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111B1 - 부재시 셀룰라 전화기에 의한 일반전화기 호출방법 - Google Patents

부재시 셀룰라 전화기에 의한 일반전화기 호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111B1
KR960001111B1 KR1019910001098A KR910001098A KR960001111B1 KR 960001111 B1 KR960001111 B1 KR 960001111B1 KR 1019910001098 A KR1019910001098 A KR 1019910001098A KR 910001098 A KR910001098 A KR 910001098A KR 960001111 B1 KR960001111 B1 KR 96000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lephone number
absence
caller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794A (ko
Inventor
김원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111B1/ko
Publication of KR92001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재시 셀룰라 전화기에 의한 일반전화기 호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 불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 장치 2 : 키이보우드
3 : 주변장치(TAD) 4 : 램
5 : 롬 6 : 이이피롬
7 : 엘시디(LCD)
본 발명은 자동차 이동무선 전화기 즉 셀룰라형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룰라형 전화기의 사용자가 자동차를 이탈한 상태에서 셀룰라 전화기가 호출되었을 때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일반전화기를 자동적으로 호출되게 함으로서 신속한 경보를 주고 받을 수(통화)있도록 한 부재시 셀룰라 전화기에 의한 일반전화기 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 이동전화기 즉 셀룰라형 전화기에는 사용자의 부재시 호출자의 메시지와 전화번호를 메모리(기억)하는 기능, 즉TAD 기능이 첨가되어 있고, 부재시 호출한 호출숫자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는 전화기가 사용되었다.
상기와 같은 셀룰라형 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AD가 설치된 전화에서는 호출한 상대방에 상용자가 부재중임을 음성으로서 자동적으로 아려줌과 동시에 사용자의 행선지를 알려주는 방식과 전화번호(호출자)가 부재중인 셀룰라 전화기에 기억되는 방식이 있으며, 부재중인 사용자에게 안내방송후 20초이내에 전달하고져 하는 메시지를 메모리하는 기능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사용자가 부재상태로부터 돌아와서 셀룰라 전화기의 호출된 번호에 따라 남겨진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져 할 경우 복잡한 키 조작에 의해 저장된 전화번호를 모두 읽어서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며, 이로인한 전화번호와 호출자를 확인하는 시간이 지연되며 호출자와 전화번호를 혼동하게 되는 문제점과 급한 용건의 전화를 늦게 접수하게 됨으로 인한 피해를 억제할 수 없으며 많은 전화를 확인하는데 따른 고가의 전화요금을 허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져 안출한 것으로서 구성상태를 첨부한 도면 제1도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처리장치(1)에 전화번호를 입력시키는 키보우드(2)와 입력되는 전화번호와 모든 진행상황을 디스플레이 하여 주는 엘시디(LCD)(7) 및 사용자의 위치를 탐색하여 자동적으로 일반전화기로 연결시켜주는 주변장치(3), 그리고 직접회로들의 램(4), 롬(5), 이이피롬(6),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첨부한 도면 제2도의 플로우챠트와 병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셀룰라형 전화기의 사용자가 키보우드(2)로서 기능 모드를 설정하여 입력하여 준 후 부재상태에서 셀룰라전화가 호출되면 호출되는 시간이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인가를 중앙처리장치(1)는 판단(11)하여 부재중이면 호출자에게 지금 부재중에 있음을 메시지 송출하여 주고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입력시키도록 메시지를 송출(12)한다.
이때 호출자가 메시지를 입력하게 되면 주변장치(3)를 통하여 호출자의 전화번호와 내용을 받아들여 기억장치를 통해 기억한 후 (12)부재중인 셀룰라 전화기는 다시 중앙처리장치(1)를 통해 기억장치 속의 셀룰라전화기 소유자가 위치한 전화번호에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준다.
따라서, 주변장치(3)를 통하여 받아들여진 전화번호와 메시지를 셀룰라 전화기 소유자에게 전달하여 주어신속한 대처를 하도록 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에서 셀룰라 전화기의 소유자가 위치한 곳의 일반전화가 통화중일 때는 자동적으로 체크(Check)되어통화가 이루어질때까지 중앙 처리장치(1)가 시도하도록 미리 세팅한 상태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종래에 발생되던 소유자의 부재시 신속한 업무 대처를 하지 못하던 단점과 호출한 사람(호출자)과 전화번호를 혼동하게 되던 단점 및 번거로운 키조작 등 불편함을 해소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증진시켰으며 보다 나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착신자의 메시지 및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착신자의 전화번호 및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송출완료후 발신자 전화번호 및 메시지를 저장시키고, 상기 저장된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자동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호출후 착신이 되면 저장된 발신자의 메시지 및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부재시 셀룰라 전화기에 의한 일반전화기 호출방법.
KR1019910001098A 1991-01-23 1991-01-23 부재시 셀룰라 전화기에 의한 일반전화기 호출방법 KR96000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098A KR960001111B1 (ko) 1991-01-23 1991-01-23 부재시 셀룰라 전화기에 의한 일반전화기 호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098A KR960001111B1 (ko) 1991-01-23 1991-01-23 부재시 셀룰라 전화기에 의한 일반전화기 호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94A KR920015794A (ko) 1992-08-27
KR960001111B1 true KR960001111B1 (ko) 1996-01-18

Family

ID=1931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098A KR960001111B1 (ko) 1991-01-23 1991-01-23 부재시 셀룰라 전화기에 의한 일반전화기 호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367B1 (ko) * 2001-07-12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통화 내용 청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94A (ko) 199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777B1 (ko) 전화기에 있어서 선택적 통화 방법
JPH04181850A (ja) 発呼者電話番号表示装置
US6618586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directory memory of portable cellular phone
KR10036561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송신 방법
KR960001111B1 (ko) 부재시 셀룰라 전화기에 의한 일반전화기 호출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JPH10276257A (ja) 電話装置
JP3452130B2 (ja) 通信端末装置
JP2004304236A (ja) 携帯端末装置
KR100406252B1 (ko) 착신 기능 비활성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비활성화 방법
JP3377904B2 (ja) 電話装置
JP2003078586A (ja) 不在着信呼び出し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6000398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전화 번호 저장 방법
JPH1032245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KR960010863B1 (ko) 키폰 시스템에서 일반 전화기의 사용자 메세지 입력 방법
JPH11252246A (ja) 着信拒否方法
US7295835B2 (en) Wireless telephon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KR19980023436A (ko) 자동수신 기능을 구비한 디지탈 셀룰러 휴대용 전화기의 자동응답방법
KR19990074831A (ko) 종합통신망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무선 핸드셋 착신링 발생 방법
JP3328178B2 (ja) 電話装置
JPH09153946A (ja) 電話装置
JPH1024307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携帯端末
JP2002199090A (ja) 電話装置
JP2004364129A (ja) 通信装置
JPH07245645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