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899B1 - 조광램프의 순차점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조광램프의 순차점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899B1
KR960002899B1 KR1019930008072A KR930008072A KR960002899B1 KR 960002899 B1 KR960002899 B1 KR 960002899B1 KR 1019930008072 A KR1019930008072 A KR 1019930008072A KR 930008072 A KR930008072 A KR 930008072A KR 960002899 B1 KR960002899 B1 KR 960002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amp
dimming
pul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634A (ko
Inventor
박희성
Original Assignee
지명숙
권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명숙, 권영숙 filed Critical 지명숙
Priority to KR101993000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899B1/ko
Publication of KR94002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광램프의 순차점멸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조광램프에 관한 순차 점멸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장치에 적용되는 원격신호 처리부의 실시예도.
제3도는 본 발명장치에 적용되는 수동신호 처리부의 실시예도.
제4도는 본 발명장치에 적용되는 로직 출력부의 실시예도.
제5도는 본 발명장치에 적용되는 리세트부의 실시예도.
제6도는 본 발명장치의 로직 출력부에 관한 출력 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장치의 동작설명을 위한 타임챠트.
표 1은 2진 계수기의 출력에 따른 각 기능의 출력신호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외선 송신기 15 : 광전 변환부(μ-P)
20 : 제1계수펄스 발생부 21 : 알람부
22 : 제1스위칭부 23 : 제1정형 회로부
23a :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30 : 제2계수펄스 발생부
31 : 스위치 32 : 제2스위칭부
33 : 제2정형 회로부 33a :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40 : 2진 계수기 50 : 로직 회로부
60,60a∼60c : 조광램프 구동부 70 : 리세트 회로부
80 : 전원 공급부 A1∼A8: 엔드 게이트
AL : 알람 B1∼B6: 인버터
D1∼D7: 다이오드 KY : 키 버튼
LP1∼LP3: 조광램프 Q1∼Q7: 트랜지스터
R1∼R18: 저항 RY1∼RY3: 릴레이
RY1a∼RY3a : 릴레이 a접점
본 발명은 다수종의 램프 전환 점등으로 조도를 변화시키는 조광장치(또는 점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리모트 콘트롤) 조작 또는 스위치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다수종의 램프를 순차 점멸 제어하여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적합하도록 한 조광램프 점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등의 조명목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조광기(또는 점등기 : 이하 본 발명에서 동일기능으로 하여 표시생략함)는 적어도 두개의 형광램프와 취침 스몰램프 및 백열등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는바, 이러한 조광기에 있어 다수종의 램프를 순차 점멸하는 종래의 조광램프 점멸 제어장치는 주모 전원라인의 입력전원을 개폐하는 주 스위치와, 이 스위치가 폐방(온)된 전원 공급 조건에서 다수종의 각 램프를 개별적으로 순차점멸하기 위한 로타리식 스위치와, 이 로타리 스위치의 연결에 의해 해당 램프를 점등시키는 점등회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출입구 벽면에 설치된 주 스위치를 폐방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상태에서 조광기에 설치된 로타리 스위치의 이동자를 줄(끈) 등과 같은 도구로 회전시켜 원하는 고정단자의 램프측으로 전원이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해당 램프를 점등시키고,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다른 고정단자 측의 램프는 소등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광램프의 점멸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램프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고자 할 때마다 일일이 로타리 스위치의 줄을 잡아당기는 수동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사용상에 많은 번거로운 불편이 뒤 따를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천정에 부착된 조광기의 로타리 스위치를 조작하는 줄(끈)이 일정높이로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주로 성인에 의해서만 조작이 가능한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원격 조정기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다수의 조광램프를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하고 또한 이의 원격조작과 병행하게 원터치 스위치에 의해서도 다수의 조광램프를 순차적으로 점멸 제어되게 하여 조광램프의 점멸조작에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조광램프의 점멸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리모콘의 적외선을 수광하여 알람발생과 조광램프 선택의 계수신호를 원격신호 처리부와, 원터치 스위치를 조작시켜 조광램프 선택의 계수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신호 처리부와, 이들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계수신호를 카운트하여 2진 부호화 데이타 출력에 따라 대응하는 조광램프를 구동시키는 로직 및 램프구동부를 구비하여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로직 펄스를 출력시키는 입력처리수단과, 원격 처리된 로직 펄스의 하강엣지마다 계수신호를 생성하는 제1계수펄스 발생수단과, 스위치의 원터치에 의해 생성된 로직 펄스의 하강엣지마다 계수신호를 생성하는 제2계수펄스 발생수단과, 상기 제1및 