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269Y1 - 정수 커피 자판기 - Google Patents

정수 커피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269Y1
KR200425269Y1 KR2020060017057U KR20060017057U KR200425269Y1 KR 200425269 Y1 KR200425269 Y1 KR 200425269Y1 KR 2020060017057 U KR2020060017057 U KR 2020060017057U KR 20060017057 U KR20060017057 U KR 20060017057U KR 200425269 Y1 KR200425269 Y1 KR 200425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tank
hot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을수
Original Assignee
유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을수 filed Critical 유을수
Priority to KR2020060017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2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2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가 구비된 커피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정수필터로 이루어져 외부 인입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시스템과, 상기 정수시스템에서 정수처리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 용기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냉각파이프에 의해 냉각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냉각탱크, 상기 저장 용기의 물을 공급받아 소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저장하는 제1 온수탱크, 상기 제1 온수탱크와 연결되어 제1 온수탱크에서 가열된 물을 재가열하여 저장하는 제2 온수탱크, 상기 냉각탱크의 냉수와 제1 온수 탱크의 물을 직접 인출하여 마실 수 있게 하는 냉/온수 콕, 커피재료를 저장보관하면서 인출작동에 의해 소정량의 커피재료를 인출하는 커피재료 저장함 및, 상기 커피재료 저장함에서 공급되는 커피재료와 상기 냉각 탱크 및 제2 온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각각 혼합되어 배출되는 냉/온 커피 인출 포트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커피자판기는 냉/온 커피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과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정수 커피자판기는 정수시스템에서 정수 처리된 물을 대량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예비저수탱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커피 자판기는 정수처리된 물을 이용하므로 대장균 등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온 커피는 물론 냉커피도 제공할 수 있고, 커피가 함유되지 않은 일반 냉/온수도 제공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정수 커피 자판기, 정수기를 구비한 자판기, 정수 냉온 자판기

Description

정수 커피 자판기{A vending machine for coffee using purifed water}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 커피 자판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 커피 자판기에서 사용되는 냉각탱크와 일체로 이루어진 저수용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필터 3 - 외부 주입구
5 - 정수시스템 7 - 저장용기
9 - 냉각파이프 11 - 냉각탱크
13 - 제1온수탱크 15 - 제2온수탱크
17 - 냉수콕 19 - 온수콕
21 - 커피재료통 23 - 냉커피 인출 포트
25 - 온 커피 인출 포트 27 - 종이컵 보관대
29 - 냉커피 선택버튼 31 - 온 커피 선택버튼
33 - 제어밸브 35 - 감지센서
37 - 감지센서 39 - 분리판
41 - 틈새 43 - 온수파이프
45 - 연결관 47 - 주입 포트
49 - 볼탑밸브 51 - 냉수파이프
53 - 냉수공급라인 55 - 온수공급라인
57 - 드레인콕 59 - 주입 포트
61 - 볼탑밸브 63 - 압축기
65 - 펌프
본 고안은 커피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시스템과 온/냉수 시스템을 함께 구비하여 정수처리된 물을 사용하여 커피를 공급함은 물론 온/냉 시스템을 통하여 따뜻한 커피와 냉커피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정수 커피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자판기는 자판기 내부에 커피재료와 물을 구비해 두고, 수요자가 요구할 때 물과 커피재료를 함께 공급하여 커피를 만들도록 되어 있다.
