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224B1 -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224B1
KR960003224B1 KR1019920024195A KR920024195A KR960003224B1 KR 960003224 B1 KR960003224 B1 KR 960003224B1 KR 1019920024195 A KR1019920024195 A KR 1019920024195A KR 920024195 A KR920024195 A KR 920024195A KR 960003224 B1 KR960003224 B1 KR 960003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atm
block
receiving
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443A (ko
Inventor
전종암
이숭희
신영석
최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2002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224B1/ko
Publication of KR94001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셀 정합부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셀 정합부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전달블럭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수신블럭의 구성도.
제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지셀 생성블럭의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셀 분류블럭의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기반 물리계층 송신셀 정합부의 처리 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기반 물리계층 수신셀 정합부의 처리 흐름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DH 기반 물리계층 송신셀 정합부의 처리 흐름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DH 기반 물리계층 수신셀 정합부의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TM셀 전달블럭 2 : OAM셀 전달블럭
3 : 휴지셀 생성블럭 4 :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
5 : 멀티 플렉서 6 : 수신셀 분류블럭
7 :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 8 : OAM셀 수신블럭
9 : ATM셀 수신블럭
본 발명은 ATM 프로토콜의 하부기반을 담당하는 물리계층의 기능중 핵심 기능인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속 통신망의 경우 동기식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정보전송을 수행하며, 이 경우 새로운 서비스의 수용에 유연성이 떨어지며 통신망의 자원활용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통신 기술의 발전과 통신망 사용자의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 요구 및 통신망 자원 활용의 유연성 및 효율성을 위하여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이 도래하게 되었으며,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은 ATM 프로토콜을 근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CCITT에서 표준화된 SDH 기반의 물리계층과 셀 기반의 물리계층 구조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물리계층의 기반구조에 상관 없이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인 ATM 스위치, ATM망 종단장치 및 ATM 단말 정합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는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TM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셀을 버퍼링하고 있다가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ATM셀 전달블럭, 물리계층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OAM(Operation And Maintenance)셀을 버퍼링하고 있다가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OAM셀 전달블럭, 전달된 ATM셀과 물리계층 OAM셀이 없을 경우 제어신호에 따라 휴지셀을 전달하는 휴지셀 생성블럭, 송신부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 및 상기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ATM셀, OAM셀, 휴지셀을 다중화하는 멀티플렉서(5)를 구비하는 송신셀 정합부와, 수신셀의 종류 분류 및 전달 기능을 제공하는 수신셀 분류블럭, 수신부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 상기 수신셀 분류블럭에 연결되어 분류된 OAM셀을 저장하고 있다가 물리계층 관리부로 전달하는 OAM셀 수신블럭 및 상기 수신셀 분류블럭에 연결되어 분류된 ATM셀을 저장하고 있다가 ATM 계층으로 전달하는 ATM셀 수신블럭을 구비하는 수신셀 정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셀 정합부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ATM셀 전달블럭, 2는 OAM셀 전달블럭, 3은 휴지셀 생성블럭, 4는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 5는 멀티플렉서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TM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ATM셀을 버퍼링하고 있다가 적절한 제어신호를 받아 전달하는 ATM셀 전달블럭(1), 물리계층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OAM셀을 버퍼링하고 있다가 적절한 제어신호를 받아 전달하는 OAM셀 전달블럭(2), 전달될 ATM셀과 물리계층 OAM셀이 없을 경우 본 시스템의 클럭 발생부에서 