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949Y1 - 보리차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보리차 제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949Y1
KR960001949Y1 KR2019930012432U KR930012432U KR960001949Y1 KR 960001949 Y1 KR960001949 Y1 KR 960001949Y1 KR 2019930012432 U KR2019930012432 U KR 2019930012432U KR 930012432 U KR930012432 U KR 930012432U KR 960001949 Y1 KR960001949 Y1 KR 960001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barley
cold
barley tea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654U (ko
Inventor
최철락
Original Assignee
최철락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락, 이미경 filed Critical 최철락
Priority to KR2019930012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949Y1/ko
Publication of KR950002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6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of liquid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리차 제조장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따른 보리차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추출장치 11 : 보리차공급호퍼
12 : 피더 13 : 모터
14 : 본체 15 : 여과망
16 : 히터 20 : 냉수통
21 : 냉각장치 22 : 밸브
30 : 온수통 31 : 히터
32 : 밸브 33 : 과승방지장치
40 : 수거통 51, 52 : 공급관
53 : 솔레이드밸브 54 : 폐열공급관
55 : 배수관 56 : 급유관
57 : 필터 100 : 보리차 제조장치
본 고안은 보리차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차로 통보리차를 이용하여 보리차원액을 제조한 뒤에 이 원액을 냉수와 온수에 각각 희석하여 위생적인 냉온보리차를 각각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각종 직장에서는 식수로서 보리차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 보리차를 제공하는 방법은 동절기와 같이 따뜻한 보리차를 제공해야 할 경우와 하절기와 같이 차가운 보리차를 제공해야할 경우로 대별된다.
먼저 동절기와 같이 따뜻한 보리차를 제공해야 할 경우에는 보온병형태의 물통을 비치해 놓고 이 물통에 뜨거운 보리차를 담아두어 따뜻한 물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물통에 뜨거운 보리차를 담아둔뒤 소정시간이 지나면 보리차가 식게 되는 단점이 있어 최근 들어서는 상기 보온봉형태의 물통에 히터를 설치하여 뜨거운 보리차를 담아두고, 그 뜨거운 보리차를 히터로서 가열하여 항상 뜨거운 보리차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두번째로 하절기와 같이 차가운 보리차를 제공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 위에서 설명한 보온병형태의 물병에 보리차를 끓여 냉장고에서 차갑게 한 보리차를 상기 물병에 담아두고 차가운 보리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소정시간이 지나면 차가운기가 사라지고 미지근해져 차가운 보리차를 마실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병원이나 직장등지에서 물을 마시는 모든 사람들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절을 나누어 겨울에는 따뜻한 보리차 여름에는 시원한 보리차를 일률적으로 마시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냉온수를 선택하여 마시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원하는대로 냉수나 온수를 선택하여 마실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며 냉온보리차를 준비하는데도 많은 시간과 수고가 뒤따라야만 했다.
즉, 온수의 경우 1차로 보리차를 끓여 물병에 담아두는 일과, 냉수의 경우 1차로 보리차를 끓인뒤에 2차로 이를 대기중에서 장시간동안 식히고 3차 보리차를 차갑게 냉장고에서 냉장시킨뒤에 4차로 차갑게 냉장된 보리차를 물병에 담아두는 일이다.
