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238B1 - 대형건축물 등에 있어 벽- 및/또는 층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배치물 - Google Patents

대형건축물 등에 있어 벽- 및/또는 층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배치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238B1
KR960001238B1 KR1019910019519A KR910019519A KR960001238B1 KR 960001238 B1 KR960001238 B1 KR 960001238B1 KR 1019910019519 A KR1019910019519 A KR 1019910019519A KR 910019519 A KR910019519 A KR 910019519A KR 960001238 B1 KR960001238 B1 KR 96000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elements
turnbuckle
elements
retaining
suppor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324A (ko
Inventor
하르쉬 게랄트
Original Assignee
빌헬름 폰 데어 델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4132447A external-priority patent/DE4132447C2/de
Application filed by 빌헬름 폰 데어 델렌 filed Critical 빌헬름 폰 데어 델렌
Publication of KR93001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형건출불 등에 있어 벽-및/또는 층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배치물
제1도는 턴버클이 결합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의한 배치물의 한 실시예의 부분단면 확대 평면도이고,
제2도는 비임과 지지섹션이 제거된 제1도의 턴버클의 측면도이고,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볼 수 있는 턴버클의 하우징을 별도로 나타내는 실물대 투시도이고,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의한 턴버클의 양 측방 유지요소의 실물대투시도이고,
제5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의한 턴버클의 2부품 고정장치의 한 고정장치 요소의 실물대 측면도이고,
제6도는 제5도를 화살표 A방향으로 본 제5도의 상면도이고,
제7도는 제5도를 화살표 B방향으로 본 제5도의 저면도이고,
제8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의한 턴버클의 2부품 고정장치의 다른 고정장치요소의 실물대 측면도이고,
제9도는 제8도를 화살표 C방향으로 본 제8도의 상면도이고,
제10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의한 턴버클의 별도 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섹션 11 : 웨브
12 : 홈 13 : 비임
14 : 턴버클 15,16 : 측방유지요소
17 : 중앙유지요소 18 : 연결부
21 : 턴버클하우징 22 : U형상 틈새
25,26,27 : 보어구멍 28 : 고정장치
29 : 중아원통부 30,31 : (외측) 원판부
32,33 : 내표면 34,35 : 고정장치요소
36 : 축방향슬롯 37 : 걸림부
38 : 경계부 42,43 : 돌출부
본 발명은 대형 가설물, 야외스탠드, 단층 또는 다층 홀스탠드와 같은 대형건축물에서 벽-및/또는 층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한 배치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배치물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지지섹션이 중심부 건축요소로서 또는 구석부분 건축요소로서 사용되고, 그 요소로부터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벽부재 또는 층부재가 뻗어나간다.
여기서 벽부재 또는 충부재는 중공 섹션프레임으로 되어 있는 비임(보)에 의해 지지되며, 비임은 각각 턴버클에 의해 지지섹션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하거나 변화를 주려는 벽- 및/또는 층구조물 예컨대 대형 스탠드는 통상 균일한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구조물로서 형성된다.
모두에 언급한 종류의 배치물은 DE-OS 37 03 907에 개시되어 있는데, 그대상은 이미 DE-PS 29 31 026에 개시되어 있는 유사한 배치물을 더욱 발전시킨 것이다.
이는 지지섹션의 세 인접홈 내로 삽입가능한 세개의 유지요소로 구성되는 턴버클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유지요소들은 나사와 같은 횡방향의 신장구단(고정장치)에 의해 가압고정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DE-PS 29 31 026에 의한 공지의 턴버클 구조의 단점은, 턴버클을 작동시키기 위해 나사로 되어 있는 고정 장치를 2 내지 3회전 시킬 필요가 있다는데 있다.
그럼으로써 벽-또는 층구조물을 설치 또는 해체하는데 요하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진다. 게다가 고종장치가 부적당하게(너무 세게) 작동될 때에는, 외부에서도 볼수있는 눌림 자국이 비임 벽에 생길 정도로, 통상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비임의 벽이 측방 유지요소의 벌어진 후단부에 의해 심하게 부하가 걸릴(응력이 발생할)위험이 생긴다.
