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669Y1 - 이동기기의 이탈방지식 집전장치 - Google Patents

이동기기의 이탈방지식 집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669Y1
KR960002669Y1 KR92026529U KR920026529U KR960002669Y1 KR 960002669 Y1 KR960002669 Y1 KR 960002669Y1 KR 92026529 U KR92026529 U KR 92026529U KR 920026529 U KR920026529 U KR 920026529U KR 960002669 Y1 KR960002669 Y1 KR 960002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sides
current collector
mobile device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6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337U (ko
Inventor
서진원
Original Assignee
박득표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득표,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득표
Priority to KR92026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669Y1/ko
Publication of KR940015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기기의 이탈 방지식 집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식 집전장치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식 집전장치의 측면안내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식 집전장치의 트로리 바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제4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집전장치(Panto-Graph)의 위치도.
제5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집전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으 설명
10 : 고정프레임 20 : 지지프레임
25 : 막대봉 30 : 너트
32a,32b : 카본슈 고정프레임 35a,35b : 카본슈 안내프레임
40a,40b : 카본슈(carbon slhoe) 50a,50b : 고정플레이트
55a : 암나사 110 : 트로리 바(Trolley Bar)
본 고안은 천정크레인(Over Head Crane)등과 같이 일정한 궤도위에 설치되어 운전되는 이동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전장치(Panto Graph)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카본 슈(Carbon Shoe)가 트로리 바(Trolley Bar)로부터 이탈되지 않음으오서 항상 안정된 전원공급 작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카본슈의 균일한 마모로 인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된 이동기기의 이탈방지식 집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기기에 사용되는 집전장치(10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트로리 바(110)와 이동기기(120)에 장착된 집전장치(100)의 카본 슈(13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기기(12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이때, 상기 집전장치(100)의 카본슈(130)와 트로리바(110)는 이동기기(120)의 작동중에 항상 연결됨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집전장치(100)는 지지프레임(1135)의 양측하부에 카본슈 고정커버(136)가 핀(137)을 통해서 연결되며, 상기 카본슈 고정커버(136)가 핀(137)을 통해서 연결되며, 상기 카본슈 고정커버(136)의 하부에 카본슈(130)가 다수개의 보울트(130a)로 장착된 구성을 갖춘 것이었다. 따라서, 이동기(120)의 주행바퀴(122), 플랜지(124)의 마모, 주행레일(125)의 두부(頭部)(25a)간격 및 허용오차, 마모등으로 인하여 이동기기(120)의 작동중에 발생하는 좌,우 이동폭이 카본슈(130)의 폭보다 커지는 경우가 많음으로서, 상기 카본슈(130)가 트로리 바(110)로 부터 이탈하는 것이었다. 