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280Y1 -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280Y1
KR960003280Y1 KR2019930014876U KR930014876U KR960003280Y1 KR 960003280 Y1 KR960003280 Y1 KR 960003280Y1 KR 2019930014876 U KR2019930014876 U KR 2019930014876U KR 930014876 U KR930014876 U KR 930014876U KR 960003280 Y1 KR960003280 Y1 KR 960003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screw member
plate
hinge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485U (ko
Inventor
강세남
Original Assignee
강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세남 filed Critical 강세남
Priority to KR2019930014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280Y1/ko
Publication of KR950005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4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3Inclination adjustable wor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경사조절장치가 장착된 독서실용 책상판을 나타낸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경사조절장치가 동작되어 책상판이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힌지수단, 스크류부재 및 핸들절첩수단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스프류부재, 잭수단 및 책상판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책상본체 2, 3 : 좌측 및 우측판
5 : 지지판 20 : 힌지 수단
21: 고정축 22 : 연결파이프
23 : 고정브라켓 30, 31 : 제1 및 제2책상판
40 : 스크류부재 50 : 핸들절첩수단
51 : 압축스프링 52 : 캡부재
53 : 힌지핀 54 : 레버
55 : 핸들 60 : 잭수단
61 : 이동부재 62 : 너트
63 : 고정부재 64, 69 : 제1 및 제2힌지축
65, 67 : 제1 및 제2고정브라켓 66, 68 : 제1 및 제2작동편
70, 72 : 제1 및 제2연결핀 71, 73 : 제1 및 제2보조작동편
본 고안은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상판을 결사조절장치로써 소정의 각도로 동작시켜 신체조건 및 사용목적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독서실용 책상판은, 수평 또는 경사지게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왔기 때문에 책상판을 이용하여 공부 및 작업을 할때 쉽게 피로가 발생되어 사용상에 불편함이 뒤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신체조건 및 사용목적에 따라 책상판을 임의의 각도로 경사조절시켜주므로써 공부 및 작업을 할때 피로감을 덜느끼게하여 줌과 동시에 사용상에 편리성을 부여하도록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는, 좌측판과 우측판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좌우측에 끼워맞춤된 2개의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에 고정되며 스크류부재의 공회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책상판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을 갖는 힌지수단과; 상기 힌지수단에 의해 힌지되며 후측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조절되는 제1 및 제2책상판과; 상기 힌지수단에 회전가능케 장착된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책상판을 경사조절시키는 잭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경사조절장치가 장착된 독서실용 책상판을 나타낸 전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경사조절장치가 동작되어 책상판이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경사조절 장치에 있어서 힌지수단, 스크류부재, 핸들절첩수단, 잭수단 및 책상판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책상본체(1)는 좌측판(2)과 우측판(3)의 사이에 대해 상측과 하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판(4)과 지지판(5)이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책상본체(1)는 좌우측판(2)(3)을 통하는 다수개의 고정나사(6)에 의해 나사결합되고, 상판(4)과 지지판(5)의 사이에 대해 중앙에는 책상본체(1)를 2인용 책상으로 분할시키도록 중간측판(7)이 수직되게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그 상하단이 상기 상판(4)과 지지판(5)을 통하는 다수개의 고정나사(6)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판(4)과 지지판(5)과의 사이에는 그 양단이 상기 좌우측판(2)(3)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그 중앙은 상기 중간측판(7)을 관통하도록 끼워 맞춤된 상부선반대(8)와 하부선반대(9)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선반대(8)와 하부선반대(9)의 사이에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개폐가능케 2개의 여닫이식 도어(10)가 힌지축(11)을 삽설하여 피봇가능하게 되어 힌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판(2)과 우측판(3)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판(5)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에는 좌우측판(2)(3)을 통하는 다수개의 고정나사(6)에 의해 양단이 나사결합되도록 된 발판(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측판(2)과 우측판(3)의 사이내측면과, 중간측판(7)의 후측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나사(6)에 의해 후측판(13)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하부선반대(9)의 하부에는 라디오와 테이프레코더 및 조명등으로 이루어진 패널(14)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한편,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좌측판(2)과 우측판(3)의 사이에서 지지판(15)의 상부측에 장착된 힌지수단(20)과, 상기 힌지수단(20)에 의해 후측이 상하경사조절되도록 힌지수단(20)의 상부에 장착된 제1 및 제2책상판(30)(31)과, 상기 힌지수단(20)에 의해 회전가능케 장착된 스크류부재(40)와, 상기 스크류부재(40)의 선단에 장착된 핸들절첩수단(50)과,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2책상판(30)(31)을 경사 조절시키도록 제1 및 제2책상판(30)과 후측판(13)에 장착된 잭수단(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수단(20)은 상기 좌측판(2)과 우측판(3)과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고정축(21)과, 상기 고정축(21)의 좌우측에 끼워맞춤된 2개의 연결파이프(22)와, 상기 연결파이프(22)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부재(40)의 공회전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책상판(30)(31)에 고정된 고정브라켓(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23)은 그 수직부에 상기 스크류부재(40)가 통과되도록 관통구멍(2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수직부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구멍(23a)과 동심을 이루는 관통구멍(부호도시 안됨)이 형성된 공회전유도부재(24)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핸들절첩수단(50)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부재(40)의 선단에 끼워진 압축스프링(51)과, 상기 압축스프링(51)을 압축시키도록 상기 스크류부재(40)에 끼워진 캡부재(52)와, 상기 캡부재(52)와 강압적으로 면접촉되도록 상기 스크류부재(40)에 고정핀(53)을 매개로 절첩가능케 장착된 레버(54)와, 상기 레버(54)의 끝단에 장착된 핸들(5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레버(54)는 그 형상이 "ㄴ"자형으로 형성되며, 그 전단은 상기 스크류부재(40)와 연결되고, 그 후단은 핸들(55)과 연결된다.
