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19Y1 - 고액(固液)분리기 - Google Patents

고액(固液)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19Y1
KR960002419Y1 KR2019930013939U KR930013939U KR960002419Y1 KR 960002419 Y1 KR960002419 Y1 KR 960002419Y1 KR 2019930013939 U KR2019930013939 U KR 2019930013939U KR 930013939 U KR930013939 U KR 930013939U KR 960002419 Y1 KR960002419 Y1 KR 960002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liquid separator
wedge
hole
screen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195U (ko
Inventor
정용원
Original Assignee
정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원 filed Critical 정용원
Priority to KR2019930013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419Y1/ko
Publication of KR950003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83Configuration of liquid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액(固液)분리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쐐기형 스크린망의 사시도.
제4도는 쐐기형 스크린망의 원통커버체가 씌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심분리기 20 : 배출부
30 : 2차탈수조 31 : 장공
32 : 쐐기형스크린망 33 : 구멍
34 : 원통버커체 35 : 슬러지배출공
36 : 쐐기형스크린망
본 고안은 고형물과 액체의 혼합물에서 고형물과 액체를 완전 분리, 탈수하기도 하고 고형미립자 혼합체에서 입자간의 정확한 선별 분리를 하기도 하는 슬러지 고액(固液)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슬러지 고액분리기의 배출부측에서 고형슬러지의 탈수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의 상, 하수도 처리 및 분뇨위생처리, 산업폐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배출하는 폐수의 질적향상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다양한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며 타당한 비용으로 작동할 수 있는 실용적인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나 가장 중요한 문제는 시스템에 공급되는 조성물로 부터 최고의 백분율의 고체를 추출한다는 것이다.
종래에는 고속회전하는 원심분리기내에 파이프룰 통하여 공급되는 폐수원액을 원심력에 의한 배중차이로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며, 고액분리된 분리액은 대경측 오리피스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필터소자에 의해 분리된 고형물은 감속기에 의해 감속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해 테이퍼기울기를 이루는 소경측으로 이송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종래의 고액분리기용 고속회전하는 원심분리기에 설치되는 필터소자에 의한 고액분리 탈수만을 실시힘으로서 어느 정도의 수분을 감량시키는 탈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나, 폐수입자에 대한 선별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필터소자에는 항상 잔류고형물이 적제된 상태이므로 수시로 필터소자를 교환하거나 또는 세척하여 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스크류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고형물의 함수율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고형물의 탈수효과를 증대시키면서 탈수된 고형물의 입자선택처리가 가능하도록 개량한 고액분리기를 제공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의 원심분리기의 고형물 슬러지배출구측에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 탈수된 고형물을 2차 탈수 처리하는 2차 탈수조를 부설하여 탈수효율을 증대시키고 웨지형스크린망을 통해 고형물의 입자를 선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에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고속회전하는 원심분리기(10)에 의해 슬러지를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기(10)의 배출부(20)의 끝단에 2차탈수조(30)를 설치하되, 상기 2차탈수조(30)는 중공원통체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장공(31)의 외측단이 내측단보다 넓게 형성되는 쐐기형 스크린망(32)과 몸체를 관통하는 구멍(33)을 갖는 원통커버체(34)가 상기 스크린망(32)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외주면에 씌워 고정되고, 상기 원통커버체(34)의 타측단에는 슬러지배출공(35)을 형성한 하우징(36)이 일체로 결합되여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립 및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고액분리기는 고속회전하는 원심분리기(10)의 원심력에 의한 비중차이로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원심분리기(10)의 배출부(20)측에 설치된 2차탈수조(30)에 의해 고액분리된 고형물을 2차탈수하는 탈수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심력에 의한 비중차이로 고액분리되어 감속기에 의해 감속회전하는 스크류(11)에 의해 배출부(20)측으로 이송되는 고형물은 2차탈수조(30)의 쐐기형스크린망(32)내로 유입될 때, 상기 쐐기형 스크린망(32)에 형성되고 있는 장공(31)을 통해 수분등을 빠져나가게 되어 2차탈수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며, 이때 탈수된 고형물의 미립자등은 쐐기형 스크린망(32)의 장공(31)으로 빠져나와 원통커버체(34)에 비산되어 관통구멍(33)을 통해 미립자고형분을 선별처리하게 되고, 쐐기형 스크린망(32)의 내벽에는 장공(31)을 빠져나가지 못하는 고형분이 스크류(11)로 부터 이송되는 고형슬러지에 의해 하우징(36)쪽으로 밀려나고, 하우징(36)으로 밀려나온 고형물은 슬러지배출공(3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수거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쐐기형 스크린망(32)에 형성되는 장공(31)을 내측단은 좁은데 반해 외측단이 넓게 끔 형성함으로서, 고속회전에 따라 원심력이 작용할 때에 탈수효과를 증대시키는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쐐기형 스크린망(32)에 형성되는 장공(31)의 폭(간격)에 따라 고형분의 입자선별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되어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의 쐐기형 스크린망(32)을 준비하여 고형분을 선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고액분리기는 탈수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속회전하는 원심분리기의 본체를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2차탈수조를 설치함으로서 동일한 탈수효과에 있어서의 장치를 소형, 경량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고액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고형분을 2차탈수처리함으로서 종래보다 훨씬 증대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장치의 소형경량화가 가능하고 쐐기형 스크린망의 장공을 통해 입자선별이 가능하므로서 수분함유비율이 큰 생활오니찌꺼기 및 식품공장 또는 의약품 및 각종 화학공장등에서 배출하는 다양한 종류의 슬러지(쓰레기)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건조 처리할 수 있는 산업상의 이용가티가 크고 매우 실용적이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고속회전하는 원심분리기(10)에 의해 폐수원액을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기(10)의 배출부(20)측에 2차탈수조(30)를 설치하되, 상기 2차탈수조(30)는 중공원통체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31)의 외측단이 내측단보다 넓게 형성되는 쐐기형 스크린망(32)과 몸체를 관통하는 구멍(33)을 갖는 원통커버체(34)가 상기 스크린망(32)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외주면에 씌워져 고정되고, 상기 원통커버체(34)의 타측단에는 슬러지배출공(35)을 형성한 하우징(36)이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KR2019930013939U 1993-07-26 1993-07-26 고액(固液)분리기 KR960002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939U KR960002419Y1 (ko) 1993-07-26 1993-07-26 고액(固液)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939U KR960002419Y1 (ko) 1993-07-26 1993-07-26 고액(固液)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195U KR950003195U (ko) 1995-02-16
KR960002419Y1 true KR960002419Y1 (ko) 1996-03-25

