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412Y1 -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412Y1
KR960003412Y1 KR2019930013886U KR930013886U KR960003412Y1 KR 960003412 Y1 KR960003412 Y1 KR 960003412Y1 KR 2019930013886 U KR2019930013886 U KR 2019930013886U KR 930013886 U KR930013886 U KR 930013886U KR 960003412 Y1 KR960003412 Y1 KR 960003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ompressor
refrigerant
pressure
bi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083U (ko
Inventor
노철기
Original Assignee
Lg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g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Lg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3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412Y1/ko
Publication of KR950004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4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8Actuation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
제1도는 종래 흡입장치를 장착한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 고안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그래프로서
a도는 압축기를 기동시작한 후 흡입압력의 변화도.
b도는 압축기를 기동시작한 후 냉매순환량의 변화도.
제3도는 본 고안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 흡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도는 흡입소음기의 단면도.
b도는 제3a도의 A-A'선 단면도.
c도는 유동제어수단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도는 압축기가 동작하기 시작할 때의 상태도.
b도는 제4a도의 B-B'선 단면도.
c도는 압축기가 정상상태로 동작할 때의 상태도.
d도는 제4c도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흡입튜브 4 : 흡입소음기
101 : 원추형밸브 102 : 바이메탈
103 : 볼트부 104 : 사각넛트
105 : 스폿용접부
본 고안은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의 기동시 냉매의 과대흡입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와 그 주변부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의 밀폐용기(1)안으로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구(2)와 상기 흡입구가 흡입한 밀폐용기안의 냉매를 재차 흡입하는 흡입튜브(3)와 상기 흡입튜브로 유입된 냉매가스의 소음 및 고온상승을 방지하는 흡입소음기(4)와 상기 흡입소음기에서 나온 냉매가스를 실린더블럭(5)내에서 압축시키는 피스톤(6)과 상기 피스톤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며 발생되는 소음을 막는 토출소음기(7)와 상기 토출소음기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응축부로 토출하는 토출관(8)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흡입소음기(4)에서 토출된 냉매가 실린더블럭(5)으로 가는 동안에는 제1흡입포트(9)와 흡입실(101) 및 제2흡입포트(11)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럭(5)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 토출소음기(7)로 가는 동안에는 제1토출포토(12), 토출실(13), 제2토출포트(14)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15, 16은 냉매의 흐름에 방향성을 주고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흡입밸브와 토출밸브이다.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는 냉장고 등에 사용되는데 냉장고안의 온도가 일정 이하로 떨어지면 압축기는 정지하여 냉장고안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하게 한다.
압축기가 정지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외부의 열이 냉장고 안으로 전도된다.
그리고, 열전도에 의해 냉장고안의 온도가 상승하면 밀폐형 압축기가 다시 동작하여 냉장고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압축기의 정지, 가동과정의 반복에 있어서 압축기가 정지후 다시 기동될때까지의 시간동안 토출압력이 흡입부쪽으로 전달되어 압력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흡입부의 압력이 압축기가 가동될때의 안정 압력에 비해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부의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압축기가 가동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블럭(5)과 피스톤(6)에 의해 흡입되는 저운가스냉매가 정상상태(steady state)에 비해 많이 들어오는데, 이로 인해 압축기가 가동 후 얼마까지는 과로운전이 되어 소음이 높아지고 초기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압축기의 기둥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의 흡입부에 내앰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수단을 취부하여 기동시 냉매의 과대흡입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튜브(3)의 유로단면적을 조절하는 원추형밸브(101)와 상기 원추형밸브를 가동시키는 바이메탈(102)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원추형밸브에는 볼트부(103)가 형성되어 있어 사각넛트(104)에 의하여 바이메탈(102)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102)은 스폿용접에 의하여 흡입소음기(4)에 고정되므로 제3a도에는 스폿용접점(105)이 형성된다.
그리고, 여타의 부분은 기존의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와 동일하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부호를 변경없이 사용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는 냉장고가 정지된 후 다시 기동될때, 흡입부의 높은 압력에 의해 실린더블럭(5)내부로 저온저압의 가스냉매가 많이 유입되지 않도록 원추형밸브(101)가 흡입튜브(3)의 구멍을 막아준다.
이때는 제4a,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밸브(101)가 바이메탈(102)의 평형상태에 있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흡입튜브(3)의 유로 단면적이 줄어듬과 동시에 유로저항이 커져서 냉매유입량을 적게 하는 것이다.
일정시간동안 압축기가 가동되면 압축기의 압축된 고온고압의 가스냉매의 열이 금속으로 되어 있는 흡입소음기(4)로 전달되어 바이메탈(102)이 늘어나게 된다.
이때, 제4c, 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밸브(101)는 흡입튜브(3)에서 멀어지게 되어 흡입튜브(3)의 실면적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정상상태의 운전을 지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압축기의 기동시 낮은 온도에 비해 바이메탈(102)이 일직선으로 유지되고 동시에 원추형밸브(101)가 유동저항을 크게 하여 높은 흡입압력에 의한 과대 냉매흡입을 방지한다.
또한, 압축기 운전이 진행되면서 고온의 토출 가스냉매를 위해 원추형밸브(101)가 열리게 되는데, 이때는 이미 압축기의 저압축이 낮아있는 상황이므로 냉매량을 최대한 많이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을 압축기의 기동시부터 안정시까지 압축기 온도, 저압축 압력, 원추형밸브의 열림정도 그리고, 냉매 순환량은 제2도와 같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냉매순환량을 일정하기 하여 압축기의 기동시의 소음저감, 압력저감, 기동성능을 향상시켜 압축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2)

  1.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부에 기동시 냉매의 과대흡입을 방지하게 위하여 흡입부의 소음기에 구성된 바이메탈과, 상기 바이메탈의 중심부위에 너트로 고정되면서 흡입튜브내에 적당하게 삽입되는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는 원추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
KR2019930013886U 1993-07-24 1993-07-24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 KR960003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886U KR960003412Y1 (ko) 1993-07-24 1993-07-24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886U KR960003412Y1 (ko) 1993-07-24 1993-07-24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83U KR950004083U (ko) 1995-02-17
KR960003412Y1 true KR960003412Y1 (ko) 1996-04-23

Family

ID=1935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886U KR960003412Y1 (ko) 1993-07-24 1993-07-24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4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83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605B1 (ko) 배압챔버로제어된유체를배출하는스크롤압축기
RU2528215C2 (ru) Всасыв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холодильного компрессора
US4026122A (en) Refrigeration system
KR100461231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KR960003412Y1 (ko)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
CN114412795B (zh) 增焓结构、压缩机以及具有其的空调器
US200800347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apacity self-modulation in a comrpessor
JP3481243B2 (ja) 小型冷凍システム用始動装置
JP6556372B1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370025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진공 방지장치
JPS6349573Y2 (ko)
KR100565520B1 (ko) 리니어 압축기가 구비된 냉동 사이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1269865A (ja) 冷凍装置
WO2007128713A1 (en) A compressor
JPH0335890Y2 (ko)
KR0136117Y1 (ko) 밀폐형 회전압축기의 토출밸브구조체
KR20080045558A (ko) 밀폐형 압축기
JPS62111178A (ja) 圧縮機
KR100789335B1 (ko) 소형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 및 배출 밸브 장치
KR0134144Y1 (ko) 왕복동형 압축기
JPH05172077A (ja) 冷媒圧縮機
KR200317644Y1 (ko)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KR0133386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토출장치
KR20030018545A (ko) 압축기의 고효율 밸브조립체
KR19980068443U (ko) 흡입머플러의 안착구조를 갖는 밸브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