DE-PS 29 31 026에 의한 공지의 턴버클의 또다른 단점은 중앙 유지요소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중공섹션프레임(비임)을 정확히 위치고정시키기가 현저히 어려운 점, 또한 두 측방 유지요소는 한쪽에서만 폐쇄 고정되기 때문에 턴버클 및 그것에 지지된 중공 섹션프레임의 이동이 생기는점, 그리고 턴버클은 단지 고정장치의 나사머리에 의해 중공 섹션프레임 방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턴버클을 중공 섹션프레임내에 정확히 중앙에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점 등에 있다. 더우기 이 공지 턴버클의 두 측방 유지요소는 자력으로 원위치 복귀하지 않기 때문에 중공 섹션프레임을 지지섹션으로부터 분리하기가 곤란하다.
사실상 상기한 불충분점 중의 몇가지는 DE-OS 37 03 907에 의한 공지의 턴버클에 의해 회피될 수 없다. 즉 이는 편심구조로 구성된 고정장치가 합성수지 외각으로 피복된 금속코어를 갖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합성수지 외각에는 각각 두 측방 유지요소를 둘러싸는 작동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지의 고정장치의 금속코어는 서로 편심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일체로 연결된 두 원통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두요소중의 하나는 합성수지 외각밖으로 돌출하는 내부육변형 작동헤드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 고정장치를 중앙 유지요소내에 지지하고 측망 유지요소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합성수지 외각 용 내부지지체를 형성한다. 게다가 둘째 원통요소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작동홈의 양측으로 뻗는 지지밴드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그 고정장치의 특수구조로 인해 실제적으로 또한 언제나 대체 가능한 비용으로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DE-OS 37 03 907에 의한 공지의 턴버클을 실제로 사용하는데 부적당하게 하는단점은, 고정장치의 합성수지 외각은 고정장치의 작동시 생기는 큰 힘을 오래 견딜 수 없고 그리하여 비교적 단기간 사용후 고정장치의 마모로 인해 턴버클을 사용할수 없게 된다는데 있다. 고려해 볼 수 있는 고정장치 전체를 금속으로 만드는 것은, 그 형상이 구조적으로 너무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또한 합성수지로 둘러싸이는 공지의 고종장치의 금속코어는 그 복잡한 형상 대문에 큰 비용을 들여야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기능상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고 내구성 있게 작동하고 그러면서도 동시에 대체가능한 비용으로 조립될 수 있는, 턴버클을 구비한 모두에 언급한 종류의 배치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동류의 배치물의 경우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의해 달성된다. 강도상의 이유로 금속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 장치는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제작 또는 공작될 수 있다. 절단 가공없이 또한 후속하는 재가공 없이도 고정장치를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고정장치 또는 그 부품을 소결금속 및 /또는 다이카스팅물로 구성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강으로 고정장치로 제조하는 것도 고려해 볼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계가공(선반가공, 밀링가공 등에 의해)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에 의하면 장치의 내표면이 경사져 있어 턴버클이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폐쇄 및 개방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고정장치를 단지 최대 반바퀴(180°회전)돌릴 필요가 있다.(턴버클에 의해 서로 결합시키려는 요소들의 구조적 형성 및 허용도에 따라서는 많은 경우 180°보다 훨씬 작은 고정각도도 또한 충분한 것임이 밝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용이 많이드는 편시적 고정장치 구조는 배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턴버클의 제작시에는 두 측방 유지요소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면 비용상 유리해진다. 더욱이 이러한 아이디어는, 간단한 방식으로 고정장치가 풀어지자마자 측방 유지요소가 그의 폐쇄위치로부터 탄성적으로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중요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턴버클이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비용절감적으로 실현된다는 의미에서 효과적이다. 게다가 턴버클 하우징과 중앙 유지요소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와 아울러 측방유지요소가 양측에서 균일하게 마모됨으로써 유리하게도 턴버클 및 해당 중공 섹션프레임(비임)이 소속지지섹션에 완벽하고 정확하게 위치고정되고 중심고정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특히 제작기술적 및 가격적 관점에서 유리한 효과를 내는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 양태가 또한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해 고정장치의 작동시 최대 가능한 및 허용되는 회전각(180°)이 신뢰할 수 있게 한정된다. 그럼으로써 장치의 과회전은 방지된다.