Family

ID=1935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939U KR960002419Y1 (ko) 1993-07-26 1993-07-26 고액(固液)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4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715B1 (ko) * 2007-11-21 2009-12-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심분리형 연속 농축 탈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715B1 (ko) * 2007-11-21 2009-12-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심분리형 연속 농축 탈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195U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27356A (en) Screw press
KR101319395B1 (ko) 원심 농축 기능을 포함하는 원심 탈수기
KR102031273B1 (ko) 협잡물 이단 탈수 이송장치
FI67181B (fi) Foerfarande och anlaeggning foer separering av fast material saosom fibrer sediment eller slam fraon vatten foer aoteranvaendning
KR100825994B1 (ko) 축산 폐수 및 분뇨 처리시스템
KR960002419Y1 (ko) 고액(固液)분리기
US6004255A (en) Decanter centrifuge
GB1567516A (en) Method and appararatus for removing filterable substances from liquids
KR20020026686A (ko) 슬러지 원심탈수장치
KR20160070643A (ko) 오폐수 필터링 장치
KR102092805B1 (ko) 슬러지 농축탈수장치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JP2002136960A (ja) 生ごみ処理装置
KR960002420Y1 (ko) 고액(固液)분리기
KR100403796B1 (ko) 협잡물 종합처리이송방법
KR0155031B1 (ko) 토사 및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0216480B1 (ko) 폐액속에 함유된 미세협잡물 처리기
WO2008132288A1 (en) Screenings washer
KR100427046B1 (ko) 함수슬러지의 수분분리를 위한 원심분리장치
KR200218953Y1 (ko) 슬러지 원심탈수장치
KR20000055655A (ko) 협잡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234880B1 (ko) 수분제거기능을 갖는 식품처리장치
KR200256319Y1 (ko)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
KR200269851Y1 (ko) 음식잔재물 처리용 탈수기
KR970002601Y1 (ko) 수분함량이 적은 고형물의 원심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