위에서는 냉, 온보리차를 제조하여 보관하는 공정만을 설명하였으나, 병원이나 직장 또는 공공장소 등지와 같이 많은 사람들에게 냉, 온보리차를 제공코자 할 경우에는 그 냉온수의 양이 대단히 많아야 하며 그로 인하여 대용량의 물을 끓이기 위한 솥과 초대형냉장고 또 상기 뜨거운 많은 양의 보리차를 보온물병에 담아두는 일등이 매우 번거롭고 대형설비가 요구되어야 하는등의 비합리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차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통보리차를 보리차원액추출장치로서 제조한뒤에, 이 보리차원액을 냉수통과 온수통으로 필요한 만큼식만 보내어 각각의 냉, 온수통내의 냉온수와 희석하여 즉석에서 냉, 온보리차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보리차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보리차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보리차 제조장치(100)는 보리차공급호퍼(11)에 채워진 통보리차를 피터(12)로서 공급받아 통보리차를 가열하여 보리차원액을 추출하는 보리차원액 추출장치(10)와 상기 보리차원액 추출장치(10)에서 추출된 보리차원액을 공급받아 냉 온수보리차를 각각 공급제공할 수 있도록 냉수통(20) 및 온수통(30)과 상기보리차원액 추출장치에서 보리차원액을 추출해 내고 난 찌꺼기를 공급받아 보관하는 수거통(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리차원액 추출장치(이하, 추출장치라고 칭함)(10)의 상측에는 통보리차(1)가 채워진 보리차공급호퍼(11)가 설치되는데 이 보리차공급호퍼(11) 하단부에는 모터(13)에 의해 호퍼내의 통보리차를 추출장치(10)내측으로 공급하는 피터(12)가 설치되며 추출장치(10)는 본체(14) 내측에 통보리차(1)가 충진되는 여과망(15)이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는 히터(16)가 설치되며, 이 본체(14) 하측에는 통보리차(1)에서 보리차 원액을 추출해내고 난 모리차찌꺼기를 수거통(40)으로 내보내는 피터(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통(20)은 냉각장치(21)와 연결되어 냉수통(20) 내측으로 공급된 물(수도관에서 공급되는 수도물과 추출장치에서 공급받은 보리차 원액)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되며 차가운 보리차를 배출공급할 수 있는 밸브(2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온수통(30)에는 내측에 히터(31)가 설치되어 온수통(30) 내측의 물을 뜨겁게 가열할 수 있으며 뜨거운 보리차를 배출공급할 수 있는 밸브(32)가 설치되고 이 온수통(30) 외측 소정위치에는 온수통내의 보리차의 과승방지하는 과승방지장치(33)가 설치되어 보리차의 온도를 적정 온도를 셋팅시켜 놓고 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장치(10)와 냉, 온수통(20), (30)과는 추출장치에서 추출된 보리차원액을 공급하는 공급관(51), (52)이 각각 연결설치되며, 이들 공급관(51) (52)에는 솔레노이드 밸브(53)가 각각 설치되어 냉, 온보리차의 사용에 따라 적정량의 보리차원액이 냉, 온수통(20), (30)으로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온수통(30)측의 공급관(52)과 온수통(30) 사이에는 추출장치(10)의 히터(16) 가열시 발생하는 스덤을 온수통(30)으로 보내는 폐열공급관(54)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냉, 온수통(20), (30) 각각의 하단과 수거통(40) 하단에는 밸브를 구비한 배수관(55)이 설치되며 냉, 온수통(20), (30)과 추출장치(10)로 수도물을 각각 공급하는 급수관(56)은 급수관 선단부에 필터(57)가 설치되어 정화된 수도물을 냉, 온수통과 추출장치로 각각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보리차공급호퍼 (11)에 통보리차(10)를 충진시키고 급수관(56)을 통해 수도물을 냉, 온수통(20), (30)과 추출장치에 적정량의 수도물을 충진시킨다.
이때, 급수관(56) 선단부에는 필터(57)가 설치되어 수도물에 포함된 불순물이 걸러져 정화된 상태의 깨끗한 물이 냉, 온수통(20), (30)과 추출장치(10)로 각각 공급된다.
그뒤 온수통(30)과 추출장치(10)내의 각각 히터(31), (16) 및 냉수통(20)과 연결된 냉각장치(21)를 각각 구동시키게 되면 온수통(30) 내측의 물과 추출장치(10)내의 물이 가열되고 냉수통(20)내의 물은 차갑게 냉각된다.
