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396Y1 - 폐수 정화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정화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396Y1
KR960001396Y1 KR2019930012514U KR930012514U KR960001396Y1 KR 960001396 Y1 KR960001396 Y1 KR 960001396Y1 KR 2019930012514 U KR2019930012514 U KR 2019930012514U KR 930012514 U KR930012514 U KR 930012514U KR 960001396 Y1 KR960001396 Y1 KR 960001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pipe
recovery
main body
reac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748U (ko
Inventor
조상석
Original Assignee
조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석 filed Critical 조상석
Priority to KR2019930012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396Y1/ko
Publication of KR9500037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7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수 정화 처리 장치
제 1 도는 본고안의 사용 상태틀 보인 전체 계통도.
제 2 도는 본고안의 정화탱크 일부 절취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본체 4 : 경사판
5 : 차단벽 6 : 배출로
7 : 회수실 8 : 종칸막이
10 : 횡칸막이 11 : 저온파이프
13 : 정제 회수로 14 : 반응실
15 : 열파이프
본고안은 인쇄소나 QSS 사진 현상소 및 X선 사진현상 처리등과 같이 중, 소규모 화학 폐수 발생 업소에서 배출되는 폐 현상액이나 폐수에 의해 공해가 유발되는 화학적인 정제방법을 배제하고 폐수 회수 탱크에서 정수로의 하부본체로 유입시켜 저열과 냉매를 가해 발생되는 증기와 수분의 변화에 의해 폐수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하게 한 폐수 정화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중, 소규모의 인쇄소나 QSS 사진 현상소 등에서 작업후 발생되는 폐기 화학물(현상액등)의 경우 대부분 한곳에 모아 두었다가 일정한량에 이르면 별도의 처리업자가 수거하여 처분하고 있으나 폐수를 모아두는 곳은 대부분 드럼통 등의 대형 보관용기를 여러개 비치 사용하므로 넓은 보관 공간이 필요하고 폐수를 모으기 위해서는 별도의 적은 회수용기에서 일차적으로 모아 큰 용기를 담아서 버리기 때문에 이동이 매우 번거로울뿐 아니라 화학 폐수를 수거한 업자 또한 별다른 정제 처리 없이 외딴곳에 그대로 방류 하거나 화학적인 처리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연환경을 오염시키고 생태계를 파괴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중, 소규모의 영업장소에서 배출하는 폐수를 자체 정화시켜 곧바로 하수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청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본체(1)의 일측 입구부(3) 하단에서 경사지게 경사판(4)을 부착하고 상향부에는 차단벽(5)을 일체로 절곡시켜 배출로(6)와 회수실(7)을 만들고, 경사판(4) 저면에는 종칸막이(8)를 다수 고정하며, 배출로(6) 하단의 상부본체(1) 내벽면(9)에는 횡칸막이(l0)를 부착하며 회수실(7)에 저온 파이프(11)를 냉장하여 콤프레샤(12)에 연결한후, 하단부에 호퍼형의 정제 회수로(13)를 설치한 반응실(14)내에 열파이프(15)를 장치하여 콤프레샤(12)에 연결한 하부본체(2)를 안착시켜 플렌지부(16)를 볼트로 고정시켜 일체화 한 정제로(A)의 반응실(14) 상단에 설치한 밸브(17)와 폐수 회수 탱크(18)의 배수 파이프(20)를 결합 시키고 상부본체(1)의 회수실(7) 하단 연결 파이프(21)는 첵크밸브(22)를 결합한 정화수 탱크(23)의 파이프를 결합시켜서 된 장치이다.
미설명부호 24는 폐수, 25는 금속 슬러쉬, 26은 정화수, 27은 배출밸브이다.
이와 같이된 본고안은 화학적인 약물처리 없이 저열과 냉매를 이용하여 폐수를 정화 하도록 한 것으로 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장치를 폐수의 회수가 용이한 곳에 설치한후 폐수 회수탱크(18)에 폐수를 투입하여, 하부몸체(2)와 연결된 배수 파이프(20)를 통해 반응실(14)로 유입시키면서 콤프레샤(12)를 작동하여 하부 몸체(2)의 열 파이프(15)는 데워 반응실(14)에 유입된 폐수의 온도를 30∼50℃로 유입시켜주고 상부몸체(1)의 저온 파이프(11)에는 0℃ 전후의 냉매로 가동시킨다.
이와 같은 온도가 유지되면 하부본체(2)에 유입된 폐수(24)가 열파이프(15)에 의해 가열되어 30∼50℃ 사이로 가열되면 폐수에 금속 찌꺼기와 이물질 등이 함께 섞여 있던 수분이 증기로 변화되어 천천히 위로 상승하여 이동하다 상부본체(1)에 만들어진 경사판(4) 하단의 종칸막이(8)에는 반응실(14)의 열파이프(15)에서 발생하는 저열에 의해 증기화 된 폐수의 물방울이 맺혀지면서 다단계의 종 칸막이(8)를 따라 배출로(6)로 쪽으로 이동 되어지고 배출로(6) 하단측 몸체 벽면(9)의 횡칸막이(10)에도 정제가 완전히 되지 않은 잔류금속이 섞인 증기가 물방울이 굵게 맺혀지면 물방울은 반응실(14) 아래로 떨어져 재증류가 되면 다단계 종칸막이(8)와 횡칸막이(10)를 통과한 가볍고 순수한 증기는 배출로(6)를 통해 회수실(7)에 유입된다.