제2계수펄스의 입력수에 따라 대응하게 2진 부호화 데이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조광램프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2진 계수수단과, 이의 2진 부호화 신호에 대응하게 조광램프의 점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로직수단과, 이로부터 출력되는 로직신호에 따라 단독 또는 복수의 조광램프를 점멸 스위칭하는 제1내지 제3조광램프 구동수단과, 상기 2진 계수기에서 계수한 제1 및 제2계수펄스의 입력수가 소정횟수에 도달할 때마다 리셋신호를 발생시켜 2진 계수기의 계수치를 초기 상태로 클리어시키는 리세트 회로수단과, 각 기능수단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수단을 구비하여서 달성되는 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조광램프에 관한 순차 점멸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제1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 장치는 조광램프를 선택 지령하는 적외선 송신기(10)와, 상기 적외선 송신기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의 입광신호 수마다 대응수의 로직 펄스를 출력시키는 광전 변환부(15)와, 상기 광전 변화된 로직 펄스의 하강엣지마다 계수신호를 생성하는 제1계수펄스 발생부(20)와, 스위치(31)의 원터치에 의해 로직 펄스가 생성되고 생성된 로직 펄스의 하강엣지마다 계수신호를 생성하는 제2계수펄스 발생부(30)와, 상기 제1 및 제2계수펄스의 입력수에 따라 대응하게 2진 부호화 데이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조광램프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2진 계수기(40)와, 이의 2진 부호화 신호에 대응하게 조광램프의 점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로직 회로부(50)와, 이 로직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로직신호에 따라 단독 또는 복수의 조광램프를 점멸 스위칭하는 조광램프 구동부(60)와, 상기 2진 계수기에서 계수한 제1 및 제2 계수펄스의 입력수가 소정횟수에 도달할 때마다 리셋신호를 발생시켜 2진 계수기의 계수치를 초기 상태로 클리어시키는 리세트 회로부(70)와, 각 기능수단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80)를 구비하여 상호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제1계수펄스 발생부(80)를 구비하여 상호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제1계수펄스 발생부(20)와, 제2계수펄스 발생부(30)의 각 출력단위 다이오드(D1, D2)를 통해 2진 계수기(40)의 입력단에 공통 접속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제1계수펄스 발생부(20)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광전 변환부(15)에서 출력되는 정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입광상태를 경보하는 알람부(21)와, 상기 정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1정형 회로부를 트리거시키는 제1스위칭부(22)와, 상기 스위칭부의 트리거신호에 의해 일정주기의 발진주파수를 크램퍼시켜 계수펄스를 생성하는 제1정형 회로부(23)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제2계수펄스 발생부(30)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원터치 조작에 의해 램프 선택의 정펄스를 생성하는 스위치(31)와, 이 스위치의 조작으로 생성된 정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2정형 회로부를 트리거시키는 제2스위칭부(32)와, 상기 스위칭부의 트리거신호에 의해 일정주기의 발진주파수를 크램퍼시켜 계수펄스를 생성하는 제2정형 회로부(33)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제1계수펄스 발생부(20)와, 제2계수펄스 발생부(30)의 제1 및 제2정형 회로부(23,33)는 공통적으로 콘덴서(C1∼C4)(C5∼C7)와 저항 (R4∼R8)(R11∼R12) 및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3a)(33a)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로직 회로부(50)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2진 계수기(40)에서 출력되는 2진 부호 데이타의 값을 논리적으로 조합하여 해당 조광램프의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엔드 게이트(A1∼A8)와, 상기 조합된 2진 부호 데이타에 따라 해당 조광램프 점등조건에 맞게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B1∼B3)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조광램프 구동부(60a∼60b)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공통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Q4, Q5, Q6)와, 채터링 방지용 다이오드(D5, D6,D7)와, 상기 각 스위칭 트랜지스터(Q4, Q5, Q6)에 의해 온/오프하는 릴레이(RY1∼RY3)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제1 및 제2조광램프 구동부(60a∼60b)는 그 입력단의 상호간의 다이오드(D4)를 연결하여 로직 회로부(50)의 엔드 게이트(A4)에서 출력되는 점등신호에 의해 제1 및 제2조광램프(LP1, LP2)가 동시 점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리세트 회로부(70)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적분회로(R16, C9)(R17, C10)와, 인버터(B4∼B6)와, 엔드 게이트(A7, A8) 및 트랜지스터(Q7)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도면 제6도 및 제7도와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서와 같이 전원 공급부(80)를 통해 각 기능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Vcc1, Vcc2)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광램프를 선택하고자 적외선 송신기(10)에 설정된 키 버트(KY)을 누르면 적외선 송신기(10)로부터 조광램프(LP1∼LP3) 선택지령에 대한 소정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이 방출되며, 이는 키 버튼(KY)의 누름횟수에 대응한 수로 적외선에 방출된다.