고정장치의 특수형상에 관한 본 발명이 또다른 특징에 의해서, 고정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것 외에도, 고정장치는 턴버클의 폐쇄시(두 측방 유지요소의 클램핑시) 양쪽 외측으로 중공 섹션프레인의 내벽에 눌리어 전체 턴버클이 강력하게 중공 섹션프레임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는 이점도 생긴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해, 고정장치가 충분한 강도를 보장하는 금속으로부터 높은 치수 정밀도로 그러면서도 비용이 드는 재공작을 하지 않고도 제작될 수있다.
측방 유지요소의 형상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고정장치의 원판부의 경사표면을 통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작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하고 상술하기 위해도면에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1도에서 10은 긴 중공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지지섹션을 보여주는데 이 단면은 그 사이에 홈(1)이 있는 단면이 T형상인 웨브들(11)로 되어 있고 3 또는 4로 나누어지는 수의 돌출부를 그 주위에 갖고 있다, 지지섹션(10)에는 비임(13)이 반경방향으로 배치고정되어 있고 이 비임에는 다시 벽부재도는 층부재(표시안됨)가 적당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비임(13)을 지지섹션(10)에 고정하기 위해서 전체가 14로 표시된 별도의 턴버클이 사용된다. 턴버클은 세유지요소(15,16 및 17)를 갖고 있고 이들은 각각 지지섹션(10)의 네인접웨브(11)사이의 인접홈(12)내에 물려 있다. 웨브(11)의 간격과 지지섹션(10)쪽 단부에서의 유지요소(15,16 및 17)의 치수는, 유지요소(15,16 및 17)가 긴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경방향 외부로부터 지지섹션의 웨브(11)들 사이의 홈(12)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간에 적절히 결정된다.
제1도 및 제4도모부터 상세히 알수 있는 바와같이, 탄성강으로 구성된 두측방 유지요소들(15,16)의 그 후단부(18)에서 서로 연결되어 이들은 대략 V형상의 일체부품을 형성한다. 측방 유지요소들 (15,16)은 그의 지지섹션(10)쪽의 선단에서 각각 발톱(클로우) 모양의 만곡부(19)를 갖고 있고 이 만곡부가 턴버클(14)의 긴장상태에서 지지섹션(10)의 웨브(11)의 확장단부(20)를 뒤에서 파지한다.
게다가 제1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제10도 참조), 두 측방 유지요소(15,16)가 전술한 중앙유지요소(17)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중앙유지요소(17)는 그의 선단(지지섹션 끝)이 지짖섹션(10)이 두인접웨브(11)사이에 끼인다.
제1도로부터, 중앙 유지요소(17)의 폭은 양쪽에 배치된 지지섹션(10)의 인접웨브(11)의 간격과 정확히 일치하여, 이 웨브가 측방 유지요소(15,16)의 클로우(19)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가압될 때 이 웨브는 내측으로 중앙 유지요소(17)에 지지될 수 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다시도면 특히 제1,제2 및 제10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세 유지요소(15,16 및 17)는 종합하여 21로 표시된 턴버클 하우징내에 배치된다(또한 이에 대해서는 제3도의 별도 투시도를 보라). 턴버클 하우징(21)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제조하기가 간단하고 저렴하기 때문에)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그런데 특별한 점은 중앙 유지요소(17)가 일체적으로 턴버클 하우징(21)에 형성되어 있다는데 있다. 자체적으로 공동의 부품을 형성하는 두 측방 유지요소(15,16)는 특수한, 대략 U자 형상을 한 턴버클 하우징(21)이 홈(22)에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U자 형상의 홈(22)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제1도에서 지지섹션(10)의 방향으로)감에 따라 내려가는 경사면(23)(제2도 및 제3도 참조)을 갖고 있으며 측방유지요소(15,16)도 마찬가지로 대응적으로 경사형성되어 있으며(제2도 및 제4도 참조) 측방 지지요소(15,16)의 경사면은 24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하여 측방유지요소(15,16)에 있어 가장 적은 재료가 연결부(18)에서 사용된다.
또한도면, 특히 제3도 및 제4도에서 분명히 알수 있는바와 같이, 세 유지요소(15,16 및 17)에는 보어구멍(25, 26 및 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턴버클(14)의 조립위치에서 서로 정렬되어 있고 전체가 28로 표시된 고정장치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제1, 제2 및 제10도 참조).