생성된 클럭신호(Byte_clk, Cell_clk, HDR_clk)를 입력받아 휴지셀을 생성하는 휴지셀 생성블럭(3), 상기 ATM 계층과 물리계층 관리부로부터 물리계층 데이타 송신요구 신호(PHYDATA_REQ), OAM셀 데이타 송신요구 신호(OAM_DATA_REQ)를 인가받아 송신부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과, 상기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세 종류의 셀을 다중화하는 멀티플렉서(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ATM셀 전달블럭(1)은 ATM 계층으로부터 물리계층으로 송신할 데이타가 있음을 알리는 물리계층 데이타 송신요구 신호(PHY_DATA_REQ)를 입력받고, 본 시스템의 클럭 발생부에서 생성된 바이트 클럭(Byte_clk)과 셀 클럭(Cell_clk)에 의해 ATM셀 데이타(ACD[7 : 0])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여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의 제어신호(S0)에 의해 멀티플렉서(5)로 출력한다. OAM셀 전달블럭(2)은 상기 ATM셀 전달블럭(1)과 마찬가지로 물리계층 관리부로부터 OAM 데이타 송신요구 신호(OAM_DATA_REQ)를 입력받고, 바이트 클럭(Byte_clk)과 셀 클럭(Cell_clk)에 의해 OAM셀 데이타(OCD[7 : 0])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여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의 제어신호(S1)에 의해 멀티플렉서(5)로 출력한다. 휴지셀 생성블럭(3)은 ATM 계층으로부터 ATM셀이나 물리계층 관리부로부터 OAM셀을 전송하기 위한 요구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본 시스템의 클럭 발생부에서 생성된 헤더 클럭(HDR_clk), 바이트 클럭, 셀 클럭에 의해 휴지셀을 생성하여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의 제어신호(S2)에 의해 멀티플렉서(5)가 제어되어 휴지셀을 출력한다.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은 ATM 계층으로부터 물리계층 데이타 송신요구 신호와 물리계층 관리부의 OAM셀 데이타 송신요구 신호를 입력받고, 바이트 클럭과 셀 클럭을 입력받아 ATM셀 전달블럭(1)과 OAM셀 전달블럭(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ATM셀 데이타와 OAM셀 데이타를 출력하게 하고, 멀티플렉서(5)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ATM셀 전달블럭(1)과 OAM셀 전달블럭(2) 및 휴지셀 생성블럭(3)의 출력을 다중화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SDH 기반의 물리계층의 경우 오버헤드 물리계층의 경우 OAM 정보가 SDH 프레임의 오버헤드를 통하여 전달되므로 송신부의 OAM셀 전달블럭(2)을 삭제하고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중 일부 기능을 변경함으로서 그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셀 정합부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6은 수신셀 분류블럭, 7은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 8은 OAM셀 수신블럭, 9는 ATM셀 수신블럭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부는 다중화된 수신셀의 흐름으로부터 ATM셀, 물리계층 OAM셀, 휴지셀을 추출하는 기능 제공 및 수신셀의 헤더에러로 인하여 상위계층으로 전달될 수 없는 폐기셀인 경우 이를 폐기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신셀의 종류 분류 및 전달 기능을 제공하는 수신셀 분류블럭(6), 수신부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 분류된 OAM셀을 저장하고 있다가 적절한 시점에 물리계층 관리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OAM셀 수신블럭(8), 분류된 ATM셀을 저장하고 있다가 적절한 시점에 ATM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ATM셀 수신블럭(9)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수신셀 분류블럭(6)은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의 쓰기 제어신호(/WR)에 의해 셀 흐름 데이타(CUD[7 : 0])를 입력받아 저장하여 수신된 셀을 분류하여 ATM셀이면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에 ACD(ATM Cell Data)를 OAM셀이면 OCD(OAM Cell Data)를 출력한다. 또한 휴지셀이나 수신셀의 에러상태를 알리는 ERR_Cell이 입력되면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에 ICD(Idle Cell Data)를 출력한다. 수신셀 분류블럭(6)은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의 읽기 제어신호(/RD)가 입력되면 저장하였던 셀 데이타(CUD[7 : 0])를 OAM셀 수신블럭(8)이나 ATM 셀 수신블럭(9)으로 출력한다.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은 셀 데이타를 읽기 위한 셀 클럭(Cell_clk)과 셀 데이타 입력 클럭인 CDEL_clk와 추적상태 보고신호 및 셀 흐름 데이타(CUD : Cell Up stream Data)를 입력받아 수신셀 분류블럭(6)에 쓰기 제어신호(/WR), 읽기 제어신호(/RD), 리셋 제어신호(/RES)를 출력하고, 수신셀 분류블럭(6)으로부터 ACD, OCD, ICD와 FIFO의 충만상태를 나타내는 /EF 신호를 입력받아 OAM셀 수신 블럭(8)에 OAM셀 수신 준비신호(OCDI : OAM Cell Data Indication)을 출력하고, ATM셀 수신블럭(9)에 ATM셀 수신 준비신호(ACDI : ATM Cell Data Indication)를 출력한다. OAM셀 수신블럭(8)과 ATM 셀 수신블럭(9)은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신셀 분류블럭(6)의 출력을 입력받아 물리계층 관리부에 OAM셀 데이타 수신 표시신호(OAM_DATA_IND)와 OAM셀 데이타(OCD[7 : 0])를 출력하고, ATM 계층에 ATM셀 데이타 수신 표시신호(ATM_DATA_IND)와 ATM셀 데이타(ACD[7 :0])를 출력한다.