상기와 같이 방출되는 적외선은 조광기에 설치된 수광부를 통해 광전 변환부(15)에 입력되며, 적외선 입력에 따른 광전 변환부(15)는 수광신호를 입력판별에 적합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다음 다시 입력 변환된 전기적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여 제6a도와 같은 정펄스를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한 제7a도와 같은 정펄스는 송신기(10)의 키 버튼(KY)을 누르는 횟수마다 광전 변화기(15)에서는 대응한 수의 정펄스가 출력되고, 그 정펄스들의 폭(t1∼tn)은 공통적으로 동일한 조건을 갖는다.
이때 만약 송신기(10)의 키 버튼(KY)을 일회 눌러서 광전 변환부(15)에서 출력되는 초기의 정펄스가 제7도의 t1이라 하면 이 펄스의 온기간 동안 제1계수펄스 발생부(20)에서는 제2도에서와 같이 알람부(21)의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이에 의한 알람(AL)이 일정시간(t1기간)동안 동작되어 소리로서 사용자에게 조광램프 점등의 적외선 신호가 입력되었음을 알린다.
이와 동시에 제1스위칭부(22)의 트랜지스터(Q2)도 상기의 t1기간동안 턴온되어 제1정형 회로부(23)의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3a)를 트리거시키고, 이 트리거에 의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3a)는 정펄스(t1)의 하강엣지에서 제7b도와 같은 계수펄스(P1)를 생성하여 출력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계수펄스는 다이오드(D1)를 통해 2진 계수기(40)에 입력되며, 이 2진 계수기(40)는 입력 계수펄스를 카운터하여 2진 부호 데이타값으로 변화시켜 출력함과 동시 그 값을 다른 계수펄스가 입력될 때까지 기억 유지하게 된다.
이때 2진 게수기(40)에서 출력되는 2진 부호값은 표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한 예의 초기 조건상태에서 생성된 하나의 계수펄스(P1)가 입력된 것이므로 '001'의 값이 출력된다.
이의 출력값에 의한 로직 회로부(50)는 제4도에서와 같이 2진 계수기(40)의 출력값(Q1=1, Q2=0, Q3=0)에 의해 엔드 게이트(A1, A2)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되고, 다른 엔드 게이트(A3, A4)(A5, A6)의 출력은 모두 '로우'레벨이 된다.
이에따라 조광램프 구동부(60)의 제2 및 제3조광램프 구동부(60b,60c)의 트랜지스터(Q5, Q6)와 릴레이(RY2, RY3)는 부동작 상태로 있게 되고, 제1조광램프 구동부(60a)의 트랜지스터(Q4)만 턴온되어 제1릴레이(RY1)를 여자시킴과 동시 이 제1릴레이(RY1)의 a접점(RY1a)을 온 접점시킨다.
따라서 이때에는 제6도에서와 같이 제1릴레이(RY1)의 a접점(RY1a)을 통해 교류전원이 제1조광램프(LP1)에 인가되어 이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한다.
이후, 점등된 제1조광램프(LP1)는 2진 계수기(40)에 또 하나의 계수펄스가 입력되지 않는 한 점등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1조광램프(LP1)가 점등된 상태에서 제1도의 송신기(10)의 키 버튼(KY)을 한번 더 누르면 상기한 광전 변환부(15)와 제1계수펄스 발생부(20)를 통해 처리된 또 하나의 계수펄스가 2진 계수기(40)에 의해 계수되어 표 1에서와 같은 '010'의 값을 출력(Q1, Q2, Q3)시킨다
이 '010'의출력값에 의한 로직 회로부(50)는 제4도에서와 같이 2진 계수기(40)의 출력값(Q1=1,Q2=1,Q3=0)에 의해 엔드 게이트(A1,A2),(A5,A6)의 출력은 모두 '로우'레벨이 되고, 다른 엔드 게이트(A3,A4)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된다.