제5-9도는 각 구성부재를 보여주는 고정장치의 별도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고정장치(28)는 유지요소(15, 16, 17)의 보어구멍(25, 26, 27)을 통과하는 중앙원통부(29)와 그 단부에 있는 원판부(30,31)를 갖고 있다. 설치상태(제1, 제2 및 제10도)에서는 고정장치(28)의 두 원판부(30, 31)는 그들 사이에 두 측방 유지요소(15,16)(및 중앙 유지요소(17))를 둘러싼다. 각 원판부(30 또는31)는 경사진 내표면(32 또는 33)을 갖고 있고 그 표면으로 원판부는 각 소속하는 측방 유지요소(15 또는 16)와 접촉한다(특히 제1도 참조). 그래서 원판부(30,31)의 내표면(32,33)의 경사는 소속하는 측방 유지요소(15 또는 16)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략 일치한다.
고정장치(28)의 또다른 특징은 이 장치가 특히 제5-9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고정장치요소 34(제5-7) 및 35(제8 및 제9도)로 구성되어 있다는데 있다.
여기서 각 고정장치요소(34 또는 35)에는 하나의 원판부(30-도는31)가 할당되어 있다. 제5-7도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한 고정정장치요소(34)는 원판부(30) 및 그것과 고정연결된 중앙원통부(29)로 구성되어 있는 중앙원통부내에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두벽을 가진 축방향 슬롯(36)이 형성되어 있다(특히 제6도 참조). 다른 고정장치요소(35)(제8 및 제9도)의 경우에는 평활화된 걸림부(31)가 원판부(31)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데 그 윤곽은 원통부(29)에 있는 축방향 슬롯(36)의 윤곽에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6 및 제9도 참조).
턴버클(14)의 설치상태(제1,제2 및 제10도)에서는 고정장치요소(35)의 걸림부(37)(제8도 및 제9도)는 고정장치요소(34)이 축방향 슬롯(36)(제5-7도)내에 끼워져 결합되고 그리하여 고종장치(28)를 형성하는 두 요소(34,35)는 회전은 할 수 없으나 축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는 결합관계를 갖는다.
한편으로는 슬롯(36)의, 또 한편으로는 걸림부(37의 비스듬한 경계벽에 의해 두 고정장치요소(34,35)는 확실하게 올바른 기능을 하도록 배치되며 그림으로써 잘못된 조립이 방지된다.
또다른 특징으로 언급할 수있는 것은, 턴버클 하우징(21)은 단지 원형 외주윤곽을 가진 원판부(30, 31)까지만 뻗어 있다는 것이다(특히 제2, 제3 및 제10도 참조). 턴버클 하우징(21)의 접속경계면(38)은 대응적으로부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턴버클(14)을 지지섹션(10)에서 폐쇄위치에 놓이게 하려면(제1도), 고정장치(28)를 회전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 고정장치는 대응하는 육각형 렌치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도록 육각형 소켓(39)을 갖고 잇다 턴버클(14)을 개방위치(제1도)로부터 폐쇄위치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고정장치(28)의 (내부) 경사표면(32,33)을 따라 최대 180°의 고정각만큼 회전하면 충분한데 그 회전각은 고정장치를 반바퀴 회전시키는 것에 해당한다. 그래서 두 측방 요소(15,16)는 그의 스프링 저항력에 거슬려 함께 가압되고 그의 클로우형상 단부(19)는 지지섹션의 웨브(11)에 있는 확장단부(20)를 단단히 파지한다.
고정장치(28)의 해정과정(턴버클(14)을 개장위치로 절환하는것)은 비슷한 방식으로 즉(최대)180°만큼 고종장치(28)를 회전시킴으로써, 물론 쇄정과정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측방 유지요소(15,16)ms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요소들은 저절로 서로 벌어지며 턴버클(이것에 맞물려 있는 비임(13)과 함께)은 지지섹션(10)으로부터 풀리어 옮겨질 수 있다.
고정장치(28)가 과회전하는 것은 두 원판부(30 또는 31)의 각각의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돌출부(42 또는 43)가 스코퍼로서 형성되어 , 이 돌출부가 각 작동과정(회전) 끝에 턴버클 하우징(21)의 경계표면(44 또는 45)에 부딪치게 함으로써 방지된다.