SDH 기반의 물리계층의 경우 OAM 정보가 SDH 프레임의 오버헤드를 통하여 전달되므로 OAM셀 수신블럭(8)을 삭제하고,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중 일부 제어기능을 변경하므로서 그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제3도는 셀 전달블럭의 세부 구성도로서, a도는 ATM셀 전달블럭(1)도, b도는 OAM셀 전달블럭(2)도이고, 제4도는 셀 수신블럭의 세부 구성도로서, a도는 OAM셀 수신블럭(8)도, b도는 ATM셀 수신블럭(9)도이며, 도면에서 11, 13, 15, 17은 FIFO, 12, 14, 16, 18은 FIFO 제어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TM셀 전달블럭(1)의 FIFO 제어기(12)는 ATM 계층이 ATM셀 데이타를 물리계층으로 전달할 경우 이를 알려주기 위하여 출력되는 PHY_DATA_REQ를 입력받는 즉시 쓰기 제어 신호(/WR)를 출력하여 ATM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바이트 단위의 셀 데이타 흐름인 ACD[7 : 0]를 입력받아 FIFO(11)에 ATM 셀 데이타를 저장하고,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으로부터 SO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읽기 제어신호 (/RW)를 출력하여 저장된 ATM셀 데이타(ACD)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OAM셀 전달블럭(2)의 FIFO 제어기(14)는 물리계층 관리부가 OAM셀 데이타를 물리계층으로 전달할 경우 이를 알려주기 위하여 출력되는 OAM_DATA_REQ를 입력받으면 쓰기 제어신호 (/WR)를 FIFO(13)에 출력하여 물리계층 관리부로부터 전달되는 바이트 단위의 셀 데이타 흐름인 OCD[7 : 0]를 입력받아 OAM셀 데이타를 저장하고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으로부터 전달되는 S1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읽기 제어신호(/RD)를 출력하여 OAM셀 데이타(OCD)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4도의 OAM셀 수신블럭(8)의 FIFO 제어기(16)는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으로부터 OCDI를 입력받으면 쓰기 제어신호(/WR)를 출력하여 OAM셀 데이타를 FIFO(15)에 저장하는 기능과, 물리계층 관리부로 전달할 OAM셀 데이타가 있을 경우 이를 알려주기 위하여 OAM_DATA_IND 신호와 함께 셀 데이타 흐름인 OCD[7 : 0]를 물리계층 관리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ATM셀 수신블럭(9)은 상기 OAM셀 수신블럭(8)의 세부 기능블럭과 동일하다. ATM셀 수신블럭(9)은 ACDI를 입력받으면 ATM셀 데이타를 FIFO(17)내에 저장하는 기능과 함께 ATM 계층으로 전달한 ATM셀 데이타가 있을 경우 이를 알려주기 위한 ATM_DATA_IND 신호와 함께 셀 데이타 흐름인 ACD[7 : 0]를 ATM 계층으로 전달한다.
제5a도는 휴지셀을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휴지셀 생성블럭(3)이고, 제5b도는 휴지셀 생성블럭(3)에 인가되는 신호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31은 3바이트 클럭지연부, 32 내지 34는 버퍼, 35는 논리곱 게이트, 36은 버퍼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클럭 (Cell_clk)을 3바이트 클럭 지연시키는 3바이트 클럭지연부(31)와, 상기 3바이트 클럭지연부(31)로부터의 지연시킨 신호와 셀 헤더 클럭(HDR_clk) 신호를 인가받아 논리곱 연산하는 논리곱 게이트(35)와, 상기 논리곱 게이트(35)의 연산신호를 인에이블 신호를 인가하여 전송하는 버퍼(32)와, 상기 논리곱 게이트(35)의 연산신호를 인가하여 전송하는 버퍼(33)와, 상기 셀 헤더 클럭신호를 인가받아 전송하는 버퍼(34)로 구성되어 세개의 트리 스테이트 버퍼(32 내지 34)로 이루어진 버퍼부(36)에서 주기적으로 휴지셀 데이타 흐름인 ICD[7 : 0]를 생성한다.