그러데, 종래의 커피 자판기에 구비되어 있는 물은 자판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물통에 넣어 두고, 이 물을 가열기로 가열시켜 공급하게 되어 있는데, 이 과정에서 물이 충분하게 가열되어 100℃로 끓은 상태에서 저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 라, 95℃ 정도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물속에 서식하고 있는 대장균 등이 완전하게 살균되거나 처리되지 않은 채로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자판기의 내부에서 물을 100℃ 이상으로 끓여 공급하기 위해서는, 물을 끓이기 위한 장치는 물론 물을 끓이기 위한 용기 및 끓는 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 등이 필요함은 물론, 물을 항상 끓는 상태로 둘 수가 없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시중에 배포되어 있는 커피 자판기에 공급되는 물은 완전하게 살균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물을 사용하여 만든 커피도 해로울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커피 자판기는 따뜻한 커피만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는바, 그 이유는 통상의 커피자판기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시스템만을 구비하고 있고 냉각파이프는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고, 종래의 일반적인 커피자판기에 냉각파이프를 설치하지 못한 것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각파이프를 커피 자판기에 적용 설치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커피 자판기는 물과 커피가 혼합된 것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커피가 혼합되지 않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물을 공급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맹물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정수기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개 식당 등과 같은 곳에서는 커피 자판기는 물론 정수기를 함께 구비해 두고 있는 실정이고, 이와 같이 커피자판기와 정수기를 함께 설치해 둠으로 인해 비용상의 문제는 물론 설치장소를 많이 자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정수처리된 물을 사용함으로써 대장균 등과 같은 인체에 해로운 균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함과 더불어, 따뜻한 커피와 냉커피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냉/온 직수를 그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정수 커피자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정수커피 자판기는 다수개의 정수필터로 이루어져 외부 인입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시스템과, 상기 정수시스템에서 정수처리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 용기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냉각파이프에 의해 냉각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냉각탱크, 상기 저장 용기의 물을 공급받아 소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저장하는 제1 온수탱크, 상기 제1 온수탱크와 연결되어 제1 온수탱크에서 가열된 물을 재가열하여 저장하는 제2 온수탱크, 상기 냉각탱크의 냉수와 제1 온수 탱크의 물을 직접 인출하여 마실 수 있게 하는 냉/온수 콕, 커피재료를 저장보관하면서 인출작동에 의해 소정량의 커피재료를 인출하는 커피재료 저장함 및, 상기 커피재료 저장함에서 공급되는 커피재료와 상기 냉각 탱크 및 제2 온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각각 혼합되어 배출되는 냉/온 커피 인출포트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커피자판기는 냉/온 커피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과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정수 커피자판기는 정수시스템에서 정수 처리된 물을 대량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예비저수탱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커피 자판기는 정수처리된 물을 이용하므로 대장균 등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온 커피는 물론 냉커피도 제공할 수 있고, 커피가 함유되지 않은 일반 냉/온수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정수기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서도 일반 냉/온수를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자판기는 냉각파이프가 온수시스템을 함께 구비하고 있으면서 그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 커피 자판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면 2 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 탱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자판기는 다수개의 정수필터(1a,1b,1c,1d)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외부주입구(3)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정수 처리하여 공급하는 정수시스템(5)을 갖추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자판기는 상기 정수시스템(5)에서 정수처리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7)와, 