잭수단(60)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크류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전,후작동되는 이동부재(61)와,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후단에 너트(62)를 매개로 고정된 고정부재(63)와, 상기 이동부재(61)의 양측면에 제1힌지핀(64)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일측단이 힌지되며 타측단은 상기 제1 및 제2책상판(30)(31)에 제1고정브라켓(65)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힌지된 제1작동편(66)과, 상기 이동부재(61)의 양측면에 제1힌지축(64)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일측단이 힌지되며 타측단은 상기 후측판(13)에 제2고정브라켓(67)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힌지된 제2작동편(68)과, 상기 고정부재(63)의 양측면에 제2힌지축(69)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일측단이 힌지되며 타측단은 상기 제1작동편(66)의 중앙에 제1연결편(70)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연결된 제1보조작동편(71)과, 상기 고정부재(63)의 양측면에 제2힌지축(69)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일측단이 힌지되며 타측단은 상기 제2작동편(68)의 중앙에 제2연결핀(72)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연결된 제2보조작동편(7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1작동편(66)과 제2작동편(68)은 스크류부재(40)를 중심으로 상하측에 경사지게 대칭으로 설치되어, 동시에 작동되면서 그들 중앙에 제1 및 제2연결핀(70)(72)을 매개로 회동자재케 연결된 제1 및 제2보조작동편(71)(73)을 작동시켜 주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실선으로 도시된 수평상태(예컨대, 작동선상태)의 제1 및 제2책상판(30)(31)을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경사상태(예컨대, 작동후 상태)로 경사조절시키려면, 먼저 제3도에 도시한 이점쇄선상태의 핸들절첩수단(50)을 모우멘트 작용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스크류부재(40)을 회전시켜 줌으로써 스크류부재(40)의 후단에 장착된 잭수단(60)을 작동시켜 주면 된다. 즉, 핸들절첩수단(50)을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예컨대, 사용치 않을 경우 절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된 (P)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레버(54)가 스크류부재(40)에 매개된 힌지핀(53)을 중심으로 90° 회전되면서 그 선단이 압축스프링(51)의 탄발력에 의해 탄발지지된 캡부재(52)와 면접촉됨으로써 이점쇄선방향으로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54)의 끝단에 장착된 핸들(55)을 모우멘트작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54)와 힌지핀(53)을 매개로 힌지된 스크류부재(40)가 동시에 회전되어 그 스크류부재(40)의 후단에 나사결합된 잭수단(60)의 이동부재(61)가 고정부재(63)를 향하여 좁혀지도록 후진이동시켜주므로써 이동부재(61)의 양측면에 제1힌지축(64)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힌지된 제1 및 제2작동편(66)(68)이 스크류부재(4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제1 및 제2책상판(30)(31)의 후측을 상방향으로 상승시켜줌에 따라 제1 및 제2책상판(30)(31)은 일정한 경사각으로 경사조절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작동편(66)(68)은 그 중앙에 일측이 제1 및 제2연결핀(72)을 매개로 힌지됨과 동시에 타측이 제2힌지축(69)을 매개로 고정부재(63)에 힌지되도록 된 제1 및 제2보조작동편(71)(72)의 지렛대작용에 의해 받쳐지게 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작동편(66)(68)은 임의의 각도로 조절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책상판(30)(31)의 경사조절을 변형됨이 없이 견고히 받쳐주게 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보조작동편(71)(73)은 제1 및 제2작동편(66)(68)이 전후작동될때 동시에 연동되면서 임의의 경사각도로 조절된 제1 및 제2작동편(66)(68)을 견고히 받쳐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책상판(30)(31)은 그 후측이 상하방향으로 작동되어 경사조절될때 그 전축은 좌측판(2), 중간측판(7) 및 우측판(3)을 관통하는 고정축(21)에 끼워맞춤된 고정브라켓(23)에 힌지되어 회동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에 의하며, 책상판의 하부에 설치된 힌지수단, 스크류부재, 핸들절첩수단 및 잭수단에 의해서 책상판을 신체조건 및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손쉽게 경사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책상판에서 공부 및 작업을 할때 피로감을 덜느끼게 하여 줌과 동시에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부여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좌측판(2)과 우측판(3)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고정축(21)과, 상기 고정축(21)의 좌우측에 끼워 맞춤된 2개의 연결파이프(22)와, 상기 연결파이프(22)에 고정되며 스크류부재(40)의 