제6도는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41은 ATM셀 계수기, 42는 OAM셀 계수기, 43은 송신셀 정합 제어기를 각각 나타낸다.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은 ATM 계층과 물리계층 관리부로부터 PHY_DATA_REQ와 OAM_DATA_REQ를 입력받아 세종류의 셀을 적절히 다중화하기 위한 제어신호인 S[2 : 0]을 생성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TM셀 계수기(41)는 ATM 계층이 ATM셀 전달블럭(1)을 ATM셀을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PHY_DATA_REQ가 발생할 때 마다 계수기의 값을“1”씩 증가시키고, 상기 ATM셀 전달블럭(1)에서 ATM셀을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S0 제어신호가 발생할 때 마다 계수기 값을“1”씩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ATM셀 전달블럭(1)에 최소한“1”셀 이상의 ATM셀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즉 ATM셀 계수기(41)의 값이 최소한“1”보다 클경우, ATM셀 전달블럭(1)내에 전달 대기중인 ATM셀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인 ACT_RDY(ATM Cell Transmission_ReaDY)신호를 생성하여 송신셀 정합 제어기(43)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OAM셀 계수기(42)는 물리계층 관리부에서 OAM셀 전달블럭(2)으로 OAM셀을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OAM_DATA_REQ가 발생할 때마다 계수기의 값을 “1”씩 증가시키고, OAM셀 전달블럭(2)에서 OAM셀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S1 제어신호가 발생하 때마다 계수기의 값을“1”씩 감소시킨다. 또한 OAM셀 전달블럭(2)에 최소한“1”셀 이상의 OAM셀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즉 OAM셀 계수기 (42)의 값이 최소한“1”보다 클경우, OAM 셀 전달블럭(2)에 전달대기중인 OAM셀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인 OCT_RDY(OAM Cell Transmission_ReaDY)신호를 생성하여 송신셀 정합 제어기(43)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7도는 수신셀 분류블럭(6)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61은 수신셀 분류기, 62는 1셀 FIFO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셀 분류기(61)는 휴지셀 헤더 및 물리계층 OAM셀 헤더의 패턴을 저장하고 있다가 셀 단위로 전달되는 데이타 흐름으로부터 셀의 헤더를 추출하고 비교하여 현재 전달되고 있는 셀의 종류가 휴지셀인지 물리계층 OAM셀인지만을 판단하며, 만약 일치하는 헤더 패턴이 없을 경우 전달되고 있는 셀을 ATM셀로 판단하며, 셀의 경계를 추출하여 셀 단위로 데이타를 전달하면서 셀 헤더내의 에러 유무 및 셀 경계 추출상태(동기상태,준 동기상태,추적상태) 등을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물리계층의 셀 경계 추출기능으로부터 셀의 헤더 에러상태를 알리는 ERR_Cell 신호를 받아서 지금 전달되고 있는 셀이 폐기셀임을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에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물리계층의 셀 경계 추출기능에서 전달하는 CDEL_clk 신호는 수신셀 분류블럭(6)에 전달하는 데이타의 흐름중 셀의 헤더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신호이며, ERR_Cell 신호는 현재 수신셀 분류블럭(6)으로 전달되고 있는 셀은 셀의 헤더 에러로 인하여 상위계층으로 전달될 수 없음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수신셀 분류기(61)는 분류된 셀의 종류가 ATM셀인 경우 ACD 신호를, OAM셀인 경우 OCD 신호를, 휴지셀이나폐기셀인 경우 둘다 소거되어어야 할 종류의 셀이므로 ICD 신호를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에 전달한다.
1셀 FIFO(62)는 셀 경계 추출부에서 전달되는 셀 데이타 흐름인 CUD[7 : 0]를 저장하고 있다가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으로부터 적절한 제어신호를 받아 CUD'[7 : 0]를 전달하는 FIFO로서 최대 1셀 이하인 데이타만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8도는 셀 기반 물리계층의 경우 송신셀 정합부의 처리 흐름도이다.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이 셀을 전달하는 시점에서(101) ATM셀이 대기하고 있는가를 조사한다(102).
