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50Y1 - 교습용 컴파스 - Google Patents

교습용 컴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50Y1
KR910001050Y1 KR2019880014437U KR880014437U KR910001050Y1 KR 910001050 Y1 KR910001050 Y1 KR 910001050Y1 KR 2019880014437 U KR2019880014437 U KR 2019880014437U KR 880014437 U KR880014437 U KR 880014437U KR 910001050 Y1 KR910001050 Y1 KR 910001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tool
fixed
compass
coupled
cir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4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757U (ko
Inventor
송성섭
Original Assignee
강영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득 filed Critical 강영득
Priority to KR2019880014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050Y1/ko
Publication of KR900004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9/00Circular curve-drawing or like instruments
    • B43L9/02Compasses
    • B43L9/04Beam com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9/00Circular curve-drawing or like instruments
    • B43L9/16Features common to compasses, dividers, and callipers
    • B43L9/24Means for mounting points or writing appliances on legs
    • B43L9/245Means for mounting points or writing appliances on legs for mounting centering element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습용 컴파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이동구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손잡이
3 : 각도기 4 : 고정침
5 : 흡착구 6 : 회전축
7, 7′ : 자대 8 : 이동구
9 : 협지구멍 10 : 협지구
11 : 조절나사 11′ : 고정나사
12, 12′ : 걸편 13, 13′ : 횡안내홈
14 : 핀 15 : 연결판
16 : 구멍 17, 17′ : 내면
18 : 이동공간
본 고안은 일측을 축으로하여 회전하는 자대에 이동구를 결합하여 임의의 원이나 부채꼴등을 작도할 수 있도록한 교습용 컴파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교습용 컴파스로서 두 개의 막대를 이용하여 일정한 원을 작도하는 것이 있었으나, 이것은 단번에 원을 작도할 수 없고 중심축이 움직이어서 정확한 원을 작도할 수 없으며, 또한 일정한 직경의 원을 작도하기 위해서는 매 사용시마다 일일이 자로 측정한 후 작도하거나 일정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야 하는 등 매우 번거로운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자대에 분필구멍을 다수 형성하여 원을 작도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 있었으나, 이것은 자대에 구멍을 미리 형성하고 그 구멍에 분필을 끼워 원을 작도함으로써 일정한 직경의 원만을 작도할 수 있고 임의의 직경의 원을 작도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손잡이를 축으로하여 각도기와 밀착구가 일체로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고, 대칭형으로 나란히 형성된 양 자대의 공간부에는 분필(또는 매직펜, 연필 등과 같은 필기구)을 잡아주는 이동구가 결합되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직선은 물론 필요한 직경이 원이나 2중원 또는 부채꼴 등을 작도할 수 있도록된 교습용 컴파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몸체(1)의 상부에는 손잡이(2)와 360도 눈금이 표시된 각도기(3)가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에 연하여 고정철(4)과 흡착구(5)가 결합되어 회전축(6)을 이루고, 몸체(1)로부터 평행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된 두 개의 자대(7)(7′)사이에는 이동구(8)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본 고안의 이동구(8)는 예시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형성된 협지구멍(9)내에 협지구(10)를 결합하여 일측의 조절나사(11)와 연동되도록 되며 협지구멍(9)의 일측에 고정나사(11′)가 설치되어 있고, 양측으로 걸편(12)(12′)이 형성되어 평행을 이루는 자대(7)(7′)의 내측으로 형성된 횡안내홈(13)(13′)이 결합되어 있다.
자대(7)(7′)의 다른 일단은 일측이 핀(14)으로 고정된 연결판(15)이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6은 몸체(1)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 17, 17′는 자대(7)(7′)의 내면, 18은 이동구(8)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은 몸체(1)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6)을 통하여 하단에 고정침(4)과 360도 눈금이 표기되어 있는 각도기(3)가 손잡이(2)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축(6)을 이루어 임의의 각도에 해당하는 원호를 자유롭게 작도할 수 있으며, 몸체(1)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평행을 이루는 자대(7)(7′)의 내면(17)(17′)에는 각각 횡안내홈(13)(13′)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동구(8)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자대(7)(7′)의 다른 일단은 핀(14)을 축으로 연결판(15)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동구(8)의 이동공간(18)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자대(7)(7′)의 내면(17)(17′)에 형성된 이동공간(18)내부에 필기구(분필, 연필, 싸인펜, 매직 등)를 협지하기 위한 이동구(8)를 안쪽으로 결합시키고자 할 때에는, 자대(7)(7′)의 일단을 밀폐시키면서 결합시키고 있는 연결판(15)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이동공간(18)을 개방한 후, 이동구(8)의 양 걸편(12)(12′)을 자대(7)(7′)의 횡안내홈(13)(13′)에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 넣고 연결판(15)으로 이동공간(18)을 밀폐시켜 양 자대(7)(7′)의 단부를 결합시키면 이동구는 이동공간(18)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동공간(18)내에 끼워져 있는 이동구(8)에 임의의 필기구(분필, 연필, 볼펜, 싸인펜, 매직 등)를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필기루를 협지구멍(9)에 끼운 후 조절나사(11)를 이용하여 협지구(10)를 필기구쪽으로 이동시켜 필기구를 협지하게 되는 것이다.
원의 작도시에는 작도하고자 하는 원의 반지름만큼 이동구(8)를 자대(7)(7′)의 내면(17)(17′)에 형성된 횡안내홈(13)(13′)을 따라 이동시킬 때에 자대(7)(7′)의 윗면에 표기되어 있는 평자(19)(19′)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자유로이 이동된 이동구(8)는 고정나사(11′)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이동공간(18)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으며 고정나사(11′)에 의해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동구(8)가 유설된 본 고안은 결합, 분리가 자유로운 흡착구(5)를 이동하여 매끄러운 회전축(6)을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흡착구(5)로 고정시키고, 매끄럽지 못하면, 즉 거친 면에 회전축(6)을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흡착구(5)를 회전축(6)으로부터 이탈시켜 돌출된 고정침(4)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임의의 원을 작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공간(18)내에 복수의 이동구(8)를 설치할 경우 자대(7)(7′)를 한번 회전시켜도 설치되어 있는 이동구(8)의 수만큼 동심원을 작도할 수 있으며, 손잡이(2)와 일체로 형성된 각도기에 의해 일정각도의 부채꼴(3)을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몸체(1)의 중앙부에 손잡이(2)와 각도기(3)가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에 연하여 고정침(4)이 형성되면서 흡착구(5)가 씌워져 회전축(6)을 이루고 몸체(1)로부터 평행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된 두 개의 자대(7)(7′)사이에는 이동구(8)가 끼워져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교습용 컴파스.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구(8)는 중앙부에 형성된 협지구멍(9)내에 협지구(10)를 위치시켜 일측의 조절나사(11)와 연동되고 협지구멍(9)의 양측으로 걸편(12)(12′)이 형성되면서 일측에 고정나사(11′)가 설치된 교습용 컴파스.
  3. 제1항에 있어서 자대(7)(7′)는 내면(17)(17′)에 횡안내홈(13)(13′)을 형성하고, 상면에 눈금이 새겨진 평자(19)(19′)가 부착되며 몸체(1)와 대향되는 끝부분은 핀(14)으로 고정된 연결판(15)으로 결합된 교습용 컴파스.
KR2019880014437U 1988-08-31 1988-08-31 교습용 컴파스 KR910001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4437U KR910001050Y1 (ko) 1988-08-31 1988-08-31 교습용 컴파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4437U KR910001050Y1 (ko) 1988-08-31 1988-08-31 교습용 컴파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757U KR900004757U (ko) 1990-03-07
KR910001050Y1 true KR910001050Y1 (ko) 1991-02-21