이에따라 조광램프 구동부(60)의 제1 및 제3조광램프 구동부(60a,60c)의 트랜지스터(Q4,Q6)는 부동작하나, 제2조광램프 구동부(60b)의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되어 다이오드(D4)를 통한 제1릴레이(RY1)와 제2릴레이(RY2)를 여자시킴과 동시 이 릴레이(RY1)(RY2)의 a접점(RY1a)(RY2a)을 온 접점시킨다.
따라서 이때에는 제6도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릴레이(RY1)(RY2)의 a접점(RY1a)(RY2a)을 통해 교류 전원이 제1 및 제2조광램프(LP1)(LP2)에 인가되어 이들을 동시에 점등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한 제1 및 제2조광램프(LP1)(LP2) 점등된 상태에서 제1도의 송신기(10)의 키 버튼(KY)을 한번 더 누르면 상기한 광전 변화부(15)와 제1계수펄스 발생부(20)를 통해 처리된 또하나의 계수펄스가 2진 계수기(40)에 의해 계수되어 표 1에서와 같은 '011'의 값을 출력(Q3, Q2, Q1)시킨다.
이 '011'의 출력값에 의한 로직 회로부(50)는 제4도에서와같이 2진 계수기(40)의 출력값(Q1=1, Q2=1, Q3=0)에 의해 엔드 게이트(A1, A2),(A3,A4)의 출력은 모두 '로우'레벨이 되고, 다른 엔드 게이트(A5,A6)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된다.
이에따라 조광램프 구동부(60)의 제1 및 제2조광램프 구동부(60a,60b)의 트랜지스터(Q4,Q5)는 오프되어 제1릴레이(RY1)와 제2릴레이(RY2)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이 릴레이(RY1)(RY2)의 a접점(RY1a)(RY2a)이 오프되어 제1 제2조광램프(LP1, LP2)를 소등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3조광램프 구동부(60c)의 트랜지스터(q6)는 턴온되어 제3릴레이(RY3)를 여자시킴과 동시 이 릴레이(RY3)의 a접점(RY3a)이 온되어 취침시 이용되는 스몰램프(LP3)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한 상태에서 제1도의 송신기(10)의 키 버튼(KY)을 한번 더 누르면(총 4회) 상기한 광전 변환부(15)와 제1계수펄스 발생부(20)를 통해 처리된 또하나의 계수펄스가 2진 계수기(40)에 의해 계수되어 표 1에서와 같은 '100'의 값을 출력(Q3, Q2, Q1)시킨다.
이 '100'의 출력값에 의한 로직 회로부(50)는 제4도 및 표 1에서와 같이 2진 계수기(40)의 출력값(Q1=1, Q2=0, Q3=0)에 의해 엔드 게이트(A1, A2),(A3,A4),(A5,A6)의 출력은 모두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제6도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릴레이(RY1∼RY3)의 a접점(RY1a∼RY3a)이 오프되어 제1 및 제3조광램프(LP1∼LP3)가 모두 소등된다.
이와 동시에 2진수 계수기(40)의 출력값(Q1=1,Q2=0,Q3=0)에 의해 리세트 회로부(70)는 제5도에서와 같이 인버터(B4, B5)를 통한 엔드게이트(A7)에서 '하이'레벨을 출력하며, 이 출력과 2진 계수기(40)의 출력단(Q3)의 신호를 입력원으로 하는 다른 엔드 게이트(A8)에서도 '하이'레벨이 출력된다.
상기 '하이'신호는 인버터(B6)에 의해 '로우'레벨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Q7)를 부동작시킴과 동시에 이의 출력단(콜렉터)을 통한 2진 계수기(40)에는 리셋 신호(RS)가 출력된다.
이에따라 2진 계수기(40)는 이전의 계수값을 '000'로 클리어시켜 새롭게 입력되는 계수펄스를 재 카운트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하고, 이는 상기한 동작 설명의 순서로 반복하여 동작한다.
이상의 설명은 적외선 송신기(10)의 키 버튼(KY)을 사용하여 다수의 조광램프를 원격적으로 점멸하는 제어동작을 설명한 것이며, 다음은 수동적으로 다수의 조광램프를 순차 점멸 제어하는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즉 제1도 내지 제3도에서와 같이 제2계수펄스 발생부(30)의 스위치(31)를 원터치시키면 접속점(P)에는 제7c도와 같은 정펄스(T1)가 생성되며, 이 제7c도와 같은 정펄스 (T1∼Tn)는 상기에서 송신기(10)의 키 버튼(KY)을 누르는 횟수마다 정펄스 (t1∼tn)가 생성되는 것과 같이 스위치(31)를 누르는 횟수마다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되는 정펄스(T1∼Tn)마다의 온 기간동안 제2스위칭부(32)의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어 제2정형 회로부(33)의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3a)를 트리거시키고, 이 트리거에 의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3a)는 정펄스(T1∼Tn)의 하강엣지마다 제7d도의 와 같은 계수펄스(P'1∼P'n)를 생성하여 출력시킨다.