상기 저장용기(7)의 하부에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냉각파이프(9)에 의해 냉각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냉각탱크(11), 상기 저장 용기(7)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기(13a)에 의해 소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저장하는 제1온수탱크(13), 상기 제1온수탱크(13)의 온수를 공급받아 가열기(15a)에 의해 재가열하여 저장하는 제2온수탱크(15), 상기 냉각탱크(11)의 냉수와 제1 온수 탱크(13)의 물을 직접 인출하여 마실 수 있게 하는 냉수콕(17)과 온수콕(19), 커피재료를 저장보관하면서 인출작동에 의해 소정량의 커피재료를 인출하는 커피재료 저장함(21) 및, 상기 커피재료 저장함(21)에서 공급되는 커피재료와 상기 냉각 탱크(11) 및 제2 온수탱크(15)에서 공급되는 냉수와 혼합되거나 온수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냉/온 커피 인출 포트(23,25)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커피 자판기는 필요에 따라 상기 냉/온 커피 인출포트(23,25)에 종이컵을 공급하는 종이컵 보관대(27)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종이컵 보관대(27)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커피를 인출할 때 별도의 용기를 상기 인출 포트(23,25)에 갖다 대고 인출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자판기는 상기 냉/온 커피 인출 포트(23,25)를 통하여 인출되는 커피를 차가운 냉커피 또는 따뜻한 온 커피를 선택하기 위한 냉/온 커피 선택버튼(29,31)과, 커피재료 저장함(21)에서 공급되는 커피재료를 냉/온 커피 인출 포트(23,25)에 선택적으로 제어 공급하는 커피공급 제어밸브(33) 및, 상기 커피 인출 포트(23,25)에서 공급되는 커피를 받기 위한 커피잔의 유무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면서 상기 커피재료 저장함(21)에서 공급되는 커피재료의 인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감지센서(35,37)를 추가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7)는 도면 2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하 직경이 서로 다른 2개의 대구경원통과 소구경 원통이 상하로 연결하여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대구경 원통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정수시스템(5)에서 공급되어온 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7)를 이루고, 소구경 원통으로 이루어진 아래쪽 부분이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탱크(11)를 이루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용기(7)와 냉각탱크(11) 사이는 서로 개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렇게 개시된 상태로 연결된 저장용기(7)와 냉각탱크(11) 사이에 분리판(39)이 설치되어 상온의 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7)와 냉각된 저온의 물을 저장하는 냉각탱크(11) 사이를 구획 지우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판(39)은 냉각탱크(11)의 상단을 완전하게 차단하도록 막고 있는 상태가 아니고, 분리판(39)의 가장자리와 냉각탱크(11)의 상단벽 사이에 소정의 틈새(41)가 형성되어, 상기 틈새(41)를 통하여 저장용기(7)에 유입된 물이 냉각탱크(11)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1온수 탱크(13)와 연결되어 있는 온수파이프(43)는 그 선단이 도면 2에 확대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판(39)을 관통하여 저장용기(7) 속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정수 자판기는 외부 주입구(3)를 통하여 상수도의 물이 정수시스템(5)으로 주입되면, 여러 단계의 필터(1a,1b,1c,1d)를 거쳐 정수처리된 다음 포트 "A"를 통하여 저장탱크(7)로 공급되는데, 상기 저장탱크(7)에 공급되는 물은 분리판(39)과 냉각탱크(11) 사이의 틈새(41)를 통하여 냉각 탱크(11)로 유입되어 들어감과 더불어, 상기 온수파이프(43)를 통하여 제1온수탱크(13)로 유입되는 한편, 상기 제1온수탱크(13)와 연결된 연결관(45)을 통하여 제2온수탱크(15)에도 유입된다.
이렇게 제1온수탱크(13)와 제2온수탱크(15), 냉각탱크(11) 및 저장용기(7)에 까지 물이 완전하게 채워지면, 상기 저장용기(7)의 입구에 설치되어 정수시스템(5)의 포트"A"와 연결된 주입 포트(47)의 볼탑밸브(49)가 오프되면서 물의 공급을 차단해 주고, 상기 냉각탱크(11)와 연결된 냉수콕(17)이나 제1온수탱크(15)와 연결된 온수콕(19)을 통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하면 저장용기(7)의 물이 줄어들게 되므로, 이와 동시에 포드"A"의 볼탑밸브(49)가 개방되어 물의 공급이 재개되면서 저장용기(7)에 물이 보충되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탱크(11)와 냉각콕(17)을 연결하는 냉수파이프(51)에 포트"B"가 설치되고, 상기 제2온수탱크(15)의 출구에는 포트"C"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포트"B"와 포트"C"는 커피 자판시스템(S)의 냉수 공급라인(53)과 온수 공급라인(55)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정수 커피 자판기는 상기 냉/온수콕(17,19)을 통하여 냉/온수를 인출하여 먹거나 이용할 수가 있고, 상기 냉각탱크(11)에 저장되어 있던 냉수와 제2온수탱크(15)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는 커피 자판시스템(S)의 포트"B"와 포트"C"로 유입되어 냉커피 선택버튼(29) 또는 온 커피 선택버튼(31)을 선택하여 누르면 냉수 또는 온수가 공급되면서 커피 재료통(21)에서 공급되는 커피재료가 냉수 또는 온수와 혼합되어 냉커피 인출 포트(23) 또는 온 커피 인출 포트(25) 늘 통하여 인출 되게 된다.