중공 섹션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는 비임(13)내에 턴버클(14)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을 유의 해야 할 것이다. 제1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비임(13)은 측방 보어구멍(40)을 갖고 있고, 그 보어구멍내에는 연장부(41)가 원판부(30)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장치(28)가 삽입되어 있다(제2, 제5 및 제7도 참조), 그럼으로써 턴버클(14)은 비임(13)내에 확실하게 고종된다. 턴버클(14)이 폐쇄위치에 놓여지게 되거나 놓여져 있을때는 (또한 상기 실시예 참조), 한편으로는 함께 가압되는 측방 유지요소(15,16)의 스프링 반작용력에 의해서, 또 한편으로는 고정장치 요소(34,35)의 축방향 이동성에 의해서 원판부(30, 31)는 비임(13)의 내벽에 축방향으로 밀려 지지되며 그럼으로써 바람직한 방식으로 동시에 턴버클(14)과 비임(13) 사이에 (추가적인)강력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와 동시에 원판부(30,31)가 비임(13)에 측방지지됨으로써 원판부(30,31)는 유리한 방식으로 두 측방 유지요소(15,16)의 인장시에 생길수 있는 그의 굴골응력으로부터 해방된다.
도면의 표시된 실시예(특히 제1 제2 및 제3 참조)의 또다른 특징은 턴버클(21)의 후방구역에 수직슬롯(4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은 직각으로 보어구멍(47)에 의해 절단되어 있다는데 있다. 슬롯(46)내에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의 너트(48)가 배치되어 있다. 특히 제2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슬롯(46)과 보어구멍(47)은 보어구멍(47)내로 삽이된 나사(도시안됨)가 슬롯(46)에 삽입된 사각형 너트(48)에 닿을 수 있도록 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런조치에 의해 추가 요소(임의 의 물건일 수 있음)를 턴버클(14)의 후방구역에 고정시킬 수있다.
그러나 턴버클 하우징(21)의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거나 요구될때에는 수직슬롯(46)을 없애고 단지 축방향 구멍(˝보어구멍 47˝에 해당)을 턴버클 하우징(21)내에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별법으로서 가능하고 이 별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런데 이 축방향 구멍은 필요한 경우에는 나삿니를 새기려는 나사를 위한 코어호울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대형가설물, 야외스탠드, 단층 또는 다층 홀스텐드와 같은 대형건축물에서 벽-및/또는 층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한 배치물에 있어서, 단면이 대략 T자 형상이며 그 웨브에 벽- 및/ 또는 층부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공형상의 비임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섹션(10), 비임내에 분리가능하게 중앙 유지요소(17) 및 여기에 대칭으로 배치된 두 개의 스프링강으로 된 측방 유지요소(15,16)를 가지는 턴버클(14), 서로 정렬된 홈을 통해 횡방향으로 세 유지요소를 관통하고 이 세 유지요소가 지지섹션의 두 인접웨브에 고정(클램프)되도록 하며 또한 턴버클을 동시에 비임내에 고정되도록 하는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고정장치(28), 및 세 유지요소와 회전가능한 고정장치를 수용하는 턴버클 하우징(21)으로 구성되며, 상기 세 유지요소(15,16,17)는 배치물의 설치상태에서 후방이 절단되고 상기 지지섹션(10)의 웨브에 의해 형성된 인접한 홉들 안에 맞물려 있으며, 상기 양측방 탄성 유지요소(15,16)는 상기 지지섹션(10)의 반대측 후단부(18)에서 일체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과 상기 고정장치(28)는 서로 정렬된 보어구멍(25,26,27)을 통해 상기 세 유지요소(15,16,17)를 관통하는 중앙 원통부(29) 및 중앙원통부의 끝에 있고 사이에 양 측방 유지요소(15,16)를 둘러싸는 두 외측 원통부(30,31)를 갖는 것과, 및 상기 외측 원통부의 내표면(32,33)은 각각 상기 양측방 유지요소(15,16)의 한 요소씩과 접촉해 있으며, 각각 소속하는 측방 유지요소(15 또는 16)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응하는 작동 경사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물.
  2. 제1항에 있어서, 턴버클 하우징(21)은 중앙 유지요소(17)와 함게 일체의 구성부재를 형성하며 공통의 구성부재를 형성하는 양 측방 유지요소(15,16)를 수납하기 위한 대략 U자 형상의 홈(22)을 갖고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물.