상기 제2정형 회로부(33)의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33a)에서 출력되는 계수펄스(P'1∼P'n)가 다이오드(D2)를 통해 2진 계수기(40)에 입력될 때마다 이 2진 계수기(40)는 입력펄스를 카운터하여 이 또한 표 1과 같은 2진 부호 데이타값으로 변환시켜 순차적으로 출력함과 동기 그 값들은 다음의 계수펄스가 입력될 때까지 기억 유지하게 된다.
이의 출력값들에 의한 로직 회로부(50)는 상기한 제4도의 설명과 같이 2진 계수기(40)의 출력값에 따라 표 1과 같은 내용으로 엔드 게이트(A1, A2),(A3, A4),(A5, A6)의 출력이 결정되어 조광램프 구동부(60)의 각 제1 내지 제3조광램프(LP1∼LP3)를 순차적으로 점멸하고, 이후, 2진수 계수기(40)의 출력값(Q1=0, Q2=0, Q3=1)에 의한 리세트 회로부(70)는 상기한 제5도의 동작 설명과 같이 인버터(B4, B5)를 통한 엔드게이트(A7)에서 '하이'레벨을 출력하며, 이 출력과 2진 계수기(40)의 출력단(Q3)의 신호를 입력원으로 하는 다른 엔드 게이트(A8)를 통해서는 '하이'레벨이 출력됨과 동시 이 '하이'신호는 인버터(B6)에 의해 '로우'레벨롤 반전되어 트랜지스터(Q7)를 부동작시키도록 하므로서 이의 출력단(콜렉터)을 통한 2진 계수기(40)에는 리셋신호(RS)가 출력된다.
이에따라 2진 계수기(40)는 이전의 계수값을 '000'로 클리어시켜 새롭게 입력되는 계수펄스를 재 카운트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하고, 이 또한 동작 설명의 순서로 반복시켜 동작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수동신호 처리부의 동작은 제2계수펄스 발생부(20)의 다이오드(D2)를 통해 원격신호 처리하는 제1계수펄스 발생부(20)의 출력단과 함께 2진 계수기(4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는 상기한 적외선 송신기(10)의 키 버튼(KY)을 사용하여 원격 점멸하는 기능과 병행하게 다수의 조광램프를 점멸제어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리모콘의 적외선을 수광하여 알람발생과 조광램프 선택의 계수신호를 원격신호 처리부와, 원터치 스위치를 조작시켜 조광램프 선택의 계수신호를 생성하는 조작신호 처리부와, 이들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계수신호를 카운트하여 2진 부호화 데이타 출력에 따라 대응하는 조광램프를 구동시키는 로직 및 램프 구동부로 구성되어 원격 조정기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다수의 조광램프를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하고 또한 이의 원격조작과 병행하게 원터치 스위치에 의해서도 다수의 조광램프를 순차적으로 점멸 제어되게 하므로서 조광램프 점멸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는 동시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조광램프를 4스텝으로 점멸 제어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조광램프를 선택 지령하는 적외선 송신기(10)와, 상기 적외선 송신기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의 입광 신호수마다 대응한 수의 정펄스를 출력시키는 광전 변환부(15)와, 상기 광전 변환된 정펄스의 하강엣지마다 계수신호를 생성하는 제1계수펄스 발생부(20)와, 스위치(31)의 원터치에 의해 정펄스가 생성되고 생성된 정펄스의 하강엣지마다 계수신호를 생성하는 제2계수펄스 발생부(30)와, 상기 제1 및 제2계수펄스의 입력수에 따라 대응하게 2진 부호화 데이타를 생성하여 해당 조광램프의 점등 상태 유지신호를 출력하는 2진 계수기(40)와, 이의 2진 부호화 신호에 대응하게 조광램프의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로직 회로부(50)와, 이 로직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로직신호에 따라 단독 또는 복수의 조광램프를 점멸 스위칭하는 조광램프 구동부(60)와, 상기 2진 계수기에서 계수한 제1 및 제2계수펄스의 입력수가 소정횟수에 도달할 때마다 리셋신호를 발생시켜 2진 계수기의 계수치를 초기 상태로 클리어시키는 리세트 회로부(70)와, 각 기능수단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80)를 구비하여 상호 연결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램프의 점멸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계수펄스 발생부(20)는 광전 변환부(15)에서 출력되는 정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입광상태를 경보하는 알람부(21)와, 상기 정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정형 회로부를 트리거시키는 제1스위칭부(22)와, 상기 스위칭부의 트리거신호에 의해 일정주기의 발진주파수를 크램퍼시켜 계수펄스를 생성하는 정형 회로부(23)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램프의 점멸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계수펄스 발생부 (30)는 원터치 조작에 의해 램프 선택의 정펄스를 생성하는 스위치(31)와, 이 스위치의 조작으로 생성된 정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2정형 회로부를 트리거시키는 제2스위칭부(32)와, 상기 스위칭부의 트리거신호에 의해 일정주기의 발진주파수를 크램퍼시켜 계수펄스를 생성하는 제2정형 회로부(33)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램프의 