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847Y1 - 미세 전압조절이 되는 교류용접기 - Google Patents

미세 전압조절이 되는 교류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847Y1
KR960000847Y1 KR2019930023821U KR930023821U KR960000847Y1 KR 960000847 Y1 KR960000847 Y1 KR 960000847Y1 KR 2019930023821 U KR2019930023821 U KR 2019930023821U KR 930023821 U KR930023821 U KR 930023821U KR 960000847 Y1 KR960000847 Y1 KR 960000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ed
contact point
rotating plate
welding machine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518U (ko
Inventor
김기성
장동식
Original Assignee
김기성
장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성, 장동식 filed Critical 김기성
Priority to KR2019930023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847Y1/ko
Publication of KR950013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847Y1/ko

Links

Landscapes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세 전압조절이 되는 교류용접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배선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상, 하 절연회전판 측면도.
제 3 도는 종래것의 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상, 하 절연회전판 4, 4a : 접지부
5 : 단접점 6 : 장접점
7 : 다분활된 전원절환탭 10 : 전원절환탭
12 : 고저용초크
본 고안은 동력선으로 부터 받은 전기를 아아크 발생에 필요한 최소한도의 전압으로 변화하여 사용하는 미세 전압조절이 되는 교류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아아크 용접기는 전원으로 부터 전류와 전압을 작업의 필요에 따라 변화시키는 장치로서 직류용과 교류용이 있다.
여기서 교류 아아크용접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교류용접기는 일종의 변압기로서 동력선으로 부터 받은 전기를 아아크의 발생에 필요한 최소한도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강전류를 얻는 장치이다.
아아크는 일종의 저항부하이며 30볼트 내외의 전압강하가 필요하다.
따라서 용접기에서는 용접하기 위하여 아아크가 발생하면 용접변압기의 단자전압은 80V내외의 높은 무부하전압에서 30V내외의 아아크전압으로 변압기 안에서 자동으로 저하되고 이전압으로 소정의 용접전류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것이 가동철심형과 가동코일형 교류용접기등이 있다.
가동철심형 교류용접기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사이에 가동철심을 넣어서 조정나사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1차로 자로(磁路)를 차단시키고 2차로의 전달을 막음으로 2차 기전력의 고저를 조절하여 자속(磁束)을 가감하고서 용접전류로 사용한다.
그리고 가동코일형 교류용접기의 경우 1차코일 및 2차코일을 같은 철심에 감고, 두 코일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서 리액턴스를 변화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이 교류용접기들은 용접을 하지않는 시간에도 무부하 전류가 흐르는 구조적 모순으로 막대한 자력손실로 전력 낭비가 심하여 경제적 낭비가 심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개선한것으로 권철심트랜스를 사용무부하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고 용접전류를 가늘고 쉽게 조정할수 있으며 아아크의 발생 및 유지가 손쉬우며 전력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일수 있게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 하 절연회전판(1)(2)의 선단측에 단접점(5)와 장접점(6)부를 형성하여 중앙 통공(3)(3a)상측둘레 주변에 형성한 접지부(4)(4a)와 연접하며 동력선(30)에 연결된 스위치(31)와 접촉시킨다.
그리고 단접점(5)으로된 상 절연회전판(1)에는 2, 5볼트 단위로 중복되게 형성된 다분활 전원절환탭(7)을 접지시켜 트랜스(8) 1차코일(20)의 일측단자(9)와 각각의 볼트와 일치되게 접합시킨다.
또한 하 절연회전판(2)의 장접점(6)부에는 상 절연회전판(1)과 일치되는 일정간격으로 4곳에 설치한 전원절환탭(10) 일측부분과 접지시켜 10볼트 단위로서 1차코일(20)의 타측단자(11)와 접합한다.
그런후, 상, 하 절연회전판(1)(2)의 중앙 통공(3)(3a)에 중심축(40)을 삽입 일체로 고정한다.
그런다음 트랜스(8)의 2차코일(21)의 일측선단에는 고정용 초크(12)를 설치하여 고저전류전환탭(22)과 연결하여 어스선(母材線)(23)과 연접하고 타측은 용접봉선(24)과 결합시킨다.
미설명부호 41은 모제, 42는 용접봉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상, 하 절연회전판(1)(2)은 같은 중심축(40)상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겹쳐진체로 고정되어 작동시 동시 회전토록 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교류용접기를 사용하고져 하면 동력선(30)에 연접된 스위치(31)를 ON시켜 주어 전원이 상, 하 절연회전판(1)(2)의 접지부(4)(4a)를 통해 전류가 유입된다.
이런상태에서 중심축(40)을 회전하면 상 절연회전판(1)이 회전되면서 단접점(5)부분이 0V→2.5V→5V→7.5V에서 다시 0V→2.5V→5V→7.5V순으로 다분할 전원절환탭(7)과 접지된다.
이와동시에 하 절연회전판(2)은 상 절연회전판(1)의 단접점(5)부가 "0"V에서 "7.5"V지 접하는 동안 전원절환탭(10)은 장접점(6)부를 따라 이동하며 접속된 볼트(예 10V 20V 등)위치에서 계속 접촉된다.
이렇게 회전하여 상 절연회전판(1)의 단접점(5)부가 "0"V로 접지될때 하 절연회전판(2)의 장접점(6)부는 처음 접지된 다음의 전원절환탭(10)으로 이동한다.
상 절연회전판(1)의 단접점(5)부는 "0"V에서 "7.5"V까지 4개볼트로 나누어져 있어 2.5V단위로 변화하며 16단계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화된 전류는 2차코일(21)의 초크(12)와 용접봉선(24) 및 어스선(母材線)(23)을 통해 용접봉(42)과 모재(41)을 접지시키면 용접이 되는 것이다.
또한 초크(12)의 고, 저 전류전환탭(22)에 의해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여 사용할수 있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전류변화를 본원고안과 종래고안을 도표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용접을 하지 않는 무부하시는 초크에 의한 전류차단으로 전력손실이 극히 미미하며 용접시에도 전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다분활 전원 절환탭에 접지되는 전압단위는 임의로 설정하여 생산될 수 있는 것으로 절전효과와 용접효율이 뛰어난 획기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상, 하 절연회전판(1)(2)에 단접점(5)부와 장접점(6)부 및 접지부(4)(4a)를 형성하여 연접시켰으며 상 절연회전판(1)에는 2.5볼트 단위로 중복되게 다분할된 전원절환탭(7) 형성시켜 단접점(5)과 접지시키며 트랜스(8)1차코일(20)의 일측단자(9)와 볼트가 서로 일치되게 접합시키고, 하 절연회전판(2)에는 10볼트 단위로된 4개의 전원절환탭(10)을 접지하여 타측단자(11)와 접합시켜, 상, 하 절연회전판(1)(2)이 일체로 회전되게 됨을 특징으로하는 미세전압조절이 되는 교류용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2차코일(21)일측에 고저용 초크(12)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압조절이 되는 교류용접기.
KR2019930023821U 1993-11-13 1993-11-13 미세 전압조절이 되는 교류용접기 KR960000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821U KR960000847Y1 (ko) 1993-11-13 1993-11-13 미세 전압조절이 되는 교류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821U KR960000847Y1 (ko) 1993-11-13 1993-11-13 미세 전압조절이 되는 교류용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518U KR950013518U (ko) 1995-06-15
KR960000847Y1 true KR960000847Y1 (ko) 1996-02-02

