있어서, 본체(1)의 일측 저면에는 장공(2)보다 넓은 장홈(3)을 장공과 중첩되게 길게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자.
  2. (삭제)
  3. (삭제)
KR2019930021828U 1993-10-22 1993-10-22 다용도 자 KR960003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828U KR960003450Y1 (ko) 1993-10-22 1993-10-22 다용도 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828U KR960003450Y1 (ko) 1993-10-22 1993-10-22 다용도 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181U KR950011181U (ko) 1995-05-15
KR960003450Y1 true KR960003450Y1 (ko) 1996-04-24

Family

ID=1936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828U KR960003450Y1 (ko) 1993-10-22 1993-10-22 다용도 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4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181U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1810A (en) Combination tape measure and straight edge apparatus
US5134784A (en) Measuring tape device
US4267638A (en) Protected pivot adjustable scaled compasses
JPS62195514A (ja) 長さ計測装置
KR960003450Y1 (ko) 다용도 자
US2621409A (en) Compass device
US4285489A (en) Stand for supporting a hand-held implement
US5029296A (en) Electrical gauge structure
US2934827A (en) Scribing device
US2594193A (en) Drafting instrument
US4355471A (en) Squareangle
US5628118A (en) Mini-drafting machine
US3052033A (en) Circle scriber
US2865106A (en) Geometrical measuring and drafting instrument
US2896328A (en) Portable drawing board
US3315361A (en) Folding beam compass
US3103070A (en) Beam compass
KR950005028Y1 (ko) 다기능 제도용 자
KR200197870Y1 (ko) 다기능 직선자
US3495334A (en) Handy curve-drawing device
US4010547A (en) Drafting machine
JP2000313196A (ja) 定 規
ATE232774T1 (de) Schneidinstrument für friseur
KR910001050Y1 (ko) 교습용 컴파스
KR880003333Y1 (ko) 다용도 작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