이렇게 회수실(7)에 증기가 유입되면 냉매체에 의해 0℃전후로 냉각되어 있던 저온 파이프(11)의 냉기에 의해 증기는 수분으로 변화되어 연결파이프(21)가 설치된 경사판(4) 아래 부분에 모여져 첵크밸브(22)를 지나 외부의 정화수 탱크(23)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정화수(26)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수실(7)과 정화수 탱크(23)에 연결된 연결파이프(21) 상에 설치된 첵크밸브(22)는 정화수(26)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화수 탱크(23)에 모인 정화수(26)는 COD가 30∼150 PPM 정도로 배출밸브(27)를 열어 곧바로 하수구로 배출 하여도 악취가 나지 않으며 위생상에도 문제점이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화장치의 가동후 폐수속의 수분을 증기로 배출시켜 정제한 다음 반응실(14) 바닥면에 남게되는 금속 찌꺼기(철, 은등)는 정제 회수구(13)를 통해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고안은 저열과 냉매를 이용하여 증기화 시킨것을 다시 정화수로 회수 시킨 것으로 공해 발생이 없으며 하루 8시간 정도 폐수를 정제할 경우 20∼40g 정도의 금속이 회수 가능한 것으로 소규모로 발생되는 폐수 업소에는 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손쉽게 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상부 본체(1)의 일측 입구부(3) 하단에서 경사지게 경사판(4)을 부착하고 상향부에 차단벽(5)을 일체로 절곡시켜 배출로(6)와 회수실(7)을 만들고 경사판(4) 저면에는 종칸막이(8)를 다수 고정하며, 배출로(6) 하단의 상부본체(1) 내벽면(9)에는 횡칸막이(10)를 부착하며, 회수실(7)에 저온파이프(11)를 내장하여 콤프레샤(12)에 연결한후, 하단부에 호퍼형의 정제 회수로(13)를 설치한 반응실(14)내에 열파이프(15)를 장치하여 콤프레샤(12)에 연결한 하부본체(2)를 안착시켜 플랜지부(16)를 볼트로 고정시켜 일체화 한 정제로(A)의 반응실(14) 상단에 설치한 밸브(17)와 폐수 회수탱크(18)의 배수 파이프(20)를 결합 시키고 상부본체(1)의 회수실(7) 하단 연결 파이프(2l)는 첵크밸브(22)를 결합한 정화수 탱크(23)의 파이프를 결합 시켜서 된 폐수 정화 처리장치.
KR2019930012514U 1993-07-06 1993-07-06 폐수 정화 처리 장치 KR960001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514U KR960001396Y1 (ko) 1993-07-06 1993-07-06 폐수 정화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514U KR960001396Y1 (ko) 1993-07-06 1993-07-06 폐수 정화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748U KR950003748U (ko) 1995-02-17
KR960001396Y1 true KR960001396Y1 (ko) 1996-02-15

Family

ID=1935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514U KR960001396Y1 (ko) 1993-07-06 1993-07-06 폐수 정화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3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56B1 (ko) * 2004-09-16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섬프 취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56B1 (ko) * 2004-09-16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섬프 취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748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569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vapor compression distillation
US4536257A (en) Desalination system
US20100200388A1 (en) Distillation apparatus
KR950702508A (ko) 물 증류 시스템(A Water Distillation System)
US4495034A (en) Waste effluent treatment and solvent recovery system
KR960001396Y1 (ko) 폐수 정화 처리 장치
US3293151A (en) Aqueous radioactive waste concentrator
US4350568A (en) High efficiency water distillation apparatus
US20030038022A1 (en) Solar desalination plant
US3219555A (en) Distillation unit with still supported condenser
EP0077995B1 (fr) Installation de chauffage d'un fluide à l'aide d'une pompe à chaleur fonctionnant à partir d'une source froide constituée par une solution chargée ou corrosive
JPH05240589A (ja) 汚れた温排水と清水との熱交換装置
CA2362120C (en) Device for cleaning a fluid in the form of a vapor from a circuit
KR960000781A (ko) 저온 저압 증류법에 의한 정수기
CN115536094A (zh) 造水装置
JP2013248604A (ja) 2相分離槽
EP0100328A1 (en) A method and means for reducing the need for energy supplied to distallation processes
SU567024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термического обезвреживани промышленных стоков
GB2389373A (en) Shower waste trap
US3630263A (en) Evaporation of liquor
PL186224B1 (pl) Pompa ciepła, zwłaszcza dla oczyszczalni ścieków
US1821840A (en) Combined feed water heater and steam condenser
Hickman Role of Distillation in a Waste Water Recovery Cycle
JPS5845762Y2 (ja) 溶剤回収用の凝縮装置
KR930001795Y1 (ko) 증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