Family

ID=1936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821U KR960000847Y1 (ko) 1993-11-13 1993-11-13 미세 전압조절이 되는 교류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8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518U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353711A (en) Electric welding and reactor
CN104768696B (zh) 具有带间隔件和梳状件的l型和t型芯部元件的电感器,使用用于维持焊弧的电感器的焊接系统和焊接方法
EP0819494B1 (en) Welding power supply
KR960000847Y1 (ko) 미세 전압조절이 되는 교류용접기
CN107538106B (zh) 焊机维弧装置
US8063339B2 (en) Welding system toroidal spark gap method and system
JPH05245634A (ja) 遮蔽ガス溶接プロセスのアーク再点弧のための方法と装置
JPH0352770A (ja) ホツトワイヤ式アーク溶接装置
US2447955A (en) Arc welding system
US2228731A (en) Transformer control system
US1506698A (en) Combined spot or butt and arc welder
US1305361A (en) Claude j
KR200198961Y1 (ko) 용접기의 전류조절장치
US1635764A (en) Arc welding
US2197254A (en) Arc welding system
US1305362A (en) Method of electric-abc welding
Grist et al. Power sources for welding
CN111243825B (zh) 用于使铁磁材料消磁的装置
US1305360A (en) Claude joseph hcxlslag
KR100513204B1 (ko) 가스 교대 공급 장치 내장형 아크 용접기
US1570804A (en) Arc-welding system
JPH03210969A (ja) ホットワイヤ式tig溶接装置
US1310131A (en) noble
US3292038A (en) D. c. power supply
US2036783A (en) Circuit-control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