점멸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계수펄스 발생부(20)와, 제2계수펄스 발생부(3)의 각 출력단은 다이오드(D1,D2)를 통해 2진 계수기(40)의 입력단에 공통 접속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램프의 점멸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로직 회로부(50)는 2진 계수기(40)에서 출력되는 2진 부호 데이타의 값을 논리적으로 조합하여 해당 조광램프의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엔드 게이트(A1∼A6)와, 상기 조합된 2진 부호 데이타에 따라 해당 조광램프 점등조건에 맞게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B1∼B3)를 구비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램프의 점멸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리세트 회로부(70)는 적분회로(R16, C9),(R17, C10)와, 인버터(B4∼B6)와, 엔드게이트(A7, A8) 및 트랜지스터(Q7)를 구비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램프의 점멸 제어장치.
KR1019930008072A 1993-05-11 1993-05-11 조광램프의 순차점멸 제어장치 KR960002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072A KR960002899B1 (ko) 1993-05-11 1993-05-11 조광램프의 순차점멸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072A KR960002899B1 (ko) 1993-05-11 1993-05-11 조광램프의 순차점멸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634A KR940027634A (ko) 1994-12-10
KR960002899B1 true KR960002899B1 (ko) 1996-02-27

Family

ID=1935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072A KR960002899B1 (ko) 1993-05-11 1993-05-11 조광램프의 순차점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6497A (en) * 1999-04-22 2000-12-26 Haga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lighting lamps
KR100766812B1 (ko) * 2006-07-03 2007-10-17 남상률 전등의 점등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등 시스템
KR100908209B1 (ko) * 2007-12-28 2009-07-20 윤영근 벽스위치와 리모콘을 이용한 전등의 구동 제어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634A (ko) 199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80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tate of electric power flow through a master circuit and producing remote control of a slave circuit
US4628440A (en) Electrical appliance control
JP2003519895A (ja) 少なくとも1つの電気照明手段の作動手段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少なくとも1つの電気照明手段の作動手段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6313588B1 (en) Signal generator and control unit for sensing signals of signal generator
US20030210167A1 (en) Wireless remote-control light adjuster
KR101308894B1 (ko) 전원선을 이용한 조명등 제어장치
US6774582B1 (en) Light dimm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960002899B1 (ko) 조광램프의 순차점멸 제어장치
CN108966407B (zh) 驱动系统
KR960004516Y1 (ko) 조광램프 점멸 제어장치
KR0129568B1 (ko) 조명기구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662468A (ja) 多重伝送制御システム
KR960001838Y1 (ko) 조광램프의 점멸 제어 장치
WO1998026394A2 (en) Receiver/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JPH0139026Y2 (ko)
KR0117089Y1 (ko) 리모콘의 광버튼용 발광다이오드 제어회로
RU336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ветильником
JPH06203968A (ja) 照明器具
KR0145755B1 (ko) 교류 전원 라인을 통신 매체로 하는 전등 개별 제어회로
JPH02119019A (ja) 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壁スイッチ
CN110446292B (zh) 驱动装置
KR910005253Y1 (ko) 조명등의 리모콘 점,소등 및 조도조절회로
JPH05275176A (ja) 照明装置
KR0132354Y1 (ko)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자시계
AU2002100371B4 (en) Wireless remote-control light adju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