상기 조사(102) 결과 ATM셀이 대기상태이면 ATM셀의 수를 계수하는 ACC(ATM Cell Counter)의 값을 '1'씩 증가시켜(107) '26'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108) ACC의 값이 '26'보다 작거가 같으면 ATM셀을 전달하고(109), ACC의 값이 '26'보다 크거나 ATM셀이 대기중이 아니면(102) OAM셀이 대기중인가를 조사한다(103). 상기 조사(103)결과 OAM셀이 대기중이면 OAM셀을 전달하고(105) 아니면 휴지셀을 전달하고(104) ATM셀 카운터(ACC)를“0”으로 초기화하고 리턴한다(106).
제9도는 셀 기반 물리계층의 수신셀 정합부의 처리 흐름도이다.
셀 경계상태를 입력받아(301) 현재의 셀 경계상태가 추적상태에 있는가를 조사하여(302) 추적상태가 아니면 수신셀 종류를 수신셀 분류기(61)로부터 받아 조사한다(304). 상기 조사(304) 결과 휴지셀(ICD)이면 셀을 제거한 후 리턴하고(308), 아니면 OAM셀(OCD) 인가에 따라(305) OAM셀(OCD)이면 OAM셀을 전송하고 리턴하면(306), OAM셀(OCD)이 아니면 ATM셀로 판단하여 ATM셀을 전송하고 리턴한다(307)
현재의 셀 경계상태가 추적상태이면 1셀 FIFO(61)내에 유효셀이 존재할 경우 FIFO내의 유효셀을 전부 전송한 후(309) FIFO를 리셋한다(310). 참고로 동기상태에서 추적상태로 빠질 경우 1셀 FIFO(62)내의 셀 정보는 폐기셀이며, 이 경우 곧바로 FIFO를 리셋할 수 있지만, 준동기 상태에서 추적상태로 빠질 경우 1셀 FIFO(62)내의 셀 정보는 유효셀이므로 전송중의 정보는 전송 완료해야만 한다.
셀 경계상태가 추적상태를 빠져나오면(311,312)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은 물리계층의 셀 경계 추출기능에서 나오는 CDEL_clk 신호를 시점으로 하여 바이트 단위의 FIFO 쓰기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313).
제10도는 SDH 기반 물리계층의 경우 송신셀 정합부의 처리 흐름도이다.
셀 전달 시점에서(201) ATM셀 전달블럭(1)내에 전달 대기중인 ATM셀이 있는 가를 조사하여(202) 대기중인 ATM셀이 있으면 전송하고(204) 없을 경우 휴지셀을 전송하고 리턴한다(203).
제11도는 SDH 기반 물리계층 수신셀 정합부의 처리 흐름도이다.
셀 경계상태를 입력받아(401) 셀 경계상태가 추적상태인가를 조사한다(402). 상기 조사(402) 결과 추적상태가 아닐 경우 즉, 준동기 상태나 동기상태의 경우 수신셀의 종류를 수신셀 분류기(61)로부터 받아 파악하여(403) 휴지셀(ICD)이면 셀을 제거하고 리턴하며(406), 휴지셀(ICD)이 아니면 ATM셀로 인식하여 ATM셀을 전송하고 리턴한다(405).
셀 경계상태가 추적상태이면(402) 1셀 FIFO(61)내에 유효셀이 존재할 경우 FIFO내의 유효셀을 전부 전송한 후(407) FIFO를 리셋한다(408). 셀 경계상태가 추적상태를 빠져나오면(410)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은 물리계층의 셀 경계 추출기능에서 출력된 CDEL_clk 신호를 시점으로 하여 바이트 단위의 FIFO 쓰기작업을 시작한다(411).