Family

ID=1927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4437U KR910001050Y1 (ko) 1988-08-31 1988-08-31 교습용 컴파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0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757U (ko) 1990-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7247B1 (en) Protractor with an auxiliary ruler
US2637110A (en) Drafting instrument
KR910001050Y1 (ko) 교습용 컴파스
US2728989A (en) Combination tool
US5226238A (en) Infinite square
US3781995A (en) Compasses
US4355471A (en) Squareangle
KR100618031B1 (ko) 다기능 작도기
US4734992A (en) Drawing instrument
US2631376A (en) Geometrical instrument
CN209616739U (zh) 一种多功能教具
US2549950A (en) Combination protractor and level
US2879596A (en) Ellipsograph
US4532714A (en) Adjustable radial curve
US3343265A (en) Drafting instrument
US4010547A (en) Drafting machine
US2981004A (en) Draftsman's perspective instrument
CN217671911U (zh) 一种教学尺
US2031920A (en) Geometric tool
US1307076A (en) Combination drawing- and measuring instrument
US2529640A (en) Desk or pocket bevel
JPH01171995A (ja) 物差し兼用コンパス
CN87101527A (zh) 游标式多用绘图仪
US2144604A (en) Combined protractor and trammel instrument
CN112248693A (zh) 一种数学教学用组合式绘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