이때 상기 보리차공급호퍼(11)에 충진된 통보리차(1)는 공급호퍼(11) 하단의 피더(12)에 의해 추출장치(10)의 여과망(15) 내측으로 공급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상태에서 추출장치(10)내의 히터(16)가 발열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여과망(15) 내측의 통보리차(1)가 히터(16)에 의해서 끓는 물에 의해 통보리차에서 보리차원액이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추출장치(10)에서 보리차원액이 추출되고 추출장치(10) 내측에 보리차 원액이 추출된 상태에서 콘트롤러(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53)에 의해 소량의 보리차원액이 냉, 온수통(20), (30)으로 각각의 공급관(51), (52)을 통해 공급되어 그 각각의 내측에 충진되어 있는 냉, 온수와 각각 혼합희석되어 냉온 보리차를 각각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냉수통(20) 내측의 냉수는 냉각장치(21)에 의해 차갑게 냉각된 상태이고, 온수통(30) 내측의 온수를 히터(31)에 의해 따뜻하게 가열된 상태이므로 상기 추출장치(10)에서 공급되는 보리차원액과 혼합희석되어도 각각 냉, 온보리차를 항상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온수통(30)에는 온수의 과상승을 방지하는 과승방지장치(33)가 설치되어 온수의 온도를 셋팅된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 온도는 통상 80℃ 전후가 적정하다.
또한 상기 추출장치(10)의 히터(16)는 통보리차에서 원액을 추출하기 위하여 100℃ 이상으로 가열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스팀을 폐열공급관(54)을 통해 온수통(30)으로 공급하여 스팀발생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며 온수를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 온보리차가 제조된 뒤에 추출장치(10)의 여과망(15) 내측의 통보리차에서는 보리차원액이 추출된 상태이므로 이 보리차원액이 빠져나간 통보리차 찌꺼기를 추출장치(10) 하단의 피터(12)를 이용해 추출장치(10) 하단의 수거통(40)으로 내보내고 상측으로는 상기 설명과 동일하게 보리차공급호퍼(11)내에 담겨진 통보리차(1)를 피터(12)에 의해 재공급받아 계속적으로 보리차원액을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 온수통(20), (30) 내측의 냉, 온보리차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의 밸브(22)를 통해 냉, 온보리차를 목적하는 바대로 선택하여 마실 수 있다.
이렇게, 냉, 온수통내의 냉, 온보리차를 계속 사용하게 되면 그 양이 줄어들게 되는데, 그때는 콘트롤러에 의해 각각 솔레노이드밸브와 모터가 제어되면서 수도물과 통보리차등이 재공급되면서 목적하는 바대로의 냉, 온보리차를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장기간 사용으로 냉, 온수통 및 수거통 추출장치를 청소할 경우에는 보리차공급호퍼부터 추출장치 냉, 온수통등의 내측에 충진된 내용물(물, 보리차등)을 모두 끄집어낸 뒤에 급수관(56)을 통해 각각 수도물을 공급하면서 그 내측을 세척하고 배수관(55)을 통해 그 세척한 물을 배수시키면서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이제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보리차 제조장치에서 보리차 원액을 추출한뒤에 이를 냉, 온수통으로 보내 냉, 온보리차를 제조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했으나, 본 고안에서는 보리차공급호퍼에 결명자나 오미자, 구기자, 옥수수, 칡 등을 투입한 뒤에, 이들의 원액을 추출하고 냉, 온수통으로 보내 결명자차나 오미자차, 구기자차, 옥수수차, 칡차등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리차공급호퍼와 추출장치를 2개이상 설치하고, 그들 내측에 각각 다른 종류의 차를 투입한 뒤에 선택적으로 각종차를 선택하여 마실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보리차제조장치는 보리차원액 추출장치로서 보리차원액을 제조한뒤에, 이 보리차원액을 각각의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와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된 냉수와 각각 혼합희석하여 각각의 냉, 온보리차를 항상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보리차 제조장지를 구성함에 있어서 :