공회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책상판(30)(31)에 고정된 고정브라켓(23)을 갖는 힌지수단(20)과; 상기 힌지수단(20)에 의해 힌지되며 후측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조절되는 제1및 제2책상판(30)(31)과; 상기 힌지수단(20)에 회전가능케 장착된 스크류부재(40)와;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책상판(30)(31)을 경사조절시키는 잭수단(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절첩수단(50)은 상기 스크류부재(40)의 선단에 끼워진 압축스프링(51)과, 상기 압축스프링(51)을 압축시키도록 상기 스크류부재(40)에 끼워진 캡부재(52)와, 상기 캡부재(52)와 강압적으로 면접촉되도록 상기 스크류부재(40)에 고정핀(53)을 매개로 절첩가능케 장착된 레버(54)와, 상기 레버(54)의 끝단에 장착된 핸들(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잭수단(60)은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전후작동되는 이동부재(61)와,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후단에 너트(62)를 매개로 고정된 고정부재(63)와, 상기 이동부재(61)의 양측면에 제1힌지핀(64)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일측단이 힌지되어 또한 타측단은 상기 제1 및 제2책상판(30)(31)에 제1고정브라켓(65)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힌지된 제1작동편(66)과, 상기 이동부재(61)의 양측면에 제1힌지축(64)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일측단이 힌지되며 또한 타측단은 상기 후측판(13)에 제2고정브라켓(67)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힌지된 제2작동편(68)과, 상기 고정부재(63)의 양측면에 제2힌지축(69)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일측단이 힌지되며 또한 타측단은 상기 제1작동편(66)의 중앙에 제1연결핀(70)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연결된 제1보조작동편(71)과, 상기 고정부재(63)의 양측면에 제2힌지축(69)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일측단이 힌지되며 또한 타측단은 상기 제2작동편(68)의 중앙에 제2연결핀(72)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연결된 제2보조작동편(7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
KR2019930014876U 1993-08-03 1993-08-03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 KR960003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876U KR960003280Y1 (ko) 1993-08-03 1993-08-03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876U KR960003280Y1 (ko) 1993-08-03 1993-08-03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485U KR950005485U (ko) 1995-03-20
KR960003280Y1 true KR960003280Y1 (ko) 1996-04-19

Family

ID=1936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876U KR960003280Y1 (ko) 1993-08-03 1993-08-03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2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485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460B1 (en) Keyboard support adjusting device
JP2505458B2 (ja) ガス圧ばねを備えた高さ調節可能な回転椅子
US4832419A (en) Adjustable display panel for portable computer
JP2791708B2 (ja) 椅子、特に作業用または事務用の椅子
US5503361A (en) Adjustable stand device
US6076785A (en) Ergonomic sit/stand keyboard support mechanism
US4640547A (en) Adjustable swivel chair
US5287815A (en) Computer workstation
JPS63280292A (ja) 支持構体
AU2921089A (en) Ergonomic chair having the seat at a varying position
US4682815A (en) Chair
AU5855286A (en) Chair with pivot across seat
US7685831B2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of refrigerator
CA2319498A1 (en) Multi-position chair control mechanism for synchronously adjusting the seat and backrest of a chair
JPH07507957A (ja) 座家具
JPH0734771B2 (ja) 座家具
US5368377A (en) Flip-top computer workstation
KR870011526A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용 경사장치
KR960003280Y1 (ko) 독서실용 책상판의 경사조절장치
US4067610A (en) Chair control mechanism
US5074221A (en) Lift mechanism for tiltable worksurface
KR200280389Y1 (ko) 컴퓨터 작업용 암레스트 장치
JPH0418429Y2 (ko)
GB2264862B (en) A chair tilting mechanism
JPH012711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