또한, 중요한 것은 일반적인 측정 데이터의 산출이 어려운 요인으로 설처 정밀도가 낮은 이동기기를 받치고 있는 건축구조물의 변형과 설비의 환경조건(열팽창, 충격)에 의한 트로리 바(110)의 구배및 집전장치(100)의 상하운동에 의한 카본슈(130)간의 기계적 거리의 변형과 같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집전장치(100)의 카본슈(130)의 트로리 바(110) 이탈이라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탈발생시 집전장치(100)와 트로리 바(110)의 파손으로 이동기기(120)등에 급전(給電)이 중단되어 이동기기(120)의 가동이 중단되며 이로인해 2차적인 고가의 전기장치품의 소손과 생산라인의 가동정지, 장시간의 복구시간과 수리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고안온 상기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기기의 작동중에 트로리 바와 집전장치의 카본슈가 이탈됨을 방지함으로서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카본슈의 마모를 균일하게 조절함으로서 기기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된 이동기기의 이탈방지식 집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지지프레임으로 연결되는 막대봉에는 스프링이 각각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끼워켜서 너트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하부에는, 카본슈 고정프레임파카본슈 사이에 카본슈 안내플레이트가 위치되며, 상기 카본슈 안내플러이트의 양측면은 하단부가 카본슈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고, 다수재의 보울트로 카본슈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한면, 각각의 전, 후단부가 외측으로 확장하는 경사안내부를 갖추고, 트로리 바의 연결부위에는 양측면에 고정플레이트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트로리바의 오목부내에 위치되는 구성을 갖춘 이동기기의 이탈방지식 집전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식 집전장치(1)는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저지프레임(20)으로 연결되는 막대봉(25)의 직경이 축소된 단부에 복수개의 스프링(27a)(27b)여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27a)(27b)의 중앙에는 지지프레임(20)이 끼워지며, 상기 막대봉(5)의 단부에 2중너트(3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단부에는 하부에 카본슈 고정커버(32a)(332b)가 핀(34a)(34b)을 통해서 연결되며, 상기 카본슈 고정커버(32a)(32b)의 하부에는 카본슈(40a)(40b)와의 사이에 카본슈 안내플레이트(35a)(35b)가 각각 끼워지고, 상기 카본슈 고정커버(32a)(32b)와 카본슈 안내플레이트(35a)(35b) 및 카본슈(40a)(40b)는 각각 다수개의 보울트(42)를 통해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본슈 안내플레이트(35a)(35b)의 양측면 하단부는 카본슈(40a)(40b)의 하단부보다 각각 하부로 연장되어 그 내부에 카본슈(40a)(40b)가 위치되고, 상기 양측면(36a)(36b)은 다수개의 보을트(43a)(43b)로서 카본슈(40a)(40b)의 양측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키 양측면의 전, 후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하도록 각각 경사안내부(46a)(46b)라 형성된 구성을 갖춘다. 그리고, 상기 트로리바(110)의 연결부위에는 트로리바(11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플레이트(50a)(50b)가 위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50a)(50b)에는 복수개의 구명(52a)(52b)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52a)(52b)은 각각 트로리바(110)의 구멍(110b)과 일치하고, 상기 구멍(52a)(100b)(52b)을 관통하여 암나사(몃ω와 숫나사(55b)가 끼워 결합된다.
상기 암나사(55a)는 하단부애서 길이방향으로 내측면에 원본형 나사부(56a)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55b)는 상기 원통형나사부(56a)에 대응하는 나사부(56b)를 갖추어 상기 암나사(55a)에 결합된다. 상기 암나사(55a)와 숫나사(55b)의 머리부는 각각 고정플레이트(50a)(50b)에 마련된 구멍(52a)(52b)의 요홈부에 끼워지며, 상기 고정플레이트(50a)(50b)에 마련된 구멍(52a)(52b)의 요홈부에 끼워지며, 상기 고정플레이트(50a)(50b)의 외축면은 트로리바(110)의 오목부(110c)내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원 본 고안은 이동기기(120)가 작동하는 경우 카본슈(40a)(40b)가 트로리바(11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카본슈 안내 플레이트(35a)(35b)의 양측면(36a)(36b)이 트로리 바(110)의 양측면 모서리에 접촉되어카본슈(40a)(40b)의 돌발적인 본리,이탈작동이 방지된다. 즉, 카본슈 안내플레이트(35a)(5b)의 양측면(36a)(36b)이 트로리 바(110)의 축민모서리에 접촉되어 밀리는 켱우, 상기 지지프레임(20)온 막대봉(스)에 끼워진 스프링(27a)(2건)을 밀리는 측으로 압압하면서 이동하걔 되고, 카본슈(40a)(40b)의 밀림작동이 정지되민, 상기 지지프레임(20)도 상기 스프링(27a)(27b)의 복원력에 의해서 정상상태로 복귀되어 중앙애 위치되는 겻이다.