    보리차공급호퍼(11)에 채워진 통보리차를 피터(12)로서 공급받으며, 내측에는 통보리차가 삽입되는 여과망(15)이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히터(16)가 설치되며 하측에는 통보리차찌꺼기를 수거통(40)으로 내보내는 피더(12)가 설치된 보리차원액 추출장치(10)와,
    상기 추출장치(10)에서 추출된 보리차원액을 공급관(51)을 통해 공급받아 냉수통과 연결된 냉각장치(21)에 의해 냉각된 냉수와 상기 보리차원액을 희석혼합시켜 밸브(22)를 통해 차가운 보리차를 공급하는 냉수통(2)과,
    상기 추출장치(10)에서 추출된 보리차원액을 공급관(52)을 통해 공급받아 내측 히터(31)에 의해 가열된 온수와 상기 보리차원액을 희석혼합시켜 밸브(32)를 통해 따뜻한 보리차를 공급하는 온수통(30)과,
    상기 보리차원액 추출장치(10)에서 보리차원액을 추출해내고 난 찌꺼기를 추출장치(10)의 피터(12)에 의해 수거하는 수거통(40)으로 보리차 제조장치(100)를 구성하며 :
    상기 추출장치(10)와 냉, 온수통(20), (30)에는 수도물을 각각 공급하는 급수관(56)이 설치되는데 이 급수관 선단부에는 필터(57)가 설치되어 정화된 수도물이 추출장치의 냉, 온수통으로 각각 공급되고,
    상기 냉, 온수통(20), (30)과 수거통(40) 하단부에는 배수관(55)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온수통(30)측 공급관(52)과 온수통(30) 사이에는 추출장치에서 발생된 스팀을 이용하여 온수통내의 온수를 가열하는 폐열공급관(54)이 설치되고, 상기 온수통(30) 일측에는 온수통(30)내의 온수의 과승을 방지하는 과승방지장치(3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차 제조장치
KR2019930012432U 1993-07-07 1993-07-07 보리차 제조장치 KR960001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432U KR960001949Y1 (ko) 1993-07-07 1993-07-07 보리차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432U KR960001949Y1 (ko) 1993-07-07 1993-07-07 보리차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654U KR950002654U (ko) 1995-02-16
KR960001949Y1 true KR960001949Y1 (ko) 1996-03-06

Family

ID=1935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432U KR960001949Y1 (ko) 1993-07-07 1993-07-07 보리차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9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654U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3917B (zh) 用热水及蒸汽联合蒸煮食物的器具和方法
JPS63164919A (ja) コーヒーまたはテイーメーカー
CN103622558B (zh) 一种带泡茶功能的饮水机
KR960001949Y1 (ko) 보리차 제조장치
US1925877A (en) Pasteurizing apparatus
CN211795913U (zh) 一种恒温直饮水设备
EP0647208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particularly domestic production, of beverages
KR200425269Y1 (ko) 정수 커피 자판기
CN207544920U (zh) 一种抽屉型饮水机
CN108030395A (zh) 一种直饮水机
KR100787911B1 (ko) 직수를 음용수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2387446Y (zh) 能自动换水的全自动双温开水器
CN107274565A (zh) 一种具有售卖开水和凉白开功能的自动售卖机
CN107581900A (zh) 一种智能电水壶
RU18331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талой питьевой воды
CN208851226U (zh) 一种多龙头饮水台
CN109757989B (zh) 饮水机
CN206714625U (zh) 一种新型咖啡快速冲制装置
CN217285442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热水壶
JPS6342886Y2 (ko)
CN214370909U (zh) 一种冷热开水随意调温即饮式饮水设备
US1910614A (en) Coffee urn
KR910001877Y1 (ko) 원액음료 자동판매기의 급탕장치
RU180376U1 (ru) Диспенсер для получения талой питьевой воды
CN208487779U (zh) 一种智能环保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