따라서, 본 발명은 ATM 프로토콜의 하부기반을 담당하는 물리계층의 기능중 핵심기능인 셀 속도 정합처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CCITT.에서 표준화된 SHD 기반의 물리계층과 셀 기반의 물리계층 구조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물리계층의 기반구조에 상관없이 이러한 기능을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인 ATM 스위치, ATM망 종단장치 및 ATM 단말 정합 장치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ATM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셀을 버퍼링하고 있다가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ATM셀 전달블럭(1), 물리계층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OAM(Operation And Maintenance)셀을 버퍼링하고 있다가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OAM셀 전달블럭(2), 전달된 ATM셀과 물리계층 OAM셀이 없을 경우 제어신호에 따라 휴지셀을 전달하는 휴지셀 생성블럭(3), 송신부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 및 상기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ATM셀, OAM셀, 휴지셀을 다중화하는 멀티플렉서(5)를 구비하는 송신셀 정합부와, 수신셀의 종류 분류 및 전달 기능을 제공하는 수신셀 분류블럭(6), 수신부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 상기 수신셀 분류블럭(6)에 연결되어 분류된 OAM셀을 저장하고 있다가 물리계층 관리부로 전달하는 OAM셀 수신블럭(8) 및 상기 수신셀 분류블럭(6)에 연결되어 분류된 ATM셀을 저장하고 있다가 ATM 계층으로 전달하는 ATM셀 수신블럭(9)을 구비하는 수신셀 정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셀 생성블럭(3)은, 셀 클럭(Cell_clk)을 3바이트 클럭 지연시키는 3바이트 클럭 지연 수단(31)과, 상기 3바이트 클럭 지연 수단(31)으로부터의 지연된 신호와 셀 헤더 클럭(HDR clk)신호를 인가받아 논리곱 연산하는 논리곱 게이트 수단(35) 및 상기 논리곱 게이트 수단(35)의 연산신호와 상기 셀 헤더 클럭신호를 인가받아 주기적으로 휴지셀 데이타 흐름인 ICD(Idle Cell Data)[7 : 0]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버퍼링 수단(36)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4)은, ATM 계층으로붙처 물리계층 데이타 송신요구신호(PHY_DATA_REQ)를 인가받아 ACT_RDY(ATM 셀 전송 대기)신호를 발생하며 ATM셀을 계수하기 위한 ATM셀 계수 수단(41), 물리계층 관리부로부터 OAM셀 데이타 송신요구 신호(OAM_DATA_REQ)를 인가받아 OCT_RDY(OAM셀 전송 대기)신호를 발생하며 OAM셀을 계수하기 위한 OAM셀 계수 수단(42) 및 상기 ATM셀 계수 수단(41)과 OAM셀 계수 수단(42)의 출력신호 ACT_RDY와 OCT_RDY를 인가하여 제어신호(S[2 : 0])를 출력하는 송신셀 정합 제어 수단(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셀 분류 수단(6)은, 휴지셀 헤더 및 물리계층 OAM셀 헤더의 패턴을 저장하고 있다가 분류된 셀의 종류가 ATM셀인 경우 ACD(ATM셀 데이타)신호를, OAM셀인 경우 OCD(OAM셀 데이타)신호를, 휴지셀이나 폐기셀인 경우 둘다 소거되어야 할 종류의 셀이므로 ICD(Idle Cell Data)신호를 상기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에 전달하는 수신셀 분류 수단(61) 및 물리계층의 셀 경계 추출기능에서 전달되는 셀 데이타 흐름인 CUD(Cell Up stream Data)[7 : 0]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CUD'[7 : 0]를 전달하는 FIFO로서 최대 1셀 이하의 데이타만 저장하는 기능을 제곱하는 1셀 FIFO(6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5.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의 송신셀 정합부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이 셀을 전달하는 시점에서 ATM셀 전달블럭(1)내에 전달 대기중인 셀이 있는가를 조사하는 제1단계(101,102), 상기 제1단계(101,102)에서, 대기중인 ATM셀이 있으면 ATM셀의 수를 계수하는 ACC(ATM Cell Counter)의 값을 증가시켜 ACC의 값이 26보다 작거나 같으면 ATM셀을 전송하고, 대기중인 ATM셀이 없거나 ACC의 값이 26보다 클 경우 전달 대기중인 물리계층 OAM셀이 OAM셀 전달블럭(2)내에 있으면 이를 전달하고, 없으면 휴지셀을 전달하고, ACC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하는 제2단계(103 내지 109)에 의해 수행되고, 수신셀 정합부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셀 경계상태를 입력받아 추적상태에 빠져 있는가를 조사하는 제3단계(301,302), 상기 제3단계(301,302)에서 추적상태가 아니면 수신셀 종류에 따라 휴지셀이면 제거하고, OAM셀과 ATM셀이면 해당 셀을 전송하고 리턴하는 제4단계(303 내지 308), 상기 제3단계(301,302)에서, 추적상태이면, FIFO내의 유효셀을 전부 전송한 후 FIFO를 리셋하고, 셀 경계상태가 추적상태를 빠져나오면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7)은 물리계층의 셀 경계 추출기능으로부터 전달되는 CDEL_clk 신호를 시점으로 하여 바이트 단위의 FIFO 쓰기 작업을 시작하고, 상기 제4단계로 복귀하는 제5단계(309 내지 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의 운용 방법.