이때, 카본슈 안내플레이트(35a)(35b)의 양측면(36a)(36b)에 마련된 경사안내부(46a)(46b)도 카본슈(40a)(40b)가 트로리 바(110)를 이동하는 경우, 카본슈(40a)(40b)의 중앙부본에서 트로리바 (110)와 접촉되도록 안내하여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트로리바(110)의 연결부위에 마련된 고정플레이트(50a)(50b)는 외측면이 트로리바(110)의 오목부(110c)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카본슈 안내플레이트(35a)(35b)의 양측면(36a)(36b)이 상기 트로리바(110)의 연결부위를 통과하는데에 아무런 방해도 주지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이동기기(120)의 작동시 집전장치(1)의 카본슈(40a)(40b)에 마련된 카본슈 안내플레이트(35a)(35b)의 양측면(36a)(36b)이 트로리바(110)의 양측면모서리와 접촉되어 카본슈(40a)(40b)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서 전원이 차단되지 않고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돌발적인 정전에 의한 기기의 파손이 방지되고, 카본슈(40a)(40b)의 균일한 마모로 인하여, 교환주기가 연장되어 수명이 길어지게 되는 실용상의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천정크래인(Over Head Crane)등과 같은 이동기기(에 전원(Electric Power)을 공급하는 집전장치(Panto Graph)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지지프레임(20)으로 연결되는 막대봉(25)에는 스프링(27a)(27b)이 각각 지지프레임(20)의 양측에 끼워져서 너트(30)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하부에는 카본슈 고정프레임(32a)(32b)과 카본슈(40a)(40b)사이에 카본슈 안내플레이트(35a)(35b)가 각각 위치되며, 상기 카본슈 안내플레이트(35a)(35b)의 양측면(36a)(36b)온 하단부가 카본슈(40a)(40b)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고, 다수개의 보울트(42)로 카본슈(40a)(40b)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한면, 각각의 양측면(36a)(36b) 전,후단부가 외측으로 확장하는 경사안내부(46a)(46b)를 갖추고, 트로리바(110)의 연결부위에는 고정플레이트(50a)(50b)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50a)(50b)는 트로리바(110)의 오목부(110c)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기기의 이탈방지식 집전장치.
KR92026529U 1992-12-26 1992-12-26 이동기기의 이탈방지식 집전장치 KR960002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6529U KR960002669Y1 (ko) 1992-12-26 1992-12-26 이동기기의 이탈방지식 집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6529U KR960002669Y1 (ko) 1992-12-26 1992-12-26 이동기기의 이탈방지식 집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337U KR940015337U (ko) 1994-07-19
KR960002669Y1 true KR960002669Y1 (ko) 1996-03-30

Family

ID=1934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6529U KR960002669Y1 (ko) 1992-12-26 1992-12-26 이동기기의 이탈방지식 집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6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908B1 (ko) 2017-10-12 2019-02-18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천장 크레인용 집전장치
KR102020620B1 (ko) 2019-03-21 2019-09-11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균압 유지 기능을 갖는 천장 크레인용 집전장치
KR102049366B1 (ko) 2019-09-05 2019-11-28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이동형 집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337U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0448A (en) Printing head mounting device
PL291889A1 (en) Machine for checking overhead conductors of railway contact systems
KR910003998B1 (ko) 부상식 반송장치
KR960002669Y1 (ko) 이동기기의 이탈방지식 집전장치
US3047681A (en) Current collector
JPS6290356A (ja) 整備位置へ可動のキヤリツジ装置を備えた平形編機
CN113071872A (zh) 一种在轨道上摩擦滚动的专用轨道小车
KR960005829Y1 (ko) 판토그라프(Pantograph)의 카본브러쉬(Carbon Brush)
CN113086534A (zh) 一种智能柔性摩擦滚轮输送设备
CN218929608U (zh) 一种电池包转运装置
CN220944921U (zh) 一种箱体纵向辅助夹抱装置
JP2770138B2 (ja) 金型交換台車の位置決め装置
CN215158451U (zh) 一种在轨道上摩擦滚动的专用轨道小车
JP3867942B2 (ja) 自走式搬送装置の受電装置に対する検査装置
CN220021912U (zh) 一种安全防触电的配电控制装置
CN216338774U (zh) 一种内嵌式磁浮轨道车辆维护设备
CN217104530U (zh) 一种轨道维护用可调间距的磨轨机
KR200186848Y1 (ko) 슈우 상태 감지기능을 갖는 크레인용 집전기
CN218227490U (zh) 巨胎硫化机移动架机构和巨胎硫化机
JPH04243727A (ja) 走行台車の落下防止装置
KR20010001463U (ko) 크레인용 트로리 집전기의 중심유도장치
CN108848646B (zh) 一种智能减震电气柜
JPH0126953Y2 (ko)
CN114284924A (zh) 高压开关柜手车防脱装置
US3858694A (en) Resiliently supported electrical distribution means for movable current collect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