  3. 제2항에 있어서, 측방 유지요소(15,16)를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턴버클 하우징(21)내 U자 형상의 홈(22)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지지색션(10)방향으로) 내려가는 측방 유지요소(15,16)용 접촉경사면(23)을 갖고 있으며, 측방 유지요소(15,16)도 마찬가지로 대응하여 경사져(24) 형성되어 있어, 측방유지요소가 그의 후방 연결부(18)에서 가장 좁고 그의 자유단부(19 )쪽 (지지섹션(10)방향으로)으로 가면서 연속적으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중앙 유지요소(17)와 함께 턴버클 하우징(21)은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이주조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물.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장치(28)의 양외측 원판부(30,31)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턴버클 하우징(21)은 양측으로 각각 단지 원판부(30,31)까지만 뻗어있고 그럼으로써 각각 원형 경계부(38)에서 원판부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물.
  6. 제1항에 있어서, 고정장치(28)는 축방향으로는 서로 움직일 수있고 분리가능하지만 설치 상태에서는 서로 회전할 수 없게 연결된 두 개의 고정장치요소(24,35)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고정장치(34,35) 각각에는 하나의 원판부(30 또는 31)가 할당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물.
  7. 제6항에 있어서, 한 고정장치요소(34) 는 원판부(30) 및 거기에 고정연결된 중앙 원통부(29)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이 중앙 원통부는 축방향 슬롯(36)으로 갖고 있고, 그 슬롯은 다른 고정장치 요소(35)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판상의 걸림부(37)와 쇄정적으로 공동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물.
  8. 제7항에 있어서, 중앙 원통부(29)를 가진 고정장치요소(34)는 다이주조물로또한 다른 고정장치요소(35)는 소결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물.
  9. 제5항 내지 8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고정장치(28)의 한 원판부(30 또는 31), 바람직하게는 양 원판부(30,31)에는 반경방향 돌출부(42,43)가 스토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돌출부는 반대 스토퍼인 턴버클 하우징(21)의 선단(지지섹션 측단부(44,45)광 공동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물.
  10. 제1항에 있어서, 일체적 구성부재를 형성하는 측방 유지요소(15,16)는 그의 연결부(18)로부터 그의 자유단부(19) 방향으로 가면서 일체적 구성부재(15,16)가 실질적으로 V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벌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치물.
KR1019910019519A 1991-09-28 1991-11-04 대형건축물 등에 있어 벽- 및/또는 층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배치물 KR960001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132447.1 1991-09-28
DE4132447A DE4132447C2 (de) 1991-09-28 1991-09-28 Anordnung zur Erstellung von Wand- und/oder Deckenkonstruktionen, insbesondere im Messeba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24A KR930010324A (ko) 1993-04-21
KR960001238B1 true KR960001238B1 (ko) 1996-01-24

Family

ID=644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519A KR960001238B1 (ko) 1991-09-28 1991-11-04 대형건축물 등에 있어 벽- 및/또는 층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배치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2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24A (ko) 199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1376A (en) Fitting for detachable connecting structural parts
US5315805A (en) Device for erecting walls or ceilings, especially in exhibition constructions
EP0142710B1 (en) A fastening device for releasable interconnection of panels
US7588272B2 (en) Door handle assembly
US20160076292A1 (en) Hinge
JP4336657B2 (ja) 磁気制御式施錠デバイス
EP0291220B1 (en) Coupling mechanism for double cylinder locks
CA1206015A (en) Pin-type lock with axial split cylinder and/or plug
KR20010005619A (ko) 나사
US7314214B2 (en) Power clamp
CA1095024A (en) Rolling cutter drill bit
KR960001238B1 (ko) 대형건축물 등에 있어 벽- 및/또는 층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배치물
US20060284429A1 (en) Spindle assembly with captive spring for use in a door handle assembly
US3995923A (en) Panel locking arrangement
EP0174335B1 (en) Locking apparatus
KR100926350B1 (ko) 물체를 지지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 장치 및 방법
JPH0529316Y2 (ko)
US6435051B1 (en) Driving cam of geneva mechanism
DE4020354C2 (ko)
JP3351845B2 (ja) 特に見本市構造物の壁構造体およびまたは天井構造体を構築するための装置
EP1491775A1 (en) Expanding fixing device, particularly for fixing elements to sanitary fixtures in general
SU1606764A1 (ru) Шарнир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200184340Y1 (ko) 출입문의 손잡이를 겸한 도어록장치
KR200316260Y1 (ko) 핸드레일과 중간 지지봉의 비용접식 결합구조
JPH0715264U (ja) 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