  6.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의 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기반 물리계층의 경우 송신셀 정합부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송신셀 정합부 제어블럭이 셀을 전달하는 시점에 ATM셀 전달블럭(1)내에 전달 대기중인 ATM셀이 없을 경우 휴지셀을 전달하고 대기중인 ATM셀이 있으면 ATM셀을 전송하는 제1단계(201 내지 204)에 의해 수행되고, 수신셀 정합부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셀 경계 추출상태가 추적상태인가를 조사하는 제2단계(401,402), 상기 제2단계(401,402)에서, 추적상태가 아닐 경우 수신셀 종류를 파악하여 휴지셀(ICD)이면 셀을 제거하고, 휴지셀(ICD)이 아니면 ATM셀로 인식하여 ATM셀을 전송하고 리턴하는 제3단계(403 내지 406), 상기 제2단계(401,402)에서, 추적상태이면 유효셀을 전부 전송한 후 FIFO를 리셋하고, 셀 경계상태가 추적상태를 빠져나오면 수신셀 정합부 제어블럭은 물리계층의 셀 경계 추출기능으로부터 전달되는 CDEL_clk 신호를 시점으로 하여 바이트 단위로 FIFO 쓰기 작업을 시작하는 제4단계(407 내지 4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의 운용 방법.
KR1019920024195A 1992-12-14 1992-12-14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960003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195A KR960003224B1 (ko) 1992-12-14 1992-12-14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195A KR960003224B1 (ko) 1992-12-14 1992-12-14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443A KR940017443A (ko) 1994-07-26
KR960003224B1 true KR960003224B1 (ko) 1996-03-07

Family

ID=1934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195A KR960003224B1 (ko) 1992-12-14 1992-12-14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403B1 (ko) * 1997-06-30 2000-01-15 김영환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의 물리계층간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0053353A (ko) * 2001-12-22 200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식디지털계위 망에서의 가상 연결을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443A (ko) 1994-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4975B1 (en) Time slot management system
US5499238A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multiplexing process device and method of the 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subscriber access apparatus
JP3667337B2 (ja) Atm交換システム
US6229822B1 (en) Communications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cells
US5812550A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layer func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an enlarged structure
US6606300B1 (en) Flow control process for a switching system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960003505B1 (ko) 에이티엠(atm) 다중화 처리 장치
JPH07321823A (ja) マルチキャスティング機能を備えた装置
JPH07321822A (ja) マルチキャスティング機能を備えた装置
US63430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ion in a self-routing switching architecture in a port expansion mode
JP2000022707A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6418144B1 (en) AAL terminal system of duplex configuration and synchronization method
KR960003224B1 (ko) 비동기 통신망(atm) 프로토콜 물리계층의 셀 속도 정합 처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0339463B1 (ko) 고정길이셀의순차적스트림처리장치,비동기전송방식의스위치어댑터및스위칭유닛
KR100317124B1 (ko) 에이티엠-피오엔 시스템의 광망유니트 기능 처리장치
EP1221647A1 (en) Virtual insertion of cells from a secondary source into a fifo
US6810042B1 (en) Method of queuing traffic to many destinations covering a wide range of transmission speeds while minimizing buffer size
KR960003225B1 (ko) 서비스 품질(qos)등급에 따른 atm 셀 다중화 처리 장치
KR950012323B1 (ko)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에서의 헤더 데이타 제어장치
JP2521368B2 (ja) Atm用パケットアダプタ装置
JPH088931A (ja) Atm−lanシステム、atmスイッチ及びcatv網
KR950009417B1 (ko) Atm 계층 셀 다중화부에서의 우선순위에 의한 셀 다중화 제어장치 및 방법
KR960014692B1 (ko) 비동기식 전달 모드셀 라우터
KR960016250A (ko) Atm 물리 계층 가입자 액세스 처리기
KR100265059B1 (ko) 스완2 케이블티브이 시스템의 프레임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