여기서, 커피 자판시스템(S)은 일반적인 공지의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고 또 그 제어 작동은 공지의 커피 자판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자제어부에 의해 이루여지는 것이며, 이들 시스템과 제어기구의 자세한 구성과 그 작동상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면 1에서 도시한 커피 자판시스템(S)에서 종이컵 보관 대(27)가 갖추어져 있는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종이컵 보관대(27)를 갖추지 않고 별도로 종이컵을 보관하고 있다가 커피를 인출할 때마다 인출 포트(23,25)의 입구에 설치된 감지센서(35,37)에 대고 선택버튼(29,31)을 눌러서 커피를 선택 인출할 수가 있다.
물론,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35,37)도 필요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정수 커피 자판기에는 별도의 정수 저장탱크(T)가 갖추어져 있는데, 상기 저장탱크(T)는 정수시스템(5)에서 정수 된 물을 대량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본체의 측방으로 돌출 설치된 드레인콕(57)을 사용하여 바깥으로 드레인시킬 수 있는데, 상기 드레인콕(57)은 식당 등에서 손님에게 제공하기 위해 물병에 물을 받을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T)에 주입되는 물은 정수시스템(5)에서 제공되는 것인데, 상기 정수시스템(5)의 포트"A"와 주입포트(59)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시스템(5)은 저장용기(7)와 저장탱크(T)에 병렬 연결된 구 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탱크(T)의 수위는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주입 포트(59)에 설치된 볼탑밸브(61)의 온오프 작동에 의해 조절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 커피자판기는 정수시스템(5)에서 정수처리된 물을 냉각 또는 가열처리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냉/온수콕(17,19)을 통하여 직접 인출해 먹을 수 있고, 상기 정수시스템(5)에서 정수처리된 물을 커피자판 시스템(S)으로 유입하여 사용하므로 위생적으로 깨끗한 커피를 먹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정수 커피자판기는 제1온수탱크(13)와 제2온수탱크(15)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제1온수탱크(13)는 온수를 인출하는 온수콕(19)과 연결되고, 제2온수탱크(15)는 커피자판시스템(S)의 온수 공급라인(55)과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온수를 직접인출하여 먹거나 많은 양의 커피를 인출하는 경우에도 온수가 모자라 커피를 제공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정수 커피자판기는 냉각파이프(9)에 의해 냉각된 냉수를 사용하여 커피자판시스템(S)에서 냉커피를 제공할 수가 있으므로 별도의 시설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한대의 커피자판기를 사용하여 냉온 커피를 인출하여 먹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탱크(11)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파이프(9)는 일반적인 냉각시스템의 냉매 압축기(63)와 냉매 펌프(65)에 연결되어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냉각탱크(11) 속에 채워져 있는 물을 냉각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 커피 자판기는 정수처리된 물을 사용하여 커피를 만들도록 되어 있으므로 커피의 물에 인체에 해로운 대장균 등이 포함되지 않게 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1대의 기기로서 냉온수를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는 물론 커피도 제공할 수가 있으므로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정수 커피 자판기는 정수처리된 물을 대량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T)를 구비하고 있어, 음식점 등과 같은 곳에서 정수처리된 물이 대량으로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저장탱크(T)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간단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별도의 정수기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다수개의 정수필터(1a,1b,1c,1d)로 이루어진 정수시스템(5)에서 정수처리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7)와, 상기 저장용기(7)의 하부에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냉각파이프(9)에 의해 냉각수를 만들어 저장하는 냉각탱크(11), 상기 저장 용기(7)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기(13a)에 의해 소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저장하는 제1온수탱크(13), 상기 제1온수탱크(13)의 온수를 공급받아 가열기(15a)에 의해 재가열하여 저장하는 제2온수탱크(15), 상기 냉각탱크(11)의 냉수와 제1 온수 탱크(13)의 물을 직접 인출하여 마실 수 있게 하는 냉수콕(17)과 온수콕(19), 커피재료를 저장보관하면서 인출작동에 의해 소정량의 커피재료를 인출하는 커피재료 저장함(21) 및, 상기 커피재료 저장함(21)에서 공급되는 커피재료와 상기 냉각 탱크(11) 및 제2 온수탱크(15)에서 공급되는 냉수와 혼합되거나 온수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냉/온 커피 인출포트(23,25)를 갖추어 이루어진 정수 커피자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 커피 인출 포트(23,25)를 통하여 인출되는 커피를 차가운 냉커피 또는 따뜻한 온 커피를 선택하기 위한 냉/온 커피 선택버튼(29,31)과, 커피재료 저장함(21)에서 공급되는 커피재료를 냉/온 커피 인출포트(23,25)에 선택적으로 제어 공급하는 커피공급 제어밸브(33) 및, 상기 커피 인출포트(23,25)에서 공급되는 커피를 받기 위한 커피잔의 유무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면서 상기 커피재료 저장함(21)에서 공급되는 커피재료의 인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감지센서(35,37)를 추가하여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커피자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시스템(5)에서 정수처리된 물을 대량으로 저장하는 정수 저장탱크(T)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정수 저장탱크(T)에 저장하고 있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콕(5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커피자판기
KR2020060017057U 2006-06-23 2006-06-23 정수 커피 자판기 KR200425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57U KR200425269Y1 (ko) 2006-06-23 2006-06-23 정수 커피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57U KR200425269Y1 (ko) 2006-06-23 2006-06-23 정수 커피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269Y1 true KR200425269Y1 (ko) 2006-09-05

Family

ID=4177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057U KR200425269Y1 (ko) 2006-06-23 2006-06-23 정수 커피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2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14B1 (ko) 2008-01-07 2009-07-29 주식회사 하닌 커피와 차를 분리배출하는 디스펜서 일체형 냉온수기
KR101281303B1 (ko) 2011-01-21 2013-07-03 이종용 예약 기능을 구비한 미니 커피 냉온수기 또는 미니 커피 냉온정수기
KR20140055279A (ko) * 2012-10-31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기기
KR101499321B1 (ko) * 2013-05-13 2015-03-06 이진웅 커피 제조기 겸용 냉온 정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14B1 (ko) 2008-01-07 2009-07-29 주식회사 하닌 커피와 차를 분리배출하는 디스펜서 일체형 냉온수기
KR101281303B1 (ko) 2011-01-21 2013-07-03 이종용 예약 기능을 구비한 미니 커피 냉온수기 또는 미니 커피 냉온정수기
KR20140055279A (ko) * 2012-10-31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기기
KR101499321B1 (ko) * 2013-05-13 2015-03-06 이진웅 커피 제조기 겸용 냉온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269Y1 (ko) 정수 커피 자판기
CN101263975A (zh) 即热式饮水设备
KR100710875B1 (ko) 유량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냉온수기
CN203762898U (zh) 一种全方位热水循环消毒式饮水机
US9254058B2 (en) 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1671286B1 (ko) 탄산수 정수기용 혼합탱크
CN104939677A (zh) 一种饮水机
JP3166606U (ja) アンダーカウンター式飲料用ディスペンサ
CN105342459A (zh) 饮水设备及其定量水供应装置
CN206359352U (zh) 一种带有水质检测的家用冷热饮水机
CN203987653U (zh) 水量控制系统和具有其的饮水设备
KR100787911B1 (ko) 직수를 음용수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60016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KR20170047851A (ko) 냉수 인출을 겸한 탄산믹서통 및 이를 포함한 물공급장치
CN107981731A (zh) 一种饮水机及其控制方法
CN204049286U (zh) 饮水设备及其定量水供应装置
CN207760140U (zh) 一种台式反渗透净水机系统
CN204245929U (zh) 带有鱼缸的饮水机
CN206511939U (zh) 一种净饮机
KR101211784B1 (ko) 냉온수기
CN104928097B (zh) 酒柜
CN218246819U (zh) 双仓式茶吧机
CN204874467U (zh) 酒柜
CN209789580U (zh) 一种管线机
KR20140004873A (ko) 스마트 살균시스템을 구비한 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